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1 No.1 pp.79-89
https://doi.org/10.12811/kshsm.2017.11.1.079

간호사의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 (부산, 경남지역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유 수정, 하 원춘‡, 박 영미, 하 윤옥, 배 경희
부산대학교병원

A Study of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garding Medical Waste (Busan and Kyongnam Province University Hospitals)

Su-Jeong Yu, Won-Chun Ha‡, Young-Mi Park, Yoon-Ok Ha, Kyung-Hee Ba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san

Abstract

Objectives :

As a descriptive study,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garding medical waste and factors influencing these variables, based on nurses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s in Busan and Gyoengnam provinces.

Methods :

The 508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five university hospitals in Busan and Kyongnam provinces and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between June 1 and July 15,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3.0 based o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analysis.

Results :

The average scores for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garding medical waste among the participants were 15.88 (1.71), 4.38 (0.45), and 4.24 (0.40) respectively. When the scores for the knowledge and attitude related to medical waste were higher, the score for practice (r=.500, p<.001) increased,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practice regarding medical waste was attitude toward medical waste (β=.45, p<.001).

Conclusions :

Thus, to reinforce a positive attitude toward medical waste management, continuous education and a systematic approach to minimize health and environmental hazards are needed.


    Pusan National University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사회가 경제발전을 이루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요구도가 나날이 상승하고 있으며 에볼라, 메르스 바이러스와 같은 기후의 변화로 인한 전염병의 확산으로 병원 내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한 일회용 의료소모품의 사 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1][2]. 의료기관은 그 본 질이 환자의 질병을 연구하고 치유하는 고유의 업 무를 행하는 개체로서 의료폐기물에 대한 안전관 리가 소홀할 경우 기관 내 직원이 감염되는 경우 가 발생할 수 있고 담당 작업자뿐만 아니라 외부 에 있는 모두에게 잠재적 위험성을 유발할 수 있 다[3][4][5].

    폐기물관리법 제 2조 제 5호에 의하면 의료폐기 물이란 ‘보건・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검사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 위해 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과 인체 조직 등 적출물, 실험동물의 사체 등 보건・환경보호 상 특별한 관 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폐기물로서 대통령령으 로 정하는 폐기물’을 말한다[6]. 의료폐기물은 지정 폐기물의 하나로서 격리 의료폐기물, 위해 의료폐 기물, 일반 의료폐기물로 나눠지며 이들은 발생했 을 때부터 종류별로 전용용기에 넣어 보관하고, 사 용 중인 전용용기는 내부의 폐기물이 새지 않도록 관리해야하며 절대 재사용은 금지하는 등 의료폐 기물의 취급에서 처리까지 체계적 접근을 통한 의 료폐기물 분류・관리방법을 따라야 한다[7].

    우리나라 의료폐기물 배출기관은 2011년 약 5만 5000개소(84%)로 이중 313개소에 불가한 종합병원 에서 의료폐기물의 55%를 배출하고 있으며 감염의 우려가 높기 때문에 철저히 관리해야 함에도 불구 하고, 환경부가 관리하는 대형병원에서조차 의료폐 기물에 대한 관리 소홀로 과태료 처분 또는 고발 조치 되는 등 위반건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8][9]. 가장 많은 의료폐기물 위반은 전용용기 미 사용, 표기사항 미기재, 보관기준 초과 등[9]으로 Shin et al.[8]은 일회용 포장재와 각종 멸균을 위 한 포장재 등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임에도 의료 폐기물로 처리하거나 분리수거가 제대로 되지 않 아[10], 체계적인 분리수거를 통한 의료폐기물의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의료폐기물의 처리 비용을 낮추면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4] 의료폐 기물의 분리배출이 많은 임상현장에서 보다 안전 하고 위생적으로 취급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 하겠다.

