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 No.4 pp.167-178
https://doi.org/10.12811/kshsm.2013.7.4.167

일 지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

김 혜령‡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건강과학연구소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Affecting Factors among the Aged in one Korean Community

Hye-Ryoung Kim‡
Department of Nursing and Institute for Health Science Research, Inje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aged who have been living in one urban community.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167 of people who were 60 and ov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by EQ-5D in Korean Version. The order of frequency of 5 domain in EQ-5D were pain/discomfort, mobility, anxiety/depression, usual activity, self care. 32 of profiles were found from the study participants, and '11111' among them was 28.7%. Mean of EQ-5D index was 0.82±0.1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xplained 31% of varianc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EQ-5D. In this analysis, age, regular exercise, spouse were found to be predictors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d by EQ-5D. The finding of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of well organized mod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the aged.


    I.서론

    1.연구의 필요성

    최근 노인인구의 비중이 커지고 만성질환 유병 률이 급증하여 의료비가 상승되면서 경제, 환경, 문화, 가치, 영성 등 다양한 영역의 삶을 총체적으 로 평가하는 삶의 질 개념에서 건강 결과에 초점 을 둔 건강관련 삶의 질(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개념이 발달되었다[1]. 건강관련 삶 의 질은 질병이나 치료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삶 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을 개인이 주관적 으로 평가하는 건강상태이다[2]. EuroQol 5-Dimesion은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 도구이다[2]. 이 도구는 건강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영역별 건강 상태를 일련의 숫자를 나열하는 방식의 체계적 기 술을 할 수 있고, 건강수준의 통합적 평가 지표인 EQ-5D index를 산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삶의 질 측정도구와는 차별화되고 그 가치가 인정 되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EQ-5D를 이용한 건강결과 측정의 의의가 확대 됨에 따라 우리나라도 국민건강영양조사[4]에서 EQ-5D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고 있다. 이 도구를 사용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한 국민 건강영양조사에서는 19세 이상 성인에 비해 65세 이상 노인의 EQ-5D index가 낮다고 했고, 지역사 회 건강조사 자료를 분석한 조동기[5]는 EQ-5D index의 특성으로 시군구별 차이가 두드러지는데, 이러한 EQ-5D index의 차이에 가장 크게 기여하 는 것은 노령인구비율이라고 하였다.

    국외에서도 거주지역 간 문화적 사회적 특성에 따라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6],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지역과 사회환경에 따라 동질적인 집단에 대해 차별화된 관리가 필요하다[2]는 주장을 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국가나 행정구역별 조사 뿐 아니라 노인병원, senior center의 소수 단위 노인을 대상으로 이들 의 건강상태를 모니터하고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 로 EQ-5D를 이용한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고 보고[7][8]하였다. 이러한 동향을 감안할 때, 우리나 라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전국 노인의 수준 에서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역별로 더 나아 가 동질적 사회경험을 하는 노인집단을 대상으로 파악하여 이들의 건강상태를 관리하는 기초자료로 이용함으로서 건강관련 삶의 질의 측정결과의 활 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 광역시에 거주하는 노인 들 중 사회적 경험을 공유하는 노인집단으로 노인 건강교실에 참여한 노인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본 연구 대상자의 EQ-5D를 이용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는 전국 노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에서 관련 성을 확인하고자 했던 연령, 성별, 교육수준 [9][10][11], 배우자[10]를 선택했고, 두 번째로는 서 울시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던 운동여부[11]를 선택하 였다. 세번째로는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건강 관련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노인을 대상으로 아직 그 관련성이 확인되지 않은 음주, 흡연과 비만[12]을 선택하였다. 이중 비만에 있어서는 젊은 성인의 경우와는 달리, 65세 이상 인구에서는 복부비만률이 BMI에 의한 비만률 보 다 높다는 결과[4]에 근거하여 복부비만과 건강관 련 삶의 질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 구의 결과가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보건소의 건 강교육에 참여하는 노인의 건강수준과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이에 맞춘 간호를 계획할 수 있는 근거 가 될 것을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일 지역 보건소 노인건강교실에 참여하는 노인 을 대상으로.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적 요인과 건강요 인을 파악한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파악한 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II.연구방법

