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8 No.3 pp.113-124
https://doi.org/10.12811/kshsm.2014.8.3.113

일부 지역 임상치과위생사들의 치위생과 전공교과목에 대한 도움정도 조사

장 지언1, 이 희경2
1수성대학교 치위생과,
2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Aid Degree for Major Subject of Dental Hygienist in Some Areas

Ji-Eon Jang1, Hee-Kyung Lee2
1Department of Dental Hygiene, Suseong College,
2Department of Dentistry,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bstract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job-based curriculum present the basic data for the 207 people surveyed dental hygienists in clinical analysis. The data was analysed with frequency,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the spss 20.0 windows. Person of preventive dental treatment in main duty was significantly highest than among others.

In conclusion, the dental hygienist will perform the most medical support services, However the main duties of dental hygienists to perform preventive dental treatment for major help when the highest degree. Among oral hygiene management duty-related subjects showed the most helpful. Therefore dental hygiene curriculum to train dental hygienist should be organized to help with job performance in the field of clinical activities.


    I.서론

    1960년대부터 생활수준과 의료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양질의 치과진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분업치 과진료의 형성이 요구되었고, 이에 진료보조역할을 맡아서 수행할 인력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1965년 3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부속 세브란스병원에 의 학기술과가 설립되면서 치과위생과정의 수련 2년 과정이 시작되면서 치과위생사 교육이 시작되었다. 그 후 1994년 교육연한이 2년에서 3년으로 연장되 었고, 2002년에는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치위생 과가 4년제로 개설됨으로써 치위생학 교육의 새로 운 장을 열었다[1]. 또한 치과위생사 양성기관도 현재 82개 대학으로 양적 팽창이 계속되어지고 있 어 치위생(학)과의 학생 배출은 거의 5천명 정도에 달할 것으로 간주된다.

    이와 같이 치위생(학)과는 학제가 연장되고 양 적으로도 팽창되었지만 치과위생사의 질적 향상과 전문인으로서 역할수행은 이에 따르지 못하고 있 다. 이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진료보조위주의 양 성에 관한 교과목 위주로 개설되어 있으며, 현행 국가시험과목 및 제도에도 문제점을 갖고 있기 때 문에 사회적으로 필요한 국가보건전문인력을 양성 하기에는 부적합하다[2].

    따라서 본 논문은 학교의 치위생과 교육과정과 치과위생사의 실무사이에 연계성이 부족하여 실무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한 현시점에서 임상현장에 있는 치과위생사들의 치위생과 3년제 교육과정 중 국시 교과목들을 중심으로 전공교과 목의 도움정도를 파악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치위생과 교육과정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치위생 과 교육과정만을 분석한 연구와 임상의 치과위생 사 수행업무와 치위생과 교과목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로 대별될 수 있다. 전자로는 치과위생사 교육 과정에 처음으로 역할중심 통합교육과정을 시도하 였으며[3], 치위생과 교육과정에서 예방치학 및 공 중구강보건학 관련 교과목의 교육현황을 조사하였 고[4] 우리나라의 교육과정과 국가시험을 미국과 비교분석하여 통합교육과정 방향을 주장하였으며 [5], 교육과정 운영실태를 미국과 비교하면서 치과 위생사의 업무 전문화를 위한 치위생과 교육과정 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6]. 후자 의 연구로 보건(지)소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업무수행시 필요한 교과목의 필요도를 조사하였으며[2], 보건(지)소에 근무하는 치과위생 사들을 대상으로 업무 수행시 구강보건교육학 및 실습의 활용도를 분석하였고[7] 교육과정과 실제 직무간 괴리의 현행 교육과정 문제점을 지적하며 수행능력기반한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8]. 또한 임상의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주로 하는 업무 와 교과목 중요도를 조사하여 활동현장과 치위생 교육의 연계성을 파악하였다[9].

