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2 No.1 pp.161-171
https://doi.org/10.12811/kshsm.2018.12.1.161

ISO 26000 적용을 위한 의료기관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고찰

조 경원1, 사 공미2
1고신대학교 의료경영학과
2춘해병원

Analysis on CSR of Hospitals for Application of ISO 26000

Kyoung Won Cho1, Mi Sagong2
1Department of Healthcare Administration, Kosin University
2Choonhae Hospital

Abstract

Objectives :

As the management philosophy of hospital social responsibility is diversified, we systematically reviewed the literature to apply ISO 26000 to the monitoring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social needs and changes.


Methods :

PubMed Database, NDSL and RISS were searched for articles related to CSR based on ISO 26000.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aims, methods and results.


Results :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CSR tools of hospitals, including human rights, labor practices, and consumer issues, which are parts of the seven key topics of ISO 26000.


Conclusions :

Based on ISO 26000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hat reflects legal and institutional situations of Korean hospitals.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7S1A5A2A01023462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2003년 OECD는 기업이 사회적 책임활동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CSR)을 통해 경 제적, 환경적, 사회적 긍정적 기여와 함께 다양한 운영상의 어려움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고 밝히면서 사회적 기업 활동을 통해 사회적 부 가가치 창출 및 기업과 사회적 목표 간의 합의를 도달하는 경영이념으로 거론하였다[1]. 최근 기업 의 CSR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지속가능 경영 에 대해 CSR 전략 수립 및 구현을 중요한 과제로 다루고 있다[2].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제품을 차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넓게 활용된다[3]. 사회, 정치 및 환 경 변화와 함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의 핵 심 요소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도덕적이고 책 임 있는 경영을 위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국가 및 국제기구에서 경제, 사회 및 환경 활동의 주요 성과지표로서 비재무적 정보를 공개하는 움 직임이 일고 있다[3].

    전 세계적으로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기관, NGO 등 모든 조직들에 대한 사회적 책임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2010년 국제표준화기구 (ISO)는 사회적 책임의 국제표준인 ISO 26000을 발표하였다. 이는 UN, OECD 등 여러 국제기구에 서 선언한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국제규범을 통합 하고, 정부, 산업, 노동, 소비자, NGO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국제적인 합의에 따라 제정된 종합지침으로, 사회적 책임의 원칙에 관한 실행지침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4].

    의료기관에서도 병원의 지속성장 조건으로 부각 되고 있는 병원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경영이념이 다각화되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전략을 적용하여 실행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5]. 기업 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 평판을 측정하는 데 핵심 적인 기준으로 사용되기도 하면서[6] 의료기관의 사회적 책임은 조직의 전략경영차원에서 수립되고, 국가 보건발전과 지역사회와 밀착된 전략과 연계 하여 사회적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는 방향으로 특성화되고 있다[7]. 2000년대 이후 대기업의 산업 자본으로 운영되는 초대형병원과 민간보험회사, 다 국적 제약회사 및 다양한 의료기기 업체, 시민단체 가 새롭게 등장하면서 이들의 사회적 책임과 의료 조직의 윤리문제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8]. 윤리적이고 사회적 책임활동이 활발한 기업은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선점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CSR을 통해 소비자 교육 등 소비자 인식 변화를 제공한다[9]. 따라서 의료기관에서의 CSR도 환자 및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보건 및 건강증진 분야에 보다 큰 파급력을 가진다.

    최근 의료기관은 공공의료 기능 강화로 질병 예 방, 관리, 교육사업 등 비영리 의료서비스를 확대 하는 공적 의료서비스와 함께 사회적 책임활동으 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다[10]. 반면 의료기관에서의 CSR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 지 못하며 기업의 CSR 측정도구를 그대로 또는 일부분만 사용하는 등 비영리기관의 특성을 실질 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기업, 공 공기관, 의료기관 등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문헌을 고찰하여 의료기관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적합한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건의료의 공공성과 비영리성을 기반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 하는 의료기관에 ISO 26000을 적용하기 위한 과정 으로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해 고찰하였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와 변화에 맞춰 의료기관에 ISO 26000을 적용하기 위해 사회적 책 임활동과 관련된 문헌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이를 근거로 새로운 측정도구 개발에 필요한 기업, 공공기관, 의료기관 등의 CSR 관련 연구와 기업, 공공기관의 ISO 26000 활용 사례들을 살펴보고 의 료기관의 CSR 적용 방안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 다. 본 연구의 세부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책임활동 측정도구의 특징 및 경 향을 분석한다.

