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0 No.4 pp.225-237
https://doi.org/10.12811/kshsm.2016.10.4.225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

최 현주‡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Mediating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between Image of Nurses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among Nursing Students

Hyun-Ju Choi‡
Department of Nursing, Kaya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ediating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of nurses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

A self report questionnaire survey was completed by 429 nursing students in 1 university in K city.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pril 25 and May 06, 2016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

The nursing students recognized that image of nurses had a positive (+) effect 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and nursing professionalism had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Further, nursing professionalism had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of nurses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ursing professionalism has a positive medi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of nurses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among nursing students.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in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form a desirable image of nurse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최근 의료서비스의 급속한 변화와 질적 향상으 로 대상자의 의료진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간 호사의 역할과 업무도 다양하게 확대되고 전문화 되어 가고 있다. 또한 청년실업이 심각한 사회문제 로 대두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높은 취업률과 직 업의 안정성, 전문성 등으로 인해 간호사에 대한 이미지가 사회문화적, 대중적으로도 긍정적으로 변 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미래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 생들에게 간호사 이미지는 숙련된 전문적 기술과 지식을 소유하고 가치 있고 보람 있는 일을 하며, 직업에 대한 긍지를 가지는 등의 전문적 이미지의 인식이 높은 편이다[1]. 반면에 간호사는 여전히 자율성과 독자성이 부족한 역할을 수행하며, 힘들 고 고된 직업이고 사회적으로 충분히 인정받지 못 한다는 등의 부정적인 이미지 또한 간호대학생들 의 인식 속에 존재하고 있다[2].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사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는 본인 미래 직업에의 자존감과 재학 중 임상실 습만족도를 높이며 간호사로서 정체성 확립을 지 지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1]. 간호대학생들이 간호학 교육과정을 통해 간호사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변화된다면 간호에 대한 대중의 이미 지 변화를 유도할 수 있고, 자부심을 갖고 간호학 교육 및 실습에 임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간호 현장에서 간호사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사회화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3]. 즉 올바른 직업관을 형성하고, 미래의 직업에 대한 긍지를 높이게 되어 학생들이 교육과 실습 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동기부여가 될 수 있으 며 이는 전공만족도로 연결될 수 있다.

    대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전공 또는 적성에 맞 는 전공을 선택하였을 때에는 자연히 학교생활에 의미를 부여하게 되고 더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임하게 된다. 반대로 전공에서 만족하지 못할 경우 상당한 심적 갈등을 대학생활 내내 겪을 가능성이 크고 이는 학업성취와 진로발달에까지 이어지므로 대학 생활에서 전공만족도의 영향은 매우 크고 중 요하다고 볼 수 있다. 간호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에 대한 선행 연구에서 간호학 전공생의 전공만족 도는 일반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보다 높았으며[4], 간호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을수록 간호사에 대한 업무적 이미지가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1]. 그 외에도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본 연구[5]와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의 관련성을 본 연구[6] 등이 있었다. 하지 만 역으로 학생간호사의 간호사의 이미지 인식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더불어 미래의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생들이 체 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간호에 대한 올바른 전문 직관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7]. 간호전문 직관은 전문직으로서 간호에 대한 체계적인 견해 와 간호사들의 간호활동 과정이나 그 직분에 대한 직업 의식적인 견해[8]로 전인간호의 실천핵심이며 가치관과 연결된다. 따라서 간호교육을 통해 간호 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이 잘 형성되어야만 간호사가 되어서도 간호전문직관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으 므로,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형성은 매우 중요 하다 할 수 있다[4].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과 의 관계를 본 선행 연구로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 문직 사회화와의 관계[1][9], 간호사에 대한 이미지 와 전문직 자아개념[10],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간 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를 본 연구 [3][7]가 있다.

    그리고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과의 관계를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 문직관은 순 상관관계를 가지며, 이는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인격과 태 도, 자세 등과 관련하여 예비간호사로서의 자기 모 습과 간호사의 업무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짐 을 시사하고 있다[4].

