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3 No.4 pp.33-44
https://doi.org/10.12811/kshsm.2019.13.4.033

2007-2018년 보건의료산업학회지에 게재된 간호연구 동향 분석

장 금성1, 문 정은2‡
1전남대학교 간호대학
2호남대학교 간호학과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07-2018

Keum-Seong Jang1, Jeong Eun Moon2‡
1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Research Institution of Nursing Science
2Nursing department, Honam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apers on nursing in the KJHSM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07-2018),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and to help the future development of nursing research.


Methods:

Th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1, 2019 to September 30, 2019. The 78 copies of the original text were provided by the KSHSM website, DBpia, and NDSL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electronic database.


Results:

Forty-seven studies had a non-experimental design, with most having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89.3%). The most common participants were nurses (55.7%) and nursing college students (26.1%). A questionnaire was the most commonly used research tools (96.2%) and data collection methods (95.0%). The major keywords were the terms included in the environmental domain among the meta-paradigms of nursing (43.6%).


Conclusions:

In order to expand the quantity and quality of nursing science in the KSHSM,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tools, and sampling method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과학적 지식체는 새로운 지식을 축적하고 기존 의 지식을 검증하는 연구를 통해 이루어지며[1], 간호학은 이러한 과학적 지식체를 바탕으로 사회 적 책임과 윤리성을 가지고, 실무에서의 자율적 의 사결정능력을 갖춘 전문인을 길러내는 학문이다 [2]. 또한 간호학 지식체의 생성 및 축적은 연구 수행을 통해 이루어진다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간 호연구는 간호실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 어 궁극적으로는 근거에 기반한 간호실무를 향상 시킨다[1]. 학문의 발전은 연구를 통해 지식체가 누적되고 정립되어 이론이 생성되며 다시 연구로 회환 되는 지속적인 과정을 통해 가능하기 때문에 지식의 기초를 제공하고 실질적인 내용을 개발하 는 체계적인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 다[3].

    보건의료산업학회지는 2007년 창간된 이후로 지 금까지 등재후보지를 거쳐, 2015년 3월호부터는 한 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로 승격되어 국내 보건의 료산업 전반적 영역에서의 학문적 발전을 도모해 오고 있다. 이러한 보건의료산업학회지의 발전을 위해 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논문의 양적 증대뿐 아 니라 질적 수준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관련 연구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보건 의료산업학회지 내의 간호학 영역의 연구는 2011 년 3월호에 2편의 연구가 게재되기 시작한 이후 매 권마다 10편에 이르는 연구논문들이 게재되고 있다. 이처럼 보건의료산업학회지 내의 간호학 연 구의 양적인 증대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보 건의료산업의 큰 축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간호학 문의 질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더욱 나은 연구방법을 구상하고 지식체의 영역 확장을 위해서 새로운 지식체의 개발이나 방법론 에 대한 연구 뿐 아니라 선행연구 논문들을 분석 하는 과정은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이는 각 연 구 분야별로 연구 경향을 분석한 논문들이 지속적 으로 보고되고 있고, 이러한 고찰 연구들이 그동안 축적되어온 탐구 경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와 지식체 생성 방향을 조망해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음[4]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보건의료산업학 회 내 간호학 연구 논문의 양적 확대와 더불어 질 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이루어 진 간호학 영역 연구논문의 학문적 탐구 경향을 확인 및 분석하여 평가해 볼 필요성이 있다. 그리 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연구 방향 을 설정하고, 연구의 방법론적 성장을 위해서는 선 행연구를 종합 분석 하여야만, 중복 연구의 방지와 방법론적 혹은 내용적 측면에서의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는 연구들이 지속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 다.