    이와 같이 선행연구는 치위생과 교육과정을 분 석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거나 치과위생사의 업무와 교육과정을 연계하여 치위생과 교육과정을 발전방 향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지니지만 거의 대부분이 문헌고찰을 통한 분석연구이거나 산업체 일부 영 역의 임상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라는 점 에서 제한점이 있다. 임상적응력이 높은 치과위생 사를 양성하는 전문교육기관의 교육목표을 달성하 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임상의 치과위생사들의 치위생과 교육과정에 대한 유용도를 반드시 조사 하여 산업체 현장에 적합한 치과위생사를 양성하 기 위해서는 학교의 교육과정에 대한 검토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임상의 치과위생사들이 학교에서 치위생과 교육과정을 이 수한 뒤 실무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어 떤 교과목이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는지 국가시험 교과목을 중심으로 조사함으로써 현행 교육과정 에 대한 검토과정을 통하여 최근 논의가 진행중인 치위생과 교과과정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쓰이 고자 한다.

    II.연구방법

    1.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2년 4월 2일부터 4월 30일까지 4 주 동안 대구시에 소재하는 종합병원, 치과병(의) 원, 보건(지)소 치과의료기관의 치과위생사를 대상 으로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협조 공문과 설문지 를 우편발송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 작성법을 통 해 작성하도록 하여 반송용 우편으로 회수하였다. 응답에 답한 치과위생사는 종합병원 19명, 치과병 원 54명, 치과의원 123명, 보건(지)소 11명으로 회 수된 총 설문지 207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2.연구방법

    설문내용으로는 일반적 특성은 연령, 교육수준, 결혼여부, 근무기관, 근무경력, 월평균소득, 주요업 무 등 7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치위생과 국가고시 교과목을 중심으로 3년제 치위생과 표준교육과정 안의 교과목 분류한 것[1]을 기준으로 하여 구강생 물학 영역, 치과임상학 영역, 공중구강보건 영역, 구강위생관리 영역, 의료관계법규 5가지로 분류하 였다. 전공 교과목에 대한 도움 정도는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매우 도움이 되었다’ 5점, ‘비교 적 도움이 되었다’ 4점, ‘보통이다’ 3점, ‘별로 도움 이 되지 못했다’ 2점, ‘전혀 도움이 되지 못했다’ 1 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도움 정도가 큰 것으로 간주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구강생 물학 영역 0.88, 치과임상학 영역 0.87, 공중구강보 건 영역 0.87, 구강위생관리영역 0.73으로 전체 Cronbach’s α는 0.93이었다.

    3.통계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에 관한 분포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 으며 구강생물학 영역, 치과임상학 영역, 공중구강 보건 영역, 구강위생관리 영역, 의료관계법규의 교 과목 도움정도는 일표본 t-검정을 통해 평균과 표 준편차를 구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위생과 교육과정 중 국가고시 전공교과목에 대한 도움정 도는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치위생(학)과 전공교과목의 도움정도 에 미치는 요인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II.연구결과

    1.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연령은 20대가 142명(68.6%)로 가장 많았으며 30대 45명(21.7%), 40대 이상이 20명(9.7%) 순이었고, 교 육수준은 전문대졸이 178명(86.0%)로 가장 많았으 며 대졸 16명(7.7%), 석사과정 이상이 13명(6.3%) 순이었다. 결혼여부는 미혼 146명(70.5%), 기혼 61 명 (29.5%)로 미혼이 더 많았으며 근무기관은 치과 의원 123명(59.4%)로 가장 많았으며 치과병원 54명 (26.1%), 종합병원 19명(9.2%), 보건(지)소 11명 (5.3%)순이었고, 근무경력은 1-3년 미만 76명 (36.7%)로 가장 많으며 3-5년 미만 55명(26.6%), 5 년이상 39명(18.8%), 1년 미만 37명(17.9%) 순이었 다. 월평균소득은 150-200만원 미만 91명(44.0%)로 가장 많았으며 100-150만원 미만 56명(27.1%), 200-250만원 미만 36명(17.4%), 250만원 이상 24명 (11.6%) 순이었으며 주요업무는 진료지원 94명 (45.4%)로 가장 많았으며 치면세마 62명(30.0%), 치 과의료관리 22명(10.6%), 구강보건교육 14명(6.8%), 치과건강보험청구 7명(3.4%), 예방치과처치와 기타 각각 4명(19%) 순으로 조사되었다.

