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 No.3 pp.149-160
https://doi.org/10.12811/kshsm.2013.7.3.149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정 하윤1, 정 귀임2
1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과,
2대동대학교 간호학과

A Study on the Suicidal Ideation and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Ha-Yun Jung1, Kwuy-Im Jung2
1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Jinju Health College,
2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Dae-Dong Colleg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suicidal ideation and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38 nursing students.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September 1 to 30, 2012.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19.0 program.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suicidal ideation was 1.74 and self esteem was 3.48 points. Second, suicidal ide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conomic status, health status, friendship, personality, adaptation of environment, satisfaction on school, satisfaction on nursing major, score, and bully.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conomic status, health status, personality, adaptation of environment, satisfaction on school, satisfaction on nursing major, score, and bully. Third, suicidal ideation was correlated with positive self esteem negatively and negative self esteem positively. Forth, the influencing factor in suicidal ideation of participant were self esteem, friendship and satisfaction on school, R2=.370. Thus, development of guidance program to decrease suicidal ideation of nursing students is recommended.


    I.서론

    1.연구의 필요성

    2009년 우리나라 전체 총 자살률은 약 15,000명 으로 하루 평균 42명이 자살을 하며, 그 중에서 10 대 후반에서 20대에 속하는 대학생들의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이라는 통계청의 발표는 우리 사회에 큰 파장과 충격을 안겨주었다[1]. 자살은 각종 정 신질환, 알코올과 약물의 중독, 스트레스, 빈곤, 분 노 등의 다양하고 커다란 충격들이 감당할 수 없 을 만큼 복합 상승하여 나타난다고 여러 연구에서 는 밝히고 있는데, 이는 현대 사회에서 자살이 폭 증하는 것은 그만큼 우리 사회가 심각하게 병들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2].

    대학생은 발달과정상 청소년 후기와 성인 초기 에 해당하는 시기로, 생리적, 인지적, 정서적 기능 이 미성숙한 상태인 청소년기를 지나 자기 정체성 을 확립하고 자율성과 선택에 따른 책임을 지며, 진로와 미래에 대한 모호함과 성공에 대한 압박감 등 복잡한 심리사회적 과제로 인해 위기와 중압감 에 시달리기 쉬운 시기인 성인기로 들어가는 인생 의 중요한 단계이다[3].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고등 학교 때까지 학교와 가정이라는 보호 울타리 안에 서 주위의 과도한 관심과 기대를 받으며 의존적으 로 생활해왔다[4]. 그러다가 대학생이 되면서 책임 과 자율성을 강조하는 대학교 환경과 성인으로서 의 인생 과업을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사회적 환경 에 적응을 해야 되므로 이에 따른 극심한 스트레 스를 경험하고 있다[5]. 많은 대학생들이 성인이 되는 적응 과정에서 발생되는 갈등과 심리적 혼란 으로 인해 좌절과 결핍, 슬픔과 고통을 호소하지 만, 작은 좌절도 극복하지 못할 만큼의 낮은 자아 존중감과 정서적 취약성으로 인해 복잡하고 어려 운 상황에 처해지면 스스로 그 문제를 감당하기 힘들어하고, 그에 대한 도피책으로 자살을 고려하 거나 충동적으로 자살을 시도한다[6][7]. 특히 간호 대학생들은 일반적인 대학생들이 고등학교 교육을 마치고 대학에 적응하면서 받는 스트레스 외에도 간호학과가 갖는 특수성으로 인해 신입생 때부터 엄격한 교과과정, 과중한 학습량, 엄중한 행동규범, 강의실내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외에도 조직체계가 다른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의 실습수행, 환자에 대 한 책임감, 간호사로서 직업관과 가치관을 확립하 기 위해서 극심한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기 때문에 자살에 대한 생각을 더 많이 할 수 있는 잠재성이 높다고 할 수 있겠다[4].

