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1 No.2 pp.129-142
https://doi.org/10.12811/kshsm.2017.11.2.129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김 영임
전주비전대학교 치위생과

A Study on the Effective Factor of a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Adolescents

Young-Im Kim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Vision College of Jeonju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in variables of difference in high school students'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adolescents and to improve their academic and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Methods :

The research subjects consisted of 311 high school students in Jeonju.

Results :

The adequacy of the hypothetical model accounted for 46.9 % of th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Redundancy of all variables showed the value of the positive values, indicating that the Goodness of fit was greater than the optimum value of the model, and the model of the PLS was a desirable model. The effects of perceived benefits, self 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were found to be higher i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Conclusions :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ception of the oral health promotion for adolescents in the future and will contribute to the expansion and generalization of Pender's oral health promotion model.


    Ⅰ서론

    오늘날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기대 수 명이 늘어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 다. 이에 인간이 누릴 수 있는 가장 소중한 행복을 위하여 건강을 증진하는 활동이 중요하게 대두되 고 있다. 건강이 행복한 삶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고 한다면, 구강건강 역시 그렇다고 할 수 있다[1].

    특히 청소년기는 급격한 신체적, 정서적 변화와 함께 아동기를 거치면서 형성된 생활습관과 건강 및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한 태도가 발달되고 성인 기 이후의 건강생활에 근원이 되는 시기이며[2], 모든 면에서 성인으로 완성되는 시기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청소년기는 과중한 학업과 대학 입시 에 대한 부담으로 건강의 중요성을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다[3]. 이러한 청소년기에 형성된 건강위 험행위는 성인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태도와 습관 으로 자리매김 하게 되어 고치기 힘들어 지고, 성 인기에 이르러서는 만성질환으로 이환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건강뿐만 아니라 구강건강관리 역시 체 계적으로 예방위주의 정기적인 구강건강관리가 필 요할 것이다[4]. Locker[5]는 구강건강은 효율적인 대화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음식의 섭취로 인해 즐거움을 주며 사회적으로 자신감을 높여 삶의 질 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영향을 준다고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체계적인 구강건강관리를 통해 일생의 구강건강을 유지․증진시키는 방안이 강조되어야 한다.

    청소년기는 아직 모든 습관이 확고히 형성되지 않아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있어서도 수정 가능성이 크며 예방과 관리가 반드시 필요한 시기임으로 구 강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청소년의 구강건강증 진행위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Pender는 건강증진이란 안녕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잠재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제시된 활동 이며 질병이나 문제 지향적인 것이 아니라 건강의 긍정적인 잠재성을 확장시키기 위해 추구하는 것 으로 정의하였다[6]. 건강을 증진하고 건강증진행 위를 위해서 이에 영향을 미치는 통합적 모형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 Pender의 건강증진 모형이다. 인간행위의 인지-지각적 요인에 기반을 둔 모형으 로 매우 방대하며 모형 전체의 개념을 한 연구에 서 검증하는 것이 어려워 연구자들은 대부분 일부 변수만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7]. 이러한 다차원 적 요인들을 규명하는 이론 중 통합적 모형으로 널리 사용되는 Pender의 건강증진 모형에 관한 선 행 문헌 고찰을 기초로 할 것이며, 이를 통해 구강 건강증진행위에 수행가능성이 있는 영향 요인을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 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구강 건강증진행위에 강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구강건 강증진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며, 동시에 청소년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키는데에도 이바지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Ⅱ연구방법

    1연구대상

    본 연구는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선정된 전라 북도 전주시 소재의 일부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고 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일부 고등학교는 총 5개교이었으며, 전체 고등학생의 분포도는 1학 년 124명, 2학년 121명, 3학년 105명이었다. 연구의 조사기간은 2013년 04월 03일부터 07월 20일까지 이었으며, 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지를 적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조사가 시작되었던 2013년 당시, 생명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의 심의 의무화가 시 행되기 이전이었다. 따라서 심의를 거쳐야 한다는 규정이 없었기 때문에 별도의 승인절차는 거치지 않았으며, 본 연구에 대하여 담임교사의 도움을 받 아 연구자가 연구목적을 충분히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 의사를 밝힌 자만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하여 담임교사를 통하여 회수하였다. 설문에 대 한 응답은 조사대상 350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39명을 제외한 311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사용 하였다.

