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 No.3 pp.177-192
https://doi.org/10.12811/kshsm.2013.7.3.177

영역별 사회연결망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 현정‡
유한대학교 보건의료행정과

The Effects of Area-Specific Social Network on Life Satisfaction

Hyun-Chong Chong‡
Department of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Yuhan University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rea-specific social networks on urban workers life satisfaction. For this, 356 adults over age 20 were interviewed from June 17th 2013 to June 29th 2013.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loseness of family network index demonstrates that participants with higher affective support have higher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stronger extended family network brings more life satisfaction and so does a bigger friendship network. Secondly, the extended family network explains 17.6% of the variance in social networks follows by family network, other network, and friendship network, respectively. The closeness variable of social networks yields statistical significance on all categories of networks. The affective support level in the closeness variable of social networks shows differences as well; family network positively associates with life satisfaction.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urban workers' life satisfaction and the influence of family, extended family, friendship, and other variables on life satisfaction. If social networks have an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to find the domain of social networks that holds the most influences on life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groun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regional welfare.


    I.서론

    이글은 우리나라 성인의 현재 생활 실태 만족에 관한 조사결과에 관해 논의한다. 특히 중점적으로 다룰 주제는 일상적인 생활만족과 영역별 사회 연 결망의 영향요인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지금까 지 생활 만족도는 많은 연구의 주제가 되었지만, 조직 내에서의 경험이나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근로조건 정도, 여가 참여 경험과 같은 작업장 내 부의 직무만족 관점에 집중되거나, 연구 대상에 있 어서 여성이나 저소득층, 또는 장애인, 노인, 아동 등의 취약계층만을 제한적으로 다룬 것이 대부분 으로,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사회 연결망, 사회 네 트워크, 사회적 관계망과 같은 사회 자본이 생활 만족에서는 어떠한 결과를 나타내는 지에 대한 연 구는 드물게 진행되었다.

    특히 생활 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은 경제적 측 면만이 작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의 작용 되는 주관적인 평가로 정의되고 있어[6], 생활만족 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비경제적 자본과 같은 경제력외의 변수들을 중시할 필요가 있다. 비경제 적 변수 중 건강, 거주환경, 가족관계, 직업, 여가 등이 여기에 해당하는데, 그중에서도 건강에 대한 생활만족 영향요인은 타 요인보다 우선적인 위치 에 있다[21][22]. 즉 전반적인 건강과 거주환경에 대한 보건지원 체계가 수반된 이후에, 관계를 맺 고, 직업을 선택하고, 여가를 누릴 수 있다는 측면 에서, 개인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보건과 복지를 함께 접근하는 의미에서 본 연구는 의미가 있다. 또한 가족관계, 직업, 여가 요인 등의 사회 자본은 사회 구성원들 간의 협력과 참여를 통해 생산적 상호작용을 창출할 수 있는 무형의 자산으로 평가되고 있어[1],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 치는 중요한 요소로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사회 구성원들에게 사회 자본을 확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삶을 보람 있게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 은 보건과 복지사회가 풀어야 할 의무이며 과제이 다.

    일부 연구에서 경제적 자본은 사람들의 은행계 좌에 들어있고, 인적 자본은 사람들의 머리 속에 들어있고, 사회 자본은 사람들의 관계 구조 속에 있다며, 사회 자본을 사람들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 네트워크, 사회 연결망 등으 로 정의하였다. 이외 선행연구에서도, 사회 연결망 이 생활만족과 행복에 영향을 주는 긍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으며[2][3],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 연결망에도 차이를 유발시키고 있음이 논의되고 있다[4].

    이와 같이 인구학적 특성이 사회 연결망에 영향 을 미치고 있고, 사회 연결망이 생활만족도에 영향 을 미친다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사회 연결망을 구성하는 속성 및 관계 위 주의 분석을 함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을 제한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즉 사회 연결망을 구성하는 속성이나 관계를 조사하고 분석하기 위 해서는 먼저 분석단위와 그에 알맞은 자료의 형태 를 정하여 집단의 경계나 영역을 명확하게 설정하 는데, 연결망의 영역을 추출하는 과정에서부터 사 회 연결망이 형성된다는 점이 간과되고 있다.

    인간이 사회 연결망을 형성할 때에는 단일차원 적 연결망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개인이 몸담고 있는 가족이나 집단, 조직 등과 같은 다양 한 관계망을 형성하므로, 한사람의 연결망은 직접 아는 사람-친구- 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아는 사람 들-친구의 친구-을 모두 포함하며, 여기에 정보 기 술의 발전으로 강력해진 사이버 조직 구조도 사회 연결망으로 규정하기 때문이다[15].

    따라서 사회 연결망을 단순히 하나로 규정하여 속성이나 관계를 분석할 것이 아니라, 사회연결망 의 영역을 구분하여 영역별 속성이나 관계의 차이 를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가족의 지지 가 삶의 질에 중요하다는 점은 다양한 경험연구를 통해 밝혀졌으나[2][3], 비가족 사회관계에 대해서 는 그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나 각각의 사회 관계 를 비교하는 연구는 이어지지 못하고 있어 앞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5].