    현재까지 의료폐기물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 보면 의료폐기물 발생[11], 처리[2][12], 관리개선 [13][14]에 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고, 대학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각 직업군의 의료폐기물에 대 한 특성을 비교한 연구[3][15][16]와 종합병원 간호 사를 대상으로 지식, 태도 및 실천정도를 파악한 연구[1][17]들이 진행되었다. 대학병원은 상급종합 병원으로서 중증환자의 과밀화와 감염환자의 격리 증가로 자원부족뿐만 아니라 간호인력 부족 등 열 악한 상황에서도 감염과 전염병 확산의 위험을 최 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어떤 행위의 결과로 다분히 주관적인 지식과 경험이나 학습을 통해 변화 가능한 태도, 의료폐기물 관리 실천 정 도를 확인하는 것은 의료폐기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의 변화를 이끌어 실천 수준을 높이고 의료폐 기물 관리 정착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서비스접점에서 근무하고 있는 부산, 경남지역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 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정도와 각각의 상관관계 및 실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 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2.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접점에서 근무하고 있 는 부산, 경남지역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 료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정도와 각각의 상관관계 및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 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 식, 태도 및 실천정도를 파악한다.

    •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폐기물의 지식, 태도 및 실천의 차이를 파악한다.

    • 3) 대상자의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4) 대상자의 의료폐기물의 실천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한다.

    Ⅱ.연구방법

    1.연구대상자 및 자료수집 방법

    본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정 도와 각각의 상관관계 및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2016년 6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 부산 광역시에 소재한 4개 대학병원과 경남지역에 소재 한 1개 대학병원 간호사로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 에 동의한 520명 중 설문지 조사를 거부하였거나 응답이 불충분하였던 12명을 제외한 508명을 대상 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먼저 부산대학교 임상시험심사 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심의면제 승인을 받은 후 진행하였으며(IRB 번호: E-2016053), 각 대학병원 간호부를 방문하여 연구의 목적과 내용, 자료수집 방법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 뒤, 연구 참여에 동 의하고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 다. 연구대상자는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어느 때라 도 설문을 철회할 수 있으며 익명성과 비밀보장이 됨을 설명하였고 설문지 작성 후에는 소정의 선물 을 제공하였다.

    2.연구도구

    본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 결혼여 부, 학력, 근무부서, 근무경력, 의료폐기물 교육유 무, 기관담당자 유무의 7문항과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 20문항, 태도 15문항, 실천 16문항으로 총 58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1)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은 어떤 대상에 대하여 배우거나 실천을 통하여 알게 된 명확한 인식이나 이해로서 Jang[4]이 개발한 ‘감염성 폐기물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 20문항을 폐기물 관리법(2015)을 참 고하여 근무자가 소속한 병원의 수간호사 3인 이 상이 현 실정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으 며 도구의 주된 내용은 의료폐기물의 종류, 발생기 관, 발생장소, 관리방법, 분리방법, 종류별 전용용 기, 보관기준, 보관방법, 처리방법, 관계법령, 오염 세탁물 분리수거 및 처리방법 등으로 이루어졌다.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 문항은 각 문항에 대한 정답은 1점, 오답은 0점으로 가능한 점수범위는 0~20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개발된 도구는 간호부 팀장 2인과 기관의 의료폐기물 담당자 1인 총 3인 의 전문가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2)의료폐기물에 대한 태도

    의료폐기물에 대한 태도는 사물, 사람, 제도 또 는 사건에 대해 호의적 또는 비호의적으로 반응하 는 자세로 타고난 것이 아니라 경험이나 학습을 통해 변화 가능한 것으로써 Park[1]이 개발한 ‘감 염성 폐기물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 15문항을 이용 하였다. 도구의 주된 내용은 환경오염과 관련사 항, 보건학적 위해성, 배출시 분리수거, 법적개념에 대한 태도 등으로 이루어졌다. 각 문항은 ‘그렇지 않다’ 0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로 가능한 점 수범위는 5~75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의료폐기 물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측정도 구의 신뢰도는 Park[1]의 연구에서 Cronbach’s a=.89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a=.90이 었다.

    3)의료폐기물에 대한 실천

    의료폐기물에 대한 실천은 지식과 태도를 바탕 으로 실제로 행하여지고 있는 행동을 의미하며 Park[1]이 개발한 ‘감염성 폐기물에 대한 실천’ 측 정도구 16문항을 이용하였다. 각 문항은 ‘아주 못 한다’ 0점에서 ‘아주 잘한다’ 5점까지로 가능한 점 수범위는 0~80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의료폐기 물에 대한 관리 실천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Park[1]의 연구에서 Cronbach’s a=.88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a=.86이 었다.

