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 No.2 pp.191-203
https://doi.org/10.12811/kshsm.2013.7.2.191

치과종사자의 직무만족도와 직장-가정갈등 및 이직의도와의 관련성

박 현민‡
동부산대학교 치위생과

Analysis of the Job Satisfaction, Work-Family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ealth Care Worker

Hyun-Min Par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ongPusan College

Abstract

This study had collected 267 Dental Health Care Worker in Busan, Gyeongnam and Ulsan, in order to investigate work-family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ygienists and find relationship between thes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8 through April 30, 2013, by using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point are 3.32, work-family conflict point 3.06, and turnover intention point 2.80. 2. The job satisfaction was under the greatest influence of the Group of Rationality, followed by declination of Work Demand, Working Environment, Money. 3. The turnover intention was under the greatest influence of the Money, Job of Future. All the foctor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at lowering these factors expressed a positive correlation, the higher the money and job of Future turnover intention.


    I.서론

    최근 우리나라의 의료시장은 병원수의 증가와 더불어 병원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병원 경영진은 병원의 대형화와 특화에 전력하고 있다. 무한 경쟁의 시장 경제하에서 병원을 보다 효과적 으로 경영하기 위해서 능동적이고 효과적인 보건 인력 조직개발이 요구된다[1].

    병원조직은 병원 경영 이념을 달성하기 위해 각 구성원이 그 직무를 효과적이고 능률적으로 협동 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이다. 그러므로 병원 구성원들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효과적으 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병원 조직이 설계되고 유지되어야 한다. 한편 병원조직을 구성하는 요소 는 직무․권한․책임․직위 등이다. 직무는 조직구 성원들에게 각각 분할된 역할이다. 권한은 일정한 직무를 수행하거나 타인에게 이행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권리이다. 책임은 일정한 직무와 권한을 일 정한 기준에 따라서 수행하여야 할 의무이다. 직위 는 직무와 권한 및 책임이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각 구성원이 개인에게 부여된 조직의 기본적인 단 위를 말한다[2].

    대다수의 현대인은 직장과 가정이라는 두 가지 조직에 속해 있다[3]. 실업자를 제외한 모든 성인 남녀는 자신의 일을 가지고 있으며, 기혼자의 경우 보통 분가된 가정에, 미혼자의 경우도 자신의 삶에 직간접적 영향을 주는 부모/친지라는 가족에 속해 있다. 이 두 조직은 구성원들에게 전혀 다른 역할 을 요구하기 때문에 직장에서 요구되는 역할과 가 정에서 요구되는 역할이 갈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 역할 갈등은 양방향 적이다. 즉, 직 장에서의 역할이 가정의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방해할 수도 있으며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4][5][6]. 직장과 가정의 역할 요구가 상호 양립할 수 없어서 직장의 일이 가정의 일에 부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을 직장 가정 간 갈등이라고 정의 한다[7].

    인사조직 분야에서는 일과 생활의 균형에 대비 되는 개념으로 직장-가정갈등을 개념화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일과 생활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 고 있다는 지각으로서 일과 생활의 균형이 깨지면, 즉 직장-가정갈등의 증가는 이직의도의 증가, 직무 불만족, 서비스 품질의 저하 등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진다. 따라서 직장-가정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요구 된다. 직장-가정갈등의 부정적 인 영향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의 하나로 조 직몰입을 연구하였다[8]. 특히 치과위생사는 보건 의료직종 중 근속년수가 가장 짧고[9] 이직률이 높 다[10]. 치과위생사의 이직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하는데 직원의 복지 수준[11] 및 직무에 만족, 직장 및 가정의 갈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12]. Wolf[13]은 직무에 대한 불만 족이 가장 중요한 이직사유가 된다고 하였다. 직무 에 대한 불만이 계속 쌓이게 되면 스트레스가 유 발되어 고혈압, 소화불량 등 신체에 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조직성과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개 인적으로도 삶의 기쁨을 느낄 수 없어 결국 직업 에 대한 불만이 증가하여 직장을 떠나게 될 것이 다[14].