    다양한 간호학 영역에서 관련 학회지 게재 연구 논문들에 대한 동향분석이 이루어져 왔고, 그 결과 를 바탕으로 학회지가 추구하고자 하는 연구의 방 향성이 보다 명확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보건의료산업학회지에 게재 된 총 605편의 전체 연구논문 중 간호학 분야의 연구논문을 분석함으로써 보건의료산업학회 내 간 호학 연구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과 향후 학술지의 질적인 향상 및 간호학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 시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07년 창간호부터 2018년까지 보건 의료산업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중 간호영역의 연구논문을 분석함으로써, 보건의료산업학회지 내 간호영역의 연구 경향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 해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의료산업학회지에 게재된 간호영역 연구논문의 연구 방법적 특성을 분석한 다. 둘째, 보건의료산업학회지에 게재된 간호영역 연구논문의 내용적 특성을 분석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2007년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창간호부 터 2018년 12월호까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중 간호 영역의 연구논문을 연구방법과 내용적 특성에 대 한 분석틀을 기반으로 분석한 문헌연구(literature review) 이다.

    2. 연구대상

    2007년 창간호부터 2018년 12월까지 보건의료산 업학회지에 실린 총 605편의 논문 중 78편의 간호 영역 논문 전수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은 2019년 9월 4일부터 9월 20일까지 실시되었으 며, 논문 수집을 위해 2007년 창간호부터 2018년 12월 발간된 제12권 4호까지 보건의료산업학회 홈 페이지(http://www.hospitalreport.kr/journal/jo urnal01.asp)에서 제공하는 학회지 원문 제공 서비 스와 대표적인 국내 학술자료 검색 엔진 DBpia 및 NDSL 전자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원문을 확보하여 분석하였다.

    3. 분석기준

    본 연구에 사용된 분석틀은 연구자들이 간호학 연구논문 동향분석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해 동 향분석기준을 검토한 후, 회의를 거쳐 본 연구목적 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결정하였다. Kim & Lee[4]와 Jung et al.[5]의 분석방법을 토대로 간호 영역 연구 논문의 연구 방법적 특성분석을 위해, 연구 유형과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내용 적 특성 분석을 위해 주요어를 분석하였다. 연구 유형 특성의 하위 항목으로 논문종류, 저자수, 저 자 소속, 연구 모형 및 연구비 수혜 등 총 5개 항 목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 방법적 특성의 하위영 역으로는 연구설계, 연구 참여자, 표본추출방법, 표 본크기 산출, 연구 도구,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자료수집방법, 자료분석방법의 총 8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 내용적 특성 분석을 위한 주요 어는 주요어의 수, 주요어의 주제에 대해 분석하였 는데, 주요어 주제는 간호의 메타패러다임[6]에 따 른 인간, 건강, 간호, 환경의 네 영역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논문의 연구 유형 특성

    연구 유형의 특성 분석은 하위영역인 논문의 종 류, 저자수, 저자 소속, 연구 모형 및 연구비 수혜 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Table 1>.

    1) 논문 종류

    분석대상 연구논문 78편 중 원저 유형의 연구논 문이 76편(97.4%)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 며, 문헌고찰과 같은 종설 연구가 2편(2.6%)이었다.

    2) 저자수

    분석대상 연구논문의 평균 저자수는 2.17±1.10 명으로 최소 1인부터 8명까지 구성되어 있다. 이 중 3명 이하의 연구자 집단에 의한 연구논문이 73 편(93.6%)으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4~6명의 저자에 의한 연구논문이 4편(5.1%), 7명 이상의 저 자에 의한 연구논문도 1편(1.3%)이었다.

    3) 저자 소속

    78편의 분석대상 연구논문의 전체 저자수는 184 명이었으며, 이 중 간호대학(과) 소속 저자 104명 (56.4%), 의료기관 소속 저자 27명(14.7%), 의료경 영학과 및 보건행정학과 소속 저자 2명(10.9%)이었 고, 경영학과 등을 포함하는 기타 학과 소속 저자 도 9명(4.9%) 이었다. 이 외에도 보건 및 의료경영 학과 대학원생 연구자가 13명(7.1%)이었으며, 간호 학과 대학원생 연구자도 9명(4.9%)를 차지하였다.

    4) 연구 모형

    연구자가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측정하고자 하 는 변수들에 대한 개략적 틀을 보여주는 것이 연 구 모형이라 할 수 있다. 분석대상 연구논문 중 연 구 모형이 제시된 문헌이 전체 78편 중 7편(9.0%) 에 불과하고, 나머지 71편(91.0%)의 연구논문에서 연구에 관한 개념적 기틀이라 할 수 있는 연구 모 형이 제시되지 않았다.

