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0 No.3 pp.113-122
https://doi.org/10.12811/kshsm.2016.10.3.113

구강건강신념이 구강병 예방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 유진1, 박 재성2
1영산대학교 치위생학과,
2고신대학교 의료경영학과

The Effects of Oral Health Belief on Oral Disease Prevention and Quality of Life

Yu-Jin Choi1, Jae-Sung Park2
1Department of Dental Hygiene, Youngsan University,
2Department of Healthcare Administration, Kosin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oral health belief, prevention of oral diseases, and quality of life subject in adults over 20 years of age.

Methods :

This study enrolled 237 participants who visited Y hospital located in the Gyeongnam district as the final subjects for the analysis. From the collected dat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oral health belief on each parameter using SPSS 18.0.

Results :

Based on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 in oral health belief with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prevent oral disease was importance. The behavior for prevention of oral disease was influenced by sensitivity, and the quality of life was affected by self-efficacy.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promote oral health in adults, continuous support from oral health professionals is required to make pati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the sensitivity of oral health and reduce sensitivity.


    I.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국민들의 전반적인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경제적 으로 풍부해지면서 삶의 질에 대한 열망이 높아가 고 있다[1]. 현대에 들어와서 건강이라는 것이 단 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 이상의 것을 포함하기 때 문에 전신건강 상태와 관계에서 구강건강의 유지 를 강조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구강건강이란 상병 에 이환되지 않고 정신작용과 사회생활에 장애가 되지 않는 구강조직 및 장기의 상태라고 정의를 내릴 수 있으며[2], 건강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일 부이다.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은 20세 성인이면 이미 약 90%가 경험했으며, 기능상실로 이어져 구강건 강을 위협하는 가장 대표적인 질환이다. 그 중 치 주질환은 장년 이후 이환율이나 중등도가 가장 높 은 질환으로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3][4][5]. 이는 의료비의 꾸준한 상승으로 2016년 건강보험 심사 통계지표의 질병소분류별 다빈도 상병 급여현황에 의하면 매년 치료건수가 증가하 여 3위를 기록하였다[6]. Locker[7]는 구강의 건강 은 효율적인 대화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음식의 섭취로 인해 먹는 즐거움을 주며 사회적으로 자신 감을 높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구강상병은 그 특성상 범발성이며 대부분 만성 질환이고 비가역적, 누진적이지만 다른 질환과는 달리 예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기 발견과 조기치 료에 따라 시간적 경제적 비용절감 효과가 매우 크다[8]. 구강질환은 대부분 만성질환인데도 불구 하고 자신이 앓고 있는 전신질환에 비해 생명에 거의 지장이 없다는 이유 등으로 구강질환을 소홀 히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9]. 건강한 삶을 영위하 기 위해서는 구강건강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정기적인 구강건강관리를 통하여 삶의 질 저하를 예방하여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고 유지하 여야 할 것이다. 인간이 건강관련 행위를 취하려는 가능성은 행위를 하려는 건강신념, 즉 개인의 심리 적 준비상태와 행동에 대한 개인의 평가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였다[10]. 인간의 태도와 신념은 행 동의 전제조건이므로 이를 변화시키는 것은 건강 행위의 변화에 있어서 중요하다. 따라서 개인의 구 강건강은 개인의 심리적 준비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11].

    건강신념모형은 가치-기대 모형으로, 건강행동의 실천여부는 특정 행동이 특정한 결과를 가져올 것 이라는 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특정한 결과에 부여 한 개인의 주관적 가치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이 다. 이 모형은 인간이 건강행동을 취하는 데는 몇 가지 신념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12]. 질 병에 대한 감수성과 심각성 등에 의하여 질병에 대한 위협감을 형성하며 이러한 개인지각은 행동 의 계기 여부에 따라 건강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 치게 되고 이때의 건강행위 이행에는 지각된 유익 성, 중요성, 장애도가 영향을 주게 된다[13]. 최근 에는 Bandura[14]가 제시한 자기 효능감 변수를 추가하거나 사회인지이론을 접목시켜 모형의 설명 력을 높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ecker[15]가 제 시한 모형을 기본 틀로 하여 민감성, 심각성, 유익 성, 중요성, 장애, 자기 효능감 6항목을 하위요인으 로 설정하여 구강병 예방행동의도, 구강병 예방행 동, 삶의 질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 강건강신념과 삶의 질에 관련한 연구는 보건소를 내원한 40-60세 성인을 대상으로 한 Park[10]이 있 으며, 성인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신념모형과 구강병 예방에 관련한 연구는 [16]17][18][19][20]등이 있으 나, 여전히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가 많으며,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 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20세 이상 성인 의 구강병 예방행동을 강화할 수 있는 중재프로그 램을 개발하여 성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II.연구방법

