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2 No.1 pp.1-11
https://doi.org/10.12811/kshsm.2018.12.1.001

지방의료원장의 의사결정 유형, 공공 기업가정신 및 경영성과

이 정우1, 김 노사2
1대전대학교 의료경영학과
2에덴메디 여성병원

The Decision-Making Types, Public Entrepreneurship and Performance Management of Local Public Hospital Directors

Jung-Woo Lee1, No-Sa Kim2
1Department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Daejeon University
2Edenmedi Women’s Hospital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ecision-making types, public entrepreneurship, and performance management of local public hospital directors.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dependent variables of directors’ decision-making types and public entrepreneurship. The analysis of management performance was carried out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2016 results of, data of variation rate on medical revenue and change rate on medical profit and results in 2015.


Results :

Results indicated that local public hospital directors who used rational decision-making showed better performance management. The analysis showed that enterprise had a greater positive effect (+) on variation rate of medical revenue than that of innovation. However, innovation had a higher positive effect (+) on change rate of medical profit than that of enterpri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novation and enterprise have a major influence on performance management.


Conclusions :

The survey used for this study suggests that a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is needed to improve public hospital directors’ ability for rational decision-making, public entrepreneurship and performance management. Additionally, the policy change guaranteeing autonomy within the proper range is demanded that Local Public Hospital Director having spirit of innovation and enterprise achieves peak capacity and have responsibility for management



    Ⅰ. 서론

    조직이 괄목할만한 경영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투자확대를 비롯한 다양한 요인이 필 수적이라고 생각해 왔지만 최근 들어 프랜차이즈 CEO의 부당한 의사결정이나 일탈행위로 인해 가 맹점의 영업실적이 급격히 악화되어 사회적 문제 가 되었던 다수의 사례를 보면서 무엇보다 경영자 의 능력과 경영마인드가 경영성과에 가장 중요하 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하는 계기가 된 바 있다.

    경영자의 역량에 관한 연구는 1980년대부터 활 발히 진행되었는데, Demerjian et al.[1]을 비롯한 많은 연구자는 경영자 능력과 경영성과 사이에 유 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경영자 능력이 란 동종 산업의 경영자와 비교하여 기업의 자원을 수익으로 전환시키는 상대적인 효율성을 의미하는 데[1], 구체적으로는 기업의 재무, 투자, 영업활동 과정에 나타나는 다양한 현안에 대한 효과적인 의 사결정은 경영자의 역할인 동시에 책무이며, 성과 와 목표달성에 책임을 지는 행위이므로 결과적으 로 경영자 능력은 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일 뿐 아니라 기업에 있어 가 장 중요한 무형자산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2].

    이처럼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조직이 경쟁 우위를 확보하여 생존하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적절한 시기에 합리적인 의 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경영자 역량과 함께 조직 의 사명과 비전에 정확히 정렬된 경영마인드의 필 요성에 대한 인식은 이미 폭넓게 자리 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Kwak[3]은 경영마인드 는 일상적으로 통용되는 단어이지만 체계적으로 개념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경영마인드와 기업 가정신을 정확히 나누어 설명하기 힘들지만 기업 가정신은 경영마인드 보다 좀 더 창업가적 기질을 내포하는 개념이므로 경영마인드는 기업가정신의 하부 구성요소라고 하였다. 기업가정신도 많은 학 자들에 의해 정의되면서 아직까지 통일된 개념이 정립되지는 못하였지만 지금까지 연구결과물에 제 시된 구성요소인 ‘혁신’, ‘기회’, ‘위험감수’, ‘실천’, ‘진취성’ 등을 감안하면 기업가정신은 “현재 보유 하고 있는 자원이나 능력에 제약받지 않고 기회를 포착하고 추구하는 과정, 사고방식 및 행동방식”으 로 이해할 수 있다[4].

    따라서 공공조직도 공공성뿐 아니라 수익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인식이 일반화 되면서 경영자의 능력이 경영성과에 있어 중요한 요인인 것처럼 병 원장도 병원이 성공에 필요한 결과를 얻는데 큰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5} 등을 감안할 때, 지금 까지 공익성을 강조하며 수익성을 비롯한 재무성 과에 대해 무심하다는 지적을 받아 온 지방의료원 장의 의사결정 역량과 공공 기업가정신 및 경영성 과를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큰 의미를 지 닌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첫째, 지방의료원장의 의사결정 유형을 포함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영성과에 차 이가 있는 지를 규명한다.