    이와 같이 기존 선행 연구는 간호사이미지와 전 공만족도와의 관계, 간호사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의 관계,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를 본 연구가 대부분이며 전공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서 간호사 이미지와, 그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역 할을 통합해서 보는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간 호사 이미지는 대중매체 등을 통한 다양한 사회문 화적, 대중적인 인식의 영향을 받아 형성[2]된 것 이기 때문에 대학에서의 간호학 교육만을 통해 단 기간의 교육과정 동안 변화시키기가 쉽지가 않다. 그리고 전공만족도는 미래와 전공에 대한 충분한 고민 없이 입시 성적에 맞춰서 전공을 선택한 학 생들이 교육과정을 받는 동안 전공만족도가 낮아 지는 것[5]을 볼 수 있으며, 전공만족도를 낮추는 여러 요인들이 있지만 이미 전공 선택 단계에서 적성이나 본인 의지와 다른 길로 들어선 경우 전 공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을 찾기가 쉽지 않다. 반면 간호전문직관은 간호교육 과정 내 간호전문직관, 간호윤리, 간호학개론 등의 교과목을 통해서 간호 전문직에 대한 단계적인 위상의 정립[4]이 가능하 다. 그리고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 확립은 현재 간 호계의 당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 로 떠오르고 있으며, 아직 개념형성과정에 있는 간 호대학생들에게 이를 교육하는 것은 중요하다[3]. 따라서 교육과정 내에서 체계적이고 지속적 정립 이 가능한 간호전문직관이 교육내용과 방법의 개 발과 노력 여부에 따라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 도를 변화시키는 전략으로서 현실적으로 용이한 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전문직관이 간 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 을 하는지 간호전문직간의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 미지와 간호전문직관, 전공만족도의 통합적인 관계 와 역할을 규명하고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 전문직관 정립을 위한 간호교육방 법을 모색하여 나아가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분석 연구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간호사에 대한 올바르고 정확한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정립이 전공만족도 향상으 로 이어져, 전공과 관련된 진로를 결정하고 진로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나아가 임상에서 간호사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2.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사 이미 지와 간호전문직관, 전공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 간호전문직관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구 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전공만족도 정도를 파악한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전공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의 관 계에 있어 간호전문직관의 매개역할을 분석한다.

    3.연구의 개념적 기틀 및 가설 설정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의 관 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역할을 확인하기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명제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경로 가설을 설정하 였다. 선행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간호사 이미지가 긍정적일수록 간호전문직관도 높아지며 [3][7][11], 간호사 이미지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도 높았다[12]. 그리고 간호대학생이 확고한 간호전문 직관을 가질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고[4],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는 간호전문 직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13]. 이 상의 선행연구결과를 토대로 변수간의 3개의 가설 적 경로를 설정하였다<Figure 1>.

    본 가설적 모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경로 가설 을 설정하였다.

    가설1: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간호사 이미지는 간호전문직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간호사 이미지는 전공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간호전문직관은 전공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Ⅱ.연구방법

    1.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사에 대 한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전공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 간호전문직관의 역할을 파악하고자 시도 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연구대상

    대한민국 K시 소재의 간호학과 2, 3,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였다. 전공 수업이나 실습을 경험하지 않고 입학한지 두 달 밖에 되지 않은 신입생들에게 전공만족도와 간호 전문직관을 파악하는 것은 타당치 않은 것으로 판 단하여 1학년 신입생은 배재하였으며, 다른 과를 졸업하거나 경험한 편입생과 40세 이상의 복학생 은 제외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표본크기는 G power 3.1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05, 효과크기 .15, 검정력 .95로 하였을 때 총 표본수를 확인한 결과 260명으로 계산되었다. 이를 근거로 탈락률 30%를 고려한 결과 260명/(1-0.3)=371명으로 나와, 이와 함께 학년별 고른 분포를 고려하여 2학년 150명, 3학년 150명, 4학년 150명, 총 450명의 대상 자를 편의 표집하였다.