    1.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본 연구에서는 B 광역시의 일개 구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노인건강교실에 참여한 60세 이상 주민 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에 참여한 대상 자 수는 총 182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변수에 결측치를 포함하는 15명을 제외한 167명(조사참여자의 91.8%)의 자료를 최종 분석대 상으로 하였다. G*Power 3.1.3으로 산출한 결과, 유의수준 α=.05, 검정력=.80, 효과크기 0.15일 때 적절한 표본크기는 예측변수 9개의 조건에서 114 명으로 본 연구의 167명은 다중회귀분석을 하기에 충분하였다.

    2.연구도구

    1)건강관련 삶의 질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EuroQol Group[2]이 개발한 Euro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5-Dimesional Classification 3L(이하 EQ-5D라 함)을 김태협[14]이 우리나라 일반 인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고한 한국어판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판 EQ-5D로 측 정한 자료를 이용하여 EQ-5D 프로파일과 EQ-5D index을 산출하였다.

    EQ-5D 프로파일

    이 도구는 '운동능력(mobility:M)', '자기관리(self care:SC)', '일상활동(usual activity:UA)', '통증/불 편감(pain/discomfort:PD)', '불안/우울 (anxiety/depression:AD)’의 총 5개 영역으로 구분 된다. 각 영역은 '문제없음(no problem) 1', ‘다소 문제있음(some/moderate problem) 2', '심각한 문 제있음(extreme problem) 3'으로 평가한다. EQ-5D 의 5개 영역에서 대상자가 표기하는 세가지 수준 의 응답을 '12312'와 같은 묶음형식으로 기술할 때 운동능력은 1(문제없음), 자기관리는 2(다소 문제있 음), 일상활동은 3(심각한 문제있음), 통증/불편감 은 1(문제없음), 불안/우울은 2(다소 문제있음)의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으 로 총 243(=35)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를 '프 로파일'이라고 한다(EuroQol Group, 2011).

    EQ-5D index

    EQ-5D index는 다섯 개 영역 각각의 수준에 가 중치를 부여하여 243개의 건강상태를 정량적 단일 값으로 구한 지표이다[2]. 본 연구에서는 질병관리 본부의 질 가중치[3]를 이용하였으며 공식은 아래 와 같다.

    EQ-5D index=1-(0.05+0.096×M2+0.418×M3+0.046×SC2+0.136×SC3+0.051×UA2+0.208×UA3+0.037×PD2+0.151×PD3+0.043×AD2+0.158×AD3+0.050×N3).

    위의 식에서 M은 운동능력, SC는 자기관리, UA는 일상활동, PD는 통증/불편감, AD는 불안/우울이며, 각 문자 뒤의 숫자 2, 또는 3은 영역별 수준으로 2, 또는 3일 때 수식에 1을 대입하고, 수 준이 1일 때에는 0을 대입한다. N3는 영역들에서 하나라도 수준 3으로 응답한 영역이 있으면 1을 대입하고 아니면 0을 대입함을 의미한다.

    2)영향요인

    인구사회적 요인

    본 연구에서 인구사회적 요인으로는 성별 이외 에 연령은 ‘60-69세/70-79세/80세 이상으로 교육수 준은 '초등학교 졸업 이하/중학교 입학 이상'으로, 배우자는 ‘유/무’로, 용돈은 ‘10만원 이하/11-20만 원/20만원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건강행위

    • 복부비만

      복부비만은 대한비만학회[13]의 한국인의 비만 진료 지침에 따라 남자는 '허리둘레 90cm이상, 여 자는 85cm이상'을 복부비만으로 구분하였다.