    대학생의 자살생각과 관련되어 국내 선행연구에 서는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주요예측인자로 자 아존중감을 보고하고 있고[8][9], 청소년을 대상으 로 한 자살행동연구에서 또한 자살문제는 자아존 중감 및 우울 등의 정신건강과 관련이 높다고 하 였다[10]. 이들 연구에서 공통점은 자살생각을 해 본 사람이 자살생각을 해 보지 않은 사람들보다 자아존중감이 낮게 나타났다는 사실이다. 자아존중 감이란 자신의 행동과 이상적 자기의 일치정도를 분석하여 얻어지는 자기가치에 대한 개인적인 판 단을 말하는 것[11]으로 자아존중감의 형성은 신체 적, 심리적, 환경적 다양한 변화에 적응해 나가야 하는 대학생 시기에 중요하다.

    최근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살생각을 다룬 국내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12],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및 우울과의 연구 [9], 자살생각과 영성[13], 자살생각과 죽음에 대한 태도[2],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8] 등이 있다. 하지만 이들 연구들은 주로 일 반 대학생의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향후 학과 실습 현장 또는 임상에서 자살생각을 가진 대상자를 간호하게 될 간호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 과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4]는 부족하며, 특히 간 호대학의 신입생을 대상으로 자살생각을 파악한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미래에 간호사가 되어 위험 수위의 자살생각을 가진 대상자를 간호 하게 될 간호대학생들이 자살에 대해 바르게 인식 하고,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확립하는 것은 갈수록 늘어가는 현대인들의 자살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간호대학 생을 대상으로 자살생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 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2.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과 자 아존중감을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2.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과 자아존중감을 파악 한다.

    3.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 과 자아존중감을 파악한다.

    4.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과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5.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을 파악한다.

    3.용어의 정의

    1. 자살생각(Suicidal Ideation): 자살을 행하는 것에 대한 생각이나 사고를 말하는 것[14]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Reynolds[14]가 개발한 자살생각척 도를 최순옥과 김순남[13]이 대학생에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살생각 수준이 높다고 해석한 다.

    2. 자아존중감(Self-esteem): 자기 자신을 가치 있고 긍정적인 존재로 평가하는 개념[15]으로, 본 연구에서는 Rosenberg[15]가 개발하고, 박선욱[9]이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다고 해석한다.

    II.연구방법

    1.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과 자아존중감 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 술적 조사연구이다.

    2.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B시와 K도에 소재한 4개의 3년제 대학 간호과 1학년에 재학중인 학생 438명 으로, 연구 대상자의 구체적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으로 선정된 대학의 간호과 1학년 재학 생(단, 해당 학기 복학생은 제외)

    2.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이해하고 참여하기 를 희망하여 연구참여동의서를 작성한 학생

    3.연구 도구

    1)자살생각

    자살생각은 Reynolds[14]가 개발한 총 30문항의 7점 척도인 자살생각척도(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SIQ)를 우리나라 대학생에 맞게 수 정․보완하여 총 14문항, 5점 척도로 변형시켜 사 용한 최순옥과 김순남[13]의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도구는 현재의 자살에 대한 생각의 심각성 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된 자가 보고식 척도로서, 자살생각뿐만 아니라 자살의도와 계획의 문장이 포함되어 있다. 도구의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 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 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측정하여 점수화하 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살생각 수준이 높다고 해석 한다. 최순옥과 김순남[13]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 뢰도는 Cronbach’s α = .96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 = .923이었다.

    2)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5]가 개발하고, 박선욱 [9]이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 정하였다. 도구는 긍정적 자아존중감 5문항과 부정 적 자아존중감 5문항으로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 점, ‘그렇지 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다’ 4 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측정하여, 부정문항을 역환산하여 점수화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자아존중감 또는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높다고 해 석한다. 박선욱[9]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813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823이었다.