    1.연구설계 및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세 이상 성인 남, 녀 20명을 대상 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결과, 구강건강신념, 구강 병 예방행동의도, 구강병 예방행동, 삶의 질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모두 .6이상으로 신뢰성이 확보되 었고, 요인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구강건강신념 측 정도구의 일부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2012년 5월 18일~5월 30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 Y치과병원 내원자 중 20세 이상 성인 26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자기기입식 으로 조사하였고 이 중 237부(91%)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2.연구도구

    1)구강건강신념

    본 연구에서 구강건강신념은 구강병에 이환될 민감성, 구강병에 이환 되었을 때 나타날 결과의 심각성, 구강건강을 지켜야할 만한 가치가 있고 전 신질환과 관계가 있다고 인식하는 중요성, 건강행 동에 대한 본인이 인지한 유익성과 구강병은 생활 습관 병으로 자신에 대한 믿음과 신념이 중요하므 로 자기 효능감을 추가하여 6개의 하위항목을 설 정하였으며, Choi[21]의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조사대상자와의 관련정도에 따라 5점 만점에 점수가 높을수록 구강건강신념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측정도구 중 장애의 모든 문항, 자기 효능감의 5번째 문항은 역으로 점 수를 부여하였다.

    2)구강병 예방행동의도

    구강병이 발병하기 이전에 관리하는 것은 1차 예방이며, 구강병 예방행동의도는 구강병 1차 예방 을 자발적으로 수행하려는 개인적인 의사를 의미 하는 것으로 Ko[22]가 사용한 도구를 수정하여 사 용하였다.

    3)구강병 예방행동

    구강병에 대한 자발적인 예방행동이며, 본 연구 에서는 1998년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구강건강을 위한 10가지 수칙[23]으로 정의한다.

    4)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본 연구에서의 삶의 질은 구강건강과 관련한 주 관적인 삶의 만족과 행복, 불행에 대한 것으로 정 의한다. Kim[24]이 사용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OHIP-14)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모든 문 항은 역으로 점수를 부여하였다.

    3.연구모형

    본 연구는 연구모형 및 가설은 다음과 같다 <Figure 1>.

    <가설 1> 구강건강신념은 구강병 예방행동의도 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구강건강신념은 구강병 예방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구강건강신념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4.분석방법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Ver.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 하여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구강건강 신념 하위 6개 항목(중요성 .727, 유익성 .846, 심각 성 .812, 민감성 .856, 장애 .792, 자기 효능감 .758) 이 모두 .7이상이었고,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 도구의 값이 .90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강병 예방의도 .846, 구강병 예방행동은 .672로 가장 낮 게 나타났지만 .6이상으로 비교적 신뢰할 만한 신 뢰성을 확보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 관계를 상관분석 을 실시하였다. 구강건강신념이 구강병 예방행동의 도, 구강병 예방행동, 삶에 질에 미치는 상대적 영 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III.연구결과

    1.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여자 57.0% 남자가 42.2%였다. 나이는 20-29세가 3.0%, 30-39세가 32.1%, 40-49세가 19.4%, 50-59세가 26.2%, 60-69세가 15.2%, 70-79세가 2.5%였다. 대상 자의 경제상태는 상 0.8%, 중 78.5%, 하 17.7%였 고, 가구원 전체 수입은 400만원 이상 31.6%으로 가장 높았고,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 25.7%,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 20.7%,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 14.3%, 100만원 이상 2.5% 순이었 다. 교육정도는 고졸 38.8%, 대졸이상 34.2%, 전문 대졸 21.5%순으로 높았다. 구강보건교육은 53.6% 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구강건강신념, 구강병 예방의도, 구강병 예방 행동, 삶의 질 변인 간 상관관계

    구강건강신념, 구강병 예방의도, 구강병 예방행 동, 삶의 질 변인 간 관계를 Pearson상관분석을 실 시하여 알아본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상관분 석 결과, 구강건강신념요인 중 중요성(r=.48, p<.01), 유익성(r=.39, p<.01), 심각성(r=.21, p<.01), 자기 효능감(r=.26, p<.01) 요인이 구강병예방의도 와 유의한 양(+)의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 고, 구강병 예방행동과는 중요성(r=.26, p<.01), 유 익성(r=.26, p<.01), 장애(r=.30, p<.01), 자기 효능감 (r=.21, p<.01) 요인이 양(+)의 상관을 가지는 것으 로 나타났고, 민감성(r=-.22, p<.01) 요인과는 음(-) 의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신념 과 삶의 질의 변인 간 관계에서는 장애(r=.33, p<.01), 자기 효능감(r=.13, p<.05) 요인이 양(+)의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각성(r=-.24, p<.01), 민감성(r=-.43, p<.01) 요인과는 음(-)의 상 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2>.