    • 규칙적인 운동

      규칙적인 운동은 ’어르신은 일주일에 최소한 3 회, 매 회마다 30분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십 니까? 의 질문에 대한 응답에 따라 '네/아니오'로 구분하였다.

    • 현재 흡연

      현재 흡연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1차년도 보고서[4]의 현재흡연 조사 항목을 근거로 ’평생 담배를 다섯갑 이상 피웠습니까?“와 '현재 담배를 피우십니까?'의 두가지 질문에 모두 '네'로 응답한 경우 현재 흡연을 하는 것으로 구분하였다.

    • 고위험 음주

      고위험 음주는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의 정의 [4]에 따라 '한 번의 술자리에서 여성노인의 경우 다섯 잔 이상(또는 맥주 세캔), 남성노인의 경우 일곱 잔 이상(또는 맥주 다섯캔) 술을 드십니까?' 의 질문에 '네'로 응답한 경우 고위험 음주를 하는 것으로 구분하였다.

    3.자료수집방법

    자료수집은 해당 보건소의 노인건강교실 참여자 들 가운데 60세 이상인 주민을 대상으로 연구자로 부터 훈련받은 간호학과 학생 2명이 구조화된 질 문지를 이용한 면담의 방식으로 수행 하였다.자료 수집 기간은 2011년 4월부터 6월까지 10주간 동안 이루어졌으며, 1회의 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30 분에서 50분 정도였다.

    대상자들의 윤리적인 고려 및 보호를 위하여 잠 정적인 대상자들 중 의사소통의 장애가 없고 사전 에 연구목적, 연구진행절차, 참여에 대한 보상, 개 인정보의 보호, 자료이용 범위 등을 설명을 통해 충분히 전달한 후, 설명과 동일한 내용의 연구 참 여 동의서에 자발적으로 직접 서명을 한 대상자에 한하였다.

    4.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19.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 다.

    •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적 요인과 건강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 편차 를 구하였다.

    • 건강관련 삶의 질의 EQ-5D 영역별 수준과 프 로파일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인구사회적 요인과 건강요인에 따른 EQ-5D index와 EQ-5D VAS의 평균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t-검정과 일원 분산분석을, 그리고 사후검정을 위하여 Scheffé 검 정을 이용하였다.

    • 인구사회적 요인(연령, 성별, 배우자, 교육수 준, 용돈)과 건강행위(복부비만, 규칙적인 운동, 흡 연, 고위험 음주)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 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III.연구결과

    1.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적 특성과 건강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적 요인과 건강요인 은 (Table 1)과 같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평 균연령은 73.8±6.6세이며 여성노인이 62.3%이었다. 대상자들의 교육수준에서는 초등학교 졸업 이하인 대상자가 80.8%이며, 중학교 입학 이상인 대상자는 19.2%이었다. 본 연구 대상자 중 절반정도가 배우 자와 함께 생활하고 있었으며 70%이상이 월 20만 원 이하의 용돈을 사용하고 있었다. 복부비만 상태 인 대상자가 54.5%였으며, 규칙적인 운동을 실천하 는 대상자가 절반 이상이었다. 현재 흡연중인 대상 자는 16.2%, 고위험 음주를 하는 대상자는 12.0% 이었다.

    2.연구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1)연구대상자의 EQ-5D 영역별 수준

    EQ-5D를 이용하여 측정한 연구 대상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역별 수준은 (Table 2)와 같다. 다섯 가지 영역 가운데 다소 문제가 있거나 또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호소한 빈도를 합했을 때 가장 빈도가 높은 영역은 ‘통증/불편감’으로 58.7% 이며, 그 다음은 ‘운동능력’으로 46.1%이었다. 다소 또는 심각한 문제 ‘문제 있음’의 빈도가 가장 낮은 영역은 ‘자기관리’로 다소 문제가 있다고 한 빈도 가 17.4%이며, 심각한 문제를 호소한 사람은 아무 도 없었다.