    4.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30일간이었다. 자료 수집방법은 먼 저, 대상으로 선정된 대학의 학과장에게 허락을 구 한 후, 수업이 없는 시간을 이용하여 연구자가 직 접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설명하고 연구에 참여하 기를 동의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서면동의서를 받은 후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설문지는 450부를 배부하여 전량 회수되었으며, 이 중 설문응답내용 이 부실한 12부를 제외한 438부를 자료 분석에 이 용하였다. 설문지에는 연구자에 대한 소개, 연구의 목적 및 취지를 기술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익명성 과 참여자의 기밀유지를 보장하며, 오로지 학문적 목적으로만 사용할 것을 명시하였다. 또한 대상자 가 본 연구 참여와 관련해 어떠한 불이익이나 제 재가 없으며, 설문지 작성 중에라도 중도에 얼마든 지 거부할 있음을 설명한 후 대상자의 자발적 의 사에 따라 연구 참여 동의서를 서면으로 받았다. 설문지 응답에는 10분~15분이 소요되었다.

    5.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PC 19.0 program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 검정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자료 분석의 구체 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2. 대상자의 자살생각과 자아존중감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과 자 아존중감은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 후검정은 Scheffe test를 이용하였다.

    4. 대상자의 자살생각과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 였다.

    5. 대상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 였다.

    6.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의 대상자는 B시와 K도에 소재한 4개의 3년제 대학 간호과 1학년에 재학중인 학생으로, 모 집단을 대표하기에는 지역, 학제, 학년에 제한이 있으므로, 연구의 결과를 국내 간호대학생 전체로 확대 해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일반화하기에 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III.연구결과

    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대 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20.34±1.67세로, 21세 미만 이 81.1%(355명), 21세 이상이 18.9%(83명)이었다. 성별은 여자가 87.7%(384명)이었고, 가정 경제 상 태는 ‘보통’이 70.8%(310명)이었다. 연구 대상자들 이 지각하는 건강 상태는 ‘보통’ 이 76.3%(334명)이 었으며, 친구관계는 ‘좋다’ 23.1%(101명), ‘보통’ 67.1%(294명), ‘나쁘다’ 9.8%(43명)로 조사되었다. 성격은 ‘긍정적인 편’이 15.3%(67명), ‘보통’은 70.3%(308명), ‘부정적인 편’ 14.4%(63명)이었고, 환 경 적응력은 대상자의 82.4%(361명)가 ‘보통’인 것 으로 조사되었다. 학교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이 61.0%(267명), 간호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 이 68.3%(299명)이었고, 학교 성적은 평점 평균이 3.0이상이 90.9%(398명)이었으며, 따돌림 경험은 ‘있다’가 11.0%(48명), ‘없다’는 89.0%(390명)인 것으 로 나타났다.

    2.대상자의 자살생각과 자아존중감

    대상자의 자살생각과 자아존중감은 (Table 2) 와 같다. 대상자의 자살생각 점수는 최소 1.00점, 최대 3.43점으로 평균은 1.74±0.63점이었고, 총 평 균은 24.42±8.93이었다.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점수는 최소 2.60점, 최대 4.90점으로 평균은 3.48±0.52점이었고, 총 평균은 34.88±5.13이었다. 이를 영역별로 구분해보면 긍정 적 자아존중감 점수는 최소 2.60점, 최대 5.00점으 로 평균은 3.73±0.56점이었고, 총 평균은 18.63±2.78이었으며, 부정적 자아존중감 점수는 최 소 2.00점, 최대 4.80점으로 평균은 3.25±0.58점이었 고, 총 평균은 16.26±2.89점이었다.