    그러므로 기존의 시각을 넘어 생활만족도를 바 라보는 다른 관점이 요청된다. 즉, 사회 연결망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면, 다양한 사회 연결 망 중 어떤 연결망이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며, 인 구․사회경제적 특성이 각각의 다양한 사회 연결 망을 통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매개 그 효과를 분석하는 작업은 지역복지 실천 과정에서 중요한 논거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만족도 실태와 함께 생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영역별(가족, 친척, 친구, 기타일반) 사회 연결망의 효과를 비교하여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고찰을 통 해 매개변수로 영역별 사회 연결망을 도출하였으 며, 이들이 종속변수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을 측정하기 위해서 건강, 가족의 수입, 주거환경, 가족관계, 직업, 사회적 친분관계, 여가생활, 전반 적 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선정하였다. 이를 근거로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 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 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구․사회경제적 특성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인구․사회경제적 특성은 영역별 사회 연 결망 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영역별 사회 연결망 특성은 생활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인구․사회경제적 특성은 영역별 사회 연 결망을 통해 생활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II.이론적 배경

    1.생활만족도의 개념

    생활만족도에 대한 개념은 1961년 Neugarten 등이 노인의 생활만족도 지표(Life Satisfaction Index)를 개발한 후부터 일반화되었다. 생활만족이 란 개념을 최초로 사용한 Neugarten에 의하면, 생 활만족이란 매일의 생활을 구성하는 활동으로부터 기쁨을 느끼며, 긍정적 자아상을 지니고, 자신이 가치 있다고 여기고, 낙천적인 태도와 감정을 유지 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으며[5], 여러 학자들에 따라 적응(adjustment), 심리적 안녕(psychological well-being), 성공적인 성숙(successful aging), 의욕 (morale), 행복감(happiness)이라는 개념과 상호 교 환적으로 혼용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중섭 [6]은 의욕이나 행복감이 생활만족도라는 개념과는 각기 구분되어 파악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의욕은 용기, 확신, 열의 및 곤란을 인내하는 정신 상태이며, 행복감은 현재의 유쾌한 감정을 느끼는 일시적인 기분이라고 봄으로써 현재 상태에 대한 평가를 주안점으로 삼는데 반해, 생활만족도는 의 욕이나 행복과 같은 내면적 군에 속하지만 좀 더 종합적인 개념으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생활만족에 관련된 연구들 은 행복이라는 광범위하고 피상적인 용어보다는 주관적인 생활 만족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이 개념은 개인이 자기 생활의 영역 전반에 대 해 느끼는 주관적인 만족 정도로서 자신의 기준에 따라 삶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곧 생활에 대한 질적 향상과 유사한 의미로 볼 수 있다. 즉 생활만족은 외적 규범적 범주인 특 정한 사회가치 체계에 의해 판단되거나 내적 주관 적 경험으로 평가되는 것뿐만 아니라 개인의 내적 감정적으로 생활 전반에 대한 심리 정서적 만족 생태라 할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의 주관적인 삶에 대한 질적 향상을 의미하며 삶의 질과 행복의 의 미와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견해에 비추어 본 연구에서는 생활만 족도를 전 생애를 통한 연속적이고 과정적인 의미 로서 기대하던 일정한 목표나 욕구의 달성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이고 총체적인 감정 상태로 정의한 다[14]. 따라서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각 개인 의 생활만족을 평가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구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라고 할 수 있다.

    2.사회연결망의 개념과 관점

    사회 연결망은 관계적 인간관에 입각한 인간의 행위와 사회 구조의 상호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으 로, ‘상호연결작용 행위를 통해 개인의 연결망이 만들어지고, 동시에 개인의 연결망은 다시 그들 행 위에 영향을 미친다.’라는 것이 기본 논리이다. 사 람들은 각기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맺으며 살고 있으며, 사회적 관계는 가족과 같은 가장 친밀한 층에서 시작해 친구, 친척 등 중간 수준으로, 그리 고 공동체와 같은 외부 층으로 그 영역을 확장된 다[7].

    이러한 사회적 연계는 삶의 조건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고[8], Portes[9]는 연결망으로 인해 희소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된 개인의 능력 으로 소개하기도 하였다. 이렇듯 사회 연결망은 공 동체의식이 희박해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개인이 사회적 관계를 통해 다른 사람과 신뢰를 쌓고, 위 기 시에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회적 자원을 말한 다[5].

