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8 No.4 pp.141-147
https://doi.org/10.12811/kshsm.2014.8.4.141

학교구강보건실 운영․비운영학교 교사의 구강보건지식과 행태에 관한 조사

이 정화, 진 혜정‡
동의대학교 치위생학과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of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with or without School Dental Clinic Programs

Jung-Hwa Lee, Hye-Jung Ji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ong-Eui University

Abstract

Dental clinic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live healthy life by promote healthy lives by oral health self-management skills. This study on schools with and without dental clinics compared and analyze teacher'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oral care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recommend the school dental clinic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9 teachers in schools with dental clinics and 201 teachers in schools without dental clinics. In total, the study included 20 schools and 440 teachers. Teachers from schools with dental clinics had a higher recognition rate of the purpose of tooth brushing and the fluoride caries preventive effect than teachers from schools without dental clinic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hools with and without dental clinics when we compared the daily tooth brushing frequency and oral health attitude. There is also need of a school dental clinic program for teachers because if teachers lack knowledge and professionalism of oral health it will affect the student's oral health attitudes.


    I.서론

    국민구강건강 향상을 위해서는 특정 연령과 집 단에 대한 중점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 다. 그 중 초등학교 학령기에는 영구치가 맹출되는 시기이며, 이 시기에 형성된 구강건강관리 및 태도 는 평생 구강건강에 영향을 미치므로 초등학교 어 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구강보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1]. 학교구강보건사업은 스스로 효 과적인 구강건강관리를 할 수 없는 초등학교 학령 기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증진 유지를 위해 구강건강과 위험 요인들을 제거하고 구강건 강에 관한 지식과 태도를 변화시켜 보다 나은 구 강건강증진 유지를 통하여 건강한 생활을 하도록 하는데 있다[2][3].

    초등학교 학생의 구강보건지식은 부모 이외에 보건교사나 교사에 의해 전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학생의 구강보건교육에 대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고된 바[4][5]가 있으나 현재 우리나 라는 학교구강보건을 담당하는 구강보건인력이 학 생 수에 비해 부족하며 모든 학교 학생들을 대상 으로 예방처치, 구강건강관리 능력 향상을 유도하 기에는 현실적으로 부족한 상황으로 교사의 역할 이 중요하다[6][7].

    Lee et al.[8]은 우리나라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교사의 구강보건지식과 태도에 대해 중요성을 강 조하였고, Loupe & Frazier[9]은 교사는 학교 치과 건강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하 였다. 초등학교 학생의 구강보건태도는 교사에 의 해 영향을 많으므로 학교구강보건사업에 있어 학 생 뿐만 아니라 재직교사에게도 구강보건교육과 구강건강의 중요성에 대한 동기부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 반면에 일부 초등학교 교사는 구강 병 예방에 대한 인식과 구강보건지식이 부족하고, 구강상태 또한 비슷한 다른 계층보다 나은 점이 없다고 보고된 바 있다[6].

    따라서 학교구강보건실이 있는 학교에 재직 따 라 교사의 구강보건지식과 태도가 차이가 있을 것 으로 예상되며, 이는 학생에게 긍적적인 영향을 미 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까지 교사의 구강보건인 식도에 대한 조사는 상당수가 있으나, 학교구강보 건실 운영∙비운영학교의 재직에 따른 구강보건지 식과 태도에 대해 비교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학교구강보건실 운영∙비운영학교 교사 의 구강보건지식과 태도를 비교분석하고 학교구강 보건실 추천여부를 조사하여 학교구강보건실 사업 확대 발전 제안의 근거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II.연구방법