    5) 연구비 수혜

    분석대상 78편의 연구논문 중 기관으로부터 연 구비 수혜를 통해 연구를 진행한 논문은 20편 (25.6%)이었으며, 연구비 수혜없이 연구를 진행한 경우가 58편(74.4%) 이었다.

    2. 연구논문의 연구 방법적 특성

    연구 방법적 특성은 하위영역인 연구 설계, 연 구 참여자, 표본추출방법, 표본 크기 산출, 연구 도 구,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자료수집 방법 및 자료분석 방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Table2>.

    1) 연구 설계

    연구 설계는 크게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로 구 분하고, 양적 연구는 세부적으로 실험연구와 비실 험연구 설계로 구분할 수 있다. 비실험 연구도 다 양한 형태의 연구 설계로 구분 지을 수 있다. 그러 나 우리의 대상 연구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질적 연구 설계는 없이, 9편(11.5%)이 양적 연구설계 중 실험연구 설계였다. 또한, 절반 이상인 47편(60.3%) 의 연구논문이 비실험 설계였으며, 이중 서술적 조 사연구가 42편(89.3%), 상관관계 연구가 2편(4.3%), 문헌고찰 연구논문이 1편(4.3%)이었으며, 도구개발 등 기타 연구 설계가 2편(4.3%)이었다. 나머지 22 편(28.2%)의 연구논문은 연구 설계가 제시되지 않 았다.

    2) 연구 참여자

    분석대상 연구논문들의 연구 참여자를 분석한 결과 의료기관 내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 로 하는 연구가 49편(55.7%), 간호대학생을 대상으 로 한 연구가 23편(26.1%), 의료기관 외의 기관에 서 근무하는 보건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가 11편(12.5%)의 순이었다. 그 외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 가 각 2편씩(2.3%)이었으며, 환자나 보호자가 아닌 건강한 성인 및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1편 (1.1%)이었다.

    3) 표본추출방법 및 표본 크기 산출

    자료수집 방법을 분석한 결과 편의 표출이 71편 (91.0%)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고, 표본추출 방법 을 기술하지 않은 연구논문이 3편(3.8%), 단순 무 작위 추출방법을 사용한 연구가 2편(2.6%), 국민건 강영양조사와 같은 공개자료를 이용한 연구논문과 확률표본추출을 이용한 연구논문이 각 1편(1.3%)씩 이었다. 또한, 78편의 연구논문 중 표본수 산출 프 로그램이나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정량적 표본크기 를 산출한 연구논문은 38편(48.7%)이었지만, 표본 크기의 산출 근거를 제시하지 않은 연구논문도 39 편(50.0%)이었다.

    4) 연구 도구

    연구 도구는 하나의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여러 연구 도구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다중응답 처리 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설문지를 이용한 연 구논문이 76편(96.2%)이었으며, 공개자료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문헌고찰 분석 틀을 이용한 연구논문 이 2편(2.5%), 의무기록을 이용한 연구가 1편(1.3%) 이었다.

    5)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측정 도구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제시한 연구논문은 71편(91.0%)이었고, 제시하지 않은 연 구논문도 7편(9.0%)에 이르렀다.

    6) 자료수집 방법

    자료수집 방법에 대해 다중응답 처리 후 분석한 결과,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연구논문 이 76편(95.0%)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또한, 공개자료, 관찰 및 면담, 의무기록, 문헌검색 엔진 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연구논문이 각 1편 (1.3%)씩이었다.

    7) 자료분석방법

    자료 분석은 연구자가 세운 가설 및 보여주고자 하는 연구결과에 따라 다양한 방법의 분석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분석대상 연구논문에서 제 시된 자료 분석방법을 다중응답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 75편(29.4%)의 연구논문에서 기술통계를 이용 하였다. 차이 검정을 이용한 연구논문이 67편 (26.3%),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연구논문이 53편 (20.8%), 회귀분석을 이용한 연구논문이 48편 (18.8%), 경로 분석 및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연구 논문이 6편(2.4%)의 순이었다. 또한, 요인분석을 이 용한 연구논문이 4편(1.6%)이었으며, 그 외 내용 분석 등의 방법을 이용한 연구논문과 이상의 방법 들이 적용되지 않는 종설 논문이 각 1편씩 있었다.

