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 No.4 pp.119-129
https://doi.org/10.12811/kshsm.2013.7.4.119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영향 요인

전 민경‡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Nursing Students

Min-Kyung Jeon‡
Department of Nursing, Kaya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nursing student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used with convenience sample of 250 nursing students studying in 1 nursing college. The data were obtained from November 17 to 30, 2012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8.0 program. The mean score for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ere at the intermediate level, with the value of 3.27, 3.14 and 3.78. There were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steem(r=0.580, p<.001),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r=0.645, p<.001) and there were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elf-efficacy(r=0.611, p<.001). The influencing factors in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students were self esteem, self efficacy, and motivation of nursing(Adj R2=.479). In order to encourage nursing college students professional self-concept, the nursing college should make efforts to develop a curriculum and program for improving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서론

    1.연구의 필요성

    간호사는 다양한 전문직종이 공존하는 의료현장 에서 타 전문직과 협력하면서 독특한 간호전문직 의 업무를 수행하여 간호의 질적 향상과 간호조직 의 목표달성을 이룰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 어야 한다[1]. 간호교육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우수한 전문 간호 인력을 배출하기 위하 여 노력하고 있으며, 학교 교육과 임상 실습교육을 통해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는 학습 뿐 아니라 전 문인으로서의 가치관을 확립하는 경험을 가지게 한다[2].

    간호에 대한 전문인으로서의 가치관은 전문직 자아개념으로 표현이 될 수 있다. 간호학생의 전문 직 자아개념이란, 미래의 간호사가 될 간호학생들 이 자기 자신과 수행하는 업무에 대해 느끼는 정 서적 느낌과 견해를 말하는 것으로, 다양한 전문직 종이 공존하고 있는 의료현장에서 다른 전문직 종 사자들과 조화를 이루며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는 스스로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소유하는 것이 필 요하다. 긍정적인 전문직 자아개념은 간호학생 스 스로가 자신에 대한 이해와 견해가 긍정적일 때에 생겨난다.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은 간호사는 자신 에 대한 자아개념과 자존감, 자신감이 향상되어 간 호전문직 발전에 기여하는 반면, 전문직 자아개념 이 낮은 간호사는 생산성을 저하시켜, 간호직에 대 한 만족감과 업무수행 및 질적 간호에 영향을 주 게 된다[3].

    전문직 자아개념의 발달은 공식적인 학교 교육 기간과 계속적인 개인의 직업생활을 통해 이루어 진다[4]. 따라서 간호대학 재학 중의 간호교육은 전문직 자아개념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가 전문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확고한 간호가치관과 전문직업인으로서 간호사 자신의 긍 정적인 자아상이 형성되어야 한다. 간호전문직 자 아개념은 지니고 있는 자신의 업무에 대한 느낌과 견해이며 간호의 본질적 가치에 기초한 정신이므 로 자신의 위치를 확립하고 스스로 만족할 때 긍 정적 자아개념이 생긴다. 긍정적 자아개념은 업무 의 만족을 주며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킨다[5]. 따 라서 전문직 간호사로 가는 과정에 있는 간호 대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형성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박상연[6]의 연구에서 전문직 자아개념은 스스 로 전문직관을 형성하고 다른 전문인과 조화를 이 루고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하고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해서 환자에게 만족감을 주므로 전문직 자아 개념을 확립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박보근[7]은 변화하고 다양해진 사회의 간호 요구 에 부응하여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긍정적인 전문직 자아개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대학은 직업을 준비하기 위한 교육의 장으로, 대학생 시기에 직업에 대한 진로의식 및 진로준비 는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 재 우리사회는 학생들이 자기의 전공이나 적성을 고려하여 학과를 선택하기 보다는 취업이 잘되는 학과위주로 선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입학 후에 도 학과에 대한 인식 부족과 적응의 어려움을 경 험하게 되고, 자존감과 자기효능감은 시간이 지날 수록 낮아지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8].

    자아존중감은 정서와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자 기 가치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로 ‘높다’ 혹은 ‘낮 다’로 평가하는 것으로, 개인이 자기에 대한 평가 나 자기 능력에 대한 태도에서 비롯되며, 자기 수 용, 자기 가치에 대한 기본적인 감정을 의미하는 것으로[9].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자아 개념이 긍정적이며 전문직 자아개념도 향상되어 간호 전문직 발전을 가져온다[10].