    2연구 도구

    1)주관적 구강건강상태

    Speake et al.[8]이 개발한 도구를 기초로 하여 개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를 평가할 수 있도록 수정 보완하여 만든 총 6문항을 4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4점 만점에 점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674이었 다.

    2)과거 구강건강관련 행위

    Kim & Kim[9]과 Kim[10]이 이용한 도구를 수 정 보완하여 총 8문항을 4점 Likert 척도도 측정하 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지난 6개월 동안 구강건강 과 관련된 행위를 잘 수행했음을 의미한다. 본 연 구에서의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는 .636이었다.

    3)학업 스트레스

    Kim & Kim[9]과 Kim[10], Kim & Lee[11]이 이 용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공부나 성적으로 인한 학업 스트레스를 총 7문항으로 측정하였다. 4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학업 스 트레스가 높음을 의미한다. 학업 스트레스의 신뢰 도 Cronbach's α는 .776이었다.

    4)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유익성은 구강건강행위 실천 시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하는 이익으로 구강병을 예방하거나 조기 발견 할 수 있으며, 구강건강증진행위를 하도 록 동기화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6]. Kim & Kim[9]과 Kim[10], Kim & Lee[11]가 이용한 도구 를 수정 보완하여 총 8문항을 Likert 4점 척도로 청소년의 구강건강관련 지각된 유익성을 측정하였 다. 점수가 높을수록 지각된 유익성이 높으며, 신 뢰도는 Cronbach's α는 .726이었다.

    5)지각된 장애성

    Mun[12]의 건강신념 측정도구를 토대로 청소년 의 치과 진료 및 구강건강에 대한 장애문제를 파 악하기 위한 도구로 수정 보완하여 총 8문항을 Likert 4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지각된 장애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지각된 장애성 신뢰도는 Cronbach's α는 .744이었다.

    6)자기 효능감

    Kim & Kim[9]과 Kim[10]이 이용한 도구를 수 정 보완하여 총 8문항을 Likert 4점 척도로 측정하 였다. 구강건강관련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특정한 행위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믿는 신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자기 효능감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는 .742이었다.

    7)자아 존중감

    Kim[10]의 도구를 기초로 하여 자신을 긍정적으 로 수용하고 구강이 건강한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인지하는 자아 존중감을 측정할 수 있도록 수정 보완하여 총 8문항을 Likert 4점 척도로 측정하였 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 존중감이 높음을 의미하 며. 신뢰도 Cronbach's α는 .635이었다.

    8)사회적 지지

    Suh[13]가 수정한 도구를 기초로 하여, 본인, 친 구, 선생님, 부모님 등의 대인 관계적 구강건강관 리를 정신적, 물리적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회적 지지 도구로 총 8문항을 4점 척도로 사용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음을 의미하며 신뢰도 Cronbach's α는 .764이었다.

    9)구강건강증진행위

    구강건강증진행위는 구강건강을 증진하고 유지 하며 질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개인이 주도적으로 책임감을 가지고 지속해서 수행해야 하는 과정[14] 으로 Choi et al.[15]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수정 보 완하여 총 12문항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4점 Likert 척도로 이루어져, 점수가 높을수록 구강건 강증진행위의 수행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 구에의 구강건강증진행위의 신뢰도 Cronbach's α 는 .672이었다.

    3자료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PLS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이 용하였다. PLS 구조방정식은 자료의 표본 수가 적 은 경우나 조형지표(Formative indicators)가 이용 된 경우에 사용될 수 있으며, 다변량 정규분포를 요구하지 않는다[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관 적 구강건강상태,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 학업 스 트레스,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자기 효능 감, 자아 존중감, 사회적 지지와 종속변수인 구강 건강증진행위의 잠재변수가 조형지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AMOS나 LISREL에서 사용되는 일반적 인 구조방정식 모형보다 PLS 구조방정식 모형이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PLS 구조방정 식 모형의 경로계수의 유의성 검정은 표본을 1,000 회 추출하여 Bootstrap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 다.