    즉, 중요성, 유익성, 심각성, 자기 효능감이 높을 수록 구강병 예방의도가 강해지고, 중요성, 유익성, 장애, 자기 효능감이 높고, 민감성이 낮을수록 구 강병 예방행동을 많이 하게 된다는 것이다. 삶의 질의 경우는 장애, 자기 효능감이 높고, 심각성과 민감성이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구강병 예방의도에 대해 구강건강신념 요인 이 미치는 영향

    구강병 예방의도에 대해 구강건강신념 요인들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구강병예 방의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구강건강신념의 중요성, 유익성, 심각성, 자기 효능감의 4개 요인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전 독립변수들 간 다중 공선성 (multi-collinearity)을 진단한 결과, 모든 변인의 공 차한계(Tolerance)가 .1 이상이며, VIF 계수가 10이 하로 나타나 공선성 판단의 기준인 공차한계 .1이 하와 VIF 10이상에 해당되지 않으므로 회귀모형에 서 투입되는 독립변인들이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구강병 예방의도에는 중요성(β =.33, p<.001)과 유익성(β=.18, p<.01)의 두 건강신 념 요인이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력은 중요성 요인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강병 예방의도에 가장 큰 영향력 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성이었다. 변인들이 가지는 설명력은 27.5%였다.

    4.구강병 예방행동에 대해 구강건강신념 요인 이 미치는 영향

    구강병 예방행동에 대해 구강건강신념 요인들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구강병 예 방행동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구강건강신념의 중요성, 유익성, 민감성, 장애, 자기 효능감의 5개 요인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 였다. <Table 3>.

    분석 전 독립변수들 간 다중 공선성(multicollinearity) 을 진단한 결과, 모든 변인의 공차한계 가 .1 이상이며, VIF 계수가 10이하로 나타나, 독립 변인들이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회귀분석 결과, 구강병 예방행동에는 중요성(β =.18, p<.05)과 장애(β=.19, p<.01)요인이 양(+)의 영향을 미치며, 민감성(β=-.17, p<.01) 요인이 음(-)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변인 중 중 요성 요인과 민감성 요인이 구강병 예방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들이 가지는 설명력은 19.0%였다.

    5.삶의 질에 대해 구강건강신념 요인이 미치는 영향

    삶의 질에 대해 구강건강신념 요인들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삶의 질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구강건강신념의 심각성, 민감성, 장 애, 자기 효능감의 4개 요인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4>.

    분석 전 독립변수들 간 다중 공선성(multicollinearity) 을 진단한 결과, 모든 변인의 공차한계 가 .1 이상이며, VIF 계수가 10이하로 나타나, 독립 변인들이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회귀분석 결과, 삶의 질에는 민감성(β=-.32, p<.001)요인이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장애(β=.19, p<.01)요인이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두 변인 중 민감성 요인이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들이 가지는 설명력은 22.8%였다.