    둘째, 사회적 책임활동 측정도구별 하위개념 및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한다.

    셋째, 기업, 공공기관의 ISO 26000을 활용한 사 례 연구를 고찰한다.

    넷째, 의료기관의 ISO 26000 활용 연구 및 CSR, 윤리경영에 대한 연구를 고찰한다.

    이를 통해 ISO 26000의 개념을 활용한 의료기 관의 사회적 책임활동 측정도구 개발 필요성의 근 거를 확보하고, 향후 새롭게 개발될 측정도구는 의 료기관을 넘어 보건의료산업 차원의 전략적인 사 회적 책임활동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문헌탐색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측정하는 도구들의 수집을 위하여 국내, 국외로 나누어서 CSR에 대한 개념과 유형을 고찰하고 측정도구를 분석하였다. ISO 26000 활용 사례에 대한 문헌 검색과 분석은 ISO 26000이 발표된 2010년을 기준으로 2017년 현 재까지의 국내문헌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외 문헌 의 경우 구글 학술검색, SAGE Journals Online, pubmed, science direct 등에서 검색하였으며 이러 한 문헌들이 대부분 서구사회 위주로 개발되어 인 용되다 보니 국내 특성에 맞는 기업의 사회적 책 임 활동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미흡하였다. 이 를 고려하여 국내 CSR의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 구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구성항목의 신뢰성과 타 당성을 확인하였다. 사례연구 고찰을 위해서는 국 내 CSR의 연구에서 ISO 26000에 기반을 두고 사 회적 책임 활동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대 상,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연구결과 등을 확인하였 다. 국내 문헌의 경우 RISS, NDSL, DBpia에서 제 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2. 문헌 선정 기준 및 분석 대상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해 관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서 검색하는 단계를 거쳐 기준에 따라 문헌을 가 려내는 문헌 선택과 문헌분류 과정을 거쳤다. 선정 된 문헌에 대해 유의미한 내용들을 추출하는 자료 추출을 통해 자료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때, 내용 상 중복 게재된 문헌이나 실험설계가 질적 연구이 거나 비교집단이 없는 문헌은 제외하였다.

    1) 사회적 책임 활동(CSR) 관련 문헌

    먼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측정도구의 선행연구 고찰을 위해 살펴본 주요 검색어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병원의 사회적 책임, CSR 활동, CSR 유형, CSR 평가, CSR Model 등을 사용하였으며 검색한 논문의 포함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책임 활동의 정의를 밝히고 있는 가?

    둘째, 사회적 책임 활동을 측정하는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는가?

    셋째, 측정대상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는가? 넷째, 측정도구의 평가 절차와 신뢰성과 타당성 을 밝히고 있는가?

    다섯째, 국외문헌은 학술지를 포함하여 전자데 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전문을 볼 수 있는가?

    이러한 기준에 근거하여 의료기관의 CSR연구에 서 활용된 도구의 특성을 분석하고 어떤 하위요소 를 측정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2)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ISO 26000 관련 문헌

    ISO 26000 활용 관련 문헌고찰을 위한 주요 검 색어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ISO 26000, ISO 26000의 활용, CSR평가, CSR측정 등을 사용하였 다. 검색한 논문의 포함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ISO 26000의 정의를 밝히고 있는가?

    둘째, ISO 26000의 7대 핵심 주제를 평가도구로 사용하였는가?

    셋째, 측정대상이 기업 또는 공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는가?

    넷째, 측정도구의 평가 절차와 신뢰성과 타당성 을 밝히고 있는가?