    직무만족은 직무를 수행해 나가는 과정 혹은 직 무의 수행결과에서 느끼는 감정으로 한 개인의 직 무나 직무경험 평가 시에 얻게 되는 유쾌하고 긍 정적인 감정 상태를 말하며[15], 정서적 요인과 환 경적 요인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치과위생사 조직의 효과성을 발휘하기 위 해서는 치과위생사의 직무 및 조직에 관한 태도에 대해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며 치과위생사들의 양 질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근무 환경 개선을 통한 직무만족도를 향상시켜 치과 병․의원의 경쟁력을 높여나가는 노력이 요구된다 [16].

    그 동안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여 이직의도를 예측하고,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들은 일부 이루어졌으나 직 장-가정갈등과 직무만족도, 이직의도간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직장-가정갈등,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의 연관 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치과위생사의 이 직의 감소와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념 을 정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 다.

    II.연구방법

    1.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3년 4월 8일부터 2013년 4월 30일 까지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선정된 부산, 경남, 울산지역 소재의 치과의료기관 소속 종사자를 대 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숙지한 관리자를 통 하여 치과종사자(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 치과조무 사, 치과코디네이터)에게 배포하였으며, 자기기입법 으로 설문에 응답하게 한 후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설문지는 총 280부를 배부하였으며 이 중에서 불 성실한 응답을 한 13부를 제외한 267부가 최종분 석에 사용되었다.

    2.연구도구 및 방법

    본 연구는 치과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만족도, 직장-가정갈등, 이직의도에 대해 미리 작성 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자가 자가보고형 설문지에 직접 응답하였다. 설문 내용은 직무만족 도 27문항, 직장-가정갈등 6문항, 이직의도 4문항으 로 구성되었다.

    1. 인구사회학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연령, 결혼유무, 근무지역, 업무경력, 급여, 담당업무, 이 직의도 및 이직경험 등에 관하여 질문을 하였다.

    2. 직무만족도

      본 연구의 치과위생사 직무만족도 정도를 측정 하는 설문지는 홍숙선[17]의 연구에서 개발된 설문 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Table 1). 이 척 도는 자율성(6문항), 의사소통(5문항), 근무환경(4문 항), 조직의 합리성(4문항), 보수(3문항), 직업의 장 래성(3문항), 업무요구량(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문항은 치과위생사의 업무를 수행 시 느끼는 직무만족도를 “전혀 그렇지 않다”를 1점으로 “매우 그렇다”를 5점으로 표시하여 처리하였고,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는 문항은 역환산 처리하였다. 직무 만족도의 전체는 5점으로 갈수록 직무만족도가 높 음을 나타내고, 신뢰도를 측정한 Cronbach' Alpha 값은 0.811로 나타났다.

    3. 직장-가정갈등

      직장-가정갈등은 직장과 가정 두 생활영역에서 의 역할압력이 여러 가지 이유로 상호양립 할 수 없는 경우에 발생하는 역할 간 갈등의 한 형태이 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가정갈등을 직장과 가정에 서 일어나는 역할 요구를 상호양립 시키기 어려울 때 일어나는 역할 간 갈등으로 정의 하고 Gutek et al[18], Greenhaus[19]가 개발하고 연구에 사용 한 6개의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Table 2). 각 문항은 직장가정 갈등의 정도의 따라 “전혀 그렇지 않다”를 1점으로 “매우 그렇다”를 5점으로 표시하여 처리하였고,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는 문항은 역환산 처리하였다. 직장-가정갈등의 전체 는 5점으로 갈수록 갈등의 정도가 높음을 나타내 고, 신뢰도를 측정한 Cronbach' Alpha값은 0.877로 나타났다.