    현대사회에서 사회 연결망을 볼 때, 사회 연결 망을 주어진 것으로 보는 관점에 가까우냐 아니면 행위자나 문화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보는 관점 에 가까우냐 하는 문제는 사회이론이나 사회 연구 에서의 매우 중요한 차이를 만들어 낸다. 누구든 연결망을 한번 주어지면 고정불변인 것으로 간주 하지는 않겠지만, 현실의 연결망을 대할 때 상당 정도 변동 불가능한 존재로 볼 수 있고, 반대로 행 위자들의 의도적 행동이나 의미 구성을 통해 만들 어 내는 것으로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차이 는 연결망이 학연이나 지연, 혈연과 같이 이미 기 본적인 틀이 정해진 경우와 직장이나 사회운동참 여를 통해 새롭게 만들어지는 경우의 차이를 보여 주기도 한다. 따라서 한국 사회의 연결망 특성을 살펴볼 때에는, 다양한 관점에서 다룰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 연결망을 귀속적으로 주어 진 것으로 보는 관점으로 가족 사회 연결망과 친 척 사회 연결망으로 정의하고, 개인이 몸담고 있는 지역, 단체, 조직, 집단 등과 같이 행위자나 문화에 의해 구성되는 관점으로 친구 사회 연결망과 일반 사회 연결망으로 개념화한다. 이하 영역별 사회 연 결망은 가족 연결망, 친척 연결망, 친구 연결망, 일 반 연결망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사회 연결망 구조의 분석은 행위자 간의 관련성 이나 근접성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서 관계적 접 근과 위치적 접근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14]. 관 계적 접근은 행위자간 관계의 강도를 통해 관련성 을 밝히는 것으로, 사회구조가 행위자 서로간의 역 동적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 다는 주장이며, 위치적 접근은 체계 내에서의 행위 자의 위치를 규정하는 관계의 유형으로 사회체계 에서 차지하고 있는 지위와 역할이라는 측면에서 사회구조를 접근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계적 접근 방법을 이용하여 분 석하고자 하며, 여기에서 ‘관계’의 개념은 행위자 상호간을 연결해주는 관계적 속성을 포괄한 의미 이며, 관계성은 전형적으로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 서 경제적 지원, 서비스 지원, 정서적 지원 등 서 로 도움을 준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14].

    연구에서 사용한 관계적 접근 방법은 추출문항 과 해석문항으로 구성된다. 사회 연결망 추출문항 은 연구자의 연구목적에 맞는 연결망을 추출해내 는 방법이며, 연결망 해석 문항은 추출된 연결망의 속성과 관계를 묻는 질문이다[14].

    연결망을 추출 방법은 현재 관계를 맺고 있고, 또한 잠재적으로 맺을 수 있는 모든 지인들을 연 구할 수 없기 때문에 연결망에 특정한 제한을 부 과하는 것으로, 영역별 연결망이 이에 해당한다.

    연결망의 해석문항은 연결망 구조를 형성하는 속성들인 규모, 밀도, 이질성, 강도, 범위 등을 알 아보기 위한 것으로써, 연결망 구성원들의 수, 응 답자와의 관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직업, 응 답자와의 접촉빈도, 연결망 서로 간 상호작용 등을 묻는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외의 친족 규모, 비친족 규모 비율, 성 이질성 등이 있으며, Bond[15]는 사회적 연결망의 변화를 생활양식의 변화 중 하나로서 설명하며, 사회 연결망의 구조를 크기, 밀도, 다양성 등의 매개변수를 통해 파악하 고자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사회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은 영역별 사회 연결망 크기, 강도, 밀도로 보 고자 한다.

    3.생활만족도와 사회연결망 관계에 관한 선행 연구

    생활만족도에 관한 기존 연구들에 의하면,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 연결망, 사회단체 참여, 사회 지지망, 자원봉 사활동 등의 다양한 요인이 생활 만족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연령과 관련하여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종교나 사회모임에 대한 만족도는 증가하지만, 가족, 취미 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감소하고, 연령이 낮을수록 생활 만족도는 높아진다고 하였고, 교육수준에 따 라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고 여유 있는 생활을 하게 되므로 생활만족도가 높아진다는 보고[16]와,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기대 수준이 낮기 때문에 전반적인 생활에 기대가 없어 만족하는 경향이 있다는 보고[19]가 있다. 그러나 교육수준이 높으면 개인의 삶의 만족도 수준도 높 아져서 생활만족 기대치도 높아져 자신의 실제 수 준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어 교육수준 은 생활만족도와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강조 하는 보고도 있다[16]. 소득수준은 거의 모든 선행 연구에서 생활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인구 사회학적 변인으로, 대부분 소득이 많을수록 생활 만족도가 높다는 연구결과가 많았으며, 월평균소득 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7][18].

    사회 연결망과 관련하여서는 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타인과의 긍정적 관계, 도움을 주는 것 등을 강조하였으며[2], 직장에서 동료와 상사와 의 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상관관계가 있고, 사회 연결망을 바탕을 둔 공동체 의식은 물질적인 환경 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20]. 이외 사회단체 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나,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 연결망이 생활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5], 사회 관계망이 농어촌 노 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23], 빈곤장애인의 생 활만족도에 사회적관계가 미치는 영향[6], 남녀 장 애노인의 일상생활만족도에 가족과 타인으로부터 의 도움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영향[24], 한국 근로 자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12][13] 등 기존 연구 들은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했다는 제한이 있으나, 사회 연결망이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침을 증명하 고 있다.