    3) 의료기관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병원윤리경 영 관련 문헌

    의료기관 CSR평가에 대한 선행연구의 분석은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ISO 26000의 연구가 미흡 한 점을 고려하여 CSR의 개념을 토대로 의료기관 CSR 활동, 의료기관 사회적 책임 경영, 병원의 CSR평가, 병원윤리경영 등의 주요 검색어를 사용 하였다. 의료기관 CSR에 관해 검색한 논문의 포함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책임 활동 또는 윤리경영에 대한 정의를 밝히고 있는가?

    둘째, 사회적 책임 활동 또는 윤리경영을 측정 하는 도구를 밝히고 있는가?

    셋째, 측정대상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는가?

    넷째, 측정도구의 평가 절차와 신뢰도 및 타당 도를 밝히고 있는가?

    위의 기준으로 제1저자가 1차 검색을 실시하고 2010년부터 최근의 연구를 중심으로 논문의 제목 과 초록을 검토하여 논문을 선별하였다. 제2저자는 검토과정 중 이견이 있는 경우 토의 과정을 통해 참고문헌을 추가 고찰하였다.

    3. 분석 내용 및 방법

    사회적 책임 측정도구의 평가방법과 평가내용, 평가대상을 확인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분석하 였다. 그리고 측정도구가 어떤 하위요소를 측정하 고 있는지 정리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사회적 책임 측정도구의 일반적 경향

    사회적 책임활동 측정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설문지가 담긴 소책자 배부 후 실험진행, 특정년도 기간동안 기업의 KEJI 지수를 CSR 측정도구로 활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책임활동 측정도구에 대한 특징을 살펴 본 결과 Carroll(1979)이 제시한 측정도구의 경우 기업, 공공기관, 의료기관 등 널리 적용되어 사용 되고 있었으며[11], 기업의 재무성과와 CSR의 관계 를 규명하는 연구[12]에서는 KEJI지수(1997) 도구를 사용하고 있었다. 2010년 ISO 26000이 발표된 이 후로 공공기관이 이를 활용하고 있으나 ISO 26000 의 구성개념이나 ISO 26000의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에 그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ISO 26000은 이미 기업이나, 공기관, 의료기관, NGO, 지역사회단체 등에서 시 행하고 있는 개별적인 사회적 책임활동을 포함하 고 있으며 주체별로 활동영역이나 핵심가치에 따 라 다르게 적용, 이행해 왔다. 이제 ISO 26000을 통해 국제표준을 마련함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에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활동은 광의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이 며 그 활동도 경제적·법적·윤리적·자선적 책임을 넘어 사회 전체에 유익한 행동 등을 모두 포함하 는 넓은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기관 의 CSR 활동에 관한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 수준 이다[7].

    의료기관 대상의 연구에서는 병원의 사회적 책 임 경영활동과 조직성과 연구[10]에서 사회적 책임 경영 활동 측정변수를 인권, 근로환경, 환경적 책 임, 환자보호, 지역사회공헌으로 구분하면서 각 개 념을 구성할 때 ISO 26000의 도구에서 관련 문항 을 추출하여 사용한 것이 유일한 연구였다. 그 밖 에 CSR 활동의 속성을 연구의 목적에 따라 구분 하여 측정도구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13].