    4. 이직의도

      본 연구의 치과위생사의 이직의도는 조직 구성 원으로서의 자격을 포기하고 근무하는 조직을 떠 나려는 의도를 정의하며, 이직의도의 정도를 측정 하는 설문지는 Lum et al[20]가 개발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Table 3).

      각 문항은 이직의도의 정도에 따라 “전혀 그렇지 않다”를 1점으로 “매우 그렇다”를 5점으로 표시하여 처리하였고,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는 문항은 역환 산 처리하였다. 직무만족도의 전체는 5점으로 갈수 록 직무만족도가 높음을 나타내고, 신뢰도를 측정한 Cronbach' Alpha값은 0.723으로 나타났다.

    3.통계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version 12.0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 성에 대해서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 다. 직무만족도, 직장-가정갈등 및 이직의도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의 기술통계량을 구하였고, 인구사 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직장-가정갈등, 이 직의도의 차이는 t-test, 분산분석(ANOVA)을 사용 하였다. 직무만족도, 직장-가정갈등과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s의 상관관계계 수와 선형회귀분석 중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 시하였다.

    III.연구결과

    1.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Table 4). 연령은 25세 이하가 115명 43.1%로 가장 많았고, 미혼이 219명 82%, 부산지 역 근무자가 191명 71.5%, 근무 직종은 치과위생사 가 214명 80.1%, 근무경력은 1-3년이 76명 28.5%, 월 급여는 100-150만원이 111명 41.6%, 주 업무는 진료 및 예방업무가 165명 61.8%로 조사되었다. 또 한 40.1% 107명은 이직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고 조사대상자의 32.6% 87명은 실제로 이직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2.직무만족도, 직장-가정갈등, 이직의도

    직무만족도의 정도는 3.23, 직장-가정갈등의 정 도는 3.06, 이직의도의 정도는 2.80으로 조사되었 다. 직무만족도의 하부 요인별로 살펴보면 업무요 구량 3.67, 의사소통 3.64, 직업의 장래성 3.49, 근 무환경 3.16, 자율성 2.99, 조직의 합리성 2.87, 보 수 2.77의 순으로 나타났고 보수요인이 직무만족도 요인 중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Table 5).

    3.인구사회학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직장-가 정갈등 및 이직의도 분석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 족도, 직장-가정갈등 및 이직의도와의 집단 간 차 이는 (Table 6)에서 제시하였다.

    직무만족도를 연령 기준으로 살펴보면 25세 이 하가 3.16, 25-30세가 3.22, 31세 이상이 3.38로 나 타나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통 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월급여의 기준으로 살 펴보면 100-150만원이 3.18, 150-200만원이 3.17, 200만원 이상이 3.41로 나타났으며 월급여의 수준 이 200만원 이상일 때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본인의 주된 업무에 따른 분석에서는 상담업무에 종사자가 3.37로 가장 높았으며, 행정업무가 3.30, 진료 및 예방처치업무 3.15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직장-가정갈등에서는 연령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25세 이하가 3.15, 25-30세가 3.00, 31세 이상이 2.98의 연령이 낮을수록 직장-가정갈등이 높게 나 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이직의도를 연 령 기준으로 살펴보면 25세 이하가 2.74, 25-30세가 2.79, 31세 이상이 2.96로 나타나 연령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4.직무만족도 요인과 직장-가정갈등 및 이직의 도와의 상관관계

    직무만족도 요인과 직장-가정갈등 및 이직의도 와의 상관관계는(Table 7)과 같이 나왔다.

    5.직무만족 요인이 직장-가정갈등에 미치는 영 향

    각 직무만족 요인들이 직장-가정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직무만족 요인을 독립변 수로 직장-가정갈등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 석을 실시한 결과 직장-가정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조직의 합리성, 업무요구량, 근무환경, 보수 순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설명력은 48.1%였다(Table 8). 직무만족 요인 중 자율성, 의사소통, 직업의 장래성 요인은 직장-가정갈등을 예측하는데 유의한 설명력을 제공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Durbin-Watson은 1.672로 기준값이 2에 매우근접하고 0 또는 4에 가 깝지 않기 때문에 잔차들 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해 석할 수 있다.