    3. 주요어 특성

    분석 대상 연구논문의 내용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주요어의 수와 간호의 메타 패러다임에 따른 주요어 분류를 포함하는 하위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1) 주요어 수

    분석대상 연구논문에 제시되어있는 주요어의 수 는, 4개가 40편(51.3%)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3개 23편(26.5%), 5개 10편(12.8%), 2개 4편(5.1%), 6개 1편(1.3%)의 순이었다.

    2) 주요어 분류

    주요어는 78편의 연구논문에서 제시되고 있는 모든 주요어 296개에 대해 간호의 메타 패러다임 인 인간, 건강, 간호, 환경의 네 영역[6]으로 분류 하여 분석하였다. 환경에 포함되는 주제어 129개 (43.6%)를 중복되는 용어에 따라 분류한 결과 조직에 관한 용어가 87개(67.4%)이었으며, 의료기 관에 관한 용어가 13개(10.1%), 교육환경에 관한 용어가 29개(22.5%)가 제시된 연구논문이 65편 (41.9%)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인간에 대한 주제어는 56개(18.9%)이었는데, 이 중에서 간호사 가 가장 많은 34개(60.1%). 그 다음이 간호대학생 으로 17개(30.0%)이었으며, 노인 및 노인환자가 3 개(5.4%), 대학생이 2개(4.5%)이었다. 간호영역에 포함되는 주요어는 27개(9.1%) 이었으며, 건강에 해당되는 주요어는 84개(28.4%)이었다. 건강에 해 당되는 주요어를 다빈도 용어에 따라 재분류 분석 한 결과 자기 효능감이 10개(11.9%)로 많았고, 그 다음이 태도 8개(9.5%), 셀프 리더십 6개(7.1%), 자 아존중감 5개(6.0%)였으며, 그 외 다양한 용어들이 제시되고 있었다

    Ⅳ. 고 찰

    본 연구는 보건의료산업학회지 내 간호영역의 연구 경향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시하기 위하여 2007년부터 2018년까지 보건의료산업학회 지에 게재된 간호학 연구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 방법 및 내용적 특성을 포함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은 총 78편이었다.

    연구 유형적 특성은 논문 종류, 저자수, 저자 소 속, 연구 모형 및 연구비 수혜여부로 나누어 분석 하였다. 이중 저자의 소속과 연구 모형의 유무 그 리고 연구비 수혜에 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 체 저자 중 간호대학 소속 저자가 56.4%, 연구 모 형의 이 제시된 연구가 전체 문헌 중 9%에 불과하 였고, 연구비 지원을 받아 시행된 연구도 전체의 25.6%정도였다. Jung et al.[5]의 군진연구 학회지 게재 연구 동향분석에서는 연구비 수혜가 이루어 진 연구가 56.6%, 임상간호연구 게재 논문 분석에 관한 Kim et al.[7]의 연구에서는 36.6% 정도라는 점에서 본 학회지에 게재되고 있는 간호학 연구논 문들의 연구비 지원을 통해 이루어지는 비율이 낮 음을 알 수 있다, 저자의 소속도 Jung et al.[5]의 연구에서는 국군사관학교 교수 및 교직원 수행연 구가 35.1%, 민간대학교수 22.0%, 그 외 대학원생, 군내 정책부서나 교육기관 근무자 국군간호사관학 교 훈육진 및 간호 외 다른 직종의 연구자에 의한 수행이 3.3%이었으며, Kim et al.[7]의 연구에서는 임상간호사, 대학교수, 연구원 등 산학이 공동 수 행한 연구가 68.7%를 차지하고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이는 향후 본 학회지에 게재되고 있는 간호 학 연구들이 다른 보건의료산업영역과의 융합적 연구 진행 및 임상 현장과 연계하여 보건 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연구 영역으로 확대 될 필 요성이 있고, 연구재단 등 다양한 연구비 지원 시 스템의 적극적인 활용방안 모색이 요구되고 있음 을 시사한다.