    3.자료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과 표준편차로 분석하고,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정도는 최소값, 최대값, 평균과 표준 편차로 분석하였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로 검정하였다.

    •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폐기물의 지식, 태도 및 실천의 차이는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로 분석하고, 사후검정은 Scheffe’ s test를 이용하였다.

    • 3) 대상자의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간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로 분석하였다.

    • 4) 대상자의 의료폐기물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Ⅲ.연구결과

    1.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연령은 25~29세가 38.2%로 가장 높았고, 평 균 연령은 28.12세로 나타났다. 결혼유무는 미혼이 76.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학력은 4년대 대 졸이 64.6%로 가장 많았고, 근무부서는 내과병동이 41.9%, 외과병동 27.0%, 중환자실 20.7% 순으로 나 타났다. 근무경력은 24개월 미만이 28.1%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66.7개월로 나타났다. 의료폐기물 교육유무는 ‘예’라고 답한 경우가 84.1%로 대부분 을 차지하였으며, 기관 내 의료폐기물 담당자 유무 는 ‘있다’고 답한 경우가 71.7%로 높게 나타났다.

    2.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본 연구대상자의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의 평균은 15.88(1.71)점이 며, 태도의 평균은 4.38(0.45)점, 실천의 평균은 4.24(0.40)점으로 나타났다.

    3.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폐기 물의 지식, 태도 및 실천정도의 차이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폐기 물의 지식, 태도 및 실천정도의 차이는 <Table 3> 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은 연구대상자의 연령(F=12.959, p<.001), 결혼(t=3.890, p=.001), 학력(F=15.097, p<.001), 근무경력(F=7.039, p<.001), 의료폐기물 교육유무(t=3.376, p<.001)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다. 연령의 경우, 35세 이상 에서 지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혼인 경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은 대학원 이상인 경우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경력이 10년 이 상인 경우, 의료폐기물 교육을 받은 경우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의료폐기물에 대한 태도는 연령(F=12.609, p<.001), 학력(F=19.365, p<.001), 근무경력(F=4.768, p<.001), 의료폐기물 교육유무(t=-3.506, p<.001), 기 관 담당자 유무(F=6.969, p<.001)에 따른 차이를 나 타내었다. 연령의 경우 35세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 으며 학력은 대학원 이상인 경우 높게 나타났고, 근무경력은 24~48개월인 경우 낮게 나타났으며 의 료폐기물 교육을 받은 경우, 기관의 담당자가 있는 경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폐기물에 대한 실천의 경우, 연령(F=4.643, p=.003), 학력(F=4.764, p=.009), 근무부서(F=50.259, p<.001), 근무경력(F=2.593, p=.025), 의료폐기물 교 육유무(t=-4.768, p<.001), 기관 담당자 유무 (F=9.281, p<.001)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다. 연령 의 경우 35세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고, 학력은 대 학원 이상인 경우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부서가 수 술실인 경우, 의료폐기물 교육을 받은 경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경력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24~48개월인 경우 가장 낮고 60개월 이상인 경우 높게 나타났으며, 기관 담당자 유무에 따른 결과에서도 담당자가 있는 경우 상대 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4.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간의 상관관계

    본 연구대상자의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간의 상관분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즉, 의료폐기물의 지식이 증가할수록, 의료폐기물 의 태도(r=.198, p<.001)와 실천(r=.188, p<.001)은 증가하고, 의료폐기물의 태도가 증가할수록 의료폐 기물의 실천(r=.500, p<.001)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 타나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5.의료폐기물에 대한 실천 영향요인