    3.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과 자 아존중감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과 자아 존중감은 (Table 3)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 성에 따른 자살생각 점수는 가정 경제 상태, 지각 하는 건강 상태, 친구 관계, 성격, 환경 적응력, 학 교 만족도, 전공 만족도, 성적, 따돌림 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살생각은 가 정 경제 상태가 ‘하’인 경우가 ‘중’, ‘상’인 경우 보 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F=7.846, p<01), 지각하는 건강 상태가 ‘보통’ 또는 ‘건강하지 않은 편’이 ‘건 강한 편’보다 자살 생각이 높았다(F=4.724, p<.01). 친구 관계에 따라서도 자살 생각에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친구 관계가 ‘보통’ 또는 ‘나쁘다’고 응답한 경우가 ‘좋다’고 응답한 경우보 다 자살 생각이 높았고(F=8.513, p<.001), 성격의 경우는 ‘부정적인 편’이 ‘긍정적인 편’ 또는 ‘보통’ 보다 자살생각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22.276, p<.001). 환경 적응력은 사후검정결과 ‘보통’ 또는 ‘적응이 어려운 편’이 ‘적응을 잘하는 편’보다 자살생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 으로 나타났고(F=13.715, p<.001), 학교 만족도 (t=-5.963, p<.001)와 전공 만족도(t=-4.819, p<.001) 의 경우는 ‘불만족’이 ‘만족’보다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왔다. 학과 성적은 사후검정결과 평점 평 균 2.99이하가 평점 평균 3.0이상보다(F=12.300, p<.001), 그리고 따돌림 경험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t=4.803, p<.001) 자살생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가 정 경제 상태, 지각하는 건강 상태, 성격, 환경 적 응력, 학교 만족도, 전공 만족도, 성적, 따돌림 경 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아 존중감은 가정 경제 상태가 ‘상’인 경우가 ‘중’, ‘하’인 경우 보다 높은 것으로 사후검정결과 나타 났고(F=5.490, p<.01), 지각하는 건강 상태가 ‘건강 한 편’이 ‘보통’ 또는 ‘건강하지 않은 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7.423, p<.001). 성격에 따라서 도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 는데, 사후검정결과 ‘긍정적인 편’ 또는 ‘보통’이 ‘부정적인 편’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았고(F=51.516, p<.001), 환경 적응력은 ‘적응을 잘하는 편’과 ‘보 통’이 ‘적응에 어려운 편’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F=37.704, p<.001). 학교 만족도(t=6.307, p<.001)와 전공 만족도(t=5.741, p<.001)에서는 ‘만족’이 ‘불만 족’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과 성적은 사후검정결과 3.0이상이 2.99이하보다 (F=13.959, p<.001), 왕따 경험은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t=-8.853 p<.001)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대학생의 자살생각과 자아존중감간의 상관관 계

    대상자의 자살생각과 자아존중감간의 상관관계 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자살생각과 긍정적 자아존중감간의 상관계수 r=-.487(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자 살생각과 부정적 자아존중감간의 상관계수 r=.639(p<.00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로 나타났다. 즉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가진 경 우에는 자살생각이 낮으며, 부정적 자아존중감을 가진 경우에는 자살생각이 높았다.

    5.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상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 하기 위해 일반적 특성 중 자살생각과 관련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난 가정 경제 상태, 지각하는 건강 상태, 친구 관계, 성격, 환경 적응력, 학교 만족도, 전공 만족도, 성적, 따돌림 경험을 더미 변수로 전 환한 후 포함시켰으며, 또한 연속변수인 연령, 자 아존중감을 변수로 하여 회귀식에 포함시켜 단계 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 다.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 예측 회귀모형은 유의 하였으며(F=65.278, p<.001), 예측모형의 Adjust R2 값은 .370로, 측정변수들의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 에 대한 설명력은 37.0%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자살 생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정적 자 아존중감(β=-.406, p<.001)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 음이 긍정적 자아존중감(β=-.199, p<.001), 친구관 계(β=-.106, p=.012), 학교생활만족도(β=.101, p=.012)순이었다.

    IV.논의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자살생각 및 자아존 중감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자살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 자 한다.