    1.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3년 6월 5일부터 2013년 7월 18일 까지 부산광역시 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학교 1개교 와 비운영학교 1개교, 울산광역시 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학교 4개교와 비운영학교 2개교, 경상남도 창 원시 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학교 1개교와 비운영학 교 1개교, 양산시 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학교 3개교 와 비운영학교 2개교, 김해시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학교 3개교와 비운영학교 1개교를 임의 추출하여 총 20개교 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 하였다. 해당지역 보건소와 학교의 보건교사의 협 조를 얻어 설문을 배포하고 자기기입 방식으로 설 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448부 중 응답 내용이 불충분한 8부를 제외하여 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학 교 교사는 239명, 비운영학교 교사는 201명 총 440 부를 최종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설문조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근무학교 특성과 기간에 대한 2문항(교육경력, 학교구강보건실이 설 치된 학교에서의 재직기간)을 조사하였다. 구강건 강행위에 관한 3문항(구강관리용품 사용, 최근 1년 간 치과방문경험유무, 치과방문 목적)을 조사하였 으며, 구강보건교육 경험 5문항(구강보건교육 경험 유무, 교육 받은 장소와 내용, 향후 구강보건교육 을 받을 기회와 내용)을 조사하였다. 구강보건지식 에 관한 조사 3문항(잇솔질, 치아홈메우기, 불소의 우식예방 효과)와 구강보건태도에 관한 3문항(잇솔 질 방법, 일일 잇솔질 횟수, 우식예방 효과)을 조사 하였다. 또한 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학교 교사의 학 교구강보건실 추천여부와 그 이유에 대해 조사하 였다. 구강건강행위, 구강보건교육경험, 구강보건지 식과 태도에 관한 설문내용은 기존 선행연구 [10][11][12]의 설문문항들을 참고하여 본 연구목적 에 맞게 일부 수정하였다.

    3.통계분석

    수합된 자료는 엑셀에 입력한 후, 통계프로그램 SPSS (SPSS 20.0 for windows,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 다. 학교구강보건실 운영∙비운영학교 재직에 따른 구강보건 지식 및 태도, 구강관리 행태와 구강보건 교육 경험여부에 대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학 교구강보건실 운영학교 재직교사의 학교구강보건 실 추천여부와 그 이유에 대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다. 학교구강보건실 운영∙비운영이 구강보건지 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분 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II.연구결과

    1.학교구강보건실 운영∙비운영학교에 따른 구 강보건지식 및 태도

    초등학교 교사의 구강보건에 대한 인지, 태도 및 실천에 관한 문항을 학교구강보건실 운영∙비 운영학교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였다. 잇솔질 목적 에 대한 인지율은 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학교 교사 가 92.1%, 비운영학교 교사가 86.0%로 학교구강보 건실 운영학교 교사가 높게 나타났다. 치아홈메우 기의 우식예방 효과 인지는 운영학교 교사가 94.1%, 비운영학교 교사가 92.0%이었으며, 불소의 우식예방 효과 인지는 운영학교 교사가 95.8%, 비 운영학교 교사가 86.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 회전법 잇솔질 실천은 운영학교 교사가 15.5%, 비운영학교 교사가 16.5%이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건강하다고 응답한 교사가 운영학교 38.1%, 비운영학교 31.3%이었으며, 1일 3회 이상 잇솔질을 한다고 응답한 운영학교 교사는 92.9%, 비운영학교 교사 93.5%이었다<Table 1>.

    2.학교구강보건실 운영∙비운영학교에 따른 구 강관리 행태

    일일 잇솔질 횟수는 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학교 교사는 3.38회이었으며, 비운영학교 교사는 3.37회 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구강관리용 품 사용하는 운영학교 교사는 54.4%, 비운영학교 교사는 60.7%이었으며, 지난 일년간 치과방문한 경 험이 있는 운영학교 교사는 72.8%, 비운영학교 교 사는 76.6%이었다. 치과방문 목적에 대한 항목에 우식치료가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학교 교사가 44.8%, 비운영학교 교사가 46.8% 이었다. 구강보건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한 운영학 교 교사는 39.7%, 비운영학교 교사는 46.3%이었으 며,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건강하다’라고 응답한 운영학교 교사는 38.1%, 비운영학교 교사는 31.3% 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학교구강보 건실 운영·비운영학교 재직에 따라 구강보건교육 경험여부를 조사한 결과 있다고 응답한 운영학교 교사는 78.2%, 비운영학교 교사는 78.6%이었다. 구 강보건교육 받은 장소는 운영학교 교사가 59.7%, 비운영학교 교사 52.9%가 치과 병의원이라고 응답 하였다. 구강보건교육 시 교육 받은 내용은 잇솔질 교습, 구강법 예방법, 구강위생관리용품 사용법 순 이었다<Table 2>.