    2)연구대상자의 EQ-5D 프로파일

    연구대상자들의 EQ-5D 프로파일은 (Table 3) 과 같다. 본 연구 대상자들은 EQ-5D 점수로 표현 할 수 있는 총 243개 가운데 32개 건강상태를 경 험하고 있었다. 이 중 다섯 개 영역에서 모두 ‘11111'로 완전한 건강상태를 가진 대상자는 28.7% 이었으며 모든 영역에서 다소 또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18.6%이었다.

    3)대상자의 인구사회적 요인과 건강요인에 따 른 건강관련 삶의 질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적 요인과 건강요인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의 평균차이 검정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본 연구 대상자 전체의 EQ-5D index는 0.82±0.14이었다. EQ-5D index를 이용하여 측정한 건강관련 삶의 질은 연령, 성별, 교육수준, 배우자 동거여부, 복부비만, 규칙적 운동 실천여부 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3.연구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들의 인구사회적 요인과 건강요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가를 파악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EQ-5D index를 결과변수로 하 고, 본 연구에서 선택한 9개의 인구사회적 요인과 건강요인 모두를 설명변수로 적용했을 때 이들 설 명변수들은 EQ-5D index로 측정한 건강관련 삶의 질을 31% 설명하였다. 변수들 중 결과변수를 설명 하는데 가장 크게 기여한 변수는 연령이며, 두 번 째로 기여한 변수는 규칙적인 운동실천이었다. 그 외에도 배우자 동거 여부가 결과변수를 설명하는 데 기여하였다.

    IV.논의

    본 연구에서는 B 광역시에 거주하면서 보건소 의 노인건강교실에 참여한 노인을 대상으로 EQ-5D를 이용하여 건강영역별 수준과 프로파일, EQ-5D index 및 EQ-5D -VAS로 측정한 건강관련 삶의 질을 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 악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EQ-5D를 영역별로 살 펴보면 다소 또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호소는 통증/불편감(58.7%), 운동능력(46.1%), 불안/우울 (43.7%), 일상활동(32.9%), 자기관리(17.4%)의 순서 로 빈도가 높았다.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를 이용해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분석한 연 구[10]도 다소 또는 심각한 문제가 있는 영역별 빈 도를 통증/불편감(67.9%), 운동능력(45.6%), 불안/우울(35.6%), 일상활동(32.6%), 자기관리(15.7%)의 순서로 보고하여 본 연구 대상자와 전국의 65세 이상 노인들의 건강영역별 수준에서는 차이가 없 었다. 싱가포르의 70세 이상 노인들의 EQ-5D로 측 정한 연구[15]에서 건강문제 호소를 통증/불편감, 운동능력, 불안/우울, 일상활동, 자기관리의 순서 로 보고하여 본 연구 대상자들의 건강문제 호소와 일치하였으나, 이 연구에서 60-69세 연령의 노인들 은 통증/불편감 다음으로 운동능력이 아닌 불안/우울의 호소 빈도가 높아 본 연구 대상자들과 차 이가 있었다. 본 연구와 선행연구 들의 결과를 통 해 노인 인구의 건강문제 호소를 연령 구간별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대상자들의 EQ-5D 프로파일에서는 영역별로 서로 다른 건강 문제의 조합으로 구성된 32개의 건강상태가 보고 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 가운데 모든 영역에서 문 제가 없어 '11111'로 보고한 대상자는 28.7%로, 전 국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들 대상으 로 보고한 23.5%[10]보다 다소 높은 편이었다. 그 런가하면 전국 성인의 표본을 이용한 19세 이상 인구의 65.7%[9]와 53.3%[16], 81.7%[17]가 모든 건 강영역에서 문제가 없었다고 보고한 것과 비교하 면 성인 인구에 비해 노인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 음을 프로파일 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 대상자의 EQ-5D index는 0.82±0.14로 본 연구와 동일한 질 가중치를 적용한 국민건강영 양조사 제 5기 1차년도의 65세 이상 인구의 0.84±0.007[4]이나, 역시 같은 공식에 의해 노인을 대상으로 산출한 0.82±0.19[16], 0.81±0.20[9], 0.83±0.189[18]와 유사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대상자의 EQ-5D index는 호주 일 지역의 60-71세 노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19]에서 EQ-5D index는 0.804(±0.141)로 보고한 것과도 큰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Meta 분석을 통해 국가나 인종간의 EQ-5D index 의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에서 실시한 평균차이 검정에서 대상자의 EQ-5D index는 연령, 성별,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복부 비만 유무, 규칙적인 운동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 었다.