    한편,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은 소유하고 있는 지식과 기술 그리고 능력이 특정과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라 는 신념 혹은 믿음을 말한다. 그런데 전문직 자아 개념은 전문적 지식, 가치, 기술 등에 대한 자아평 가를 통해 만들어 지는 것이므로[11], 자기 효능감 이 높은 사람은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다고 볼 수 있다.

    황성자[12]의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는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이 관련변인임을 밝 혔으며, 장희정 등[13]의 연구에서 전문직 자아개 념과 자기효능감이 관련변인임을 밝혔다. 또한, 송 경애와 노춘희[14]의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 구에서 임상간호사의 자아존중감과 전문직 자아개 념이 관련변인임을 밝혔다,

    이상의 고찰에서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관련 요 인임을 알 수 있었다[12][13][14].

    그러나 기존 선행연구들이 대체로 단편적 또는 부분적으로 일부 변수만을 다루거나 그들 간의 관 련성만을 보고하고 있어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 아개념을 위한 제 변수의 설명력 정도는 분석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기존의 결과는 일부 개념만을 포함하고 있어 전문직 자아개념을 영향을 미치는 고취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중요 개념을 포괄하지 못하여[15] 결과 분석의 제한이 있으므로 본 연구 에서는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일반적 특성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분석하 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전문직 자아개념의 정도를 파악하고 상관관계 및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한 영향력 정도 를 알아봄으로써 전문직 자아개념을 고취시킬 수 있는 방안을 교과과정에 반영하도록 하여 간호의 학교교육과 실습현장 교육의 발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2.연구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영 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를 파악한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 아개념 정도를 파악한다.

    넷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전문직 자아개념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다섯째,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한 영향 요인을 파악한다.

    II.연구방법

    1.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영 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2.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U시 소재 1개 3년제 간호 과에 재학 중인 1, 2, 3 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 였다. 연구대상자의 수는 G power 3.1.3 프로그램 에 근거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위하여 유의수준 (α) 0.05, 효과크기(f) 0.10, 검정력(1-β) 0.95일 때 적절 한 표본수가 226명이 산출되었으나 탈락율을 고려 하여 260부를 배부하여 256명 자료수집 하였으며,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250명을 최종분석대상으 로 하였다.

    3.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10월 17일에서 10월 30 까지 이었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대상 학생에게 연 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서면동의를 구한 후 개 별적 설문지를 배포하여 작성하게 한 후 수거하였 다. 설문에 대한 응답은 익명으로 처리됨을 설명하 였으며, 연구 참여 도중 참여를 원하지 않을 경우 언제라도 거부할 수 있음을 알려주었다. 설문작성 에 소요된 시간은 약 15분 이었다.

    4.연구도구

    1)자아존중감

    Rosenberg[9]가 고안한 Self Esteem Scale(SES) 를 전병제[16]가 번역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도 구는 총 10문항의 Likert 4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은 편이다’ 2점, ‘그런 편이다’ 3점, ‘매우 그렇다’ 4점으로 배점하였으며, 부정문 항은 역산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정 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개발 당시는 Cronbach's α=.85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86이었다.

    2)자기효능감

    Sherer와 Maddux 등[17]이 개발한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를 정애숙[18]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 하였다. 본 도구는 총 17문항의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대체로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배점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효능 감 정도가 높음을 의미 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정 애숙[18]의 연구에서 Cronbach´s α=.86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93이었다.

    3)전문직 자아개념

    Arthur[3]가 개발하고 송희란[19]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30문항의 Likert 4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은 편이다’ 2점, ‘그런 편이다’ 3점, ‘매우 그렇다’ 4점 으로 배점하였으며, 부정문항은 역산하였다. 점수 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가 높음을 의미 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개발 당시 Cronbach's α =.85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93 이었 다.

    5.자료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둘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과 전문 직 자아개념 정도는 최소값과 최대값, 평균과 표준 편차로 분석하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 정 도는 t-test, ANOVA 및 Scheffe's test로 분석하였 다.

    넷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전문직 자아개념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계수로 분 석하였다.