    3.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학교 교사의 학교구강보 건실 추천여부

    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학교 교사 239명 중 주변 친인척에게 학교구강보건실이 있는 학교를 추천하 겠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80.5%이었으며, 추천하고 싶은 이유는 자녀의 구강관리를 위하여 84.1%, 비 싼 치료비 절감 10.1%, 시간 절약 5.8% 순이었다. 추천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4.3%이었으며, 그 이유로는 치료를 제대로 하지 않을 것 같아서 53.3%, 아이가 혼자 치료받기 두려워 할 것 같아서 26.7%, 수업에 지장을 줄 것 같아서 20.0% 순이었 다. 교사의 자녀를 학교구강보건실이 설치된 학교 에 보내고 싶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86.6%이었으며,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대상자 는 73.4%, 보통이라고 응답한 대상자는 25.8%, 불 만족한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0.9%이었다<Table 3>.

    4.학교구강보건실 운영∙비운영에 따른 구강보 건지식과 태도

    학교구강보건실 운영∙비운영이 구강보건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분형 로 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하는 군에서 불소의 우식예방 효과 인지 (OR=3.50, 95% CI=1.56-7.82)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보정한 후에도 우식예방 효과 인지(OR=3.97, 95% CI=1.74-9.04)가 높았다<Table 4>.

    IV.고찰 및 결론

    우리나라 경제수준 향상으로 인하여 전신건강 수준은 향상되었으나 구강건강은 크게 개선되지 못하였다[2]. 이에 정부에서 구강건강에 관심을 가 지고 초등학교 구강보건사업의 일환으로 1999년부 터 전국 15개소에 학교구강보건실을 설치 운영하 기 시작하여 2013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전국에 417개 초등학교에 학교구강보건실을 설치 운영하 고 있다[13]. 학생은 대부분 시간을 학교에서 생활 하고 있기 때문에 교사의 구강보건에 관한 지식이 나 태도는 학생의 구강건강관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8][14][15][16]. 따라서 이 연구는 학 교구강보건실 운영∙비운영학교 교사의 구강보건 지식과 태도를 비교분석하고 학교구강보건실 추천 여부를 조사하여 만족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학교 재직 교사는 비운영학 교에 비해 잇솔질 목적의 인지율과 불소의 우식예 방 효과 인지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한 결과 구강보건 지식 중 불소의 우식 예방 효과 인지가 비운영학교 재직교사에 비해 재 직교사가 3.97배 높게 나타나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이 구강보건 지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구강보건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 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학교에 서 구강보건사업을 시행하므로 재직하는 교사는 자연스럽게 구강건강에 관심을 가지며 지식 수준 을 향상시켜 잇솔질 목적과 불소의 우식예방 효과 인지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일 일 잇솔질 횟수와 구강건강 행동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구강보 건 지식 수준 향상에도 불구하고 구강건강에 대한 동기부여가 부족하여 구강건강 습관을 변화시키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교사의 구강보건 지식 향상 은 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나 학교 교육의 장에서 학생에게 모범적 역할에 있어 구강보건 향동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할 것이다. 따 라서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구강보건교육은 전문 성이 있는 구강보건교육자가 필요하다.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재직하고 있는 교사에게 학교구강보건실을 추천하겠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80.5%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 절반 넘게 학교구강 보건실을 추천하고 만족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전 선행연구[7][14][17]에서도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을 추천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단순히 추천여부만을 파악하였으므로 향후 교직원 뿐만 아니라 학교구강보건실 운영·비운영학교 학부모를 대상으로 학교구강보건실에 대한 만족도와 추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구강보건교육 시 교육 장소와 내용만을 조사하여 구강보건교육 을 실시한 전문인력에 따른 인식도 차이를 조사하 지 못하여 향후 보완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이 연구는 일부지역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분석 하여 일반화하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며, 교사의 이 전 근무지를 파악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하지만 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학교 13개교, 비운영학교 7개 교 총 20개교 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층화추출을 하여 대상자의 편의를 줄이려고 하였 다.

