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3 No.4 pp.191-200
https://doi.org/10.12811/kshsm.2019.13.4.191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성별, 가구유형별 집단 비교

박 순미, 문 수열
진주보건대학교 사회복지계열

Effect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 A Comparative Study Gender and Household Type

Soon-Mi Park, Su-Youl Mun
Division of Social Welfare, Jinju Health College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by comparing gender and household type.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2017 Korean Elderly Survey and the participants were 7,406 people who are 65 years and abov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18.0) statistical package.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In the case of older adults who are men and live with couple, voluntary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quality of life, while for elderly women living alone, arts & cultural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quality of life.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healthy leisure activities and improving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among aged people.



    Ⅰ. 서론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노인이 한국 사회에서 갖는 영향력이 증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영향력은 지속적으로 증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 어 노인에 대한 심층적 이해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통계청 장래인구 추계에 의하면, 노인 인구 는 2017년 현재 768만명으로 전체인구의 14.9%를 차지하고 있다. 고령사회 진입으로 노인 인구도 다 양한 집단이 존재하며, 의학기술의 발달, 평균 수 명 연장 등으로 노인이지만 건강상태를 유지한 채 다양한 사회 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비중도 높 게 나타나고 있다. 노년기에도 개인은 여전히 건강 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활동은 이러한 건강을 유 지하고 증진하는데 중요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이 다[5].

    이에 노인들의 점차 길어지는 노년기를 사회적 으로 의미 있는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 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노년기 삶에서 여가활동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6][8][15], 정책적 관심이 필 요한데, 노인의 여가활동은 노인의 사회적 접촉 기 회를 증대시키며, 노인의 인지 기능, 우울증을 예 방할 수도 있고[11], 노년층의 특정한 여가활동은 재능 나눔, 자원봉사 등을 통해 사회적 공헌으로 이어지거나, 일자리와 연계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활발한 여가활동 을 통한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 증진은 노인의 의 료비 부담을 낮춰 사전적으로 사회적 비용을 감소 시키는 기제가 될 수 있다[19]. 이뿐만 아니라 여 가활동이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삶의 만족 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선행연구들을 찾아볼 수 있다. Ha & Kim[16]의 연구에서는 여가활동이 노인의 신체적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 를 살펴본 이영선의 연구에서도 여가활동의 중요 성을 제시하고 있다. Lim[12]의 연구에서는 스포츠 활동과 같은 생산적 여가활동 참여 수준이 높을수 록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높고, 신체화, 대인민감성, 우울증, 불안, 정신증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가 적 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여가활동은 Fullagar[22]에 따르면 대처자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중년기 이후의 적극적인 여가활동은 심 리적 안정을 통한 삶의 만족도 향상과 함께 삶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제고함으로써 노년기 긍정 적인 역할로서 기능한다[17].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에 관해 다양한 구분들이 있으나 최근에 단순하면서도 학문적 유용성이 높 은 새로운 분류유형으로 창의적이며 공통의 목적 을 지닌 발전적 활동으로서 스포츠, 봉사활동, 여 행 등을 포함하는 ‘생산적’ 여가 활동과 TV시청, 라디오청취, 휴식, 친구와의 대화와 같이 수동적이 고 시간소비적인 ‘소비적’여가 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20]. 우리나라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활동 특성과 관련해 2018년 고령자통계[14] 결과에 따르 면 2017년 여가활동으로 노인의 대부분이 TV 시 청, 휴식의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창회, 취미활동 등의 각종 단체에 참여하여 활동한 비율 은 42.9%로 나타났다. 이러한 단체 참여 활동도 동 창회 등 친목 및 사교단체 참여율이 56.5%인 반면 학술단체 등 참여는 1.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 다. Hwang[19]의 연구에 따르면 여가활동 부족형 이 전체 노년층의 약 7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하며,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이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Kang, et al.[1]연구에 따르면 1인 가 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 특성을 보면, 이들의 여가 활동 내용은 주로 걷기·산책, 등산, 외식이나 유흥 으로 대표되는 운동과 오락 활동이 중심이 되고 있으며, 가족이나 친구 등과 같이 하는 여가활동보 다는 혼자 여가활동을 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노년층의 상당수는 특별한 여 가활동 없이 일상생활을 무료하게 보내고 있으므 로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노년기에는 여가시간이 증대되므로 이를 얼 마나 생산적으로 활용하는가가 삶의 질을 결정하 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3]. 예를 들어 TV시청이나 휴식 등의 소비적 여가활동은 대부분 의 노인들이 보편적으로 경험하는 변인이기에 그 영향력을 구분하기 어렵고 실제 연구결과에서도 그 영향력이 매우 미약하게 나타나는 반면, 생산적 여가활동은 노인의 생활만족 증진이나 고독감 감 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기 때 문이다[6][7]. 한편, 노인의 여가활동은 배우자 유무 나 동거가족형태에 따라 사회적 상호작용과 여가 활동 참여형태에 차이가 나타나기도 한다[9][13]. 일반적으로 인구학적 변인들은 노인들의 생활만족 도를 설명하는 통제변수로서 혹은 설명변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21], 노인의 여가활동 에 관한 연구가 여가유형별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 도 필요하지만 더불어 노인의 성별, 가구유형별 집 단 특성에 따른 차이점을 차별화하여 살펴보는 것 도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집단 특성별 즉 성별, 가구유형별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삶의 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각각 집단 간 주요 영향 요인 차이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고령 사회 노인의 삶의 질 영역에서 가 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 을 마련하고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하기 위 한 선행 요인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의 필 요성을 제시할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특성은 성별, 가구 유형별 각각 어떠한가?