    다섯째,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일반적 특성 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II.연구결과

    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중 성별은 여자가 234 명(93.6%)으로 대부분이었으며, 나이는 20세 이하 가 138명(55.2%), 21-25세가 34.8명(34.8) 이었으며, 종교는 없음이 113명(45.2%), 기독교와 불교 각각 57명(22.8%), 천주교 20명(8.0%) 순이었다. 학년은 3학년이 92명(36.8%), 2학년이 81명(32.4%), 1학년 이 77명(30.8%)이었고, 임상실습 경험유무는 있음 이 180명(72%), 없음이 70명(28.0%)이었다. 임상실 습 경험 기간은 5-10주가 86명(36.8%), 11주 이상이 92명(34.4%), 4주 이하가 72명(28.8%)이었으며, 실 습경험 부서는 5개 이하가 155명(62%), 6개 이상이 95명(38%)이었다. 간호학 지원 동기는 자신의 의지 가 106명(42.4%), 취업보장이 82명(32.8%), 부모님 이나 선생님의 권유가 49명(19.6%)의 순이었다. 졸 업 후 희망 분야는 임상간호사가 192명(76.8%), 보 건소간호사가 21명(8.4%), 기타가 20명(8.0%)의 순 이었다(Table 1).

    2.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전문직자 아개념 정도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정도는 평균 98.06±10.33(최소값:75, 최대값:120), 평균평점 3.27±0.34 이었으며(척도범위: 1-4), 대상자의 자아 존중감 정도는 평균 31.44±4.65(최소값:14 , 최대 값:40 ), 평균평점 3.14±0.47(척도 범위: 1-5)이었다. 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의 정도는 평균 64. 32±8.76 (최소값:40, 최대값:85), 평균평점 3.78±0.52 이었다 (척도범위: 1-5)(Table 2).

    3.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자아개 념 정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는 총 임상실습 주수(F=3.391, p=.035), 간호학 지원동기(F=2.2446, p=.03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총 임상실습 주수, 간호학 지원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3).

    4.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전문직자 아개념과의 관계

    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전문직 자아개념의 관계 도 중정도의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r=.589, p<.001), 자기효능감과 전문직 자아개 념의 관계도 중정도의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 로(r=.645, p<.001)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자기효 능감의 관계는 중정도의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r=.611, p<.001)(Table 4).

    5.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 영향 요인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을 확인하기 위해 전문직 자아개념을 종속변수 로 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전문직 자아개 념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간호학 지원 동기, 총 임상실습 주수와 전문직 자아개념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나타난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을 설명변 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다중공선성을 점검한 결과 공차한계는 0.627~0.999로 모두 0.1이상 이었으며, 분산팽창지 수(VIF)는 1.595~1.001으로 10보다 적었으며, 상태 지수는 4.553~22.599로 30보다 적었다.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 존중감(β=.453, p<.001), 자기효능감(β=.309, p<.001)과 간호학 지원동기(β=.094, p=.042)이었으 며, 수정된 결정계수(Adj R2)는 .479로 설명력은 47.9%이었다(Table 5).