    연구의 결과 본 연구의 대상자의 자살생각은 평 균 1.74±0.63이었다. 이는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살생각을 분석한 김인숙[2]의 연구의 1.70점, 박 선욱[9] 연구의 1.98점, 최순옥과 김숙남[13]의 연구 의 1.73점의 자살생각 점수와 비슷하였다. 하지만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살생각을 비교한 서혜석[16] 의 연구의 2.02점에 비해서 낮게 점수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차이는 연구대상자의 차이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대상인 대학생은 신체적, 정 신적 성자잉 이루어지는 청소년기를 거친 초기 성 인기로 청소년보다 생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보이 며 내적인 조화와 평화를 이루어 자신에 대한 긍 정적인 사고를 강화시키며 내적 방어력을 향상시 켜 자살생각 정도 감소를 일으킨 것으로 사료된다 [5]. 본 연구의 대상자는 고등학교 교육을 마치고 간호대학에 갓 적응하기 시작한 신입생으로서 간 호대학의 신입생들은 일반 대학의 신입생이 당면 하고 있는 문제인 전반적인 대학생활의 안내 부족, 취업 문제, 스트레스, 알콜 및 약물중독 등의 정신 건강 문제와 더불어, 간호과 특수성으로써 엄격한 교육과정, 과중한 학습량, 다소 생소하고 어려운 전공 공부, 엄중한 행동규범 등의 문제로 인한 부 담감과 불안 등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는 복합적 충격으로 자살 또는 죽음에 대한 생각을 더 많이 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4][17]. 해를 거듭할수록 우리나라의 대학생 자살률이 증가하고 있고[1], 자 살생각을 하고 자살 계획을 세우며 자살을 시도할 가능성이 가장 큰 시기가 10대 후반과 20대 초반 이라고 보고한 Kessler, Borges, Walters[18]연구 결 과를 고려해 볼 때, 본 연구 대상자인 간호대학생 의 자살 생각 비율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자살 생각은 심리적 측면이 크게 작용하 는 부분이므로 개인의 내부와 외부상황에 따라 달 라질 수 있음을 감안할 때 대학생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가 반 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바이다. 따라서 간호대 학생들의 자살생각을 낮추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 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간호대학 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혀내어 밝 혀진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전략들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의 평균 점수 는 3.48±0.52점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 대학생 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자살생각에 대해 연구 한 박선욱[9]의 연구에서 나온 3.31점과 김민경[8] 의 연구에서 나온 3.43점보다 높게 나온 점수이다.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은 자신을 객관적으로 평가하 고 능동적으로 현실과 이상을 잘 조화시켜 가면서 적응을 하도록 도와주는 요인이 되므로, 간호대학 생의 학교생활 및 학과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칠 수 있다[19]. 또한 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 뿐 만 아니라 간호대학생의 경우 임상 실습 기간 동 안 환자 간호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긍극적 으로 간호의 질 향상과 간호사 자신의 소진과도 관계가 있으므로, 자아존중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20].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과 자아 존중감은 가정 경제 상태, 지각하는 건강 상태, 성 격, 환경 적응력, 학교 만족도, 전공 만족도, 성적, 따돌림 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었다. 이는 정미현과 신미아[21]의 연구에서 용돈 과 전공만족도에 따라 자아존중감의 차이가 있었 다는 결과와도 유사하며, 성별, 가정 경제 상태, 지 각하는 건강상태, 전공 만족도, 현재 고민, 최근 친 척 또는 친구의 죽음 경험, 죽음교육 여부에 유의 한 차이를 나타낸 김인숙[2]연구와도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일반 대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자살위험 요인 지각과 자살위험 집단 유형을 탐색한 박명실 [17]의 연구에서 자살 위험 요인은 빈곤 등의 사회 경제적 요인, 가족적 요인, 우울, 절망감 등의 정신 건강 요인, 상황적 스트레스 요인, 사회적지지 등 의 심리 사회적 취약 요인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 에서 도출된 일반적 특성은 박명실[17]이 언급한 5 가지 요인에 모두 포함된다. 가정 경제 상태에 따 라 자아존중감이 낮아지고,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은 월수입이 낮을수록 친구들과의 친목활동을 위해 요구되는 비용을 충당하지 못하여 상대적인 박탈감을 경험하거나 대학 등록금 문제와 같은 경 제적 문제를 겪게 됨으로 인해 빨리 취업하고자 하는 압박감과 스트레스에 시달려 결국 자아존중 감이 떨어지고, 자살생각으로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성격이나 환 경 적응력, 친구관계에 따라서도 자아존중감과 자 살생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부 적응적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대학생이 그렇지 않 은 대학생보다 자살생각이 높아진다는 박선욱[9]의 연구 결과와 비슷하며, 학교만족도와 전공만족도, 성적에 따라 자아존중감이 저하되고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은 현재 생활에 만족하지 못할수록 죽 음을 현실의 고통으로부터 해방이라고 생각한다는 손양숙[22]의 연구결과와도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을 연 구한 여러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언급하고 있 는 결과 중 하나가 현재 생활에 만족하지 못하는 집단이 자살에 대한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이다. 따라서 학교만족도와 전공만족도, 성적이 낮은 대상자를 중심으로 집중적 관리가 필요하다 고 본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자살예방을 위해서는 학교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공동체 의식 함양, 성 격 개조 프로젝트, 친구관계 향상 프로그램 등 부 적응적 완벽주의 성향을 완화하는 교육 및 훈련을 적극적으로 운영하는 등 다각적인 방안 모색이 중 요하다고 판단되며, 이들을 위한 사회적지지 기반 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따돌림 경 험도 자아존중감과 자살생각에 차이를 주는 것으 로 본 연구의 결과 나타났는데, 이는 청소년의 자 아존중감과 자살생각, 학교폭력 피해가 연관성이 있었다는 Brunstein 등[23]의 연구 및 자살하고 싶 은 상황의 가장 높은 순위가 친구로부터의 따돌림 과 학교폭력이라는 결과가 나타난 하연희[24]의 연 구와 같은 결과였다.