    IV.고찰

    본 연구는 20세 이상 남, 녀 성인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신념 및 구강병 예방행동 실천도, 구강건 강관련 삶의 질을 조사하고, 각각의 변수에 대한 구강건강신념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 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성인들의 구강병 예방 을 위한 행동양식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중재프 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강 건강신념, 구강병 예방의도, 구강병 예방행동, 삶의 질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중요성, 유 익성, 심각성,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구강병 예 방의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구강건강 이 본인에게 가치 있으며, 지속적인 예방행위를 함 으로써 구강건강에 관한 걱정을 덜 하게 되며, 치 아상태가 나쁘면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어떤 계획을 세워서 달성할 때 본인 스스로에 대 한 믿음이 강할수록 구강병 예방의도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요성, 유익성, 장애, 자기 효능감, 구강병 예방행동의도가 높고 민감성이 낮 을수록 구강병 예방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구강병 예방행동은 치과에 가는 것이 두렵 고,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될수록, 치아가 나빠 질 위험요인이 적고, 구강병에 이환될 확률이 다른 사람보다 낮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구강병 예방행 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감성은 구강병 예방행동을 많이 하는 사람에게서 적게 나타나기 때문에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장애, 자기 효능감이 높고 구강병 예방행동을 많이 할수록 높고, 심각성 과 민감성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삶의 질은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이 강할수록 높으며, 장애는 치과에 가는 것이 두렵고, 창피하며, 거리가 너무 멀거나 치과치료는 시간과 비용 많이 든다고 생각 할수록 구강병 예방행동을 많이 함으로써 구강건 강관련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민감성은 구강병에 이환될 요소가 많이 없으며, 현재 구강상 태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할수록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나며, 심각성은 본인이 구강병에 걸릴 것이라 는 두려운 생각을 의미하는데 심각하지 않다고 생 각할수록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 었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회귀분석결과, 구강건강 신념 중 중요성이 구강병 예방행동의도에 가장 많 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구강건강신 념과 구강병예방의도의 영향관계를 파악한 연구는 현재 거의 없는 실정으로 전신질환 분야의 연구와 비교해 본 결과, Ko[22]의 연구결과, 건강신념 중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각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와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 는데, 전신질환은 이환될 것 같은 두려운 생각이 들거나, 이환되고 나면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것으 로 생각되지만, 구강건강이 전신건강의 일부라고 하지만 아직은 전신건강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인 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구강병 예방행동 에는 민감성이 음(-)의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강건강이 나빠질 요인이 적고, 치아를 해 넣을 것이 적으며, 구강병에 이환 될 확률이 높다고 생각할수록 구강병 예방행동을 적게 하는 것이다. 이는 구강병이 예방 가능한 질 환으로 인식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결과라 생 각된다. Lee et al.[17]의 연구에서는 심각성이 높을 수록 구강병 예방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Moon et al.[18]의 연구에서는 감수성과 심 각성이 가장 높은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장애도와 중요성이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Lee et al.[19]의 연구에서는 감수성이 음(-)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 냈다. 구강건강신념과 삶의 질의 관련성에서는 장 애가 양(+), 민감성은 음(-)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ark et al.[9]의 연구결과와 상이하 며, 구강건강신념 중 장애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Park et al.[9]의 연구는 노인을 대상 으로 진행된 것으로 대상이 본 연구와는 차이가 있으며, 노인의 경우는 구강증진행위에 대한 장애 를 많이 느낄수록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게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Park[10]의 연구에서 는 민감성과 장애, 심각성이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민감성은 본 연구와 동일한 결 과이지만 장애와 삶의 질의 영향력이 본 연구에서 는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치과 에 가는 것이 두렵거나 창피함을 느끼고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생각할수록 예방 행동을 적극적으로 함으로써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구강건강신념 중 중요성, 민감성이 구강건강증진에 많은 영향을 미 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강병 예방행동의도가 있 어야 구강병 예방행동이 이루어질 것이며, 구강병 예방행동이 이루어질 때 민감성이 낮아져 구강건 강관련 삶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개개인에게 구강건강증진과 유지가 얼마나 가치 있는 것인지, 자연치아를 지키는 것의 중요성, 치 료보다 예방이 훨씬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시키고, 이미 구강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지속 적인 구강보건교육과 처치를 시행하여 구강상태를 증진시켜 구강병 예방행동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 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치아가 나빠질 위험이 많이 없다고 생각되어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향상 되므로, 이 때 구강 보건 전문 인력의 끊임없는 지 지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V.결론

    건강수명을 위해 구강건강은 반드시 지켜야 한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구강건강의 중요 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며, 2015년 국민건 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치아상실의 주원이 되는 치 주질환 환자 유병율은 30세 이상~35세 이하 44.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9세 이상~29세 이하 29.2%, 35세 이상~44세 이하 22.9%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25]. 본 연구는 성인들의 구강병 예 방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학문적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20세 이상 성인들의 구강건강을 위해서는 구강 병 예방에 대한 목표를 가지고 구강 보건 전문 인 력의 지지를 받으며, 구강병에 대한 중요성, 가치 를 인식시키고 구강상태를 건강하게 만들어야 구 강병 예방행동을 더 많이 수행하게 되고 이로 인 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도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 다.