    6.직무만족도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요인

    각 직무만족 요인들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기 위하여 직무만족 요인을 독립변수로 이직의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보수, 직업의 장래성 순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7.5%였다(Table 9). 직무만족 요인 중 자율성, 의사소통, 근무환경, 업무요구량, 조직의 합리성 요인은 이직의도를 예 측하는 데 유의한 설명력을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Durbin-Watson은 1.637로 기준값이 2에 매우근접하고 0 또는 4에 가깝지 않기 때문에 잔 차들 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IV.고찰

    정보화, 서비스화의 진전으로 전통적인 제조업 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서비스관련 산업의 비중이 증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직업 세계의 판도 역시 서비스관련 직업을 중심으로 재 편되고 있다. 또한 급변하는 사회 환경과 점차 다 양해지는 인간의 욕구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서 비스를 요구하고 있는 동시에 어느 정도의 사회적 지위와 보상을 보장해 주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전문적이 직업선택의 주요요건 중 하나가 되면서 오늘날 많은 직업들은 전문성을 확립 또는 강화하 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오늘날 가정은 라이프스 타일의 변화와 가족형태의 변화, 여성들의 경제참 여에 의한 노동력 구성의 변화, 조직구성원의 태도 및 가치관의 변화 등의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서 가정생활 및 개인적 생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 다. 이러한 변화는 가정일 보다는 직장 일에 대하 여 더 큰 가치를 부여하던 과거와 다르게 최근에 는 가정생활과 직장생활을 양립시켜야 하는 다중 역할의 책임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직장-가정갈등의 정도에 따라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이직의 중요한 전조증후인 이직의도를 잘 파악하고 관리함으로써 구강보건인력의 효율적 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 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 다.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자의 직장-가정갈등의 평 균치는 3.06으로 조사되었으며 직장-가정갈등이 높 은 집단은 25세 이하와 1년 미만의 근무경력으로 이는 처음 치과의료기관에 취직하여 진료에 관하 여 새로운 것을 배우기 위해 퇴근 후 치과 내 자 체 교육 활동이 많아 가정에서의 일을 성실히 할 수 없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주 업무 중 가장 높은 집단은 행정업무 3.10이며, 이는 진료와 상담업무 는 진료시간 내 모든 활동이 마감이 되지만 행정 업무는 모든 진료업무가 끝난 후 행정업무가 시작 이 되는 결과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느끼는 직무에 대 한 만족도의 평균치는 3.23으로 조사되었으며 치과 위생사의 직무만족도와 관련된 기존 연구인 강부 월[21]의 2.93, 정정옥과 송귀숙[22]의 2.99 보다 높 게 나타났으나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는 보통인 적으로 보여진다. 직무만족도의 하부 요인별로 살 펴보면 업무요구량 3.67, 의사소통 3.64, 직업의 장 래성 3.49, 근무환경 3.16, 자율성 2.99, 조직의 합 리성 2.87, 보수 2.77의 순으로 나타났고 대구지역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를 조사한 홍숙선[17]의 연구에서도 보수요인이 2.64로 가장 낮게 나타나 본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치과위생사라는 구강보건 전문가로서의 직업적 긍 지에 비해 적절한 보수체계가 마련되지 않은 것을 시사한다. 전체적으로 직무만족도가 높은 집단은 250만원 이상 집단으로 직무만족도 하부 요인 중 근무환경, 조직의 합리성, 직업의 장래성 요인을 제외한 전 부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고액연봉자의 경우 전체적인 치과경영 관리 를 담당하며 많은 업무량에도 불구하고 치과조직 내에서 비교적 자율성을 누릴 수 있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직무만족도 하부 요인 중 보수요인을 살 펴보면 가장 낮은 집단이 25세 이하로 치과 조직 내 핵심인력 계층으로 과도한 업무량에 비해 개발 지원은 낮으며 이에 따른 상대적인 보수의 책정에 불만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로 인해 이직의도의 증대로 이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의 이직의도는 2.80으로 치과위생사의 이직의도와 관련된 기존 연구인 윤미숙 등[23]의 3.23, 강옥희[24]의 3.10 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 는 최근 들어 대학 졸업생들의 취업률 감소와 청 년층의 실업률 증대로 인해 이직 후 재취업에 대 한 불안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직의 도가 가장 강한 집단은 임상경력 1년 미만으로 치 과위생사로 업무에 대해 능숙하지는 않지만 일선 치과의료기관에서는 직원 채용 시 급여에 대한 부 담감이 적은 게 원인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조사대상자가 부산, 경 남, 울산의 일부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편의표본 추출법에 의해 선정된 관계로 치과위생사 전체를 대표하는 표본이 아니라는 점을 둘 수 있다. 이는 앞으로 대표성 있는 표본추출을 통한 체계적인 연 구를 통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한계점에 도 불구하고 치과의료기관의 경영과 인적관리 입 장에서 치과위생사의 직장-가정갈등과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간의 상관성을 규명한 본 연구가 임상 치과위생사의 이직률 감소를 위한 인사관리 방안 으로 직장-가정갈등 및 직무만족의 개념을 제안하 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향후 다양한 조직에 종사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 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설명력 높은 변인 을 찾아내는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치과위생사와 함께 치과인력 구성원의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연구가 수행되 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V.결론