    둘째, 경영성과와 상관관계가 있는 공공 기업가 정신의 하위 요인을 규명한다.

    셋째, 경영능력을 지닌 지방의료원장의 선임을 비롯하여 경영능력 신장을 위한 기본적 정보에 관 해 고찰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본 연구와 관련하여 선행연구에 사용된 문항을 근거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현재 운영 중에 있는 34개 지방의료원 원장에게 2016년 9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설문지를 배부하고 전화와 대면을 통해 자기평가 기입법(self- administration method)에 따라 응답을 요청한 결과, 최종 24부를 회수하여 응답률은 70.6%이다. 그 중 무효응답에 해당되는 설문지 2부를 제외한 22부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 다. 본 연구는 D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의 승인(승인번 호: 1040647–201706–HR–045-03)을 받아 진행하 였다.

    2. 자료분석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22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의사결정 유형을 확 인하고자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다. 공공 기업가정 신과 경영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고, 일 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수익증감률과 의료이익증감 률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Welchʹs t-test를 시행하 였다. 또한 공공 기업가정신이 기업경영성과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시행하였다.

    3. 연구도구

    1) 경영자의 의사결정 유형(Decision-making Type)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의사결정 능력이 강조되 는 이유는 의사결정이란 단순히 어떤 사안에 관한 조치뿐만이 아니라 그 결정을 실행하는 과정까지 를 포함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즉 최고경영자 의 개인적인 성향, 교육적 배경, 그동안 축적된 경 험, 조직 내의 지위 등은 최종적인 의사결정과 전 략적 선택에 영향을 주므로 최고경영자의 특성은 배당정책이나 투자의사결정 과정에 반영되어 기업 의 지속적인 수익 창출력이나 성장가능성으로 나 타나게 되는 것이다[6].

    의사결정 유형을 연구한 학자 중 Phillips et al.[7]은 의사결정 유형이란 대안에 대한 정보를 획 득하고 처리하여 행동에 옮기는 독특한 방식이라 고 정의하면서 합리형, 직관형, 의존형으로 구분하 였고, Scott & Bruce[8]는 의사결정 유형이란 의사 결정 상황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학습된 습관과 반 응양식으로 정의하고, 합리형(rational), 직관형 (intuitive), 의존형(dependent), 회피형(avoidant), 즉흥형(spontaneous)으로 분류하였는데, 합리형은 체계적이고 논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의사결정하고, 직관형은 개인의 직관과 느낌이 중요한 요인이 되 며, 의존형은 타인의 충고와 조언을 의사결정에 반 영한다고 개념화하였다. 또한 즉흥형은 즉각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에 따라 신속하게 의사결정을 내리 고, 회피형은 의사결정 상황 자체를 불편하게 여겨 최대한 의사결정을 미루는 성향이 있다고 지적하 면서 개인의 의사결정 유형을 판단할 수 있는 자 기보고식 질문지인 일반 의사결정 유형(GDMS: general decision making style)척도를 제안하였다.

    Kim et al.[9]는 Scott & Bruce[8]의 GDMS 척도 를 한글로 번역하고, 215명의 다양한 연령층을 대 상으로 공분산구조모형분석을 통해 국내 실정의 반영과 문항 수를 축약한 한국형 GDMS 척도를 연구하여 20개의 문항, 5개의 요인으로 측정하는 연구를 통해 높은 내적 일관성과 신뢰도를 확인하 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의 적합도 지수도 높 은 것으로 확인함으로써 축약형 의사결정 유형척 도의 적합성을 입증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 의사결정유형은 특정한 의사결 정상황 하에서의 개인의 행태나 심리에 대한 문항 에 대한 응답점수를 합산하여 가장 높은 점수가 집계된 유형으로 판단하기로 정의하고 Scott & Bruce[8]과 Kim et al.[9]이 제시한 측정도구를 연 구목적에 맞게 사용하였다.