    3.연구도구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 평가는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으로 하였다. Varimax 회전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적인 탐 색적 요인분석의 요인과 문항의 선택기준은 고유 값(Eigen value) 1.0 이상, 요인부하량 0.4 이상의 기준에 따랐다. 신뢰도 평가는 Cronbach's alpha 계수를 구하였으며, 일반적인 신뢰성 확보 기준인 0.6 이상의 기준에 따랐다.

    1)간호사 이미지

    간호사 이미지란 간호사 자신이 간호에 대해 갖 고 있는 신념뿐 아니라 간호사와 함께 상호작용하 는 의사, 병원 직원, 환자와 보호자가 경험을 통해 간호와 간호사에 대해 품고 있는 생각, 느낌 등을 의미한다[14]. 본 연구에서 간호사 이미지란, 간호 학 전공학생으로서 간호사에 대한 느낌과 견해로 Lee et al.[15]이 개발하고 Jang[16]이 수정․보완한 간호사 이미지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 변수는 척도 순화과정을 통하여 일부 항목을 제거 하였고 총 29문항 중 6개 문항이 이론 구조에 맞 지 않게 적재되어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23개 문항 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최종 분석에 이용한 문항은 자질 9문항, 역할 3문항, 사회참여 7문항, 대인관계 4문항으로 4개 영역, 총 23문항이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 지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사 이미지가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s α값은 Jang[16]의 연구에서는 .950이었고, 본 연구 에서는 .949이었으며, 하위영역으로 자질 .908, 역 할 .794, 사회참여 .870, 대인관계 .887이었다.

    2)간호전문직관

    간호전문직관은 전문직으로서의 간호에 대한 체 계화된 견해와 간호를 담당하는 자의 간호활동 과 정에서나 그 직분 자체에 대한 직업 의식적인 견 해[17]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Yeun et al.[17] 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측정변 수는 척도 순화과정을 통하여 일부 항목을 제거하 였고 총 29문항 중 2개 문항이 이론 구조에 맞지 않게 적재되어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27개 문항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최종 분석에 이용한 문항은 전 문직 자아개념 9문항, 사회적 인식 7문항, 간호의 전문성 4문항, 간호실무역할 4문항, 간호의 독자성 3문항으로 5개 영역, 총 27문항이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 지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이 높게 정립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부정문항은 역으 로 환산하였다. 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s α값은 Yeun등의 연구에서는 .920이었고, 본 본 연구에서 는 .953이었으며, 하위영역으로 전문직 자아개념 .931, 사회적 인식 .886, 간호의 전문성 .831, 간호 실무역할 .900, 간호의 독자성 .865이었다.

    3)전공만족도

    전공만족도란 개인이 설정한 진로나 직업에 대 한 기준과 비교하여 현재 자신이 소속한 전공을 평가하는 판단과정의 산물[18]을 의미한다. 본 연 구에서는 Illinois대학에서 개발한 Program Evaluation Survey를 토대로 Cho[19]가 학교만족 을 제외한 나머지 26개 문항으로 수정보완 한 도 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변수는 척도 순화 과정을 통하여 일부 항목을 제거하였고 총 26문항 중 7개 문항이 이론 구조에 맞지 않게 적재되어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19개 문항을 분석에 이용하 였다. 최종 분석에 이용한 문항은 일반만족 5문항, 교과만족 5문항, 관계만족 3문항, 인식만족 6문항 으로 4개 영역, 총 19문항이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음을 의 미한다. 부정문항은 역으로 환산하였다. 본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s α값은 Cho[19]의 연구에서는 .920였고, 본 연구에서는 .910이었으며, 하위영역으 로 일반만족 .827, 교과만족 .783, 관계만족 .782, 인식만족 .882이었다.