    연구대상자의 의료폐기물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모형Ⅰ 에서는 일반적 특성에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난 연 령, 학력, 근무부서, 의료폐기물 교육유무, 기관 담 당자 유무가 포함되었고 경력의 경우, 연령과의 높 은 상관성으로 다중공선성이 발생하여 모형에서 제외되었으며 설명력은 .092로 나타나 모형은 유의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근무부서의 경우 내과를 기 준으로 외과(β=.09, p=.048)와 수술실(β=.13, p=.003)의 실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경 험이 있는 경우(β=-.18, p<.001) 실천이 높게 나타 났고, 기관 담당자 유무를 모르는 경우(β=-.14, p=.002) 실천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Ⅰ에서 지식과 태도를 추가한 모형Ⅱ의 경 우 Durbin-Watson 값은 1.852로 2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어 자기 상관성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으 며, VIF 값은 1.059~1.877로 10을 넘지 않아 다중 공선성은 발생하지 않았다. 설명력은 .293으로 크 게 높아졌으며 모형유의성을 만족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대한 결과는 모형Ⅰ과 동일하였으며 추가 된 태도(β=.45, p<.001)에서 높은 양의 회귀계수를 나타내어 태도가 실천의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임 을 알 수 있었다.

    Ⅳ.고찰

    본 연구는 서비스접점에서 근무하고 있는 부산, 경남지역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폐기물 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정도와 각각의 상관관 계 및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의 료폐기물 관리 실천 수준을 높이고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자 시도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은 연령, 결혼, 학력, 근무경력, 의료폐기 물 교육유무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연령은 35세 이상에서 지식이 높게 나타났고, 학력은 대학 원 이상인 경우, 근무경력이 10년 이상인 경우, 의 료폐기물 교육을 받은 경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Joo[2]의 연구에서 연령, 학력, 근무경력, 직종, 의 료폐기물 교육유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 며 Park[1]의 연구에서는 학력에서, Jang[17]의 연 구에서는 연령, 학력, 근무경력, 결혼여부에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은 임상 경험이 풍부하고, 학력이 높으며, 의료폐기물 교육 을 받은 경우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부서 내 의료폐기물 관리를 위한 지침서의 배치 및 집담회 등을 통한 자체적인 교육이 뒷받침되어 야 신규 및 경력간호사의 빠른 업무적응과 더불어 의료폐기물의 체계적이면서 안전한 관리가 이뤄질 것으로 사료된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폐기물에 대한 태도는 연령, 학력, 근무경력, 의료폐기물 교육유무, 기관 의 의료폐기물 담당자 유무에 따른 차이가 있었는 데 연령은 35세 이상인 경우, 학력은 대학원 이상 인 경우 높게 나타났고 근무경력이 24~48개월인 경우 낮게 나타났으며 의료폐기물 교육을 받은 경 우, 기관의 의료폐기물 담당자가 있는 경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Joo[3]의 연구와 Yang[15]의 연구 에서도 연령, 학력, 근무경력, 직종에서 유의한 차 이를 나타내었으며 Park[1]의 연구에서는 연령, 근 무경력에서, Yu[16]의 연구에서는 직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폐기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지식과 더불어 바람직한 행동변 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 양한 요인들을 분석하여 임상현장의 환경에 좋은 실천행위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행위중심의 실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17].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폐기물에 대한 실천은 연령, 학력, 근무부서, 근무경력, 의료폐기물 교육 유무, 기관의 의료폐기물 담당자 유무에 따른 차이 를 나타내었는데 연령의 경우 35세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고, 학력은 대학원 이상인 경우 높게 나타났 다. 