    2) 공공 기업가정신(Public Entrepreneurship)

    Schumpeter[10]는 자본주의 경제란 끊임없는 혁 신을 통하여 창조적인 파괴과정으로 발전되어 왔 는데 그 발전의 원동력을 기업가정신이라고 하였 고 Covin & Slevin[11]은 위험감수성을 낮은 위험 의 과업보다 높은 위험의 과업을 선호하는 경향으 로 사업의 성공기회를 모색하고 추구하는 의욕으 로 정의하면서 많은 학자들에 의해 정의된 기업가 정신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혁신적, 위험 감수 및 진취적으로 자원을 분배하거나 재결합하 는 활동으로 이해된다고 주장하였다. 민간영역에서 시작된 기업가정신에 대한 연구가 이후 공공조직 의 성과향상과 혁신 확보를 목표로 공공영역으로 확장되면서 독자적인 학문영역을 구축하였고 그 비중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되었다고 밝힌 Morris & Jones[12]는 공공 기업가정신을 “사회적 기회를 탐색하기 위해 공공 및 민간자원을 상호 독특한 배합에 의거 시민들을 위한 가치를 창출하는 과 정”이라 정의하고 기업가 정신은 공공부문 조직에 적용할 수 있는 보편적 요소이며 공공 기업가정신 과 기업가정신은 유사하다고 주장했다. Schnellenbach[13]는 일반 기업조직에서는 경영마 인드를 통해 기업 가치가 향상되지만, 공공영역에 서는 공공조직의 비능률성을 감소시키고 산재된 다양한 행정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혁 신적 대안을 탐색하는 수단으로 공공 기업가정신 에 의해 조직의 가치가 창출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공공 기업가정신은 개인이 나 조직으로 하여금 비능률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회를 포착하고 다양한 행정문제에 대한 혁신적 대안을 강구하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그 과정은 종 종 혁신성(INNV), 진취성(PROG), 위험감수성 (RISKTK) 등으로 유형화된다는 Currie et al.[14]의 연구결과를 중요한 속성으로 설문에 반영하였다. 혁신성은 Schumpeter[10]가 최초로 도입한 개념으 로 기업의 새로운 조합의 실행 신제품, 원재료의 새로운 원천, 새로운 생산방식, 신시장개척, 신조직 실현을 위한 자원의 재결합을 의미하며, 새로운 아 이디어, 참신성, 실험, 창조적 프로세스에 대해 지 원해주는 기업의 성향으로, 새로운 제품, 서비스 및 프로세스를 창출한다[15]는 주장 등을 종합하면 기업가의 혁신성은 외부환경의 불확실성과 자원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조직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영자의 노력으로 이해된다. 진취성은 기업이 경 쟁자보다 먼저 신제품 또는 서비스를 소개, 도입하 여 가장 신속하게 혁신을 추구함으로써 시장에서 선점자의 이점을 추구하는 진보적 성향을 의미하 므로[16] 본 연구에서는 진취성은 미래의 기회를 예견하고 행동을 취함으로써 경쟁기업에 앞서 선 도기업의 이점을 확보하려는 경향으로 정의한다. 위험감수성은 성과가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의사결 정을 내리고 구체적 행동을 취하여 자원을 투입하 려는 경향을 말하는데 Kwak[17]은 기업가와 경영 자를 구분하는 기준은 불확실성을 담보하는 기업 가 고유 정신에 있으며 기업가의 우수한 예견력과 판단력으로 현재의 생산과 미래의 수요 사이의 시 차로 인한 불확실성을 줄이는 경영자가 바로 기업 가로 변화한다고 하였다.

    공공 기업가정신을 측정하기 위해서 Colvin & Sleven[11]이 개발한 기업가정신 설문문항을 본 연 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설문문항을 구성하였 다. 문항 수는 총 15문항으로 혁신성 5문항, 진취 성 5문항, 위험감수성 5문항으로 5점 척도로 측정 하였다. 값이 클수록 최고경영자가 높은 기업가정 신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선행연구에서 혁신성에 대한 신뢰성은 0.664, 진 취성에 대한 신뢰성은 0.650, 위험감수성에 대한 신뢰성은 0.772으로 각 설문항목 간에 내적 일관성 이 있어 설문항목이 해당 기업가정신을 측정하는 적절한 설문임을 확인할 수 있다.