    4.자료수집

    본 연구는 K대학 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의 승 인을 받았다(IRB승인 번호: Kaya IRB-116호). 자료 는 2016년 4월 25일부터 5월 06일까지 K시 소재의 일대학교 간호학과 2, 3,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직접 연구의 목적 및 자료 수집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동의를 받은 뒤 연구 참여 동의서가 첨부된 설문지 450부를 배부하였다. 자료수집 시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 내용, 익명 성에 대해 설명하였고 응답결과는 순수하게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할 것에 대해 고지하고 서면으로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은 사람에 한해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총 450부의 설문지 중 445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응답된 설문지 중에서 불 충분한 응답 설문지 16부를 제외한 429부의 설문 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연구이외의 타 용도로 사용하지 않았고, 연구자가 지정한 별도의 하드디스크에 보관 후 단독 관리하 였으며 연구를 위해 사용된 설문지는 3년 보관 후, 소각 처리 할 예정이다.

    5.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과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 였다.

    측정 도구의 타당성과 문항의 내적일관성은 탐 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검정하였 다.

    대상자가 인식하는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 관, 전공만족도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 다.

    대상자가 인식하는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 관, 전공만족도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확인하였다.

    대상자가 인식하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 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 검정을 위 한 가설적 모형 검증 및 효과 분석은 경로분석을 적용하였다.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경로의 유 의성 검정은 경로계수추정치와 Critical Ratio(CR) 을 이용하였고, 매개효과의 확인은 간접효과의 통 계적 유의성 검정을 위해 Bootstrapping 방법을 이 용하였다.

    Ⅲ.연구결과

    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연령이 20.69세(SD=1.651) 이었고, 성별은 여학생이 89%, 남학생이 11%였다. 학년별 분포는 2학년 38.2%, 3학년 28.9%, 4학년 32.9%였으며, 동아리 활동 유무는 있음이 49.7%, 없음이 50.3%로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종교가 없는 학생이 63.9%로 더 많았으며, 병원 등 교외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경우가 38.9%, 없는 경우가 61.1%를 차지했다. 간호학과 전공 선택 동기는 본 인의지로 지원한 경우 63.4%, 부모나 선생님의 권 유 32.6%, 성적에 맞춰서 4% 순으로 나왔다<Table 1>.

    2.대상자의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전 공만족도 정도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간호사 이미지는 1~5점 의 범위에서 평균 4.00이었으며, 하위영역별로는 하위영역 별로는 자질이 4.06점으로 가장 높고, 다 음으로 사회참여 4.02, 역할 3.84, 대인관계 3.70 순 이었다. 간호전문직관은 1~5점의 범위에서 평균 3.89였으며, 하위영역별로는 간호의 전문성이 4.00 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간호실무역할 3.97, 전문직 자아개념 3.95, 간호의 독자성 3.81, 사회적 인식 3.76 순으로 나왔다. 전공만족도의 평 균평점은 1~5점의 범위에서 평균 3.79로 인식만 족이 4.17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그 다음 으로 일반만족 3.66, 교과만족 3.65, 관계만족 3.46 순이었다<Table 1>.

    3.간호사 이미지, 간호전문직관, 전공만족도의 상관관계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전공만족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간 호대학생들의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r=.823, p<.001),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 (r=.665, p<.001),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도 (r=.609, p<.001)는 각각에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 계가 있었다. 그리고 변수 간 상관관계가 .90 이상 이면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제기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 최대 .823(.609와 .823간)이므로 다중공선 성의 문제는 없었다<Table 2>.

    4.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간호 전문직관의 매개효과 검정을 위한 경로분석

    1)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검정

    이 연구의 목적인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이라는 변 수가 매개작용을 하는지 확인을 위해 설정한 가설 적 모형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분석 은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모두 파악하여 좀 더 의미있는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 이 있으므로[20], 일반적인 회귀분석이 아닌 경로 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은 자유도(Degrees of freedom) 가 0인 포화모형(model)으로 나와 ‘parameter에 구 속을 전혀 과하지 않는 완전 적합 모형인 포화모 형은 적합도 지표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치 않다’는 근거[20]에 따라 적합도 검정은 생략하였다.