    연구 방법적 특성에 대한 분석은 연구 설계, 연 구 참여자, 표본추출방법 및 표본 크기 산출, 연구 도구,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기술, 자료수집 방 법 및 자료 분석방법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먼저 연구 설계에 대한 본 학회지에 게재된 간호학 영 역의 연구 논문들 중에는 질적 연구 설계는 없었 으며, 연구 설계가 제시되지 않은 연구도 22.2%를 차지하였다. 나머지 56편의 연구가 양적 연구 설계 였는데, 이 중 11.5%인 9편의 연구만이 실험연구 설계였으며, 47편의 비실험 설계 연구 중 서술적 조사연구가 89.3%로 가장 많았다. 이와 같은 결과 는 Kim et al.[8]의 주요 분양별 간호학회지에 게 재된 연구들이 실험설계 보다는 비실험설계, 이중 에서도 조사연구가 많았던(56.6%~77.5%) 동향분석 결과와 유사한 맥락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2009 년~2015년 까지 임상간호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들 에 대한 분석결과[7]나 성인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분석[9], 산업간호학회지 게재 논문 분석[4]에 서 보여주는 조사연구 40~60%, 양적 연구 77.4%, 질적연구 11.5%, 메타분석 및 체계적 문헌고찰 3.4%, 이중 조사연구 56.6%, 실험연구 19.5% 및 Q 방법론, 프로그램 개발, 개념분석 등 다양한 연구 설계방법들의 제시되고 있다는 결과와는 다르게 본 학회지에 게재된 간호학 연구들이 특정 연구 설계 방법으로 편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 서 연구 설계에 대한 정확한 제시와 다양한 설계 의 적용이 요구되며, 보건의료산업 내 간호영역에 서의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 의 확대가 요구된다 할 수 있다.

    연구 대상자에 대한 분석결과, 간호사를 대상으 로 하는 연구가 55.7%, 간호대학생 대상 연구 26.1%로 나타나 연구대상자가 간호사 및 간호대학 생으로 한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간호행정학회 지게재 논문 분석[10] 결과에서는 간호사 대상 65.5%, 간호학생 대상 5.9%, 환자 대상 11.8%, Choe et al.[11] 연구나 Suh et al.[12] 연구, Kim & Lee 연구[4]에서는 환자 혹은 사업장 근로자와 같이 간호서비스 수혜자가 대상이 되는 연구가 36.6%~55.8%, 의료인 대상 연구가 18.9%~25.7%로 나타나 각 학회지의 목적에 맞게 연구대상자들이 다양하게 선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간호 학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대한간호학회지 및 회원 학회지의 창간호부터 2010년까지 제개된 논문을 분석한 Choe et al.[13]은 2001년 이후 건강한 일반 인 및 건강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현 저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보 건의료산업학회지의 투고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 록 간호학 영역의 연구가 간호서비스의 소비자, 의 료 및 간호정책, 의료시장, 의료 거버넌스 등 연구 대상의 범위를 확대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표본추출방법과 표본크기에 대한 근거 제시 여 부에 대한 분석결과 편의 추출방법이 91.0%로 가 장 많았고, 표본추출 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연구논 문도 3.8%였다. 이는 Kim et al.[4]의 연구에서는 86.2%, Jang et al.[10]의 연구에서는 96.2%, Jung et al.[5]의 연구에서는 84.7%의 연구가 임의 추출 혹은 편의 추출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편의 추 출에 의한 간호학 연구 결과 일반화의 제한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표본추출방법을 고려해야 할 필요 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대상 논문의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적절한 표본크기 산출 결과가 제시된 연구가 48.7%임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Kim et al.[7]의 연구에서 보여준 63.9%의 결과보다 낮은 수준이다. 학회지 게재논문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 시한 연구들에서 표본크기 산정 기준의 제시 여부 를 분석항목으로 포함하고 있는 연구들이 많지 않 아 본 연구 결과의 해석에 다소 제한이 따르지만, 보건의료산업학회에 게재된 간호학 분야 연구들의 표본 크기 산출에 대한 근거 제시가 미비하다는 점은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향후 진행되는 연구 들에서는 연구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객관화 할 수 있도록 연구 설계에 맞는 표본수가 산정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도구에 대한 분석 결과 96.2%의 연구가 설 문지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설문지 (67.6%~69.0%), 관찰 및 인터뷰(9.3%~25.4%), 신체 적 측정 (6.2%~13.0%), 그 외 의무기록지, 델파이 법, Q 분류법 등을 이용하였다고 분석한 유사한 동향분석 연구들[4][8][9]과 비교해 보면 측정도구 가 편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으로 간호 학 영역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 연구 설계의 다양 화와 함께 다양한 도구를 이용한 측정을 통해 연 구 결과의 신뢰성 확보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 다.