    3) 경영성과

    병원의 재무적 경영성과는 일차적으로 수가에 환자수를 곱하여 산출되는 의료수익으로 집계된 크기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진료활동이 활발하면 의료수익은 증가하게 되므로 의료수익증가률이 클 수록 그 병원의 경영성과는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또한 수익 증가가 경영성과인 것처럼 비용 절감도 경영성과의 하나로 인식할 수 있는데, 이 두 가지 측면을 모두 반영한 수익성지표라 할 수 있는 의료이익률은 외래수익, 입원수익을 합한 의료수익에서 인건비, 재료비, 관리비 등의 의료비 용을 차감하여 산출하므로 병원의 목적사업인 의 료수익과 의료비용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인 동 시에, 병원의 획득한 이익의 크기를 판단하는 대표 적 기준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경영 성과는 설문에 응답한 의료원장이 경영하는 개별 의료원의 2015년 대비 2016년의 의료수익증감률 (Performance A)과 의료이익증감률(Performance B)의 값이34개 의료원의 평균값보다 높으면 경영 성과가 있는 것으로, 평균값보다 낮으면 경영성과 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의 내용과 같다.

    응답자의 연령은 60세 이상이 13명(59.09%)으로 50대(9명, 40.91%)보다 많고, 학력은 석사 5명 (22.73%), 박사 17명(77.27%)이다. 전공분야는 의학 이 20명으로 90% 이상을 차자하고 있으며 경영학 과 보건학 전공자는 각각 1명이다. 지방의료원장의 임기인 3년을 기준으로 초임 의료원장은 9명 (40.91)이며 2회 이상 중임자는 13명으로 59.09%를 차지하고 있다. 의료원장 취임 전 직업은 개업의가 12명(59.09%), 대학교수 9명(40.91%), 기타 1명의 순이었다. 의사결정 유형은 선행연구에 사용된 방 법에 따라 유형별로 해당하는 문항이 정해진 설문 에 대한 5점 척로 응답케 하여 그 합계 값이 가장 큰 경우를 해당 유형으로 판단하였는데, 22명 설문 지를 분석한 결과 합리형이 17명(77.27%), 의존형 이 5명(22.73%)이었다.

    응답자가 경영책임을 지고 있는 지방의료원은 거의 모두가 종합병원이며, 300병상 이상의 병원도 4곳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소재지별로 구분하면 중 소도시에 19개가 위치하고 군단위에 3개가 운영 중이며 개원 후 운영기간은 50년 미만인 병원이 4 곳에 불과하며 1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병원도 5곳이나 있어 지방의료원이 오랜 기간에 걸쳐 지 역사회에 기여한 바가 적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2. 일반적 특성과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경영성 과 차이

    응답자의 의사결정 유형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영성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2>의 내 용과 같다.

    표본자료가 등분산 가정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Welch's t-test로 분석한 결과, 의료수익증감률과 의료이익증감률의 평균은 의사결정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 었는데, 합리형의 의료수익증감률 평균은 19.502, 의존형의 의료수익증감률 평균은 4.450으로 합리형 유형의 의료수익증감률이 의존형보다 15.051이 높 았고, 의료이익증감률 평균도 합리형이 55.742, 의 존형은 15.190으로 합리형이 의존형보다 40.552만 큼 높아 지방의료원장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라 경 영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의료원장 취임 이전 직업이 개업의 인 경우의 평균값이 61.768이고 교수는 26.554으로 개업의가 교수보다 35.214만큼 높았으며 의료원장 의 임기인 3년을 기준으로 할 때, 초임자보다 중임 또는 연임자의 경우가 38.609만큼 높아 의료이익증 감률에 차이가 있었다.

    3. 공공 기업가정신과 경영성과의 관계

    의료원장의 공공 기업가정신(PETPS)의 하위요 소인 혁신성(INNV), 진취성(PROG), 위험감수성 (RISKTK)과 경영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혁신성(INNV)은 의료수익증감 률(r=.526, p<.05), 의료이익증감률(r=.626, p<.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진취성 (PROG)도 의료수익증감률,(r=.570, p<.01), 의료이 익증감률(r=.576, p<.05)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혁신성(INNV)과 진취성 (PROG)과의 관계(r=.564, p<.01)도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지만, 위험감수성은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공 기업가 정신의 하위요인이 경영성과에 미 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혁신성을 독립변수로, 의료수익증감률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 순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4>의 내용 과 같이 혁신성이 의료수익증감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관분석 결과 의료수익증감률과 정적 상관관계 가 있는 공공 기업가 정신의 혁신성과 진취성 점 수를 독립변수로, 의료수익증감률을 종속변수로 하 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의 상 단 내용과 같다. 의료수익증감률의 주요 예측 요인 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계적 입력방법의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위험감수성은 유의한 상관관 계를 보이지지 않아 제외하였고, 합리형과 의존형 으로 판단된 의사결정스타일은 더미변수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독립변수들의 VIF값은 모두 5이하로 기준치 10보다 작아 다중공선성문제가 없 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 의하였으며(F=4.036, p<.05), 설명력(R²) 40.2%였다.