근무부서는 수술실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 폐기물 교육을 받은 경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Joo[3]의 연구에서는 연령, 학력, 근무경력에서 유 의한 차이가 있었고 Jang[17]의 연구에서는 연령, 학력, 근무경력, 결혼여부, 의료폐기물 교육유무, 기관의 의료폐기물 담당자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 식, 태도와 실천정도를 살펴보면 대부분 임상에서 근무경력이 많고, 대학원 이상의 고학력자이며 의 료폐기물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지식이 높고 태도가 좋았으며 실천정도가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관 내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간호사들이 의료폐기물 관 리에 대한 인식과 지식이 부족한 간호사들에게 의 료폐기물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정기적인 교육과 자체점 검을 시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의 평균은 15.88점, 태도 4.38점, 실천 4.24점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Park[1] 의 연구결과 지식 15점 만점에 8.60점, 태도 4.35 점, 실천 4.07점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서 울과 일산지역에 위치한 국·공립병원, 정부투자기 관, 대학부속병원 등 다양한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 로 시행된 연구로서 연구대상자 간의 점수 폭의 차가 큰 것으로 예상된다.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 간의 상관 관계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즉,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이 높은 간호사일수록 의료폐기물에 대한 태도와 관리 실천정도가 높고, 의료폐기물의 태도가 높을수록 의료폐기물의 실천 도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타났으며 이 는 Joo[2]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였다. 그러나 Park[1]의 연구에서는 지식이 높다고 태도가 높은 것은 아니며 지식과 실천의 상관관계도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그러나 태도와 실천의 상관관계는 태 도가 높을수록 실천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Yang[4]의 연구에서는 지식과 실천, 태도와 실천에 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Jang[17]의 연구에 서는 태도와 실천에서만 유의했으며, Yu[16]의 연 구에서는 지식과 실천, 태도와 실천에서 유의한 상 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연구에서 의료폐기물에 대한 긍정적이고 바른 태도가 실천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기관 내 의료폐기물 점검 체크리스트를 개발[18]하여 지속적인 의료폐 기물의 관리와 효과적인 교육을 통한 긍정적인 태 도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의료폐기물에 대한 실천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먼저 모형Ⅰ에 일반적 특성에서 유의한 변수로 나 타난 연령, 학력, 근무부서, 의료폐기물 교육유무, 기관의 의료폐기물 담당자 유무를 포함하여 분석 한 결과 설명력 .092로 나타나 유의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근무부서의 경우 내과를 기준으로 외과와 수술실의 실천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경 험이 있는 경우 실천이 높게 나타났으며, 기관 담 당자 유무를 모르는 경우 실천이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 Shin et al.[8]의 연구에 따르면 모든 병원 규제 의료폐기물의 3분의 1은 수술실에서 나오며 일회용 포장재와 외과용 기기의 멸균을 위한 포장 재로 상당히 구성되어 있으며 Kocur et al.[19]의 연구에 따르면 노출로 인해 가장 상해를 많이 받 는 직업군은 간호사, 조산사이며 특히 수술실에서 노출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수술실의 실천이 높은 것은 특수한 환경에 따른 의료폐기물 취급량과 노출에 따른 상해 위험으로 타 부서보다 의료폐기물의 관리 교육에 많은 시간 을 투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기관 담당자 유무를 모르는 경우가 28.4%를 차지한다는 것은 기관 내 홍보부족과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식이 부 족한 점을 시사하는 내용이다. 의료폐기물의 관리 는 모든 부서, 모든 단계에서 건강과 환경의 위험 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의 체계적이 접근이 필요 하다. 조직구성원으로서 심리적 주인의식을 가지고 [20] 의료폐기물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철저한 관리 개선을 위한 교육 및 적절한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식과 태도를 추가한 모형Ⅱ의 경우 설명력은 .293으로 모형유의성을 만족하였으며, 의료폐기물 에 대한 태도가 실천의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나 지식보다 의료폐기물에 대한 태도의 변화 가 실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1][3][16][17]. Park[1]의 연구에 따르면 의료폐 기물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은 단순히 지식수준만 으로 나타낼 수는 없으나 전문직간호사로서 임상 에서 실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합리적이고 체계적 인 지식기반을 가지고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의료폐기물에 대한 실천을 강화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정기적인 교육 과 주기적인 지도 및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 다.