    둘째, 노인의 삶의 질 특성은 성별, 가구유형별 각각 어떠한가?

    셋째, 노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도가 성별, 가구유형별 각각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자료 및 연구대상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노인의 성별, 가구유형별로 비 교하기 위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7년도 노 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2017년도 노인실태 조사는 노인복지법 제5조 노인실태조사 실시 법제 화로 매 3년마다 실시되는 횡단조사로, 2017년 현 재 전국 16개 시․도의 일반주거시설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모집단으로 정하였다[15]. 조 사내용으로 가구 일반사항, 가구 경제상태, (손)자 녀․배우자와의 관계 및 가구 형태, 부모, 형제․ 자매, 친인척, 친구․이웃․지인과의 관계, 자녀․ 부모와의 부양의 교환, 건강상태, 건강행태, 기능 상태와 간병 수발, 경제 상태, 경제 활동, 여가 활 동과 사회 활동, 노후 생활과 삶의 질, 생활환경, 인지 기능 등 노인의 다각적인 생활 현황과 욕구 를 파악하고 노인특성의 변화추이를 예측하는 등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조사 중 가장 대표적 조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2017 노인실태조사 대상 인 만 65세 이상 노인 10,229명 중 가구유형이 노 인단독가구와 노인부부가구로 이루어진 노인을 대 상으로 하였으며, 총 7,406명으로 추출되어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성별은 남성이 3,293명 (44.5%), 여성이 4,113명(55.5%), 연령은 65세부터 99세까지 분포되어 있으며 평균 연령은 73.9세였 다. 학력은 초등학교 이하 비율이 57.3%로 가장 많 았고, 노인가구유형은 노인단독가구 2,426명 (32.8%), 노인부부가구 4,980명(67.2%)이었다.

    2.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 활용한 변수는 2017년도 노인실태 조사 설문 변수를 그대로 활용하여 분석변수에 해 당하는 변수를 추출하였다.