    동일한 독립변수와 의료이익증감률을 종속변수 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 의 하단 내용과 같다.

    의료이익증감률의 주요 예측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위험감수 성은 의료수익증감률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보이지 않아 제외하고 원장이전직업, 의사결정스타일, 근 무년수를 더미변수로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독립변수들의 VIF값은 모두 5이하로 기준치 10보다 작음으로 다중공선성문제 는 없었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F=6.995, p<.01), 설명력은 70%, 의료이익증감률에 대한 유의한 예측요인은 근무년수(p=.022), 원장이 전직업(p=.030)이며 더미변수 중 근무년수가 가장 큰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Ⅳ. 고찰

    첫째, 의료수익은 유능한 의사의 초빙과 유지 및 신규 진료과목이나 서비스 과정의 도입에 따라 증가될 수 있고, 의료이익은 의료수익의 증가뿐 아 니라, 인적자원이나 구매 등 전반적인 업무과정이 비용 절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효율ㆍ효과적으로 조정하고 통제할 때 얻게 되는 결과라 할 수 있으 므로 지방의료원장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수익을 증가시킬 능력이 있는 의사를 초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의료원의 전반적 활동을 생산적으로 개선 하는 의사결정력과 경험이라 할 수 있다.

    연구 분석결과 경영성과 요인인 의료수익증감률 과 의료이익증감률은 의사결정 유형에 따라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합리형이 의존형 보다 높았으며, 공공 기업가정신의 하위요인 중 혁 신성과 진취성이 의료수익증감률, 의료이익증감률 과 정(+)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를 통해 지방의 료원장의 합리적 의사결정력과 공공 기업가정신 중 혁신성과 진취성을 유지, 강화할 수 있는 정보 를 제공하고 교육하는 과정의 개설과 운영을 검토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주장은 유능한 경영자의 내적 특성은 동 기, 특질, 자기개념, 지식, 기술의 5가지로 이 중 동기, 특질 등은 타고난 요소로 볼 수 있으나, 지 식과 기술 등은 비교적 교육과 훈련을 통해 개발 하기 쉬울 뿐 아니라 이러한 내적 특성은 개인에 게 깊이 내재되어 특성화에 용이하고 측정이 가능 하며 우수하거나 그렇지 못한 것을 구체적으로 구 분할 수 있어 성과와 깊숙한 인과관계가 있다는 Lim[18]의 연구결과에 의해 부분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둘째, 의료원장의 전직(前職)이 개업의인 경우와 초임보다 중(연)임자의 의료이익증감률이 높았고 다중회귀분석 결과, 의료이익증감율에 영향력을 미 치는 요인은 의료원장의 전직과 재임기간이었으며 그 중에서 중(연)임 요인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의료원장이 병원의 전반적인 의 료서비스 창출 과정에 걸쳐 수익증대 또는 비용절 감을 위한 업무개선 방안을 확실히 파악하고 실행 에 옮길 수 있어야 비로소 경영성과로 이어진다고 이해되기 때문인데, 이것은 부채비율이 높은 지방 의료원의 수익성이 높은 이유를 기본재산의 범위 내에서 비용의 지불시기를 조절하거나 유예하는 지방의료원장과 자금운영 담당자의 의사결정 능력 과 경영마인드에 따른 레버리지 효과라고 주장한 Yang & Lee[19}의 연구결과와 CEO의 경력은 재 무적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Yu[20]의 연구 결과를 통해 그 기전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전술한 내용과 함께 선출직 지방자치단체 장의 정치적 판단에 따라 지방의료원장을 임명하 는 현재의 방식을 합리적 의사결정력을 지닌 경영 자에 관한 인력 pool제를 도입하고 유능한 경영자 를 의료원장으로 보임하는 방식의 도입에 관한 검 토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Lee[21]는 공공기관 장에 관한 정치적 임용은 실적 임용에 비하여 낮 은 성과를 보였다고 주장과 함께 병원의 경영성과 에 기여하는 “병원장은 환자를 돌보는 기관으로서 의 병원보다는 환자를 돌보는 사람들을 관리하는 행정기관으로서 병원을 운영하는 사람”이라는 Drucker[22]의 정의를 참고로 할 수 있다. 또한 Ahn[23]은 지방의료원장은 “의사의 공백이 없도록 의료진을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반드시 의사일 필요는 없다.”고 전제하면서 “의사 인 원장으로서 의료업무도 충실치 못하고 경영마 인드도 부족한 원장은 경계해야 하며, 원장의 재임 용 시에는 과거 경영실적을 참고로 능력위주의 임 명을 함으로써 의료원이 계속적인 부실경영이 되 지 않도록” 하는 개선 필요성을 주장한 바 있다.