    III.연구방법

    1.연구 설계

    연구문제인 생활 만족과 사회 연결망 간의 관계 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대상 모집단은 2013년 현재 경기도 1개 중소도시에 거주하거나 근로하고 있는 20세 이상 성인 356명으로, 표본의 대표성을 높이 기 위하여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3개구로 구분하였 으며, 각 지역 20세이상 성인인구의 크기에 비례하 도록 표본의 크기를 할당한 후 각 지역에서 무작 위 추출하여 조사가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도구 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면접자가 1:1 직접면접을 통해 조사를 실시하고 직접 수집하였다. 분석방법 은 사회 연결망 영역별로 집단을 구분한 후 빈도 분석과, 교차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 용하였다.

    2.연구모형

    본 연구에서는 도시근로자의 생활 만족과 사회 연결망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Figure 1) 과 같은 연구모형을 제안한다. 연구의 모형은 인 구․사회경제적 특성이 영역별 사회연결망의 크기, 강도, 밀도를 매개로하여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을 검증함으로서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3.연구가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제안한 다.

    H1. 인구․사회경제적 특성은 생활만족에 영향 을 미칠 것이다.

    H2. 영역별 사회 연결망 크기는 생활만족에 영 향을 미칠 것이다.

    H3. 영역별 사회 연결망 강도는 생활만족에 영 향을 미칠 것이다.

    H4. 영역별 사회 연결망 밀도는 생활만족에 영 향을 미칠 것이다.

    H5. 인구․사회경제적 특성은 영역별 사회연결 망 크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H6. 인구․사회경제적 특성은 영역별 사회연결 망 강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H7. 인구․사회경제적 특성은 영역별 사회연결 망 밀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H8. 인구․사회경제적 특성은 영역별 사회 연결 망 크기, 강도, 밀도를 통해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 칠 것이다.

    4.측정도구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방식

    1)생활만족도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 중 생활 만족은 2012년 한국복지패널에서 사용된 8가지 항목의 문 항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건강에 대한 만족 도와 가족의 수입, 주거환경, 가족관계, 직업, 사회 적 친분 관계, 여가생활, 전반적 생활 만족도 등이 다. 각 문항은 5점 척도(➀매우 불만족~➄매우 만 족)로 구성되었고, 분석 시 전체 평균과 변수 합산 으로 처리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생활 만족도 가 높음을 의미한다(Table 1).

    2)통제집단

    선행연구에서 다룬 바와 같이 자아 중심적 연결 망기법을 기초로 추출기준에 따라 영역별 통제집 단을 구성하였다. 추출기준은 연결망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현재 관계를 맺고 있고, 또한 잠재적으로 맺을 수 있는 모든 지인들을 연구할 수 없기 때문 에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혹은 동원할 수 있는 연 결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틀을 4개로 (가족, 친척, 친구, 일반) 제시하고, 각각 친숙하다 고 생각되는 해당 수를 기입하도록 구성하였다 [14]. 제시된 연결망의 틀 중 가족의 정의는 함께 거주하고 있는 가족을 제외한 부모, 형제, 출가한 자녀를 포함한 법적 가족을, 친척의 정의는 함께 거주하고 있는 친척을 제외한 이모, 고모, 삼촌 등 을 포함한 법적 친척을 의미한다. 친구의 정의는 어린 시절부터 이어온 소꿉친구나 학교 동기 또는 선후배, 동아리 등의 모임에서 사귄 친구를 의미하 며, 일반관계의 정의는 이웃, 직장동료, 직장상사, 취미 활동, 종교모임 등 사이버 공간까지 포함하여 맺어진 관계를 의미한다.

    3)사회 연결망

    사회 연결망1)은 선행연구에서 다룬 바와 같이 자아 중심적 연결망기법을 기초로 추출기준에 따 라 크기, 강도, 밀도로 구성하였다. 사회 연결망의 크기(size)는 연결망 틀에 각각의 수(數)로 사회 연 결망의 크기를 측정한다. 사회 연결망의 강도 (strength)에 대한 질문은 General Social Survey[10]의 Cycle22, Section1: Social Networks 를 사용하였다. 각 연결망들과 직접 만나는 횟수와 전화나 편지, 이메일 등을 통해 주고 받는 연락 횟 수를 측정한다. 측정 수준은 5점 척도(➀월1회 이 하~➄매일 만난다)로 구성하였다. 접촉하는 빈도 가 강할수록 점수는 높아지며, 높은 강도를 의미한 다. 사회 연결망 밀도(density)는 Lubben Social Network Scale-18 (LSNS-18)의 한국어판[11]을 사 용하였다. 각 연결망으로부터 받는 도움을 3가지 (정서적, 물질적, 신체적 도움)로 분류하며, 측정수 준은 5점 척도(➀전혀 도움 받지 않는다~➄매우 도움 받는다)로 점수가 높을수록 도움 정도가 높아 밀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한다. 신뢰도는 각 영역별 연결망의 변수로 측정하였으며 (Table 1)에 제시 하였다.