    Ⅲ연구결과

    1측정모형의 신뢰성 분석

    반영지표인 측정변수의 신뢰도 문항의 내적 일 치도를 측정하는 Cronbach's α와 결합 신뢰도 (Composite reliability)로 평가하며, 일반적으로 결 합 신뢰도의 값이 0.7이상이면 신뢰성이 있는 것으 로 평가된다[17]. 측정모형에 관한 분석 결과는 반 영지표(Reflective indicators)인 학업스트레스의 결 합 신뢰도는 .851, AVE(Average Variance Extracted) .633, Cronbach's α는 .749로 확인되 었다<Table 1>.

    2측정모형의 타당성 분석

    측정모형 판별 타당성은 반영지표인 학업 스트 레스의 요인적재값이 모두 0.5 이상으로 매우 높고 유의하게 나타나 판별 타당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조형지표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현재 구강 건강상태가 좋은 편이다(p<.001)’, ‘다른 친구들과 비교하여 구강건강상태가 좋다고 생각한다(p<.01)’, ‘입을 크게 벌리거나 씹을 때 턱이 빠지거나 아프 다고 느낀다(p<.001)’, ‘잇몸에서 피가 난 적이 있 다(p<.01)’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과거 구강건강관련 행위는 ‘지난 6개월 동안 하루 3회 이상 칫솔질을 했다(p<.05)’, ‘지난 6개월 동안 3분 이상 칫솔질을 하려고 노력했다(p<.001)’, ‘지난 6개월 동안 편식을 하지 않았다(p<.01)’, ‘지 난 6개월 동안 손톱 깨물기, 손가락 깨물기, 입술 깨물기 등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했다(p<.05)’는 유 의하게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는 모든 변인이 유 의한 영향을 주었다.

    지각된 유익성은 모든 변인이 유의한 영향을 주 었으며, 지각된 장애성은 ‘미루는 성격 때문에 구 강건강을 위한 행동을 할 수가 없다(p<.01)’, ‘치과 에 가는 것이 복잡하고 어렵다고 생각한다(p<.01)’, ‘규칙적으로 칫솔질하는 것이 귀찮다고 생각한다 (p<.01)’, ‘올바른 칫솔질 방법을 몰라서 대충 닦는 다(p<.001)’, ‘학교에서 점심 식사 후엔 칫솔질을 할 수 없다(p<.01)’의 항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기 효능감에서 ‘구강건강을 위해 칼슘이 많은 음식(우유, 멸치 등)을 챙겨 먹을 수 있다(p<.001)’, ‘구강에 문제가 생겼을 때는 치과의사나 치과위생 사와 상담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p<.01)’, ‘치 과 치료가 필요하다면 치료를 열심히 받을 의지가 있다(p<.01)’, ‘구강건강향상을 위해 치과를 방문할 의향이 있다(p<.001)’의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아 존중감에서는 ‘치아건강에 대해 대체적으 로 만족한다(p<.001)’, ‘치아를 보이며 웃는 얼굴이 예쁘다(p<.05)’, ‘칫솔질을 잘해서 구강상태가 좋다 (p<.001)’, ‘구강관리를 위해 긍정적인 태도로 적극 관리한다(p<.05)’, ‘구강관리 습관은 내세울 것이 별로 없다(p<.05)’의 5개 항목에서 유의하게 나타 났다. 사회적 지지는 ‘치과나 병원을 쉽게 이용할 수 있다(p<.01)’, ‘부모님은 칫솔을 자주 교체해 주 신다(p<.001)’, ‘친구들은 내가 아플 때 나의 일을 대신 해준다(p<.01)’의 3개 항목이 유의하게 나타 났다.

    마지막으로 종속변수인 구강건강증진행위에서는 ‘음식을 먹을 때 과일이나 채소를 함께 먹는 경우 가 많다(p<.001)’, ‘식전보다는 식후에 칫솔질하는 경우가 더 많다(p<.01)’, ‘취침 전에는 대부분 칫솔 질을 한다(p<.001)’, ‘칫솔질 시간은 대부분 3분 이 상이다(p<.001)’, ‘학교나 치과에서 받은 구강검사 결과로 치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을 때 대부분 즉시 치과에 가서 치료를 받았다(p<.01)’, ‘인터넷 이나 대중매체에 나오는 구강관련 정보에 관심이 많다(p<.01)’의 6개 항목이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유 의하게 나타났다<Table 2>.