    넷째, 경영성과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공공 기업가정신 중 혁신적 생각과 진취적 활동이 활성 화되려면 Kwack[24]의 연구결과를 참고로 지방의 료원장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정책의 전환도 검토 해 볼 수 있다. 즉, 의료원 운영과 관련된 중요사 항은 이사회가 심의ㆍ의결하고 의결사항 가운데 중요사항은 시·도지사의 승인을 얻어야 하고 보건 복지부 지침에 따라 행정적 지도·관리·감독 기능 이 수행되며 예산편성권 및 병원장을 포함한 이사 와 주요 임원진의 인사권은 지방자치 단체가 갖는 현행 관련규정을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의료원장에 게 위임하는 정책적 조치에 관해서도 중지를 모을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이상의 내용은 공공조직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필수요소는 유능한 관리자의 확보, 자율성의 보장, 책임성의 확보 등이라는 Monsen & Walters[25]의 주장과 맥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V.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의 조 치가 요구된다.

    첫째, 지방의료원장의 공공 기업가정신과 합리 적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훈 련과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지방의료원장의 선임과 재임명과 관련하 여 필수 교육과정 이수 여부, 경영실적 등을 반영 하는 획기적인 개선을 검토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혁신성과 진취성을 지닌 지방의료원장이 그 역량을 발휘하고 경영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적절한 범위 내에서 자율성을 보장하는 정책전환 을 검토해 볼 수 있다.

    넷째, 지방의료원장을 대상으로 경영성과 향상 에 기여하는 개인적 자질과 역량에 관한 연구가 정기적으로 수행되고 그 결과를 자료화하여 평가 에 반영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지방의료원장이 직접 설문응답자로 연구에 참여한 최초의 연구라는데 큰 의미가 있지 만 다음과 같은 한계점도 지니고 있다.

    첫째, 개인의 의사결정 유형을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개인이 스스로에 대해서 느끼는 정도에 대해 기입하는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하였기 때문에 객관성과 신뢰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 본 연구 의 결과에서도 합리형 유형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는데 이는 응답자의 실제 의사결정 유형이 합 리적이라기보다는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인간의 행 태로 인식되는 사항을 선택한 결과일 수도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보다 객관적으로 개인의 의 사결정 유형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에 관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둘째, 지방의료원장의 임기와 무관한 경영성과 를 종속변수로 적용하게 되면 연구목적에 부합되 지 않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2015년 대비 2016 년 재무지표 증감률을 살펴보았지만, 이는 단기적 지표분석임으로 연구결과의 객관적인 측면에서 다 소 한계를 지니고 있다. 향후 의료원장의 임기와 경영성과를 연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결과를 자료화하는 것과 함께 지방의료원 이외의 공공 의료기관으로 연구범위를 확대하는 것도 필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n=22)
    Performances Management Differences by Director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cision-making Types (n=22)
    *p<.05
    **p<.01
    Performance A = Patient revenues increase and decrease ratio
    Performance B = Operating margin increase and decrease ratio
    Correlations between Public Entrepreneurship, Performance A and Performance B
    *p<.05
    **p<.01
    Effect of Public Entrepreneurship on performance Management A
    Effect of public entrepreneurship on Management performance A & B