    부산, 경남 및 울산지역 소재 치과병의원에 근 무하는 267명의 치과종사자를 대상으로 직장-가정 갈등,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상관관계를 조사한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치과위생사가 느끼는 직무만족도는 3.32, 직 장-가정갈등은 3.06, 이직의도는 2.80으로 조사되었 다.

    2. 직무만족도 하부영역 중 조직의 합리성이 직 장-가정갈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업무요구량, 근무환경, 보수의 순으로 직장-가정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업무요구량과 근무환 경은 양의 상관관계를 조직의 합리성과 보수 요인 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3. 직무만족도 하부영역 중 보수, 직업의 장래성 의 순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쳤고, 이들 요인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보수와 직업의 장래성 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본 연구 결과 부산, 울산 및 경남지역의 치과 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들의 직장-가정갈등 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조직의 합리성, 업무요구 량, 근무환경, 보수로 나타났고,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수, 직업의 장래성으로 나타난 결 과를 볼 때 병원 관리 입장에서 직장-가정갈등 및 이직의도를 낮추고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치과의료 기관 내에서의 활발한 의사소통을 통한 갈등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를 위해 치과경영자 측은 직원과 함께 문제 해 결을 위한 토론 및 상담, 직원의 창의성과 근로의 욕 고양을 위한 제안제도 등의 구체적이고 유기적 인 관리시스템이 있어야 할 것이고, 치과위생사들 은 자신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유지를 위해 꾸준한 자기개발과 구강보건 전문인으로서의 자질향상을 위한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Figure

    Table

    KSHSM-7-191_T1.gif

    Reaserch Contents of Job Satisfaction

    KSHSM-7-191_T2.gif

    Reaserch Contents of Work-Family Conflict

    KSHSM-7-191_T3.gif

    Reaserch Contents of Turnover Intention

    KSHSM-7-191_T4.gif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KSHSM-7-191_T5.gif

    Work-Family Conflic,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of Subterritory

    KSHSM-7-191_T6-1.gif

    Level of Job Satisfaction, Work-Family Conflict, Turnover Intention on each quality

    KSHSM-7-191_T6-2.gif

    Level of Job Satisfaction, Work-Family Conflict, Turnover Intention on each quality