    2.치위생과 전공교과목의 도움정도

    치위생과 교육과정 중 국가고시 전공교과목의 영역별 도움정도는 <Table 2>와 같다.

    구강생물학에 포함되는 교과목 중 치아형태학 및 실습 3.71로 가장 높았으며 구강해부학 및 실습 2.86, 구강병리학 2.81, 구강생리학 2.62, 구강조직 발생학 2.53, 구강미생물학 2.45 순이었다. 치과임 상학에 포함되는 교과목 중 치과방사선학 및 실습 3.95로 가장 높았으며 치과보철학 3.64, 구강외과 학 3.63, 치과보존학과 치과교정학이 각각 3.59, 치 주학 3.57, 소아치과학 3.52, 치과재료학 및 실습 3.49 순이었다. 공중구강보건에 포함되는 교과목 중 구강보건교육학 및 실습 3.23으로 가장 높았으 며 공중구강보건학 3.03, 지역사회구강보건학 2.68, 구강보건통계학 2.49 순이었다. 구강위생관리에 포 함되는 교과목 중 치면세마론 및 실습 3.95로 예방 치과학 및 실습 3.67보다 높았다. 의료관계법규 교 과목의 도움정도는 2.78 로 전체 5개 영역 중 구강 위생관리가 3.82로 가장 높았으며, 치과임상학 3.62, 구강생물학 2.97, 공중구강보건 2.86, 의료관 계법규 2.78 순이었다.

    3.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위생과 전공교과목의 도움정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위생과 전공교과목에 대 한 도움정도는 <Table 3>과 같다. 연령에 따른 전 체 전공교과목에 대한 도움정도는 40대 이상 3.49 로 가장 높았으며 30대 3.32, 20대 3.13 순으로 통 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전공교과목 중에서는 구강 생물학 영역과 공중구강보건 영역이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p<0.01). 교육수준에 따른 전체 전공교 과목에 대한 도움정도는 석사과정 이상 3.61로 가 장 높았으며 4년제졸 3.30, 전문대졸 3.17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전공교과목 중에서는 구 강생물학 영역과 공중구강보건 영역이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p<0.05). 결혼여부에 따른 전체 전공 교과목에 대한 도움정도는 기혼 3.39로 미혼 3.13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전공교과목 중에서 는 구강생물학 영역과 공중구강보건 영역이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p<0.01). 근무기관에 따른 전체 전공교과목에 대한 도움정도는 보건(지)소 3.88로 가장 높았으며 종합병원 3.48, 치과의원 3.19, 치과 병원 3.02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전공교 과목 중에서는 전공교과목 모든 영역이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p<0.01). 근무경력에 따른 전체 전공 교과목에 대한 도움정도는 3-5년 미만 3.34로 가장 높았으며 1년 미만 3.33, 5년 이상 3.32, 1-3년 미만 3.00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전공교과목 중에서는 구강생물학 영역과 치과임상학 및 공중 구강보건 영역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월평균소득에 따른 전체 전공교과목에 대한 도움 정도는 100-150만원 미만이 3.35로 가장 높았으며 200-250만원 미만 3.33, 250만원 이상 3.32, 150-200 만원 미만 3.05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전공교과목 중에서는 구강생물학 영역과 공중구강 보건 및 구강위생관리 영역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p<0.01). 주요업무에 따른 전체 전공교과목에 대한 도움정도는 예방치과처치 3.98로 가장 높았으 며 치과의료관리 3.49, 구강보건교육 3.46, 치과의 료보험청구 3.15, 진료지원과 치면세마 각각 3.14, 기타 2.89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전공교 과목 중에서는 구강생물학 영역과 공중구강보건 영역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Table 4>.

    4.치위생(학)과 전공교과목의 도움정도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

    치위생(학)과 전공교과목의 도움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회귀분석한 결과 독립변수 중 구강 위생관리 영역이 전공교과목 도움정도에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회귀계수의 크 기를 비교해 볼 때 구강위생관리 영역이 치위생 (학)과 전공교과목의 도움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공교과목의 결정계수 는 0.283로 주어진 회귀모형에서 28.3%의 설명력을 갖고 있다.