    따라서 의료폐기물 관리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를 강화시키기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환경개 선 세미나와 workshop 등의 개최가 필요하며, 의 료폐기물 관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알고, 자신과 가족뿐만 아니라 주변인의 건강을 위해 모든 단계 에서 건강과 환경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법에 대 한 폭넓은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의료폐기물에 대 한 지속적인 관리교육, 자체점검, 홍보 및 의료폐 기물 감량을 위한 관리프로세스 정립을 통해 감염 위험을 줄이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효율적 인 관리를 위한 최선의 방안이라 하겠다.

    Ⅴ.결론

    본 연구는 서비스접점에서 근무하고 있는 부산, 경남지역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폐기물 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정도와 각각의 상관관 계 및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의 료폐기물 관리 실천 수준을 높이고 의료폐기물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자 시도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학병원 간호사의 의 료폐기물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고 긍정적인 태도 로 인해 의료폐기물의 관리 실천을 잘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의료폐기물에 대한 태도 의 변화가 실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의료폐기물에 대한 실천을 강화하고 긍 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정기적인 교육과 주기적이 지도 및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뤄져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향 후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모든 의료인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의료폐기물에 대한 태도를 강화하기 위한 효과적 인 대처방안과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의료폐기물 의 처리비용을 낮추면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의 료인 전체에 대한 의료폐기물 교육뿐만 아니라 국 민들에 대한 홍보가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508)
    Medical Wast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N=508)
    Difference in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regarding Medical Waste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508)
    *: p<.05,
    **: p<.01,
    ***: p<.001
    Correlations among the Study Variables (N=508)
    Influencing Factors on Medical Waste Management (N=508)
    *: p<.05,
    **: p<.01,
    ***: p<.001

    Reference

    1. Park KH (2004) A Study of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Infectious Medical Was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 pp.1-37
    2. Oh SE , Park SK , Ahn HK , Ji KH , Kim PY , Hong YS , Lee EI , Lee KM (2016) A Survey on the Current State of Medical Waste treatment and the Opinion of Medical waste managers about On-site Treatment of the General Hospitals in Korea ,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42 (3) ; pp.13-22
    3. Joo MJ (2014)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n medical waste among workers in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 pp.1-28
    4. Yang KY (2007) Method and Current Status of Medical Waste Trea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 pp.1-53
    5. Tsakona M , Anagnostopoulou E , Gidarakos E (2007) Hospital waste management and toxicity evaluation: A case study , Waste Management, Vol.27 (7) ; pp.912-920
    6. http://www.me.go.kr/home/web/policy_data/read.do?pagerOffset=0&maxPageItems=10&maxIndexPages=10&searchKey=title&searchValue=%EC%9D%98%EB%A3%8C%ED%8F%90%EA%B8%B0%EB%AC%BC&menuId=10276&orgCd=&condition.deleteYn=N&seq=942,
    7. http://www.me.go.kr/home/web/policy_data/read.do?pagerOffset=0&maxPageItems=10&maxIndexPages=10&searchKey=title&searchValue=%EC%9D%98%EB%A3%8C%ED%8F%90%EA%B8%B0%EB%AC%BC&menuId=10276&orgCd=&condition.deleteYn=N&seq=6398,
    8. Shin HK , Hwang Y , Kim BG , Yang C , Na W , Song JH , Lim HK (2017) Segregation for reduction of regulated medical waste in the operating room: a case report , Korean J Anesthesiol, Vol.70 (1) ; pp.100-104
    9. http://www.ecofuturenetwork.co.kr/news/articlePrint.html?idxno=12128,
    10. Yang KY (2007) Method and current status of medical waste trea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 pp.1-37
    11. Oh SE (2015)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edical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 pp.1-43
    12. Ahn SH , Ahn SY (2016) The Study of Area-division Strategy for Medical Waste Disposal , Journal of Disital Convergence, Vol.12 (9) ; pp.255-263
    13. Lee MS (2009) A Study on the Medical Waste Management Polic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wangju University, ; pp.1-74
    14. Choung HE (2005) Current Processing of Infective Waste and Measure for Appropriate Manag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 pp.1-40
    15. Yang IH (2010) A Study of University Hospital Employee'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Infectious Medical Was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pp.1-25
    16. Yu JY (2010) A Study of University Hospital Health care worker's relevant factors of Medical Waste Management Practi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 pp.1-43
    17. Jang HJ (2007) A Study on General Hospital Nurses' Knowledge about and Attitudes towards the Infectious Wastes and Their Actual Practi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 pp.1-51
    18. Moreira AM , Gunther WM (2016) Solid waste management in primary healthcare centers: application of a facilitation tool , Rev Lat Am Enfermage, Vol.18;24 ; pp.e2768
    19. Kocur E , Sliwa-Rak BO , Grosicki S (2016) Analysis of occupational exposures to blood registered in the General Hospital in Zabrze in the years 2006-2015 , Przegl Epidemiol, Vol.70 (4) ; pp.603-615
    20. Park OS , Ryu JH , Bae SK (2016) A Study on Major Factors of Psychological Ownership in a General Hospital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0 (3) ; pp.39-50
    February 1, 2017
    March 15, 2017
    March 23, 2017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