    IV.고찰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고찰을 해 보면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정도는 4점 만 점에 3.27로,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김정옥 등[20]의 연구결과 2.70으로 나타난 결과보다 다소 높았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임상간호사보다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어 이는 간호대학생인 경우 미래 자 신의 직업이 될 간호직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정도는 4점 만점에 평 균 3.14점으로,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2.99로 나타난 이정인[21]의 연구 결과와 3.10로 나 타난 황성자[12]의 연구결과, 3.43으로 나타난 정하 윤과 정귀임[22]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김 명숙[23]의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에서의 3.84보 다 다소 높았다. 대체로 간호학생들은 자신을 존경 하고 가치 있는 사람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이는 간호학생들이 사회생활에서 진취적이고 활동적인 생활을 영위함으로써 활력 있는 삶을 살아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앞으로 자아존중감을 잘 유지시 켜 주는 전략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의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3.78점으로,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간호대학생 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한 김명숙[23]의 연구결과 3.44, 황성자[12]의 연구결과 3.52와는 유사하였으 나, 이정인[21]의 연구결과 2.80로 나타난 것보다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이는 간호학의 경우 이론수 업에 연계된 실습의 경험으로 인해 맡은 일을 성 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이 보다 높은 데 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바람직한 현상으로 보인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 개념 정도는 총 임상실습 주수, 간호학 지원 동기 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송 희란[19]의 연구에서 간호학과 지원 동기에 따라 전문직 자아개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는 결과 와 일치하였으며, 송경애와 노춘희[14]의 연구에서 임상간호사의 근무경력에 따라 전문직 자아개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는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는 전문직 자아개념이 자기 자신과 수행하는 업무에 대해 느끼는 정서적 느낌과 견해를 말하는 것[5]으 로 타인의 의지가 아닌 자기의 의지로 무언가를 선택했을 때 긍정적인 결정을 할 수 있으며 모든 일에 적극적이라는 학자들[3]의 견해에 부합하는 결과로 간호학을 자신이 선택한 경우 간호직에 대 해 보다 긍정적인 정서적 느낌과 견해를 가지게 되어 보다 높은 전문직 자아개념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임상실습 기간 동안 학생 들은 학교에서 배운 교육적 지식과, 관리기술, 그 리고 전문적인 간호를 위해 요구되는 환자와의 관 계를 정립하게 되므로 자기 자신과 수행하는 업무 에 대해 실습동안 전문직으로써의 긍정적인 느낌 과 견해를 가질 수 있는 중요한 시기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간호전문직에 대한 정체성 고취를 위해 스스로가 갖는 직업에 대한 사명감과 실습현 장의 체계적인 실습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 를 위해 교육현장에서는 전문직 실무와 다양한 교 수학습 전략 및 질적인 임상실습을 위한 전략 프 로그램이 필요하겠다.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문직 자아개념의 관계(r=.589, p<.001)는 중정도의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 감 정도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가 높았 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송경 애와 노춘희[14]의 연구에서 자아존중감과 전문직 자아개념의 관계가 r=.5739로 나타난 결과와 유사 하였다. 이는 개인의 자아체계는 전문직 자아에 영 향을 미치므로[10] 자아존중감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자아존중감은 타인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얼마든지 변경시킬 수 있는 것 [24]이므로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이 기 위해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 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전문직 자아개념의 관계(r=.645, p<.001)는 중정도의 유의한 정적상관 관계가 있었다. 즉,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정도 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가 높았다. 이러 한 결과는 선행연구들 [8][13]에서 두 변수간의 관 계가 중정도의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난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는 자기효능감은 주어진 업무를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조직하고 수 행하는 능력에 대한 자신의 판단을 말하는 것[25] 이고, 전문직 자아개념의 구축은 전문직 지식, 가 치 그리고 기술에 대한 자아평가를 통해 이루어지 므로[11] 자기효능감이 높은 경우 자신의 기술에 대한 자아평가가 긍정적으로 나타남으로 전문직 자아개념의 발달을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 다.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r=.611, p<.001)는 중정도의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명숙[23]의 연 구결과(r=.40, p<.001)와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 는 간호학생들이 자기 자신을 존경하고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지각할수록 어려운 과제를 회피하지 않고 도전하여 성취할 수 있다고 믿는 자기효능감 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대학교육에서 자아 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향상에 관심을 갖고 다루 어야 할 과제임을 지적해주었다.

    본 연구에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과 간호학 지원동기가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Adj R2=.479)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결과는 김명숙[23]의 연구결과 자아존중감과 자 기효능감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변 인임을 밝힌 것과 유사하였다. 이는 자신의 의지와 흥미를 통해 간호학을 선택한 경우 간호직에 대 해 보다 긍정적인 느낌과 견해를 가지게 되고, 이 로 인해 자신이 바람직한 일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것이라는 믿음과 견해를 가지게 되므로 전문직 자 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높 은 전문직 자아개념은 다른 전문직과 조화를 이루 고,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하고, 질 높은 간호를 제 공하여 환자에게 만족감을 주는 것이므로[6], 이러 한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이기 위해서 간호대학생 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 을 모색하여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 다.

    이상과 같이 논의해 보았을 때,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 대학생의 학교 교육과 임상실습에서 전문직 자아 개념의 정립과 발달을 위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 능감을 높여주기 위한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 용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V.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영 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로서 간호교육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고자 시도되 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정도 는 3.27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 정도는 3.14, 자기효능감 정도는 3.78로 나타났다. 대상자 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관계와 자아존중감은 유의 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전문직 자아개념과 자 기효능감의 관계도 중간정도의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간 호학 지원동기가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영향요인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간호학생들의 전문 직 자아개념은 간호직에 대한 확신과 업무에 대한 만족감과 업무수행 및 질적 간호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이므로,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 이기 위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고 할 수 있겠다.