    IV.고찰

    최근 치위생학 분야에서 대학의 치위생과 교육 과정이 치과위생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와 업 무영역의 확대로 인해 활동현장에서 필요한 치위 생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문제 제기가 활발 히 논의되는 추세에 있다. 향후 치위생 교육은 치 과위생사의 활동현장에서 수행하는 직무와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터득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이 되어 서 임상적응력이 높은 인력 양성에 적합한 치위생 교육과정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1990년 후 반부터 치위생과 교육과정개발이 시작되어 현재까 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치과위생사의 활동현장과 연 계되어 임상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갖춘 인재를 배 출할 수 있도록 치위생과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쓰이고자 임상의 치과위생사들 이 실제로 활동현장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현행 운 영되고 있는 치위생과 전공교과목의 도움정도를 국가고시 교과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본 논문의 대상자는 주로 20대가 많았으며 치과 의원에서 가장 많이 근무를 하고 주요업무로는 주 로 진료지원을 수행하였다. 전공교과목의 도움정도 는 구강위생관리 3.82로 가장 높았으며 치과임상학 3.62, 구강생물학 2.97, 공중구강보건 2.86, 의료관 계법규 2.78 순이었다. 이는 대상자의 대부분이 치 과위생사의 주된 업무인 예방치과처치와 구강위생 을 수행하기 때문에 교과목 중 구강위생관리 영역 의 도움정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된다. 이는 Lee et al.[11]의 연구에서 치과병의원의 치과위생사 직무 중요도에서 임상관련 분야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 과 Siege[12]의 연구에서 치과병의원의 치과위생사 가 교과목의 중요도에서 임상분야 교과목을 중요 하게 생각하는 것과 상통한다. 또한 Yoo et al.[7] 의 연구에서 보건(지)소의 치과위생사들은 업무빈 도가 가장 높으면서 가장 중요도가 높은 것은 치 면열구전색의 예방치과처치로 나타난 것과는 대동 소이하다. 이는 근무처별로 치과위생사가 수행하는 업무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구강생물학에 포함되는 교과목의 도움정도에서 치아형태학 및 실습은 3.71로 가장 높았지만 구강 미생물학은 2.45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Nam et al.[2]의 연구에서 구강생물학 중 업무수행에 도 움이 된 교과목은 치아형태학 및 실습, 구강해부 학, 구강병리학 순으로 나타난 것과 Kim et al.[10] 의 연구에서 치과위생사 직무별 교과목 지식 항목 의 분포로 구강해부학은 가장 높았지만 구강미생 물학이 가장 낮게 나타난 것과 유사하다. 이는 치 아형태학은 가장 기본이 되는 교과목이지만 구강 미생물학은 구강보건의료인으로서 폭넓은 생물학 적 소양을 갖추기 위하여 대학 교육과정에서 필요 한 교과목이나 치과위생사의 임상현장에서 수행하 는 업무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것으로 이해하는 잘못된 인식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기초 학문임에도 국가시험과목에서 제외되어 문제가 있 는 타 보건의료인[13]에 비해서는 2014년 치과위생 사 국가시험과목으로 구강미생물학이 포함되어 있 어 그 중요성은 인정받았다고 볼 수 있다.