    3PLS 구조 모형의 분석

    PLS 구조 모형의 적합도는 잠재변수들의 경로 를 설정한 R²값, Redundancy 값, 그리고 Goodness of Fit 테스트로 평가하였다. PLS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내생변수의 R²값으로 PLS 구조모형에 대한 평균적인 적합도를 평가한 결과 는 <Table 3>과 같다. 모든 내생변수들의 Redundancy 값은 양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 타나 구조방정식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 며, Cohen[17]에 의하면, R²값의 효과는 0.26 이상 일 경우 상, 0.13 이상에서 0.26 미만은 중, 0.02 이 상에서 0.13 미만은 하로 분류하였다. 사회적 지지 는 15.6%로 낮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으나, 지각된 유익성은 26.8%, 지각된 장애성은 29.6%, 자기 효 능감 22.1%로 중간 정도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고, 자아 존중감은 31.6%로 상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다. 종속변수인 구강건강증진행위의 결정계수가 0.469로 구조모형이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는 설명력의 R²값이 46.9%로 PLS 구조방정식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모든 변수들의 Redundancy 값이 양수의 값으로 나타나 구조방정 식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R²의 평균값과 Communality의 평 균값 곱의 제곱근으로 PLS 구조방정식 모형의 전 반적인 적합도(Goodness of Fit)를 평가한 결과, 이 적합도의 크기는 최소 0.1 이상이어야 하며, 0.36 이상은 상, 0.25 이상에서 0.36 미만은 중, 0.1 이상 에서 0.25 미만은 하로 분류된다[18]. 본 연구의 Goodness of Fit 값은 0.287로 PLS 구조방정식 모 형의 적합도가 중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PLS 구 조방정식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4PLS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PLS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주관적 구강건 강상태가 좋을수록 지각된 장애성은 낮고(B=-.248, p<.001), 자기 효능감(B=.102, p<.05), 자아 존중감 (B=.459, p<.001), 사회적 지지(B=.209, p<.001)는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를 잘할수록 지각된 유익 성(B=.314, p<.001), 자기 효능감(B=.384, p<.001), 자아 존중감(B=.181, p<.001), 사회적 지지(B=.199, p<.001)가 높아지며, 지각된 장애성(B=-.241, p<.001)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지각된 유익성 (B=-.196, p<.01), 자기 효능감(B=-.144. p<.01), 사회 적 지지(B=-171, p<.01)는 낮아지며, 지각된 장애성 (B=.284, p<.001)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유 익성이 높을수록(B=.150, p<.01), 자기 효능감이 높 을수록(B=.226, p<.001),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B=.286, p<.001) 구강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지는 것 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를 검정한 결과에서는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가 좋을수록(B=.159, p<.01), 과거 구강건강관 련행위를 잘할수록(B=.247, p<.001) 구강건강증진행 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Figure 1>.

    Ⅳ고찰

    청소년기는 아동에서 성인으로 전환되는 시기로 서, 육체적·정신적으로 많은 변화가 나타난다[19]. 특히 신체활동이 많아서 탄산음료 섭취증가와 인 스턴트식품으로 인하여 구강건강관리가 부족하며 구강보건교육을 전달받을 기회가 없어 올바른 구 강건강 실천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청소년의 구 강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의의 가 있다. 하지만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관 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관련된 변수들 간의 상관 관계를 밝히는 정도이며, 구체적인 인과관계를 검 증하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을 확인하여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모형을 구축하여 검증함으로써 이들 간의 실증적인 인과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 었다.