    4)인구학적 요인

    인구학적 요인은 선행연구 고찰에 의해 연령, 교육연수, 월평균소득을 추출하였다.

    5.자료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18(Statistical Package for the Science)을 이 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IV.연구결과

    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생활만족도는 (Table 2)와 같다. 응답자 중 남자가 50.3%(179 명), 여자가 49.7%(177명)이며, 연령대별 고루 분포 하고 있었다. 학력 수준은 고졸이 46.1%로 가장 많 았고, 전체 응답자의 48.9%(174명)가 전문대학 졸 업 이상이었다. 월평균소득분포는 전체 응답자의 42.7%(152명)가 100-200만원 수준으로, 응답자의 절 반이 200만원미만소득수준 46.9%(168명)을 보였는 데, 도시근로자1인가구의 소득이 1.760,904원(통계 청, 2012)2)임과 비교할 때 비슷한 수준이다. 전체 평균 소득은 216.35만원(sd=119.053)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감은 전체 평균 3.42(sd=.42)로 보통 이상의 만족을 보였고, 여자가 평균 3.45로 남자 평균 3.38보다 생활만족감이 높 았다. 연령대별로는 연령이 낮을수록 생활만족감이 높았는데, 20대가 평균 3.57로 가장 높았고, 60대이 상이 3.31로 가장 낮았다. 학력에 따른 생활만족감 은 대졸이상이 평균 3.62로 가장 높았고, 중졸이하 의 학력소유자가 평균 3.13으로 가장 낮았다. 월평 균소득 수준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소득이 증가할 수록 만족도도 증가하였다.

    2.인구․사회경제적 특성과 영역별 사회 연결 망의 관계

    (Table 3)은 인구학적 특성과 영역별 사회 연 결망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가족연결망 은 사회 연결망 크기와 연령은 정(+)의 상관관계 를, 학력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밀도 중 물질적 지원은 소득과 부(-)의 상관관계를(p<.10), 신체적 지원은 교육과 부(-)의 관계를 보였다. 즉 소득이 증가할수록 가족의 물질적 지원은 감소하 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가족 연결망 크기는 커지 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족 연결망 크기와 가족 의 신체적 도움정도는 감소하였다.

    친척 연결망은 사회 연결망 크기와 연령이 정 (+)의 상관관계를, 강도는 소득과 연령에서 부(-)의 관계를, 밀도 중 물질적 지원이 학력과 부(-)의 관 계를 보였다. 즉 소득이 증가할수록 친척 연결망의 강도는 감소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친척 연결망 의 크기는 증가하는데 반해 접촉 강도는 감소하였 다. 또한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친척 연결망으로부 터의 물질적 도움정도는 감소한다. 친구 연결망은 사회 연결망 크기가 소득과 연령에서 정(+)의 관계 를, 강도와 학력이 부(-)의 관계(p<.10)를 보였고, 밀도 중 신체적 도움정도가 학력과 정(+)의 관계 (p<.10)를 보였다. 즉 소득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친구 연결망의 크기도 증가하였고, 교육수준이 오 를수록 친구 연결망의 접촉강도가 감소하는데 반 해, 친구 연결망으로부터의 신체적 도움정도는 증 가하였다. 기타일반 연결망은 사회 연결망 크기가 소득과는 부(-)의 관계를, 연령과는 정(+)의 관계 (p<.10)를 보였고, 강도는 학력과 부(-)의 관계를 (p<.10), 밀도 중 신체적 도움정도는 연령과 정(+) 의 관계(p<.10)를 보였다.

    정리하면, 소득이 증가할수록 가족 연결망의 물 질적 지원과 친척 연결망과의 접촉빈도와 기타일 반 연결망의 크기는 감소하는데 반해 친구 연결망 의 크기는 증가하였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모 든 연결망의 크기가 증가하였고, 친척 연결망과의 접촉빈도는 감소하며 기타일반 연결망으로부터의 신체적 도움정도는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학력이 올라갈수록 가족 연결망의 크기가 감소하였고, 친 구와 기타일반 연결망과의 접촉빈도도 감소하였고, 가족의 신체적 도움과 친척의 물질적 도움이 감소 한 반면, 친구의 신체적 도움정도는 증가하였다.

    3.영역별 사회 연결망과 생활만족감의 관계

    (Table 4)는 영역별 사회 연결망과 생활만족감 간의 관계이다.

    (Table 4)의 영역별 사회 연결망과 생활만족감 의 관계에서 가족 연결망의 밀도 중 정서적 지원 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으며, 가족으로 부터 물질적 도움이나 신체적 도움정도가 높을수 록 생활만족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친척 연결망과 의 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도 증가하였다. 친 구 연결망의 크기가 클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지 는 반면 일반 연결망의 크기가 클수록 생활만족도 는 감소하였다.

    4.생활만족도에 대한 영역별 사회 연결망의 영 향요인

    각 영역별 사회 연결망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전체 회귀 모형을 분석한 결과, 각 영역별 사회 연결망에 따라 그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독립변수들의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을 파악하기 위해 2단계에 거쳐 변수를 첨가시켰으며, 그 결과를 (Table 5) 에 제시하였다.