    2. 사회적 책임 측정도구의 분석

    검색결과 중복논문을 제외하고 120개의 논문을 고찰하였으며 대표적으로 6개의 평가도구가 제시 되었다. Carroll(1979)은 사회적 책임활동을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의 4가 지 개념으로 설명하였으며[14] 기업, 공공기관, 의 료기관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보편적으로 활 용하고 있었다. 23개의 연구에서 Carroll의 측정도 구를 사용하였으며 병원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조 직몰입 및 병원가치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대한 연구[22]에서 병원 사회적 책임활동 중 경제적, 법적, 자선적 책임활동이 조직몰입과 병원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KEJI Index(1997)는 건전 성, 공정성, 사회봉사기여도, 소비자보호만족도, 환 경보호만족도, 종업원만족도, 경제발전기여도의 7 가지로 측정하였다. 6개의 연구에서 KEJI Index를 사용하였으며 CSR 활동이 재무성과와 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건전성, 공정성, 종 업원만족도, 경제발전기여도가 기업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봉사기여도, 종업원만족도, 경제발전기여도는 자본비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10] 인권, 근로환경, 환경적 책임, 환자보호, 지역사회공헌으 로 구분하여 사회적 책임활동을 측정하였다. 근로 환경은 직원만족도가 이직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 쳤으며, 근로환경과 환자보호활동이 병원조직내 내 부 커뮤니케이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환자 보호활동과 지역사회활동은 환자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근로환경과 지역사회활동은 병원이 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역사회활동은 병원평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밖에 ISO 26000 측정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11개, ISO 26000를 참조하여 측정항목을 개발한 연구가 5개, CSR 속성과 CSR 유형에 대한 연구가 42개, 문헌연구 7개였으며 CSR 사례 및 기사문을 사용한 연구가 5개, 상장기업의 CSR 점수 및 등급 자료를 분석한 연구가 1개, 전경련 윤리경영실태 조사자료를 활용한 연구가 1개, 윤리경영 및 사회 공헌활동에 대한 연구가 5개였다. 나머지 14개의 연구에서는 연구자별로 Carroll 및 선행연구를 참 조하여 측정항목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Table 1>.

    같은 연구목적 또는 연구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사용된 연구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가 제시 되어야 한다[15]. 따라서 본 연구에서 조사된 측정 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또는 제시 여 부를 살펴본 결과 정량적 분석을 제외하고 1편의 연구에서만 타당도 실시여부를 밝히지 않았을 뿐 대부분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를 실시한 것으로 나 타났다<Table 2>.

    3.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ISO 26000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결과, ISO 26000 국제표준의 핵심주제 및 이슈와 관련하여 기업의 대응에 관한 연구[16]가 대부분이었으며 ISO 26000 도입 필요성에 대한 기업의 인식고취 및 ISO 26000을 통해 조직의 지속가능성 보고와 개발에 대해 제시하였다[17. ISO 26000과 조직성과간의 연구로는 ISO 26000에 의한 사회적 책임경영이 기 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18]와 CSR 활동 과 관련된 소비자 이슈가 소비자 행동의도에 미치 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으며[19],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ISO 26000의 충실한 이행이 기업이미지가 향상되고 구매의도가 증대되는지 검 증하였다[4].

    4.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ISO 26000

    공공기관의 경우, ISO 26000을 기반으로 하여 지속가능경영, 사회적 책임경영, 공공기관의 성과 및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20]. 공공 기관의 사회적 책임경영은 활동을 보다 체계적이 고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하여 사회적 책임에 대 한 자발적 국제표준으로 제정된 ISO 26000을 전략 적으로 활용하여 공공기관의 존재가치인 공공성 확보 및 공정사회 구현을 위한 공공기관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16].

    5. 의료기관의 사회적 책임(CSR), 병원윤리경영 에 관한 선행연구

    대부분 사회적 책임 활동의 4가지(경제적 책임, 윤리적 책임, 법적 책임, 자선적 책임) 특성이 병원 종사자의 직무만족, 고객지향성, 조직몰입 및 병원 가치 그리고 고객의 CSR 태도, 병원이미지 및 이 용의도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21][22], 지각된 CSR 활동과 소비자 간의 사이에 서 영향을 규명하였다. ISO 26000에 따르면 기업 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와 환경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 기업이 투명하 고 윤리적인 방법으로 책임지는 것을 의미한다 [24]. 이러한 맥락에서 병원윤리경영 역시 의료기 관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중요한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공공기관이 사회적 책임경영에 중점을 두고 있다면 병원은 윤리경영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병원윤리경영이 조직성과, 조직충성도, 조직몰입, 조직유효성, 경영 성과간의 영향을 규명하였다[8][23]. 현재, 의료기관 을 대상으로 ISO 26000을 활용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병원의 사회적 책임경영 활동이 조직성 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연구[10]에서 사회적 책임경영 활동의 하위개념에서 선행연구 고찰과 함께 ISO 26000의 7대 핵심주제 중에서 인권, 노 동관행, 소비자 이슈의 내용을 참조하여 사회적 책 임경영 활동의 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한 것이 유일 한 연구였다<Table 3>. ISO 26000은 7대 핵심주제 와 37개의 주요이슈를 통해 조직 거버넌스, 인권, 노동관행, 환경, 공정운영관행, 소비자 이슈, 지역 사회 참여와 발전에 대해 통합적인 국제표준을 제 시한다. 반면 선행연구에서는 조직 거버넌스, 환경, 공정운영관행, 지역사회 참여와 발전의 개념은 포 함하지 않고 있어 일반적인 ISO 26000의 개념을 모두 반영했다고 하기는 어렵다.