    2)측정변인간의 경로의 유의성 및 효과 분석

    경로계수를 보면, 3개의 경로가 모두 유의한 것 으로 나와 가설 1에서 가설 3까지 모든 가설은 지 지되었다. 먼저 간호사 이미지는 간호전문직관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β=.82, t=29.96, p<.001), 직 접효과는 .82(p=.003), 총효과는 .82(p=.003)로 모두 유의하였고 간접효과는 없었다. 다음으로 전공만족 도에는 간호사 이미지가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β=.51, t=8.08, p<.001), 직접효과는 .51(p=.008), 총 효과는 .67(p=.006)로 모두 유의하였고, 간접효과는 .16으로 붓스트래핑(bootstrapping)으로 검증한 결 과 p값이 .002로 나와 간접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전공만족도에 정(+) 의 영향을 미쳤으며(β=.19, t=3.04, p=.002), 직접효 과(.91, p=.002)와 총효과(.91, p=.002)는 있었으나 간접효과는 없었다. 즉, 간호사이미지가 전공만족 도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호전문직관을 매개로 하여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모두 유의하 였으므로, 간호전문직관이 간호사이미지와 전공만 족도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3><Figure 2>.

    Ⅳ.고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사 이미 지와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의 관계를 규명하고 간호전문직관의 매개역할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 으며, 주요 결과들을 논의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 변수들에 대한 전체 수준의 관찰 결 과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간호사 이미지 총점의 평균은 4.00점으로 중간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Ga[5], Seong[7]의 연구에서 보고한 간호대학생의 3.80점, Soe[21]의 연구에서 보고한 간호대학생의 3.54보다 높은 수준이다. 간호대학생이 대상이 아 닌 의사와 일반인,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사이미지 를 연구한 Jang[16]의 연구에서는 의사가 3.21점, 일반인 3.14점, 환자 3.67점으로 간호대학생이 타 의료직종과 일반인 보다 간호사에 대한 이미지를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간호대학생이 간호사이미지를 높게 인식한다는것 은 본인의 미래상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가치관 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인 현상이지만, 반 면에 일반인들의 간호사이미지에 대한 인식 차이 가 있으므로 보다 간호사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변 화시킬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어 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간호사 이미지의 하위 영역을 보면 자질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사회참 여, 역할, 대인관계 순으로 나왔는데 이는 선행 연 구결과[5][7][16][21]와 유사하였다.

    간호대학생이 간호사의 자질은 높게 평가하나 역할과 대인관계 등에 대해 부정적 반응을 보인 것은 의사의 보조역할이라는 간호사의 역할 수동 성에 대한 고정관념과,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진은 권위의식이 있고 불친절하다는 편견이 불러온 결 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간호사의 이미지 중 역할과 대인관계에 대한 인식 개선은 간호전문직의 발전 을 위해 시급히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로 여겨진 다.

    간호전문직관은 평균 3.89점이었으며, 이는 같 은 도구를 사용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측정 한 Go et al.[22]의 3.52, Gu[3]의 3.76보다는 높았 으며, Sung et al.[7]의 3.83, Park & Oh[23]의 3.82, Lim등[24]의 3.91과는 유사한 결과였다. 하위영역 별로는 간호의 전문성이 4.00으로 가장 높았으며, 간호실무역할 3.97, 전문직 자아개념 3.95, 간호의 독자성 3.81, 사회적 인식 3.76 순 이었다. 선행연 구 결과와 비교해보면 전체적인 순서에서 일부 차 이가 있었는데, Gu[3]의 연구에서는 전문직 자아개 념 3.99 간호실무 역할 3.94, 간호의 전문성 3.72, 간호의 독자성 3.59, 사회적 인식 3.45 순이었고, Sung et al.[7]의 연구에서는 간호실무역할 4.00, 간 호의 전문성 3.99, 전문직 자아개념 3.97, 사회적 인식 3.65, 간호의 독자성 3.39 순으로 나왔으며, Go et al.[22]의 연구에서는 간호의 전문성 3.80, 간 호의 독자성 3.73, 간호실무역할 3.68, 전문직 자아 개념 3.60, 사회적 인식 3.11 순으로 나왔다. 그러 나 공통적으로 사회적 인식과 간호의 독자성이 낮 게 나온 것은 주목할 만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따 라서 대중에게 간호사의 다양한 전문적인 역할과 분야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노력이 요구되며, 의 료체계 내에서 간호가 독립적인 영역으로 인정받 을 수 있도록 간호계의 정책적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전공만족도의 평균평점은 평균 3.79으로 나왔는 데 이는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 으로 측정한 Ga[5]의 3.60, Go et al.[22]의 3.54, Lim et al.[24]의 3.28보다 높은 수준이며, Park과 Oh[23]의연구에서 보고한 간호대학생의 3.82보다 는 낮은 수준이었다. 전공만족도의 하위영역을 보 면 인식만족이 4.17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일반만족 3.66, 교과만족 3.65, 관계만족 3.46순이었 다. 이는 인식만족, 일반만족, 교과만족, 관계만족 순으로 나온 Ga[5], Chae와 Jung[25]등의 연구결과 와 일치하였으며, 교과만족, 인식만족, 일반만족, 관계만족 순으로 나온 Go[22]의 결과와는 다소 차 이가 있었으나, 공통적으로 관계만족이 낮게 나온 것 또한 주목할 만한 결과이다. 이는 간호학과 교 수들의 학생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대한 노력과 지도법의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결 과이다.