    KSHSM-7-191_T6-3.gif

    Level of Job Satisfaction, Work-Family Conflict, Turnover Intention on each quality

    KSHSM-7-191_T7.gif

    Correlation Result

    KSHSM-7-191_T8.gif

    Accounting Analysis of Factors Job Satisfaction, Work-Family Conflic

    KSHSM-7-191_T9.gif

    Accounting Analysis of Factors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Reference

    1. U.S. Son (2011) The Effect of Hospital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nflict ,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Health Administration, Wonkwang University, pp.1-85
    2. KimJ.I. (2008) The theory Hospital Management, GyuiChooc Pub, pp.5-10
    3. DormannD.J. (2003) Quantitative Versus Emotional Demands Among Swedish Human Service Employees: Moderating Effects of Job Control and Social Support ,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Vol.11 (1) ; pp.21-40
    4. FroneM.R., RussellM., CooperM.L. (1992)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testing a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7 (1) ; pp.65-78
    5. GutekB.A., SearleS., KlepaL. (1991) Rational Versus Gender Role Explan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6 (4) ; pp.560-568
    6. NetemeyerR.G., BolesJ.S., McMurrianR. (199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scales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1 (4) ; pp.400-410
    7. GreenhausJ.H., BeutellN.J. (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0; pp.76-88
    8. LeeS.K. (2007) An Impact of Work-Family confilict on Opportunistic Behavior of Hotel Emplyees: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 Korea Tourism Research Association, Vol.22 (3) ; pp.205-218
    9. (2010) All parts of the country Bogun Medical Industry Nodong Association: Bogun Medica worker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report,
    10. YongS.A. (2006) Comparison of job description and turnover trend among dental hygienists and assistant nurses in dental clinics ,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 Vol.30 (3) ; pp.303-315
    11. JungB.J., KimH.S., SwangS.K., ParkJ.H., SongS.K., JeongM.Y., ImJ.M., KimM.S. (2011) A Study on the According to the Nursing Shortage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5 (1) ; pp.15-29
    12. OhJ.Y., SeoY.J., ParkH.S. (2012) Determinants of Intent to Leave among Workers at Long-Term Care Institutions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 (1) ; pp.87-103
    13. WolfG.A. (1981) Nursing turnover some causes and solution , Nursing Outlook, Vol.29 (4) ; pp.223-236
    14. JuO.J., KimK.S., LeeH.O. (2007) Analysis of the Correlation of Job Satisfaction to Turnover Among Dental Hygienists in the Region of J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7 (4) ; pp.251-256
    15. LockeE.A. (1976) The nature and consequences of job satisfaction, Rand-McNally company, pp.130
    16. JangG.W., LeeG.R. (2006)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ental Hygienists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6 (1) ; pp.35-39
    17. HongS.S. (2005)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between dental hygienist and dental assistant in Daegu Korea , Department of Dentistry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p.28-48
    18. GutekB.A., SearleS., KlepaL. (1991) Rationa lversus gende role explanation for work-family conflict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6; pp.560-568
    19. GreenhausJ.H., ParasuramanS., GranroseC.S., RabinowitzS., BeutellN.J. (1989) Sources of work-family conflict among two-career couples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34; pp.133-153
    20. LumL.J., Kervin ClarkK., ReidF., SirolaW. (1998) Explaining nursing turnover intent: job satisfaction, pay satisfaction, or organizational commitment ,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9; pp.305-320
    21. KangB.W. (2003) A Study of Factors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Job Staisfaction ,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ongnam Health College, pp.115-121
    22. JungO.J., KwuiS.S. (2008) A Study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Clinics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pp.305-312
    23. YoonM.S., LeeK.H., ChoiM.S. (2006) A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pp.147-152
    24. KangO.H. (2004) The determinants of intent to leave of dental hygienists at dental clinics ,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Environment Yonsei University, pp.105-136
    2013년 05월 09일
    2013년 05월 13일
    2013년 06월 20일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