    본 연구 대상자들 가운데 복부비만으로 판정된 노인에 비해 복부비만이 없는 노인에서 EQ-5D index로 측정한 건강관련 삶의 질이 더 높았다. 본 연구와 같이 허리둘레로 측정한 복부비만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을 보고한 연구가 거의 이 루어지지 않아 비교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 구 결과와의 비교에 있어서 신중함을 요하긴 하지 만, 비만도의 다른 형태인 BMI로 측정한 비만도와 EQ-5D index로 측정한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들에서는 소수의 예외는 있으나 관계가 있다 는 많은 보고들[12][20][21][22]이 있었다. 한편 국 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1차년도 보고[4]에 따르면 복부비만 유병률은 19-64세 성인에서 18.3%, 65세 이상에서 46.1%인데, BMI로 측정한 비만 유병률은 19-64세 성인에서 24.1%, 65세 이상에서 37.8%이었 다. 이 결과를 통해 노인에서는 복부비만 유병률이 BMI에 의한 비만 유병률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 다. 노인 건강에서 복부비만은 비중 있는 문제로 본 연구 대상자의 복부비만 유무에 따른 EQ-5D index의 차이를 확인 한 것은 큰 의의가 있다고 본다. 이를 근거로 향후 노인에서 복부비만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을 다양한 특성을 가진 노 인들을 대상으로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일주일에 최소한 3회, 매 회마다 30분 이상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노인이 이러한 운동을 하지 않는 노인에 비해 EQ-5D index의 평 균이 높아 노인에서 규칙적인 운동 여부는 건강관 련 삶의 질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서울시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분석한 연구[11]에서 중등도 운동을 주 3회 이상 수행하는 노인이 주 2회 이하로 수행하는 노인에 비해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높다는 결과와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 [12][23]에서는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규칙적인 운 동여부는 EQ-5D index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여 노인과 성인에서 규칙적인 운동효과의 차이 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향후 노인의 건 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이나 활 동의 조건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설명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EQ-5D index를 결과변 수로 하고, 다섯 개의 인구학적 특성과 네 개의 건 강요인을 모두 투입한 했을 때 건강관련 삶의 질 을 변량을 31% 설명하였다. 이 회귀분석에서 결과 변수인 EQ-5D index를 설명하는데 가장 큰 기여 를 한 요인은 연령이었고, 두 번째로 기여한 요인 은 규칙적인 운동실천, 그 다음은 배우자 유무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고령이면서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고 배 우자 없이 생활하는 노인들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서 취약한 대상자라고 예측할 수 있으며, 이들을 우선순위로 집중 관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와 같이 연령이 높을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다는 결과는 많은 선행연구들 [9][10][11][15][20][24]과 일관성이 있는 결과이다. 무배우자에 비해 유배우자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 이 높다는 결과는 한 연구[10][25]에서 제시한 경로 모형의 결과와는 일관성이 있는 한편 이와는 차이 가 있는 보고[11]도 있었다.