    제1단계는 모든 연결망 영역에 대해 공통적이 며, 인구학적 변수로 연령, 학력, 월평균소득을 투 입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에서 추출된 유의 한 변수로는 연령과 학력, 월평균소득이 유의한 변 수로 회귀식에 포함되었으며, 12.4%의 설명력으로 생활만족도를 설명하였다. 즉 연령이 증가할수록 생활만족도는 감소하지만 학력과 소득이 증가할수 록 생활만족도도 증가하였다.

    2단계에서는 영역별 사회 연결망을 첨가하여 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가족 연결망의 경우 사 회 연결망으로 인해 생활만족도에 대한 전체 회귀 모형의 설명력은 약 16.7%가 되었고, 2단계보다 약 4.3%의 설명력이 증가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사회 연결망 변수로는 사회 연결망 강도, 사회 연 결망 밀도 중 정서적 도움정도와 신체적 도움정도 가 유의미한 변수로 추가되었다. 즉 가족 연결망의 잦은 접촉빈도로 인한 강도와 정서적 도움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족 연결망으로부터 신체적 도움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는 감소하였다.

    친척 연결망 다른 연결망들에 비해 가장 높은 설명력(17.6%)을 보였다. 그리고 결과에 있어서도 다른 연결망과의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친척 연결 망의 크기와 물질적 도움정도가 커질수록 생활만 족도는 낮아졌고, 친척 연결망과의 강한 강도는 생 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 는 관계망의 규모가 큰 사람이 정보나 획득할 수 있는 효과적인 선택의 기회를 갖게 되어 삶에 긍 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김종향[21]의 주장과 상반되 는 결과이다. 연결망 밀도변수에서 물질적 도움정 도(ß=-.210, p<.05)가 적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 연결망에서는 연결망의 크기와 강도가 높 을수록 생활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 며, 설명력은 15.2%로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일반 연결망은 16.1%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3.7%의 변화율을 보였다. 이중 일반 연결망의 강도 와 정서적 도움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 를 보였다. 즉 일반 연결망의 잦은 접촉빈도에 의 한 강한 강도는 생활만족도를 증가시키나, 반면 기 타 연결망의 밀도 중 정서적 도움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는 감소하였다.

    가장 큰 변화율을 나타낸 연결망은 친척 연결망 으로 17.6%의 설명력을 보였고, 다음으로 가족 연 결망, 일반 연결망, 친구 연결망의 순이었다. 사회 연결망의 요인으로는 사회 연결망 강도요인이 모 든 연결망에서 유의미한 변수로 추출되었고, 정(+) 의 영향으로 작용하였다.

    5.가설의 검증

    이상의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 한 가설들을 검증하였다(Table 6). 전체적으로 연 구모형에서 제안한 가설을 나타내는 t값, F값, 상 관계수, 회귀계수는 유의성이 있으며 적절하게 나 타났다. 구체적인 가설 검증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V.결론 및 고찰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생활만족도를 결정 하는 요인으로 영역별 사회 연결망이 미치는 영향 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특히 다양한 연결망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연결망을 규명하고 이에 대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3년 6월 17일부 터 6월 29일까지 경기도 소재 중소도시 거주하거 나 근로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성인 근로소득자를 대상으로 직접면접조사를 하였으며, 356부의 설문 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생활만족감은 평균 3.42(sd=.42)로 보 통 이상의 만족을 보였고, 여자가 남자보다 생활만 족감이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연령이 낮을수록, 생 활만족도가 높았고, 60대 이상이 가장 낮았다. 학 력에 따서는 대졸이상이 가장 생활만족이 높았고, 중졸이하의 학력소유자가 가장 낮았다. 월평균소득 수준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만 족도도 증가하였고, 100만원이하의 소득 계층이 생 활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둘째, 인구학적 특성과 영역별 사회 연결망간의 관계에서 가족연결망은 소득이 증가할수록 가족의 물질적 지원은 감소하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연결 망 크기는 커지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연결망 크 기와 가족의 신체적 도움정도는 감소하였다. 친척 연결망은 소득이 증가할수록 강도는 감소하고, 연 령이 증가할수록 연결망의 크기는 증가하는데 반 해 접촉 강도는 감소한다. 또한 교육 수준이 오를 수록 친척 연결망으로부터의 물질적 도움정도는 감소하였다. 친구 연결망은 소득과 연령이 증가할 수록 친구 연결망의 크기도 증가했고, 교육수준이 오를수록 연결망의 접촉강도가 감소하는데 반해, 친구 연결망으로부터의 신체적 도움정도는 증가했 다. 일반 연결망은 소득이 증가할수록 연결망 크기 는 감소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연결망 크기와 신 체적 도움정도는 증가하였다. 교육수준이 높아질수 록 접촉하는 강도는 감소하였다.