    치과임상학에 포함되는 교과목의 도움정도는 치 과방사선학 및 실습 3.95로 가장 높았다. 이는 Kim et al.[10]의 연구에서 치과위생사 임무별 지 식과 기술 항목의 분포와 비슷한 결과로 치과임상 학에 포함되는 대부분의 교과목은 치과진료보조업 무를 위한 교과목인데 반하여 치과방사선학 및 실 습은 임상현장에서 업무빈도 수가 높을 뿐만 아니 라 치과위생사가 독립적으로나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고유업무와 관련된 교과목이기 때문인 것 으로 간주된다. 업무빈도가 높을수록 교육내용이 유용하다고 생각하며 치과위생사의 고유 업무를 수행할 수록 업무 만족도는 높아지면서 교과목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공중구강보건에 포함되는 교과목의 도움정도는 구강보건교육학 및 실습 3.23으로 가장 높았으며 공중구강보건학 3.03, 지역사회구강보건학 2.68, 구 강보건통계학 2.49 순으로 Nam et al.[2]의 연구에 서 업무수행에 가장 도움이 된 교과목의 분포가 구강보건교육학 및 실습으로 나타난 것과 유사하 다. 이는 치과위생사의 고유업무영역이 교육과 예 방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구강위생관리에 포함되는 교과목의 도움정도는 치면세마론 및 실습 3.95, 예방치과학 및 실습 3.67 순으로 Kim et al.[10]의 연구에서 보건(지)소의 치 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업무수행에 도움이 교과목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예방치과학 및 실습, 치면세마 론 및 실습 순으로 나타난 것과 Yoo[14]의 연구에 서 보건(지)소에서 치과위생사들이 가장 많이 하는 업무빈도로 치아홈메우기 등 예방치과처치로 나타 난 결과와는 상이하다. 이는 선행연구는 보건(지) 소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것에 비해 본 논문의 조사대상자는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 위생사가 가장 많으므로 근무기관에 따라 주된 업 무내용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 로 보인다.

    의료관계법규 교과목의 도움정도는 2.78 로 Nam et al.[2]의 연구에서 의료관계법규가 치과의 료보험 및 실무보다 더 도움이 된 교과목으로 나 타난 것과 상이하다. 이는 본 논문 대상자로 지역 사회 구강보건현장 근무자보다 치과병(의)원 임상 현장 근무자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연령에 따른 전공영역별 도움정도는 40대 이상 3.49로 가장 높았으며 30대 3.32, 20대 3.13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Hwang[9]의 연구 에서 연령에 따라 임상에서 하는 역할이 달라 교 과목의 중요도도 다르게 나타난 것과 같이 연령에 따라 수행하는 업무의 형태가 다르다. 따라서 나이 가 많을수록 전공 교과목의 활용도가 높았을 것으 로 예측되므로 도움정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교 육수준에 따라 도움정도는 석사과정 이상 3.61로 가장 높았으며 4년제졸 3.30, 전문대졸 3.17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Kim et al.[15]의 연구에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삶의 질 이 높게 나타난 것과 Kim과 Jaung[16]의 연구에 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과 같이 전공공부에 대한 열정이 높은 것 만큼 만족 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결혼여부에 따른 전공교 과목 영역별 도움정도는 기혼 3.39로 미혼 3.13보 다 유의하게 높았는데, 이는 Lee & Kim[17]의 연 구에서 미혼보다 기혼이 업무요구량이 높게 나타 났듯이 그에 따른 업무요구량이 높아 전공지식을 많이 활용하였기 때문에 전공교과목의 도움정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근무기관에 따른 전공영역별 도움정도는 보건(지)소 3.88로 가장 높았으며 종합 병원 3.48, 치과의원 3.15, 치과병원 3.02 순으로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보건(지)소에서 치 과위생사의 주된 고유 업무를 가장 많이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종합병원은 치과임 상학이 가장 높았으나 보건(지)소와 치과병원 및 치과의원은 구강위생관리가 가장 높았다. 이는 Hwang[3]의 연구에서 근무처별 교과목의 중요도 가 종합병원, 보건(지)소, 치과의원, 치과병원 순으 로 나타난 것과 비슷한 결과이며 Yoo[14]의 연구 에서 업무빈도가 높을수록 교육내용이 유용하다는 것과 같이 근무처별로 주된 업무내용이 다르므로 도움되는 교과목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근 무경력에 따른 전공영역별 도움정도는 3년-5년 미 만 3.34로 가장 높았으며 1년 미만 3.33, 5년 이상 3.32, 1-3년 미만 3.00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는데, 이는 Lee et al.[11]의 연구에서 직무 중요 도와 교육훈련 필요도가 근무년수 3년 이상이 3년 미만보다 높게 나타난 것과 Hwang[3]의 연구에서 근무년수별 교과목의 중요도가 3-5년 미만이 3년 미만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와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즉 근무경력이 일정수준이 되어야 치과위 생사의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공 교과목에 대한 도움정도를 가장 많이 인식할 수 있는 기간이 3-5년미만 이었는 것으로 예상된 다. 월평균소득에 따라 전공영역별 도움정도는 100-150만원 미만 3.35로 가장 높으며 , 200-250만 원 미만 3.33, 250만원 이상 3.32, 150-200만원 미만 3.05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Lee & Kim[18]의 연구에서 소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 와 업무성과가 높은 것과는 상이한 결과이다. 이는 본 논문의 대상자 근무기관이 다양하여 근무경력 이 같더라도 월소득수준에 차이가 있기에 다른 결 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주요업무에 따라 전공 영역별 도움정도는 예방치과처치 3.98로 가장 높았 으며, 치과의료관리 3.49, 구강보건교육 3.46, 치과 의료보험청구 3.15, 치면세마 3.14, 진료지원 3.14, 기타 2.46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Yoo[13]의 연구에서 치위생 교육내용 중 치아홈메 우기, 구강보건교육 순으로 매우 유용하게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의 대상자는 진료지원을 주된 업무로 담당하는 치과위생사가 가장 많았지만 임상현장에서 치과위생사의 고유 업무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때 전공교과목에 대한 도움 정도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치위생(학)과 전공교과목의 도움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회귀분석한 결과 전체 전공 교과목 중 구강위생관리 영역이 전공교과목 도움정도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 현장에서 치과위생사가 가장 많이 업무는 치과진 료와 관련된 협력자 역할이지만 전공교과목의 도 움정도가 가장 큰 것은 전문적인 고유 업무 수행 인 구강위생관리 영역이었으며 대학 교육과정도 이에 적절하게 개선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치과위생사의 대부분이 치과진료기관에 근무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역할은 ‘임상가’라고 볼 수 있으며 ‘임상구강위생’은 핵심적 업무이고, ‘임 상구강위생’은 ‘치석제거와 예방처치’ 등 단편적인 술식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치과위생사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반영하고, ‘보조자 모델’에서 ‘전문가 모델’로의 전환을 뜻하며 이러한 역할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직무개발과 대학교에 서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19].