    그 외에 규칙적인 운동여부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EQ-5D로 측정한 건강 관련 삶의 질 모형에 의해 확인되지 못했던 변수 들로서 본 연구의 회귀분석에 의해 EQ-5D index 에 의한 건강관련 삶의 질 변량에 영향을 미친다 는 것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V.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일 광역시에 거주하면서 보건소 에서 실시한 노인건강교실에 참여한 노인을 대상 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상자들의 EQ-5D 영역별 건강문제 호소 빈도는 통증/불편감, 운동능력, 불안/우울, 일상활 동, 자기관리의 순서이었다. 둘째, 본 연구 대상자 들이 EQ-5D 프로파일 상 건강상태는 총 32개로 구분할 수 있었고, 이중 '11111'로 보고한 대상자는 28.7%%이었다. 셋째, 본 연구 대상자의 EQ-5D index의 평균은 0.82±0.14이며 연령, 성별, 교육수 준, 배우자 유무, 복부비만, 규칙적인 운동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 선택한 인 구사회적 요인과 건강요인의 총 9개 요인들은 EQ-5D index를 결과변수로 하였을 때 31%를 설명 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들에서 EQ-5D index로 측 정한 건강관련 삶의 질을 설명하는데 연령, 규칙적 인 운동, 배우자 유무 의 순서로 기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에 근거하여 다음 두 가지 사항 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EQ-5D는 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 지역사 회 노인관련 기관에서 확대 사용할 것을 제언하고 자 한다. 노인들의 건강이나 복지를 관리하는 지역 사회 복지관, 보건소, 노인학교 등에서 등록된 노 인들을 대상으로 이 도구를 이용한 모니터링을 주 기적으로 실시한다면 EQ-5D index와 EQ-5D 프로 파일을 활용하여, 노인 개인 차원에서 그리고 지역 사회 차원에서는 노인들의 건강과 삶의 질관리를 위한 자료를 생산하고 이를 노인건강상태를 파악 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 대상자들에서 EQ-5D index로 측 정한 건강관련 삶의 질을 설명하는데 기여하는 연 령, 규칙적인 운동, 배우자 유무와 같은 요인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건강관련 삶의 질 에 기여하는 변인들은 향후 건강관련 삶의 질의 고위험인구를 선별하여 집중 관리할 수 있는 가이 드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회귀분석에서 확인한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기여하는 요인 들을 다양한 노인들에게 반복 확인함으로서 지역 사회 노인들의 건강관리에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건강관련 삶의 질 모형의 구축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러한 모형에 근거한 장기적 연구결과에 의해서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확인될 때 명확한 근거에 기반하 여 고위험인구를 선별하고 집중관리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들로서 우리나라 지역사회에 거주 하는 노인들 가운데 건강관리와 질적인 삶을 운영 하는데 적극적인 집단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자들에서 얻은 결과를 우리나라 지역 사회 노인에게 일반화할 수 없다고 본다. 둘째, 본 연구는 일 지역 복지관 노인들의 자료를 횡단적으 로 수집하여 분석한 것으로 본 연구 대상자의 건 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없 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복 지관 노인을 대상으로 코호트를 구성하여 장기적 반복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해야 할 것이다.

    Figure

    Table

    KSHSM-7-167_T1.gif

    Socio-demographics and health factors of the study sample (N=167)

    KSHSM-7-167_T2.gi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EQ-5D domain (N=167)

    KSHSM-7-167_T3.gi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EQ-5D profile (N=167)

    KSHSM-7-167_T4.gi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EQ-5D index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and health related factors (N=167)

    KSHSM-7-167_T5.gi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affecting facto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EQ-5D index (N=167)