    1)종속변수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노인의 삶의 질로, 2017 년도 노인실태조사에서 조사한 삶의 질 영역은 노 인이 그들의 삶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를 묻는 질문으로 구성되어, 자신의 건강상태, 자신의 경제 상태, 배우자와의 관계, 자녀와의 관계, 사회·여가 문화활동, 친구 및 지역사회관계 등 6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자료의 변수값은 5점의 Likert척 도로(1=매우 만족함, 5=전혀 만족하지 않음)로 구 성되어 있는데, 이를 1=전혀 만족하지 않음, 5=매 우 만족함으로 역코딩하여 활용하였으며, 6개 항목 전체 평균값을 계산하여 삶의 질 변수로 조작화하 여 활용하였으며, 값이 높을수록 삶의 질 수준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2) 독립변수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삶의 질 영향요인으로 노 인의 여가활동참여 관련 변수인데, 2017년 노인실 태조사에서 지난 1년간 여가활동에 참여하였는지 에 관한 문항을 활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여가활동 종류를 파악하고 있는 변수를 활용하였다. 여가활 동의 종류는 크게 문화예술활동, 스포츠활동, 관광 활동, 취미오락활동, 평생학습활동, 자원봉사활동, 휴식활동, 기타 활동 등으로 구분하여 각 변수들의 변수값은 참여하고 있음=1, 참여하고 있지 않음=0 의 명목변수로 더미변수 처리하였다<Table 1>.

    3) 통제변수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연령, 학력 등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변수는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3. 분석방법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18.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다. 먼저, 조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 성 및 주요 변인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여가활 동 참여유무에 따른 삶의 질 차이 특성을 알아보 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성별, 가구유형별로 각 각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여가활동 참여가 삶 의 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성별, 가구유형 별로 어떤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각각 다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특성

    노인들의 여가활동 참여 특성을 살펴보면, 우선 전체 노인 중 여가활동 참여는 전체 노인의 86.0% 가 여가활동에 참여하였다. 성별에서 남성 85.5%, 여성 86.4%가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분석되 었으며, 노인단독가구는 86.5%, 노인부부가구는 85.7%가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성 별, 가구유형 특성과 상관없이 노인들이 여가활동 에 대부분 참여하였다<Table 2>.

    다음으로 노인들이 참여하는 여가활동의 유형을 살펴보면, 기타 활동(종교 및 각종 개인모임 참가) 이 26.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 으로 취미오락활동 23.8%, 휴식활동이 23.0% 순으 로 분석되었다. 성별 기준으로 남성 노인은 취미오 락활동이 44.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여성 노인은 기타 활동(종교 및 각종 개인모임 참 가)이 50.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가구 유형에서 노인단독가구와 노인부부가구 모두 가장 많이 참여하는 활동은 기타 활동(종교 및 각종 개 인모임 참가)으로 각각 48.5%, 44.2%로 분석되었 다. 결과적으로 노인들이 참여하는 여가활동 유형 대부분 개인적이고 오락위주인 반면 평생학습활동, 스포츠활동 등 적극적인 여가활동 참여 비중은 매 우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Table 3>.

    2. 노인의 삶의 질 특성

    노인의 삶의 질은 “만족하지 않음”, “전혀 만족 하지 않음”을 합해 6.8%, “보통이다” 36.6%, “만족 함”, “매우 만족함”을 합해 56.9%로 나타나 만족하 는 비율이 높게 집게 되었으며, “전혀 만족하지 않 음” 1점에서 “매우 만족함” 5점 기준으로 평균값 3.33점으로, 전체 노인의 삶의 질 수준은 보통보다 다소 높게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성별에서 남성 은 5점 만점 기준 3.40점, 여성은 3.27점으로 나타 나 남성이 여성보다 삶의 질 수준이 높게 확인되 었다. 가구유형별로 살펴보면 노인단독가구의 경우 5점 만점 기준 3.13점으로 확인된 반면, 노인부부 가구는 3.42점으로 나타나 노인부부가구의 삶의 질 수준이 더 높게 분석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4>.