    본 연구는 구강건강신념모형과 구강병 예방행동 의도, 구강병 예방행동, 삶의 질 변인 간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로서 타 연구와 비교했을 때 기존의 연구는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대학생을 대상으 로 많이 진행되었지만 본 연구는 성인들의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기에 조사대상자의 차 별성이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조사대상자가 경 남지역 1개 병원의 내원자로 국한되어 있어 연구 의 결과를 일반화 할 수 없다는 점이다. 향후 대표 성 있는 표본의 추출을 통한 후속 연구로 본 연구 의 결과를 재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또한 구강 보건 전문 인력이 치과병원 내원자의 구강병 예방 행동에 대한 목표설정과 지지를 위한 전문성 정도 를 파악할 수 있는 후속연구도 진행된다면, 많은 사람들이 건강한 구강상태로 건강한 생활을 영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Figure

    KSHSM-10-3-113_F1.gif

    Research model used in this study

    Table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Beliefs, Intention of Oral Disease Preventive Activities, Oral Disease Preventiv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p <.05
    **p <.01

    The Effect of Oral Health Beliefs on Intention of Oral Disease Preventive Activities

    F=21.889, p=0.000, R2=0.275, Adjusted R2 =0.262

    The Effect of Oral Health Beliefs on Oral Disease Preventive Activities

    F=10.756,, p=0.000, R2=.190, Adjusted R2 =.172

    The Effect of Oral Health Beliefs on Quality of Life

    F=16.947,, p=0.000, R2=0.228, Adjusted R2 ==0.214

    Reference

    1. Kim JH , Min KJ (2008) Research about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Life, Oral Health and Total Health of Adults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5 (2) ; pp.31-46
    2. Kim IS (2002) Oral Health Education , Komoonsa, ; pp.9
    3. Kim JB (2009) Public Oral Health , Komoonsa, ; pp.48
    4. http://www.mw.go.kr/front_new,
    5. http://www.prism.go.kr/homepage/theme/,
    6. http://www.nhis.or.kr/bbs7/boards/B0039/19367,
    7. Locker D (1988) Measuring Oral Health: a Conceptual Framework , Community Dental Health, Vol.5 ; pp.3-18
    8. Park HR (2006) A Study on the Status of Practical Applic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with Labor of the Heavy Industries , J Dent Hygiene Science, Vol.6 (2) ; pp.93-99
    9. Park MH , Lee MS , Lee HS (2011) The Effects of Oral Health Belief of Elderly on Oral Health Impact Profile in Daegu, Gyeongbuk Region ,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Vol.33 (4) ; pp.391-402
    10. Park JB (2012) The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lief, Oral Health Practice and OHIP-14 among Adult Vistors at Gijang Public Health Center , Th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 pp.2
    11. Jang BJ (2008) Study on Relation between Dental Health Beliefs and Dental Health Behavior in the Hig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8 (3) ; pp.163-168
    12. Kim HG (2009) Health Education for the Health Education Specialist, Hanmi Medical Publishing Company, ; pp.55
    13. Lee HS (1996) Association between Dental Health Belief and Dental Health – Related Behavior in Mothers and Childre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 Vol.20 (1) ; pp.11-30
    14.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 Psychological Review, Vol.84 ; pp.191-215
    15. Becker MH (1974)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Health Behavior , Health Education Monographs, Vol.2 (4) ; pp.409-419
    16. Kwon SJ (2013) The Effects of Oral Health Belief on Use of Dental Service of Students of Health and Medical Department of Universities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 Vol.7 (3) ; pp.83-93
    17. Lee HN , Cho MJ (2004) Dent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Dental Health Belief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Gwangju Chunnam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4 (2) ; pp.75-80
    18. Moon SJ , Goo IY , Choi HY , Ga GH (2015) A Study on the Oral Health Belief and Oral Health Education Awareness of Workers in the Workplace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9 (3) ; pp.159-174
    19. Lee SM , Lee HS (2015) Oral Health Belief and Oral Health Behavior of Taxi Driver in Jeollabuk-do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15 (5) ; pp.542-550
    20. Kim MN , Im DS , Kim MH , Kim AR , Kim SI , Ahn YS (2015) Effect of Health Belief Factor on Oral Health Related Behavior in Pregnant Woman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15 (2) ; pp.129-137
    21. Choi YJ (2012) The Effects of Oral Health Belief on the Oral Disease Preventive Activities and Oral Health Management Capacity : Focused on the Patients Visiting a Dental Clinic , The Graduate School Kosin University Doctors Dissertation, ; pp.72-74
    22. Ko KM (2011) “The Impact of Health Campaigns on the Public’s Awareness & Behavior Regarding Cervical Cancer” , The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 pp.94-95
    23. http://www.mohw.go.kr/front_new/sch/index.jsp,
    24. Kim JH (2007) The Effect of Oral Health on To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 Surveyed against Some of Youngnam Area Residents , The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Doctors Dissertation, ; pp.79
    25.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August 1, 2016
    August 31, 2016
    September 19, 2016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