    이상에서 살펴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 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을 임의 표출법에 의해 선정하여 특정 그룹에 표본 수가 편중되어 있으므로 연구결과를 확대 해 석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며, 다른 지역을 고려한 반복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간호학생의 전 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 념을 높이기 위해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 구가 요구된다.

    Figure

    Table

    KSHSM-7-119_T1.gif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250)

    KSHSM-7-119_T2.gif

    Degree of self-esteem,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n=250)

    KSHSM-7-119_T3.gif

    Degre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ccording to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n=250)

    KSHSM-7-119_T4.gif

    Correlation for self-esteem,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n=250)

    KSHSM-7-119_T5.gif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on professional self-concept

    Reference

    1. J.Trofino (1995)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health care , Nursing Management, Vol.26 (8) ; pp.42-49
    2. S.H.Yang, O.C.Lee, W.S.Lee, J.Yoon, C.S.Park, S.J.Lee (2009) Critical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3 Nursing Colleges with Different Education Methods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5 (2) ; pp.149-158
    3. D.Arthur (1995) Measurement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developing a measurement instrument , Nurse Education Today, Vol.15; pp.328-333
    4. J.W.K.Geiger, J.S.Davit (1989) Self-image and job satisfaction in varied settings , Nursing Management, Vol.19 (12) ; pp.50-58
    5. D.Arthur (1992)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 A critical review ,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19 (12) ; pp.712-719
    6. S.Y.Park (1995) The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and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on Nurse's Conflict and Conflict Management Mode , The Journal of Rheumatology Health, Vol.2 (1) ; pp.41-72
    7. B.G.Park (2001) A Study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 , M. S.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pp.4-39
    8. S.Y.Park, J.K.Kim, T.Y.Lee (2011)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Volunteering on Self-esteem and Self-efficiency in University Students , The Korean Contents Society, Vol.11 (2) ; pp.376-384
    9. M.Rosenberg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326
    10. Y.M.Kwon, E.J.Yeun (2007) A correlation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epartment satisfaction, sociality,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3; pp.285-292
    11. B.Kelly (1992)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undergraduates and Their perception of Influential Forces ,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31 (3) ; pp.121-125
    12. S.J.Hwang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2 (2) ; pp.206-212
    13. H.J.Jang, S.O.Yang, M.O.Lee (2007)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Need for Advanced Practice Nurse among Korean Nurses ,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14 (1) ; pp.110-119
    14. K.Y.Song, C.H.Noh (1997) Survey on the Relationship Self-esteem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4 (1) ; pp.61-71
    15. G.H.Kim, G.D.Kim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Nursing Students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3 (2) ; pp.229-236
    16. B.J.Jeon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e-ability , YONSEI Nonchong, Vol.11; pp.107-130
    17. M.Sherer, J.E.Maddux, B.Mercandante, S.Prentice-Dunn, B.Jacobs, R.W.Rogers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 Psychological reports, Vol.51; pp.663-671
    18. A.S.Jung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a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in General Hospital nurse MS Dissertation , M.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pp.16-41
    19. H.R.Song (2010) Comparative study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ing perception i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 M.S. Dissertation, Eulji University, pp.11-42
    20. J.O.Kim, H.J.Kim, G.Y.Cho (2012)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Medical Technology, Self Efficac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Operating Nurses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 (1) ; pp.1-13
    21. J.Y.Lee (2009) Self Esteem, Self 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College Students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5 (2) ; pp.166-174
    22. H.Y.Jung, G.Y.Jung (2013) A Study on the Suicidal Ideation and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 (3) ; pp.149-160
    23. M.S.Kim (2011)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atisfaction in their Major among Nursing Students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7 (2) ; pp.159-167
    24. Y.H.Choi (199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and Hopelessness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 J of Korean Academic Nursing, Vol.25 (3) ; pp.549-561
    25. A.Bandur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 Psychological Review, Vol.84 (2) ; pp.191-215
    2013년 10월 21일
    2013년 10월 28일
    2013년 11월 28일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