    3. 집단별 여가활동 참여가 삶의 질 수준에 미 치는 영향분석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삶의 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성별, 가구 유형별 각각 영향 요인이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 삶 의 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다중공 선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변수들 간의 상관관 계와 공차한계(tolerance), 분산팽창요인(Variance Inflation Factor, VIF)을 확인한 결과, 성별에 따른 집단 구분에서 남성 집단에서는 공차한계 0.435~0.981, 분산팽창요인 1.019~2.300, 여성 집단 에서는 공차한계 0.438~0.996, 분산팽창요인 1.004~2.284로 나타나 독립변수 간 공선성의 문제 는 없었다. 가구 유형에 따른 집단 구분에서 노인 단독가구 집단에서는 공차한계 0.441~0.990, 분산팽 창요인 1.010~2.266, 노인부부가구 집단에서는 공차 한계 0.435~0.988, 분산팽창요인 1.012~2.298로 나 타나 독립변수 간 공선성의 문제는 없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첫째, 삶의 질 영향 요인 검 증 결과, 성별, 가구 유형별 각각 모든 집단에서 여가활동참여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집단 구분에서 삶의 질 영향 요인으로 여가활동의 세부 영역을 투입한 결과 남 성 집단의 경우 삶의 질 영향을 요인을 검증한 결 과 취미오락활동(β=.145, p<.001), 스포츠활동(β =.125, p<.001), 자원봉사활동(β=.099, p<.001). 기타 활동(β=.113, p<.001) 순으로 삶의 질 수준에 유의 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성 집단 의 경우는 취미오락활동(β=.145, p<.001), 스포츠활 동(β=.120, p<.001), 기타 활동(β=.112, p<.001), 문 화예술활동(β=.089, p<.001) 순으로 삶의 질 수준 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가구 유형에 따른 집단 구분에서 노인단 독가구의 경우 삶의 질 영향을 요인을 검증한 결 과 취미오락활동(β=.152, p<.001), 스포츠활동(β =.124, p<.001), 문화예술활동(β=.107, p<.001), 기타 활동(β=.114, p<.001) 순으로 삶의 질 수준에 유의 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노인부부 가구를 대상으로 삶의 질 영향을 요인 검증한 결 과 취미오락활동(β=.152, p<.001), 스포츠활동(β =.125, p<.001), 기타 활동(β=.105, p<.001), 자원봉 사활동(β=.080, p<.001) 순으로 삶의 질 수준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5>.

    Ⅳ. 고 찰 및 결 론

    그동안 노인 여가 관련 선행연구들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여가활동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 향을 미치는 세부적인 영향력이나 고령 사회 진입 에 따른 노인들의 세부 특성을 고려한 연구들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해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및 참여 하는 여가활동유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노인 집단 특성별(성별, 가구 유형) 구체적으로 세 분화하여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제시해 보면, 첫째, 노인들 대부분은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나 이 들이 참여하는 구체적인 여가활동유형은 기타 활 동(종교 및 각종 개인모임 참가)이 많아 여가활동 수준이 개인 활동 수준에 머무르는 특성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성별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남성 노 인은 취미오락활동, 여성 노인은 기타 활동(종교 및 각종 개인모임 참가) 참여가 높아 향후 노인여 가프로그램 계획 시 성별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가구 유형에서는 노인단독가구와 노인부부가구 모 두 기타 활동(종교 및 각종 개인모임 참가) 참여가 가장 많아 가구 유형 간 차이는 없었다. 셋째, 노 인의 삶의 질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정도인 데 남성 노인이 여성 노인에 비해, 노인부부가구가 노인단독가구에 비해 삶의 질 수준이 높았다. 이를 토대로 각각 집단별 삶의 질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요인 파악이 필요하여 노인 집단 특성별 삶의 질 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인 집단 특성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이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성별 집단 구분에서 남성 집단은 자원봉사활동, 여성 집단은 문화예술활동이 영향력 이 높았다. 가구유형 집단 구분에서 노인단독가구 는 문화예술활동, 노인부부가구는 자원봉사활동이 삶의 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았다. 이 중 여 성 집단과 노인단독가구 집단에서 문화예술활동이 동일하게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노인단독가구 중 여성 노인 비율이 높은 실 태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참여 횟수가 많은 여가활동 유형과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여가활동 유형 간 차이가 있다는 결과에 비추어 향후 노인여가활동 정책 개발이나 프로그램 개발 시 노인 집단 특성별 다양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또한 참여 횟수가 많은 여가활동 은 개인 유희중심의 수동적 여가활동인 반면 삶의 질 영향 정도가 높은 여가활동은 자원봉사활동, 문 화예술활동 등 적극적 여가활동으로 나타난 것은 Lee & Lim[7]의 연구에서 노년기 생산적 여가활동 중요성을 제시하는 결과와 유사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특정시점의 횡단자료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기에 노인의 여가․문화활동 참여 정도나 삶의 만족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Kim, Kang, & Bae[4]의 여가 활동와 경제활동과의 관련성, Hong & Kim[18]의 연구에서처럼 노인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보다 복합적인 비교 검증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Figure