    둘째,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간호사이미지가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는데 이는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간 호사 이미지가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Gu[3], Sung et al.[7], Lee[10], Cho & Kim[11], Ham et al.[13]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 과이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에게 긍정적인 간호전 문직관을 심어주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간호와 간 호사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질 수 있도록 교과과정과 비 교과과정에서의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사이미지가 높을수록 전공만족 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Ga[5]의 연구에 서 간호사 이미지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게 나왔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그리고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간호전문직관 정도가 높을수록 전공만족 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간호전문직 관과 전공만족도가 강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Kwon & Yoon[4], Go et al.[22], Park & Oh[23]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 간호전문직관은 간호 사의 직업 의식적 견해로서, 간호가 전문직으로 발 전하기 위한 의식의 시작이라 할 수 있으며[23],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의 확립은 간호사로서의 첫 걸음을 시작하는 간호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와 간호 전문직관 정도가 높으면 전공만족도가 높아지며, 간호사 이미지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간호전문직관이 긍정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여러 노력들이 필요하지만 그 중에서 도 간호전문직관 정립이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함 을 보여준다. 그리고 간호학 교육 과정을 통해 간 호사에 대한 전문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학교 및 교수 차원에서의 다양한 교과 비 교과 프로그램을 통한 지지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7]. 특히 전공만 족도가 낮은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간 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을 형성하고 높은 수 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반 영한 교육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심도 있게 이 뤄진다면 이는 결국 전공만족도로 이어져 간호대 학생들의 만족스러운 대학생활 성취에 도움이 될 것이다.

    Ⅴ.결론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간호사 이미 지와 간호전문직관, 전공만족도의 통합적인 관계와 역할을 규명하고 바람직한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 전문직관 정립을 위한 간호교육방법을 모색하여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다른 시각에서 분석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은 전공만족도에 정 (+)의 직접효과가 있었고, 간호사이미지는 간호전 문직관에도 정(+)의 직접효과가 있었다. 또한 간호 사이미지는 전공만족도에 간접효과가 있었으며, 간 호전문직관을 매개로 하여 전공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와 간호전문직관 정도가 높으면 전공만족도가 높 아지며, 간호사 이미지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에서 간호전문직관이 긍정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 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일개 대학을 대상으로 편의표 집 하였기 때문에 편중 위험을 배제할 수 없으므 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할 것 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간호계의 당면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간호전문직관을 매 개변수로 적용해 보았으나,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에 비해 훨씬 큰 개념으로 단 순히 매개 역할만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셋째,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지역, 학제 등의 특 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 직관을 강화시키기 위한 교육전략 및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 다.