    선행연구에서 구강건강증진행위의 예측요인으로 검증하거나 제언된 변수들은 본 연구의 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변수는 주관적 구강건 강상태,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 학업스트레스를 독립변수로 구성하였으며, 매개변수로는 지각된 유 익성, 지각된 장애성, 자기 효능감, 자아 존중감, 사회적 지지이며, 종속변수로는 구강건강증진행위 로 변수를 설정하여 이들 간에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여 모형을 구축한 후 PLS(Partial Least Square)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측정모형과 구조 모형이 모두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 설적 모형이 적합한 모형인지를 분석하기 위해 잠 재변수들의 경로를 설정한 R²값, Redundancy 값, 그리고 Goodness of Fit 테스트로 평가하였다. 구 조모형이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는 설명력의 R² 값이 46.9%이며, 모든 변수들의 Redundancy 값이 양수의 값이며, Goodness of Fit 값은 0.287 로 PLS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가 중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PLS 구조방정식 모형이 바람직한 모형임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구강건강증진 행위를 설명하는데 직 간접적인 영향을 주며, 주관 적 구강건강상태가 좋다고 느낄수록 지각된 장애 성은 낮고, 자기 효능감, 자아 존중감, 사회적 지지 는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 를 살펴보면 Kim[10]은 대안학교 고등학생의 주관 적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지각된 장애성은 낮 고,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지는 유의하게 높아지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Kim & Lee[11]는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자 아 존중감, 사회적 지지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는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를 잘 실천할수록 지각된 유익성, 자기 효능감, 자아 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유의하 게 높아지며, 지각된 장애성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 Kim[9]의 연구에서도 지 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자아 존중감, 자기 효 능감, 사회적 지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과 거 구강건강관련행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처 럼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는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수로, 구강건강증진행 위에 관련된 주요한 예측변수임을 알 수 있다.

    학업 스트레스는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은 있지만 간접적인 영향은 없다. 학업 스트레 스가 높을수록 지각된 유익성, 자기 효능감, 사회 적 지지는 유의하게 낮아지며, 지각된 장애성은 유 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ender[20]는 장애성이 클수록 건강증진행위는 감소한다고 하였 다. Kang & Jung[21]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학업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Cho & Paik[22]의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는 자기 스스로 쓸모없는 존재로 인식함으로써 낮은 자아 존중감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업 스트레스를 조절하기 위한 스트레스 관 리 및 학업 지원 프로그램 등의 미시적 개입이 요 구되며 거시적인 성적 위주의 평가 방식, 입시 위 주의 교육정책 등에 대한 개선과 교육의 본질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함을 의미한다[23]. 즉, 학 업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구강건강증진행위도 높아 짐으로, 앞으로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를 감소시 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구강건강 행위를 실천하면 증진행위를 잘 지속시키는 가치 측정인 지각된 유익성과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성공 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잘하고 있으며, 부모, 교사, 친 구 등에 의한 사회적 지지가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Stweart et al.[24]의 연구에서 건강증진 개념과 마찬가지로 구 강건강 증진의 개념에서도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은 자기 효능감으로 나타났으며, 구강건 강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 구강건강증진행위라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Jung[25]의 연구에서도 자기 효능감과 구강건강통 제위가 주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청소년 의 구강건강증진행위는 구강건강을 증진하고 유지 하며 질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개인이 주도적으로 책임감으로 가지고 지속해서 수행하야 하는 과정 으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모형은 청소년의 구강건강 증진행위를 예측할 수 있는 적합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예측하는 변수들로 실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한편, 청소 년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과 거 구강건강관련행위, 지각된 유익성,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지 변인이 영향력을 입증되었으므로 이 결과를 기반으로 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적 용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구강건강증진모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측정도구이긴 하나 모든 변수를 통제할 수 없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는 어려우며, 연구대상자의 선정을 일부지역 고등 학생을 조사한 점이 전체 청소년의 모집단을 대표 하는데 미비한 부분이라 생각된다. 그럼에도 다양 한 변수를 이용하여 세밀한 모형 구축을 통해 청 소년의 구강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을 총괄적으로 다루었다. 향후 대상자를 확대하고 반복연구를 통 하여 좀 더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Ⅴ결론

    본 연구는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설명, 예측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성하여, 변수 간의 영향 력을 검증을 통해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행위 예 측모형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적 모형 의 적합도는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는 설명력 의 R²값이 46.9%이며, 모든 변수들의 Redundancy 값이 양수의 값으로 나타났고, Goodness of Fit 값 은 0.287로 모형의 적합도가 중 이상인 것으로 나 타나, PLS 구조방정식 모형이 바람직한 모형임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행위 가설적 모형에서 구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 를 검증한 결과는 지각된 유익성, 자기 효능감, 사 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구강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를 검정한 결과에서 는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과거 구강건 강관련행위를 잘할수록 구강건강증진행위가 높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행 위를 예측하는데 적합한 모형으로 판단되었으며, 변수들을 실제로 활용하여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 행위를 위한 프로그램이 점진적이고 체계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Figure