    셋째, 영역별 사회 연결망과 생활만족감의 관계 에서 가족 연결망의 밀도 중 정서적 지원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으며, 가족으로부터 물 질적 도움이나 신체적 도움정도가 높을수록 생활 만족도는 감소했다. 또한 친척 연결망과의 접촉 강 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도 증가했다. 친구 연결 망의 크기가 클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반면 일반 연결망의 크기가 클수록 생활만족도는 감소 했다.

    넷째, 각 영역별 사회 연결망의 영향 요인을 비 교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차이가 발견되었다. 가장 큰 변화율을 나타낸 연결 망은 친척 연결망으로 17.6%의 설명력을 보였고, 다음으로 가족 연결망, 기타일반 연결망, 친구 연 결망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역별 사회 연결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친 척 연결망은 사회 연결망 크기와 밀도 중 물질적 도움정도를 매개로 부(-)의 영향을, 접촉 강도를 매 개로 긍정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가족 연결망에서 는 사회연결망 강도와, 밀도 중 정서적 지원정도를 매개로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밀도 중 신체적지원 정도를 매개로 부(-)의 영향을 나타냈다. 일반 연결 망에서는 접촉 강도를 매개로 긍정적 영향력을, 밀 도 중 정서적 지원 정도를 매개로 부(-)의 영향을 나타냈다. 친구 연결망은 사회 연결망 크기와 접촉 강조를 매개로 생활만족감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영역별 사회 연결망이 생활만족 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이 검증되었으므로, 이 결과를 기반으로 사회 연결망이 유용한 자원으 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정책적 개입과 실천적 개입 의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생활만족도 수 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므로, 성 인지 적인 관점에서 생활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개입 방안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고연령, 남자,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개입되어야하며, 특히 노인빈곤계층은 고연령, 저학력, 저소득이라는 취 약한 요인을 모두 소유하고 있으므로, 각 지역복지 관이나 평생교육센터를 활용한 평생 교육의 기회 와, 공공근로, 노인일자리 사업 확충으로 각 연결 망으로부터 정서적, 물질적, 신체적 도움정도가 지 속적으로 전달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인구․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사회 연결 망 형성에 차이가 발견되었으므로, 취약한 특성을 가진 계층을 위해 다양한 사회 연결망을 창출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소득이 증가할 수록 친척 연결망과의 접촉빈도가 감소하고, 일반 연결망의 크기가 감소한다는 결과를 반대로 해석 하여, 각 지역사회 기관은 지역 결사체를 활용하여 저소득의 사회 연결망 창출의 기회를 확대해야한 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모든 연결망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은 바람직하나, 친척 연결망의 접촉 강 도가 감소하고, 일반 연결망의 신체적 지원정도가 증가하는 것은 보건과 복지가 융합된 접근이 필요 함을 시사한다.

    셋째, 영역별 연결망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으로 차이가 있으며, 특히 가족 연결망에서 그 영향이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즉 가족의 정 서적지원 정도가 클수록 생활만족도가 증가하였고, 물질적․신체적지원 정도가 증가할수록 생활만족 도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자연적인 혈연 원조자들 을 통한 사회 연결망을 강화, 신장시키는 방안 등 이 필요하다. 지역 내에 부부관계, 가족관계 개선 프로그램, 부모교육을 개설하여 참여를 극대화 시 킬 수 있다. 그리고 물질적․신체적 지원으로 인해 생활만족도가 감소하는 것은 부양부담에 대한 증 가인 것으로 유추되는바, 보건과 복지를 연계한 외 부 연결망을 활성화하여 부양부담을 감소시켜 가 족 연결망을 강화시켜야 한다. 또한 이외에 이웃이 나 친구와 함께 하는 정서적지지 프로그램을 개설 하거나, 회사 내의 근로자들의 모임, 동아리 등의 활동을 개설과 다양한 지원, 종교 모임에의 참여, 자원봉사자 관리 프로그램, 사회교육, 지역 결사체 등을 활용한 사회 참여로 일반 사회 연결망의 크 기를 강화 시켜, 생활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도 록 하는 방안이 요청된다.

    넷째, 영역별 사회 연결망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연결망 접촉 강도는 모든 연결망의 영역에서 그 영향이 있음이 증명되었으므로, 다양한 채널을 통 해 자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비공식 적 연결망과 공식적 연결망을 패턴화 할 수 있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최근 사회적 경향은 여가 생활의 중요성을 높이 인식하는 근로 자들의 수가 증대되고 있고, 젊은 계층일수록 여가 의 중요성을 높이 인식하는 근로자들의 수가 급속 히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12]. 본 연구의 대상자가 근로소득자인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현 상은 한국의 근로자들이 급료를 인상하는 것보다 근로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원하고 있음을 시사한 다. 따라서 근로자가 여가를 활용할 수 있도록 탄 력적 근로제도나 근로시간저축제 등을 활용하여 시간적인 여가 부족에서 벗어나 생활만족도를 극 대화 시킬 수 있음을 제안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다음과 같은 제한적인 사항이 있다. 먼저, 조사항목에 있 어 최대한도로 기존 연구에 의해 타당성과 신뢰성 이 확보된 평가도구를 사용하였으나, 외국의 평가 도구를 사용한 경우 한국의 실정과 완전히 일치한 다고 하기에는 다소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 로 사회조사 연구의 일반적인 제약점이지만, 이 연 구도 표본의 대표성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에 서는 일개시의 20세 이상의 성인 근로소득 생활자 약 60만명 중 0.05%에 해당하는 356명만을 조사하 였으며, 지역적 특성에 있어서도 한 개의 중소도시 만을 선정하여 자료가 되었기에 대표성에 제약이 따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 대상 지역이 일 정수준 이상의 위치에 있는 중소도시로 평가받고 있고, 분석 자료의 크기를 고려한다면,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생활만족도와 그 영향요인에 대한 추론을 하는 데에는 무리가 없을 것이다.