    학교구강보건 사업이 양치교실 사업에 대치되고 있어 기존의 학교구강보건실의 치과의사와 치과위 생사 전담인력 배치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 상시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의 구강보건 지식과 태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학교구강보건실 운영·비운영학교에 따라 조사 분 석하였다. 학교구강보건실 운영학교 교사는 비운영 학교 교사에 비해 구강보건 지식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구강보건 행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초등학교 교사는 구강건강에 대한 전문성 이 부족하여 학생에게 구강보건 태도 변화가 어려 울 수 있으므로 학교구성원인 교사에게도 교육현 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구강교육 및 예방프로그램 을 통하여 학생에게 효율적인 구강보건 교육활동 이 필요하다.

    Figure

    Table

    Knowledges and attitudes for oral health care according to school oral health program N(%)

    The data were analysed by Chi-square test

    Oral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school oral health program

    *The data were analysed by t-test
    †The data were analysed by Chi-square-test

    Teacher recommendation whether the oral health program operations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s and attitudes and school oral health program

    *:Adjusted for age, gender, toothbrushing, oral care pro dduacitlsy, dfreenqtuael nvcisyi t (o1f yr), oral health education

    Reference

    1. Han J.H , Won Y.S (2008) Parents`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dental clinic in Hwaseong City , J of Korean Acad of Oral Health, Vol.32 (3) ; pp.376-385
    2. Kim J.B , Choi Y.J , Moon H.S , Kim J.B , Kim D.K , Lee H.S , Park D.Y (2009) Public health dentistry, Komoonsa, pp.285-302
    3. Shin S.C , Kweon J.H (2004) 3rd year appraisal for school dental clinic programs in Korea , J of Korean Acad of Oral Health, Vol.28 (3) ; pp.387-397
    4. Boyer E.M (1976) Classroom teacher's perceived role in dental health education , J Pub Health Dent, Vol.36 (4) ; pp.237-243
    5. Kenney J (1979)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schools in affecting dental health status a potential yet unrealized , J Public Health Dent, Vol.39; pp.262-267
    6. Lee S.K , Chung D.I , Roh Y.H , Chang K.W (1994)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s and status of primary school teachers in Chonju-city ,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1 (2) ; pp.410-422
    7. Lang W.P , Woolfolk M.K , Faja B (1989) Oral health knowledge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Michigan , J Pub Health Dent, Vol.49 (1) ; pp.44-50
    8. Lee J.H , Chun J.H , Kim J.B (2011) Survey on Oral Health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teachers who had experienced school oral health program in Ulsan Metropolitan City , J KoreanAcad Oral Health, Vol.35 (4) ; pp.423-431
    9. Loupe M.J , Frazier P.J (1983) Knowledge and attitudes of school teachers toward oral health programs and preventive dentistry , J Am DentAssoc, Vol.107 (2) ; pp.229-234
    10. Ryu K , Jeong S.H , Kim J.Y , Choi Y.H , Song K.B (2004) Effect of mothers` oral health behaviour and knowledge on dental caries in their preschool children ,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28 (1) ; pp.105-115
    11. Choi Y.H , Suh I.L , Kwon H.K , Ji S.H (1999) Children's dental health status in relation to their mother's oral health knowledge and practices ,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23 (1) ; pp.45-62
    12. Lee J.O , Mun H.S , Kim J.B , Paik D.I (2002) Knowledge and attitude of students` parents on school-based incremental dental care in middle size of urban community ,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26 (4) ; pp.495-510
    13. (20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 2014; oral health ,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p.114
    14. Choi S.L , Kwon H.S , Song K.B , Lee J.H , Kang H.K , Choi J.M (2006) Effects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among Schoolchildren : Focus on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s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Hygiene, Vol.6 (4) ; pp.455-467
    15. Choi S.M , Sakong J , Jang E.J (2013) Implementation Level and Factors of Parents about Dental Examinat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 (2) ; pp.179-190
    16. Park J.S , Won Y.S , Park S.Y Relationship of dietary habits, health habits and dental caries ubjective symptoms of teachers at childcare centers ,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8 (2) ; pp.245-254
    17. Lee J.H , Kim J.B , Han D.H (2009) Survey on parents` recognition and supports for theincremental school oral health using school dental clinic according to the operation period , J Korean Acad Dent Health, Vol.33 (1) ; pp.62-70
    August 7, 2014
    November 19, 2014
    December 2, 2014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