    KSHSM-11-129_F1.gif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 : p<0.05, ** : p<0.01, *** : p<0.001

    Table

    Reliability measurement model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Structural model fit
    Impact of Oral health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on oral health beliefs
    *: p<0.05
    **: p<0.01
    ***: p<0.001

    Reference

    1. Park HM (2016) Effect of Oral Health Belief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ffect Parent's Oral Health Behavior o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Adolesecents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0 (2) ; pp.133-144
    2. Choi J , Kim MY (2009) Factors Influencing Health Risk Behavior in High School Students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5 (2) ; pp.182-189
    3. Baik JW , Nam HE , Ryu JS (2012) The Effects of the College Students' will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Playing on Self-Efficacy, Happiness,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sc Management, Vol.6 (1) ; pp.173-183
    4. Kim YA (200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Stress Levels, Social Support, and Health Behaviors in the Adolescent Population , Chid Health Nursing Research, Vol.7 (2) ; pp.203-212
    5. Locker D (1988) Measuring Oral Health: A Conceptual Framework , Community Dental Health, Vol.5 ; pp.3-18
    6. Pender NJ (1987)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Appleton and Lange, ; pp.218-215
    7. Kim SH , Lee JH (2008) Test of a Hypothetical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School-aged Childre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ol.14 (1) ; pp.22-34
    8. Speake DL , Cowart ME , Pellet K (1989)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 Res Nurs Health, Vol.12 (2) ; pp.93-100
    9. Kim SK Kim YS (2008) A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Model for Primary School Children ,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32 (4) ; pp.563-574
    10. Kim YI (2015) A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Model for Alternative High School Students , J Dent Hyg Sci, Vol.15 (6) ; pp.807-814
    11. Kim SH , Lee JH (2008) Test of a Hypothetical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School-aged Children ,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Vol.14 (1) ; pp.22-34
    12. Mun JS (1990) A Study of Instrument Development for Health Belief of Korean Adults ,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octor's Dissertation, ; pp.70-78
    13. Suh MJ (1990)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State of Adaptation of the HemiplegicPatients , J Korean Acad Nurs, Vol.20 (1) ; pp.88-117
    14. Lee HN , Cho MJ (2004) Dent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Dental Health Belief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Gwangju Chunnam , J Dent Hyg Sci, Vol.4 (2) ; pp.75-80
    15. Choi BY , Park SH , Oh HW , Lee HS (2010) Correlation between the Or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th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High-School Girls ,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34 (2) ; pp.264-272
    16. Rai A , Patnayakuni R , Seth N (2006) Firm Performance Impacts of Digitally Enabled Supply Chain Integration Capabilities , MIS Quarterly, Vol.30 (2) ; pp.225-246
    17. Cohen J (199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Hillsda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pp.25-26
    18. Tenenhaus M , Vinzi VE , Chatelin YM , Lauro C (2005) PLS path Modeling , Comput StatData Anal, Vol.48 (1) ; pp.159-205
    19. Gu GM (2013) Orla Health Education, Komoonsa, ; pp.22-23
    20. Pender NJ (1990) Expressing Health Through Lifestyle Patterns , Nurs Sci Q, Vol.3 (3) ; pp.115-122
    21. Kang SH , Jung EJ (199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Academic Achievement and Mental Hygiene of High School Students , J. Educ. Psychol, Vol.13 (4) ; pp.405-424
    22. Cho OS , Paik JA (2014) The Effects of Adolescents's Academic Stress and School Bullying Victim on Suicidal Ide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8 (2) ; pp.233-244
    23. Kwon SW , Song LH (2011) Cognitive Distortions as a Moder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13 (3) ; pp.67-92
    24. Stewart JE , Strack S , Graves P (1997) Development of Oral Hygiene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Questionnaries ,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25 (5) ; pp.337-342
    25. Jung EJ (2010)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Dental Hygiene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 J Dent Hyg Sci, Vol.10 (1) ; pp.1-9
    March 22, 2017
    April 17, 2017
    June 19, 2017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