    연구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제시에 대한 분석 결과, 91.0%의 연구논문이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 도를 제시하고 있는데, Kim et al.[7]의 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신뢰도 보고 논문 79.8%, 타당도 보 고 논문 41.7%보다 높은 비율로 나타나 보건의료 산업학회에 게재되고 있는 간호학 연구논문들이 측정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잘 보고 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자료수집 방법에 대한 분석 결과 설문지를 이용 하여 분석한 연구가 95.0%로 가장 많아 연구도구 의 편향성과 함께 자료 수집 방법도 편향적임을 알 수 있다. Choe et al.[13]은 연구를 통해 대한간 호학회지의 회원학회지에서 통계자료 이용, 의무기 록 이용, Q 방법론 및 인터넷을 이용한 자료수집 방법 등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들이 이용되고 있다 고 하였다. 따라서, 보건의료산업학회 내 간호학 분야 연구에서도 공공자료 이용 등 자료수집 방법 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78편의 간호학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어는 총 296개였다. 보건의료산업회는 투고 논문에 대해 4 개 이내의 주요어를 제시하도록 권고하고 있는데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 4개 이하의 주요어를 제시하고 있는 연구가 85.9%였고, 5개 이상의 주요 어를 제시하고 있는 연구도 14.1%였다. 주요어에 대한 개념분류는 간호의 메타패러다임[6]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환경에 포함되는 주요어가 43.6%, 건강에 포함되는 주제어가 28.4%, 인간에 포함되는 주제어가 18.9%, 간호에 포함되는 주제어 가 9.1%의 순이었다. Kim & Lee[4]의 연구에서 건 강영역 47.9%, 인간영역 20.3%, 간호영역 20.2%, 환경영역 11.54%의 순으로 나타난 것이나, Jung et al.[5]의 연구에서 건강영역 39.1%, 간호영역 32.2%, 인간영역 16.9%, 환경영역 11.7%의 순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이는 산업간 호, 군진간호 등 특정 분야의 학문에 비해 전반적 인 보건의료산업의 융합적 발전을 도모하고 있는 본 학회지의 투고 목적에 따른 결과라 볼 수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환경 영역에서 가장 높은 빈 도를 보여주고 있는 주요어가 직무 만족, 조직몰입 등을 포함하는 조직(67.4%)에 대한 용어이며, 인간 의 영역에서는 간호사가 60.1%, 간호학생이 30.0% 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건강 영역에서는 자아 존 중감, 태도, 자기리더십의 용어가 각각 7.1~11.9% 의 비율로 제시되며, 간호 영역에서는 다른 세 영 역과 달리 중복되어 제시되고 있는 주요어가 많지 않았으며, 그중에서도 간호 수행(22.2%)이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Cho, Bae, & Woo[14]가 본 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들에 대한 토픽트랜드 분석을 통해 ‘Health management’ 와 ‘Hospital serive’가 지배적이라고 언급한 부분과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상의 주요어들은 현 간호계의 주요 쟁점 중의 하나인 간호사의 이직, 조직문화, 제한된 실습교과목의 운 영과 관련된 이슈들이며, 이는 조직문화의 개선, 간호사의 이직을 줄이기 위한 조직몰입, 간호학과 생들의 교육환경 개선에 대한 연구실적들이 늘어 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어, 간호계의 이슈들 이 연구에 잘 반영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보건의료산업학회지에 게재된 간호학 연 구논문들의 양적,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앞서 언급 한 것처럼 연구비 수혜에 관한 관심의 확대를 통 해 기관지원 연구 수행이 필요하며, 연구 대상자를 간호서비스 소비자, 의료 및 간호정책, 의료시장, 거버넌스 등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간호 학문의 융합적 발전을 위해 간호학 전공자뿐 아니 라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연계 연구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부합하는 학문적 완성도를 추 구할 필요가 있다.