    총괄적으로 본 논문에서 임상 치과위생사의 전 공영역별 교과목 도움정도를 알아본 결과 구강위 생관리가 가장 높았으며 치과임상학, 구강생물학, 공중구강보건, 의료관계법규 순이었다.

    기존 연구는 보건(지)소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으며, 임상현장의 다양한 근무처별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전공교과목 도움 정도를 조사한 것은 거의 없기 때문에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 하지만 표본으로 보건(지)소의 치과 위생사가 전체 연구대상자 중에서 비중이 낮은 것 이 아쉬운 점이 있으나 치위생사들의 활동분야 거 의 대부분이 치과병(의)원이며 보건(지)소에서 활동 하는 인력은 전체 치과위생사 비중에서 낮기 때문 에 결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대구시에만 한정하여 표본을 편 의추출하였기 때문에 전체 치과위생사의 의견으로 일반화하는데는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부족한 부 분을 보완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V.결론

    최근 치위생 교육을 이수하고 치위생과를 졸업 하지만 임상현장에서 치과위생사의 업무수행을 즉 각적으로 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원활 한 업무수행을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수요자 중심의 주문식 교육과정과 직무중심의 교과과정 개발이 중요시 되는 현시점에서 직무중심의 교육과정개발 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임상의 치과위생 사를 대상으로 3년제 치위생과 교육과정 중 국시 교과목을 중심으로 도움정도를 연구한 결과는 다 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일반적 특성은 치과의원에서 근무경력 1-3년 미만의 전문대졸 미혼인 20대가 가장 많았으며 월 평균소득은 150-200만원 미만의 주요업무는 진료지 원이 많았다.

    2. 전공교과목의 영역별 도움정도는 구강위생관 리가 가장 높았으며 치과임상학, 구강생물학, 공중 구강보건, 의료관계법규 순이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공영역별 도움정도로 연령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도움정도도 높았고, 결혼여부는 기혼이 미혼보다 높았다(p<0.05). 근무 기관은 보건(지)소 근무자가 가장 높았으며 근무경 력은 3년 이상 5년 미만이 가장 높았고, 월평균 소 득은 100-150만원미만이 가장 높았으며 주요업무는 예방치과처치가 가장 높았지만 진료지원은 낮았다 (p>0.01).