    Figure

    KSHSM-10-225_F1.gif
    Hypothetical model
    KSHSM-10-225_F2.gif
    Path diagram of model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Scores on Degree of Image of Nurse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N=429)
    Correlations among Scores on Image of Nurses, Nursing Professionalism,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N=429)
    Coefficients and Effects of Predictor Variables in Path Model (N=429)

    Reference

    1. Choi J. , Ha N.S. (2009) The relationship among image of nurses, self esteem and professional socialization in nursing student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5 (1) ; pp.54-63
    2. Jeong H.S. , Yoo Y.S. (2010) Image of nurses as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and image determinants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24 (1) ; pp.29-38
    3. Gu H.J. , Lee Y.S. (2015) The Correlation between nurse's image, biomedical ethics and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 Society, Vol.16 (11) ; pp.7356-7366
    4. Kwon Y.M. , Yoon Y.J. (2007) A Correlation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epartment satisfaction, sociality,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3 (3) ; pp.285-292
    5. Ga M.J. , Kim S.M. , Kim Y.K. , Nam S.J. , Oh R.M. , Yuk J.S. (2010) Nursing students' image of nurse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 Journal of Ewha Nursing University, ; pp.1-15
    6. Lee J.Y. (2011) Correlations between nurse image, satisfaction of major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in a diploma nursing students , Korea Higher Voc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Vol.12 (3-4) ; pp.213-224
    7. Seong J.A. , Yeom E.Y. , Do Y.S. (2014) Image of nurses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s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4 (11) ; pp.798-809
    8. Weis D. , Schank M.J. (2000) An instrument to measure professional nursing values caring and activism are the two main factors in this eight-factor scale , J. Nurs. Scholarsh, Vol.32 (2) ; pp.201-204
    9. Oh D.J. , Choi C.J. , Kwon B.E. , Park Y.H. (2005) The Effects of image of nurses on professional socialization among nursing students ,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1 (1) ; pp.64-72
    10. Lee J.A. (2004) A study on the image of nurses and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0 (3) ; pp.325-334
    11. Cho H.H. , Kim N.H. (2014) Relationships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nurse image, and core elemen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that nursing students perceive ,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0 (4) ; pp.548-557
    12. Lee J.Y. (2011) Correlations between nurse image, satisfaction of major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in a diploma nursing students , Korea Higher Voc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Vol.12 (3-4) ; pp.213-224
    13. Ham Y.S. , Kim H.S. , Ch I.S. , Lim J.Y. (2011) Affecting fa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senior nursing students ,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7 (3) ; pp.536-544
    14. Song I.J. (1993) A Comparative Study of the Opinon on the Image of Nursing Among the Doctors, Nurses, other Hospital Personnel and the General Public , The Korean nurse, Vol.32 (2) ; pp.51-62
    15. Lee H.R. , Cho K.O. , Ko J.E. , Hong M.R. , Kim S.Y. , Shin H.S. (1992) The image of nurses , Journal of Kyunghee University, Vol.15 ; pp.45-65
    16. Jang S.H. (1988) The image of nurses, Kyunghee University, ; pp.50-78
    17. Yeun E.J. , Kwon Y.M. , Ahn O.H. (2005)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ale , J. Korean Acad. Nurs, Vol.35 (6) ; pp.1091-1100
    18. Ha H.S. (1988) A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Kyunghee University, ; pp.42-73
    19. Cho W.S. (2009)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and academic achievment in accordance with major-interest correspondence of the university students, Daejin University, ; pp.60-90
    20. Heo J. (2013) Amos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easy to follow Heo Jun, Hannarae, ; pp.136-150
    21. Seo E.H. (2009) Nurses' image perceived by nursing and health allied college students in korea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5 (4) ; pp.610-616
    22. Go J.E. , Kim M.H. , Kim E.J. , Kim H.J. , Um J.E. , Lee H.A. (2011) The relation between nursing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and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 Journal of Ewha Nursing University, ; pp.29-44
    23. Park H.J. , Oh J.W. (2014) The relationships of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the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with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12) ; pp.417-426
    24. Lim S.Y. , Kim S.Y. , Choi H.M. (2015) The relationships of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self-esteem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1 (2) ; pp.45-51
    25. Chae M.J. , Jung H.J. (2016)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on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0 (3) ; pp.213-222
    October 27, 2016
    December 1, 2016
    December 19, 2016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