    IV. 고찰

    의료기관을 포함한 보건의료산업은 변화하는 기 업경영 흐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경제규모가 커 지면서 소비자의식이 높아졌고 기업의 사회적 책 임에 대한 사회의 목소리가 새로운 이슈가 되고 있다. 이제 윤리적 소비의식 및 기업 시민정신의 확산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중요한 요소 로 자리 잡고 있으며, 사회적 책임활동을 선도하는 기업이 경쟁력 우위를 선점한 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다.

    최근 사회적 책임활동이 강조되면서 국제적으로 사회적 책임활동 표준가이드인 ISO 26000이 개발 되었다. 이에 따라 기업과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연구를 고찰하고, 현재 적용되고 있는 의료기관의 CSR 측정도구를 분석함으로써 ISO 26000에 근거한 의료기관의 CSR평가의 새로운 모 델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ISO 26000에 따르면 사회적 책임활동은 기관의 투명하고 윤리적인 행위를 통한 의사결정과 행동 이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관의 책 임을 말한다[24]. ISO 26000은 다른 국제표준과는 달리 인증이 아닌 지침으로서 의미를 가지며 결국 사회적 책임에 대한 조직의 실질적인 실행이 지속 가능발전에 대한 기반을 이룬다는 점에서 ISO 26000을 적극적으로 이행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의료계는 인간의 생명과 관련된 주요 사건을 직 접적으로 다루는 산업의 특성상 의료 소비자인 시 민과 일체감을 형성해야 한다[25]. 병원의 사회적 책임 차원에서 윤리경영은 최고경영진과 각 부문 리더에게 의료조직 관리의 지향점을 제시한다. 또 한 병원의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구체적 방법론은 물론, 조직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수 있게 해준다[8].

    많은 의료기관들이 사회적 책임활동에 지속적으 로 자원을 투입하는 반면, 이에 대한 효과 및 평가 를 측정하는 도구가 미흡하며 기업의 CSR 측정도 구 개념을 그대로 활용하고 있어 의료 환경의 내 적, 외적 요소를 구체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의료기관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연구는 인간생명의 존엄성과 봉사정신으로 병원윤리강령 에 입각한 의료조직의 특성과 국민보건향상을 위 한 의료서비스 제공에 이념을 두고 있는 의료기관 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Ⅴ. 결론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문헌고찰을 통 해 보건의료산업 관점에서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가장 바람직하게 반영할 수 있는 개념을 기초로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각 분야 에서 사용하고 있는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를 제시하며 어떤 개념을 측정하는지 분석하였다.

    따라서 앞으로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측정 과 연구는 사회적 책임활동의 국제표준인 ISO 26000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의료기관이 가지고 있 는 비영리성과 의료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공공성, 윤리성과 같은 속성에 기초하여 현재 의료시스템 에 부합하는 사회적 책임활동 측정도구 개발이 시 급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특성에 맞는 병원의 법적·제도적 장치(근로기준법, 의료법, 개인 정보보호법, 환자권리장전 등) 및 상황을 반영해야 하며 이를 대표할 수 있는 사회적 책임활동의 측 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모든 의료기관이 체계적인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하고, 전략적인 사회적 책임활동과 더불어 이러한 활동 에 대한 수행역량의 진단을 할 수 있는 가치평가 기준에 대한 개발 및 분석에 대한 연구가 후속될 필요가 있다.