    Reference

    1.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http://www.cdc.gov/hrqol/concept.htm,
    2. EuroQol Group (2011) http://www.euroqol.org/euroqol-group/about-us.Html,
    3. E.Kang, H.Shin, H.Park, M.Jo, N.Kim (2006) A valuation of health status using EQ-5D ,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Vol.12 (2) ; pp.19-43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2010 National Health Statistics(Issue No. 11-1351159-000027-10), pp.551-552
    5. D.G.Jo (2009) A spatial analysis of sociodemographic correlate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 The Population of Korea, Vol.2 (3) ; pp.1-20
    6. A.Miles, R.J.Proescholdbell, E.Puffer (2011) Explaining rural/non-rural disparities in physic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study of united methodist clergy in north carolina ,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of Life Aspects of Treatment, Care, and Rehabilitation, Vol.20; pp.807-815
    7. I.N.Olsson, R.Runnamo, P.Engfeldt (2012) Drug treatment in the elderly: An intervention in primary care to enhance prescription quality and quality of life , Scandinavian Journal of Primary Health Care, Vol.30 (1) ; pp.3-9
    8. M.H.Rabadi, A.S.Vincent (2013) Health status profil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veterans attending an out-patient clinic , Medical Science Monitor : International Medical Journal of Experimental and Clinical Research, Vol.19; pp.386-392
    9. C.H.Choi (2010) Regression model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EQ-5D ,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tisy, pp.10-45
    10. J.Y.Kim (2009)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odel in the elderly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p.20-50
    11. G.R.Noh (2012) A study on the inter-area comparison of the quality of life for seniors living in Seoul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pp.30-39
    12. I.O.Hong (2011)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y smoking, drinking, exercise, obesity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using EQ-5D ,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hmyook University, pp.26-54
    13.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3) Diagnosis and evaluation guide for the obesity , http://www.kosso.or.kr/general/,
    14. T.H.Kim (2012) Validity and reliability evaluation for EQ-5D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Ulsan, pp.31-67
    15. E.Abdin, M.Subramaniam, J.A.Vaingankar, N.Luo, S.A.Chong (2013) Measur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dults in singapore: Population norms for the EQ-5D , Quality of Life Research, Vol.22 (10) ; pp.2983-2991
    16. K.S.Sung (2009)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life ,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pp.26-44
    17. M.W.Jo, S.I.Lee, S.R.Kil, J.H.Lee, W.C.Kang, H.S.Sohn (2008) Measur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general adult population in one metropolitan city using EQ-5D ,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Vol.18; pp.18-40
    18. H.M.An (2010) Factor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Korea male and female adults according to life cycle: by using 4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pp.16-38
    19. D.S.Brennan, K.A.Singh (2011) General health and oral health self-ratings, and impact of oral problems among older adults , European Journal of Oral Sciences, Vol.119 (6) ; pp.469-473
    20. M.Calvert, H.Duffy, N.Freemantle, R.Davis, G.Y.Lip, P.Gill (2012) Population health status of south asian and african-caribbean communities in the united kingdom ,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Vol.12; pp.101-112
    21. E.K.Fenwick, J.Xie, J.Ratcliffe, K.Pesudovs, R.P.Finger, T.Y.Wong, E.L.Lamoureux (2012) The impact of diabetic retinopathy and diabetic macular edema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ype 1 and type 2 diabetes ,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Vol.53 (2) ; pp.677-684
    22. M.Hunger, M.Schunk, C.Meisinger, A.Peters, R.Holle (2012) Estim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EQ-5D health utilities in individuals with type 2 diabetes: Evidence from the population-based KORA studies ,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Vol.26 (5) ; pp.413-418
    23. A.R.Sohn, I.O.Hong, J.A.Kim (2010)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sessment by Health Behavior and BMI among Seoul Citizens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Vol.36 (2) ; pp.19-25
    24. C.S.Oh (2012) The effects of the elderly's subjective health perceptions and quality of life on their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 (2) ; pp.179-191
    25. S.S.Han, S.W.Kang, S.H.Jeong (2012) Experiences of depressive symptom and suicidal thinking betwee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elderly couples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 (3) ; pp.29-38
    2013년 11월 10일
    2013년 11월 15일
    2013년 12월 03일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