    Ⅴ.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보건의료산업학회지의 창간에서 부터 지난 2018년 12월까지 게재된 간호영역의 연 구 동향이 연구 유형, 연구방법론적 특성 및 주제 어의 측면에서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보건의 료산업학회지에 투고되는 영역 중 하나인 간호학 분야의 연구 실태를 반영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추후 보건의료산업학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간호연구의 향후 실 행 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 다.

    첫째, 연구 참여자의 다양성과 다학제적 연구접 근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회적 요구를 반 영한 융복합적 연구 지향의 간호연구 확장성을 추 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 결과의 일반화 및 타당성 확보를 위 해 연구 설계, 표본추출 방법의 객관화, 표본 크기 의 효과성 확보 및 측정 도구의 다양화를 포함하 는 연구방법론 측면에서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 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셋째, 간호영역에서의 중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의 확대가 필요함을 제언한 다.

    Figure

    Table

    Types of Research, No. of Researchers, and Conceptual Framework

    Analysis of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Analysis of Key words

    Reference

    1. N. Burns, S.K. Grove(2009), The Practice of Nursing Research (6th Ed), Elsvier, pp.2-10.
    2. J. Liaschenko, E. Peter(2004), Nursing ethics and conceptualizations of nursing: profession, practice and work,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46(5);488–495.
    3. J.S. Jung, J.S. Kim(2004),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School Health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ol.17(1);85-95.
    4. Y.I. Kim, B. Lee(2011), Trends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Research in Korea,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20(2);195-203.
    5. Y. Jung, E.Y. Jung, M.J. Kim(2017), Trends Analysis of the Korean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between 2011 and 2015, the Korean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Vol.35(2);1-13.
    6. J. Fawcett(1984). The Metaparadigm of Nursing: Present Status and Future Refinements,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16(3);84-87.
    7. Y.H. Kim, G.H. Jeong, I.G. Kwon, K.S. Kim, E.M. Moon, J.L. Lee, Y.A. Park(2017), Bibliographic Analysis of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from 2009 to 2015,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23(1);73-82.
    8. S.J. Kim, K.B. Kim, M.S. Yi, K.J. Lee, Y.H. Ahn, et al.(2002), The Trends of Nursing Research in the Journals of Seven Branches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2(1);114-130
    9. N.K. Han, S. Kim, M.S. Kim, J.G. Kim, C.H. kim, S. H. Choi(2015), Trend Analysis of Research in th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for 5 Years (2010~2014) : Focused on Usage of Nursing Theori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7(5);527-536.
    10. K.S. Jang, B.N. Kim, Y.M. Kim, J.S. Kim, S.H. Jeong(2013), Analysis of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for 3 Years (2010~2012), J Korean Acad Nurs Adm, Vol.19(5);679-688.
    11. M.A. Choe, J.S. Jeong, K.C. Im, J.H. Kim, K.S. Kim, et al.(2010), Research Trend of Studi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95-2008,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6(2);95-105.
    12. M.J. Suh, S.S. Kim, M.S. Somg, M.S. Yee, E.G. Oh, et al.(2001), An Analysis on the Contents and the Trend of Nursing Research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89-2000),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13(4); 571-580.
    13. M.A. Choe, N.C. Kim, K.M. Kim, S.J. Kim, K.S.Park, et al.(2014), Trends in Nursing Research in Korea: Research Trends for Studies Published from the Inaugural Issue to 2010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nd the Journals Published by Member Societies under Korean Academy of Nursing Sc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4(5);484-494.
    14. K.W. Cho, S.K. Bae, Y.W. Woo(2017), Analysis on Topic Trends and Topic Modeling of KSHSM Journal Papers using Text Mining,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1(4);213-224.
    20191113
    20191208
    20191219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