    대상자의 자살생각 및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관 계를 분석한 결과 자살생각은 긍정적 자아존중감 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정적 자아존중감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자살생각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낮은 자아존중감을 지적하고 있는 서혜 석[16]의 연구에서와 그 결과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자살 생각이 낮아지므로, 자아존중감을 높여서 상황을 긍정적으로 지각할 수만 있다면 자살이라는 극단 적인 행동을 할 위험성이 줄어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 상 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중재 프로그램 개 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상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 석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에 가장 큰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은 부정적 자아존중감(β=-.406, p<.001)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긍정적 자아존 중감(β=-.199, p<.001), 친구관계(β=-.106, p=.017), 학교생활만족도(β=.101, p=.012)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서혜석[17]의 연구에서 청소년들의 자살생 각은 자아존중감, 교우관계와 부적상관관계를 나타 낸 결과와 일치하며, 자살생각이 학교생활만족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다고 한 김인숙[2], 박선욱 [9]의 연구결과와도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대학에 서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생활에서의 주된 스트레 스는 학교생활 영역에서의 진로 및 학업적응과 관 계되는 것으로, 진로문제는 학년이 올라가더라도 지속적인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한다[2][9]. 이러 한 학업과 진로에 대한 부담감이 해결되지 않은 채 지속되면 학교생활 불만족과 적응문제를 야기 하고 자살사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 는 바[25], 자살예방차원에서 학교생활에 만족하지 못하는 집단이 자살에 대한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들에 대한 중점적인 관리 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 적용하여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고 예방하는데 도움 을 주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V.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과 자아존중감 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은 3.48점(5점 만점)이었고, 자살생각은 1.74점(5점 만점)이었다. 또한 자살생각과 자아존중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자아존 중감이 높아질수록 자살생각이 낮아짐을 알 수 있 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자살 예방을 위한 개 입프로그램에서는 자살생각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것도 좋겠지만,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 력을 함께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 으로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 다. 첫째, 본 연구는 B시와 K도 소재의 4개의 3년 제 간호대학의 1학년 학생을 대상자로 한정하였으 므로, 연구의 일반화를 위해 국내 다른 지역, 다른 학년까지 연구범위를 확대하는 후속 연구의 시행 을 제언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들의 자살생각 비율과 수준이 높게 나왔으나 본 연구에 서는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을 다양하게 고려하지 못하였으므로, 후속연구에 서는 더 많은 문헌을 고찰, 자살생각 관련 변수를 분석하여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제안한다. 셋 째, 간호대학생들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자살생 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 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Figure