    Figure

    Table

    CSR Measurement Tool Lis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ment Tool
    Preceeding researches on hospital social responsibility and hospital ethical management

    Reference

    1. S. Homayoun, Z. Rezaee, Z. Ahmadi (2015),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Its Relevance to Accounting , Journal of SustainableDevelopment, Vol.48(9);178-189.
    2. N.C. Smith (2003),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Not Whether, But How ,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45(4);52-76.
    3. L. Karen (2006), The impact of perceiv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onsumer behavior_ ,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9(1);46-53.
    4. S.B. Choi, H.S. Park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ISO 26000 Implementation andConsumer Attitudes: A Moderated Meditatuon Approach , Korea Academy of Financial Consumers, Winter Conference, pp.125-140.
    5. H.S. Lee, H.J. Han, C.B. Kim (2012), Global Healthcare Supporting System and Activity in General Hospital according to Hospital Social Responsibility in Korea ,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3);117-125.
    6. P.S. Ellen, J. Webb, A.M. Lois (2006), Building Corporate Associations Consumer Attribution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ograms ,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34(2);147-157.
    7. K.B. Choi, J.K. Kim, H.R. Kim (2017), The Effect of Medical Institution’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Organization and ManagementPerformanc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8(10);239-248.
    8. K.H. Lee, J.Y. Lyu, Y.Ch. Chang, Y.J. Shin (2016), The Effect of Ethical Managemen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ospitals ,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Vol.26(3);155-171.
    9. D. Hall, S.C. Jones (2008),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ndition branding and ethics in marketing , Proceedings of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Marketing Academy Conference, 81-88.
    10. S.H. Kang, J.N. Kim, Y.J. Seo (2015), Social Responsibility of Korean Hospitals: Workers’ Survey and Its Implications ,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41(3);51-61.
    11. M.H. Kim, K.W. Kim, Ch.H. Nam (2013), The Effects of Corporate`s Social Responsibility on the Turnover Intent for Hotel Employees – Mediating Roles of Group Image, Group Trust, and Job Results– , Journal of Food serviceManagement, Vol.16(4);137-160.
    12. N.M. Soo, Y.S Kwak (2011), A Study on EVA’s Usability as a Company Performance Indicator, Vol.25(3);355-380.
    13. E.K. Han (2003), A Study on the Indexa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Korean Association for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Vol.17(3);274-303.
    14. A.B. Carroll (1979),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 ,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4(4);497-505.
    15. J.F. Sallis, B.E. Saelens (2000), Assessment of Physical Activity by Self-Report: Statu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Vol.71(2);1-14.
    16. Y.B. Moon, K.S. Kim (2010), A Study on the Efficient Response of Business on International Standard Agenda For Social Responsibility(ISO 26000) ,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Vol., Vol.2010(2);30-38.
    17. H.R. KIM (2005), Developing a Scale for Evaluat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Korea Marketing Journal, Vol.20(2);67-87.
    18. S.K. Park, J.Y. Lee, S.B. Park (2011), The Literature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 The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 Information Management, Vol.7(1);95-110.
    19. K.Y. Kim, N.H. Kim, I.S. No, Y.H. No (2014), Effects of Fair Operation Practice of Companie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of Customers with focus on ISO 26000 , SR,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Vol.2014(1);81-82.
    20. Y.J. La, T.B. Yoon (2010),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Sustainable Management in Public Institutions.,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1-211.
    21. B.T. Park, B.J. Park (2014), A Study on the Creating Shared Value(CSV) Management in Hospital Industry – Focused on the Case of CMC’s CSR Activities , Korean Jouran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27(9);1405-1424.
    22. J.H. Heo, W.H. Jang, J.E. Kim, H.G. Ryu (2017), The Effect of Hospital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ospital Valu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Hospital Administrative Practitioners , Korea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1(2);29-42.
    23. Y.G. Noh, M.S. Jung (2016), Path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Hospital Ethical Climate Perceived by Nurses on Supervisor Trus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Journal of theKorean Academy Nursing, Vol.46(6);824-835.
    24. ISO (2010), ISO 26000, Vailable athttp://www.iso.org
    25. M.H. Kim (2008), Present statu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improvement plan , Journal of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SEP·OCT. p.42.
    20180201
    20180304
    20180319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