    4. 치위생(학)과 전공교과목의 도움정도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을 회귀분석한 결과 구강위생관리 영역이 전공교과목 도움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임상의 치과위생 사들은 고유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공교과목 중 구강위생관리 영역이 가장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치과위생사를 양성하는 치위생교 육과정은 임상 활동현장에서 직무수행을 하는데 있어 도움되는 교과목에 주목하여 직무기반한 교 육과정으로 편성되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즉 직 무수행능력에 기초한 교과과정과 치위생교육, 더 나아가 치과위생사 국가고시 개선방향에서도 고려 되기를 제언한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id degree for major subject of dental hygiene

    Aid degree for major subject of dental hygien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fluence factors on aid degree for major subject of dental hygiene

    Reference

    1. Kang B.W , Kang J.K , Kang H.K , Ku I.Y (2013) Introduction to dental hygienics , JeeSung, pp.27
    2. Nam Y.O , Kim J.Y , Park I.S (2004) A Study for the college subject necessart degree of dental hygienists in public health center , J Korean Acad Dent Health, Vol.28 (4) ; pp.504-514
    3. Hwang M.Y (2002) The Development of an intergrated curriculum model for dental hygienist , Sungshin Womens University ph.d.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pp.2-5
    4. Shin S.J , Bae S.M , Kwon K.A , Ryu D.Y , Son J.H , Um M.R , Choi Y. K , Park D.Y (2007) Curriculum related to education on preventive and public health dentistry in dental hygiene schools of south korea , J Korean Acad Dent Health, Vol.31 (2) ; pp.273-285
    5. Lee H.S (2009) Analysis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of dental hygiene programs in korea , J Korean Acad Dental Hygiene Education, Vol.9 (4) ; pp.808-823
    6. Kim S.H , Kim M.K , Oh S.H , Mann N.K (2009) The Implement status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in korea and the comparison with the US ADA standard , J Korean Acad Dent Health, Vol.9 (3) ; pp.229-247
    7. Yoo J.H , Cho Y.S , Chung W.G , Kwon H.K (2005) Usefulness of dental hygien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public oral health service performance in korea , J Dental Hygiene Science, Vol.5 (4) ; pp.165-170
    8. Cho Y.S (2004) Develop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dental hygiene program , J Namseoul University, Vol.10 (2) ; pp.409-447
    9. Hwang M.Y (2001)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eld of dental hygienist's activities and the curriculum of dental hygiene , J Dongnam Health College, Vol.19 (2) ; pp.233-241
    10. Kim S.H (2008) Study on plan of the national dental hygienists practices for improving the test subjects , National Health Perso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pp.11-87
    11. Lee Y.S , Ahn Y.S , Lim D.S (2004) A Study on the job analysis of dental hospitals the capital region , J Dental Hygiene Science, Vol.4 (1) ; pp.33-38
    12. Siegel P (1967) The Hygienist in profile, The edition ToKyo McGraw Hill Co, pp.12
    13. Jung M.Y , Kim H.S , Kim K.N (2012) A Study on the job description of medical record administrator in busan and gyeongnam , J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 (4) ; pp.61-72
    14. Yoo J.H (2003) Usefulness of dental hygien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public oral health service performance ,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pp.44
    15. Kim H.J , Jaung A.H , Kim J.H (2013)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for the quality of life among dental hygienists , J Contents Association, Vol.13 (3) ; pp.229-239
    16. Kim H.J , Jaung A.H (2013) Analysis relationship of critical thinking,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 J Contents Association, Vol.13 (2) ; pp.322-330
    17. Lee B.H , Kim J.S (2010) Analysis of the correlation of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of dental hygienists , J Contents Association, Vol.10 (11) ; pp.217-227
    18. Lee B.H , Kim J.S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behaviors of dental managers,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s , J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 (4) ; pp.121-130
    19. Cho Y.S , Lee S.Y (2005) Developing a integrated curriculum for a clinical dental hygiene , J Dental Hygiene Science, Vol.5 (1) ; pp.33-38
    May 10, 2014
    May 19, 2014
    July 11, 2014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