    Reference

    1. P. Demerjian, B. Lev, S. McVay(2012), Quantifying managerial ability : A new measure and validity tests , Manage. Sci., Vol.58(7);pp.1229-1248.
    2. C.Y. Ko, J.H. Park, H. Jung, K.H. Yoo(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Managerial Ability by DEA on Firm Performance , Management Accounting Association of Korea, Vol.13(1);pp.165-200.
    3. M.R. Kwak(2005), The Influence of Business Management Class on The Business Mind and Career Maturity., The Graduate Schoo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pp.31-33.
    4. C.S. Seo, Y.H. Yu, H.J. Yoon, S.H. Cho(2012), A Study on the Ways to Vitalize Entrepreneurship Center in University.,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pp.5-28.
    5. R. Menaker, R.S. Bahn(2008), How perceived physician leadership behavior affects physician satisfaction , Mayo Clin. Proc., Vol.83(9);pp.983-988.
    6. H.J. Ban(2015), The Interaction Effect of CEO Characteristics and Dividend Payout on Investment Expenditures, Korea International , Account. Rev., Vol.59 pp.237-258.
    7. S. Phillips, N. Pazienza, H. Ferrin(1984), Decision-Making Styles and Problem-Solving Appraisal , J. Couns. Psychol., Vol.31(4);pp.497-502.
    8. S. Scott, R. Bruce(1995), Decision-making Style : The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a New Measure , Educ. Psychol. Meas., Vol.55(5);pp.818-831.
    9. E.J. Kim, J.I. Kim, S.K. Nam, G.K. Roh(2011), General Decision Making Style(GDMS) Scale, Decision Making Style, Decision Making Competency, Shortend GDMS Scale, Validation Study ,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Vol.12(4);pp.751-770.
    10. J.A. Schumpeter(1973),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pp.38-42.
    11. J.G. Covin, D.P. Slevin(1986),,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organizational-level entrepreneurship scale, in Ronstadt et al.(Eds.), Frontiers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Babson College, MA : Wellesley, pp.628-639.
    12. M.H. Morris, F.F. Jones(1999), Entrepreneurship in established organizations : The case of the public sector , Entrep. Theory Pract., Vol.24(1);pp.71-91.
    13. J. Schnellenbach(2007), Public entrepreneurship and the economics of reform , J. Inst. Econ., Vol.3(2);pp.183-202.
    14. G. Currie, M. Humphreys, D. Ucbasaran, S. McManus(2008), Entrepreneurial leadership in the English public sector : paradox or possibility? , Public Adm., Vol.86(4);pp.987-1008.
    15. G.T. Lumpkin, G.G. Dess(1996), Clarifying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struct andLinking its Performance , Acad. Manage. Rev., Vol.2(1);pp.135-172.
    16. D.W. Lyon, D.G. Lumpkin, G.G. Dess(2001), Enhancing Entrepreneurial Orientation Research : Operationalizing and Measuring a Key Strategic Decision Making Process , J. Manage., Vol.26(5);pp.1055-1085.
    17. K.Y. Kwak(2013), The Effects of Global Entrepreneurship and Social Capital with in Supply Chain on the Export Performance of SMEs, Th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pp.90-96.
    18. A.R. Lim(2015), The Effect of Youth Entrepreneurs' Competence on Entrepreneurial Behavior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pp.91-93.
    19. J.H. Yang, J.W. Lee(2017),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Local Public Hospitals ,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1(3);pp.1-11.
    20. Y.Y. Yu(2013), The effect of autonomy of local state-owned company to its management outcome., The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pp.91-93.
    21. M.S. Lee(2001), Political Appointment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Executive Officers of Government-Invested Enterprises , Korean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35(4);pp.139-156.
    22. P.F. Druker(1990), Managing The Non-Profit Organization : Practices and Principles., New YorkHaper Collins Publishers, Inc. pp.55-56.
    23. Y.S. Ahn(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 Public Hospital.,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Public Enterprises pp.220-221.
    24. C.G. Kwack(1999), Restructuring of the Public Corporations Productivity Increase and Government-business relations ,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Vol.10(2);pp.319-337.
    25. R.J. Monsen, K.D. Walters(1983), Nationalized Companies, Mc-. Graw-Hill, pp.178
    20180131
    20180316
    20180326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