    Table

    Independent Variables contents

    Descriptive Analysis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Type of Leisure Activities(multiple response)

    Descriptive Analysis of Quality of Life

    The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Gender and Household Type)

    Reference

    1. E.N. Kang, H.J, Kim, Y.S. Kim(2017), Leisure Activity Type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Middle-Aged People Living Alon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7(2);184-215.
    2. S.J. Kim, E.N. Kang(2017),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isure Facilities Utilization in Urban Elderly: Focusing on the Elderly Utilizing Leisure Faciliti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7(3);110-138.
    3. Y.S. Kim, W.Y. Ha(2015), A Study of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Productive Leisure Activities on the Suicide Ideation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Living Alon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5(4);344-374.
    4. H.J. Kim, E.N. Kang, H.W. Bae(2016), A Qualitative Study of the Types of Leisure Perceptions among Middle-aged Men in Retirement Transitio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6(2);192-226.
    5. J.H. Min(2013), Effect of Social Engagement on Self-rated Health Trajectory among Korean Older Adult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3(4);105-123.
    6. H.J. Yoon(2016), . Exploratory Study on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Aging Well in Older Korean Adults . Journal of Tourism&Leisure Research, Vol.28(7);201-221.
    7. G.S. Lee, W.K. Lim(2012), Effects of the Leisure Activity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12(10); 291-306.
    8. M.S. Lee, H.Y. Kang, C.W. Lee(2017), The Relationship among Serious Leisure,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Older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17, 56(1), 503-515.
    9. Y.S. Lee(2011), The Effects of the Leisure Patter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Senior-Focused on the aged peopl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tion at Hansung University.
    10. E.J. Lee, S.G. Bae, T.Y. Um(201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d Leisure Participation on Attempted Suicide among the Elderly who lives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0(2);615-628.
    11. J.W. Lee, G.H. Lim, H.R. Kim, Y.K. Bang, J.Y. Lee, M.L. Cho, D.J. Kim, Y.A. Yang(2014),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on, Depression and Leisure Activity of Elderly Peopl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8(1);65-73.
    12. H.N, Lim(2010), The Effect of the types of Leisure Participation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Mental health in Elderly,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an, Vol.24(3);27-38.
    13. J.C. An, W.K. Lim(2014), Effects of the Social Activity and Leisure Activity of the Rural Elderly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14(4);189-210.
    14. Statistics Korea(2018), 2018 Statistics on the Aged.
    15. I.K. Choi(2008),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Old's Leisure Activity Type. Ph.D. Thesi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Kukje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16. C.K. Ha, H.S. Kim(2013), The Effects of Physical Self-efficacy of Elderly People in attending the Leisure Facilities and Programs on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Vol.37(1);1-12.
    17. O.S. Hyun(2016),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Yangseo Pub, pp.428-430.
    18. S.H. Hong, S.E. Kim(2016), Constraints to Participation in Senior Welfare Centers: Focusing on the Difference of Regional Typ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6(4);125-156.
    19. N.H. Hwang(2014), The Categorization of Leisure Activities for Older People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4(2);37-69.
    20. Erick, V. I., & Koen, V. E.(2009), Leisure and social capital, Leisure Science, Vol.31(2);192-206.
    21. Frey, B. S. & Stutzer, A.(2002). Happiness and economics. Princeton and Oxford : Princeton University Press.
    22. Fullagar, S.(2008), Leisure practives as counter-depressants: Emotion-work and emotion-play within women’ recovery from depression, Leisure Sciences, Vol.30;35-52.
    20191101
    20191212
    20191226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