    Figure

    KSHSM-7-177_F1.gif

    Model of the study subjects.

    Table

    KSHSM-7-177_T1.gif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for measurement items

    KSHSM-7-177_T2.gi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study subjects

    KSHSM-7-177_T3.gif

    Demographic and social network of the study subjects

    KSHSM-7-177_T4.gif

    Life satisfaction and area- specific social network of the study subjects

    KSHSM-7-177_T5.gif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area of social network (dependent variable: life satisfaction)

    KSHSM-7-177_T6.gif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Reference

    1. S.K.Park, H.K.Ku, J.H.Lee, D.W.Han (2009) Comparative study on social capital and Private Welfare Resources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Vol.20; pp.3-7
    2. K.J.Crooker, J.P.Near (1998) Happiness and satisfaction: measures of affect and cognition ,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44; pp.195-224
    3. C.A.Karen (1998) Gender differences in job-related networks , Work and Science Quartel, Vol.31; pp.11-24
    4. G.V.Eijk (2010) Does living in a poor neighbourhood result in network poverty? A study on local networks, locality-based relationships and neighbourhood settings , Hous and the Built Environ, Vol.25; pp.467-480
    5. K.M.Kim (2012) Married Immigrant women's social networks and life satisfaction in Korea: the case of women from China, Vietnam, and Japan ,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Vol.35 (2) ; pp.185-208
    6. J.S.Lee (2009)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n the life satisfaction of poor disabled persons-focus on registration disable persons of Gwang-Ju city in South Korea , Korean Governance Review, Vol.16 (1) ; pp.79-105
    7. N.Lin, X.Ye, W.Ensel (1999) Social support and depressed mood: a structural analysis ,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40; pp.344-359
    8. B.Lancee (2010) The economic returns of immigrant's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the case of the Netherlands ,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Vol.44 (1) ; pp.202-224
    9. APortes (1995) The economic sociology of immigration, Russell Sage Foundation, pp.28-35
    10. GSSMain survey questionnaire, General Social Survey, The national data program for the Sciences: NORC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 www3.norc.org/GSS+Website,
    11. B.R.Kang (2011)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Lubben Social Network Scale-18(LSNS-K18) , Graduate School of Advanced Practice Nursing, Eulji University master’s thesis, pp.51-71
    12. C.H.Jung (1995) Quality of daily life and life of Korean workers , Journal of Social Development Studies, Vol.1; pp.139-172
    13. J.S.Kim, S.Y.Lee, K.O.Lee, S.Y.Kim (2013) Mental disabilities mental health center services impact on quality of life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 (2) ; pp.23-35
    14. R.S.BurtR.S.Burt, and Miner (1983) “Applied network analysis: a methodological introduction”, Range, Sage, pp.176-194
    15. J.Bond, L.A.Kaskutas, C.Weisner (2003) “The persistent influence of social networks and Alcoholics Anonymous on abstinence” ,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64 (4) ; pp.579-588
    16. P.H.Lee, Y.H.Joh (2012) A study on relative influence among leisure activity, volunteering,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15 (2) ; pp.27-56
    17. K.S.Park (2000) Informal social ties of elderly Koreans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34; pp.621-647
    18. J.B.Im (1998) From the wives living in Seoul; value orientation, decision making style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 Korean Home Management, Vol.6; pp.149-166
    19. H.N.Phang, K.H.Kim (2002) Opportunity and inequality: educational trajection in Korea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36 (4) ; pp.193-222
    20. J.Crowe (2010) Community attachment and satisfaction: the role of a community’s social network structure ,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38 (5) ; pp.622-644
    21. H.J.Koo (2008)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regional community and affecting health related variables ,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Deagu Haany University, Doctoral thesis, pp.51-69
    22. H.E.Nam, J.W.Baek, J.S.Ryu (2011) Study on effect about the determinants of the local residents of their cognition of health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5 (4) ; pp.53-63
    23. Y.J.Son (2010)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between urban and rural older adult , GRI REVIEW, Vol.12; pp.311-339
    24. M.Y.Song (2011) A comparative analysis on daily life s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by gender difference ,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1 (1) ; pp.143-155
    2013년 07월 22일
    2013년 07월 25일
    2013년 09월 05일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