    Table

    KSHSM-7-149_T1.gif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438)

    KSHSM-7-149_T2.gif

    Mean score for suicidal ideation and self-esteem (N=438)

    KSHSM-7-149_T3.gif

    Comparison of suicidal-Ideation and self-esteem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438)

    KSHSM-7-149_T4.gif

    The correlation between suicidal-ideation and self-esteem (N=438)

    KSHSM-7-149_T5.gif

    Effective factors on suicidal-ideation of the participants (N=438)

    Reference

    1.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 Y.S.Kim (2012) College students' suicidal ideat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Busan, pp.1-3
    3. C.D.Kwon, J.B.Kim (2005) Human behavior and the social environment, Hakjisa, pp.1-7
    4. H.S.Cho (2009) Relationship of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tendencies in nursing students , The Academy Society of Parent child Health, Vol.12 (1) ; pp.3-14
    5. S.M.Kwon (2008) The psychology of human relationships, Hakjisa, pp.3-40
    6. B.Kozier, G.Erb, A.Berman, S.J.Synder (2004) Fundamentals of nursing, concepts, process and practice, Prentice Hall Health, pp.1138-1150
    7. C.B.Kim, T.Y.Jung, S.W.Hwang, J.H.Kim (2013) The factors associated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 (2) ; pp.161-177
    8. M.K.Kim (2012)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s, family resilience, self-esteem and suicide ideation in university students , The Korean Family Welfare Association, Vol.17 (1) ; pp.61-83
    9. S.Y.Park (2010) The effects of campus life stress, stress coping type, self-Esteem and maladjustment perfectionism on suicide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pp.87-99
    10. K.S.Jeon, S.Y.Park, S.H.Jo (2012) Gender differences in correlates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 (4) ; pp.295-308
    11. S.Stuart (1983) Principle and practice of psychiatric nursing, Mosby, pp.1014
    12. M.S.No, H.J.Jun, H.W.Lee, H.J.Lee, S.G.Han, B.J.Ham (2007) Suicide-related behaviors among the college students ,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e, Vol.46 (1) ; pp.35-40
    13. S.Y.Choi, S.N.Kim (2011) Suicidal ideation and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7 (2) ; pp.190-199
    14. W.M.Reynolds (1988)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professional mannual ,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pp.17-30
    15. M.Rosenberg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s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347
    16. H.S.Seo (2006) Factors Influencing suicide ideation among adolescents ,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pp.87-99
    17. M.S.Park (2005)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suicidal risk group, and application of group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pp.8-14
    18. R.C.Kessler, G.Borges, E.E.Walter (1999)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lifetime suicide attempt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56; pp.617-626
    19. S.Y.Kim, J.Y.Lee (2007) A Study on aging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middle-aged people ,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14 (1) ; pp.103-109
    20. L.Browning, C.S.Ryan, M.S.Greenberg, S.Rolniak (2006) Effects of cognitive adaptation on the expectation-burnout relationship among nurses ,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Vol.29 (2) ; pp.139-150
    21. M.H.Jung, M.A.Shin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atisfaction in major of nursing students ,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2 (2) ; pp.170-177
    22. Y.S.Son (1984) A detailed study of the elderly to death: family environment, physical and psychological centered distributed , Graduate School, Dongduk Womens University, pp.8-15
    23. K.A.Brunstein, F.Marrocco, M.Kleinman, I.S.Schonfeld, M.S.Gould (2007) Bullying, depression, and suicidality in adolescents ,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Vol.46; pp.40-49
    24. Y.H.Ha (2001) A study on actual condition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uicidal Ideation , Graduate School, Ewha University, pp.1-6
    25. E.Y.Kang (2008) A study on the suicide case , Studies on Life and Culture, Vol.10; pp.2-11
    2013년 08월 09일
    2013년 08월 13일
    2013년 09월 08일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