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4 No.2 pp.93-104
https://doi.org/10.12811/kshsm.2020.14.2.093

일부 여고생의 구강건강자각증상과 학업스트레스의 관련성

박 소영‡
원광보건대학교 치위생과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Symptoms and Academic Stress
in Some High School Girls

So-Young Par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wareness symptoms and academic stress in some high school girls and to find out existing
improvement plan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elf-reported survey on 303 high school girls
from four high schools in Jeollabuk-do.


Results:

Higher academic performance, poor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of dental caries, awareness of jaw joint disease, awareness of discomfort during
chewing, and awareness of tooth pain significantly increased overall admission stres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ere dental pain symptoms, followed by subjective oral health and dental caries
symptoms.


Conclusions:

Effective measures to help high school girls cope with academic stress, a
systematic school oral health policy, and practic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ir oral health.



    Ⅰ. 서론

    고등학교 시기는 신체적, 사회 및 심리적인 변 화가 급속히 이루어지는 시기로서 다양한 감정적 혼란 경험, 정서적 불안 및 갈등 등을 경험하는 과 정에 크고 작은 여러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 [1]. 최근 2019년 청소년 통계에 의하면 한국 청소 년은 전반적인 생활에서 스트레스를 45.0% 정도 받고 있으며[2], 기존 문헌에서 고등학생의 경우 직면하는 다양한 스트레스 유형 중 학업 스트레스 가 가장 높음이 보고된 바 있다[3]. 학업스트레스 는 청소년이 시험 성적 및 학습, 대학입시 압박, 개인시간 부족 등과 관련하여 경험하게 되는 내・ 외적 환경과 자극으로부터 인지하는 진로 및 진학 에 대한 심리의 부정적인 상태라고 할 수 있다[4].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한국 청소년들의 학업 스 트레스 지수는 50.5%이며, 유엔아동기금(UNICEF) 에서 조사를 진행한 29개국 중 가장 높은 수치라 하였다[5]. 특히 한국의 고등학생은 입시 위주의 경쟁적 교육풍토로 인하여 입시의 중압감, 입시실 패의 두려움, 대학 진학 및 진로 문제 등 복합적인 요인들로 인해 우울감, 무기력함, 강박증 등 스트 레스가 가중되고 있다[6]. 입시를 준비하는 고등학 생은 일상생활에서 감지되는 다양한 스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대처방안이 요구되나 스트레스의 해 소능력이 인간발달단계 중 성인기보다 미숙하며, 학업스트레스는 지속적인 긴장감을 가져오며 누적 된 스트레스는 심리적 고통뿐만 아니라 이들의 신 체 건강은 물론 구강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7]. 그리고 스트레스는 생리적으로 면역계, 내 분비계, 자율신경계 등에 부정적 영향을 주어 면역 력을 낮추고 구강 내 병소의 유발인자가 되며, 스 트레스가 높을수록 잇몸, 치아, 악관절 등 구강건 강자각증상을 많이 인지하게 된다[8]. Jun & Kim 의 연구[9]에서 한국 청소년은 자가 구강증상이 있 는 경우, 저작 시 동통 및 구취, 잇몸 출혈이 있는 경우, 주관적 건강인지가 나쁨일 경우 스트레스 지 수가 높았으며, 스트레스는 구강건강행위를 변화시 키는 중요한 인자이며 구강상태에 미치는 영향력 이 높다고 하였다.

    선행연구들에서 청소년 중 성별(Sex)에서는 여 학생, 학년(Grade)에서는 고등학생이 학업스트레스 지수가 높으며, 여고생은 입시, 학업, 교우관계, 가 족관계, 건강상태 등의 스트레스 요인이 신체자각 증상과 정적인 상관관계이며, 스트레스와 구강건강 은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7][9][10]. 특히 여고생의 구강 내 환경은 영구치열 이 거의 완성된 상태이며, 아직은 불완전한 신생 영구치를 보유하고 있기에 치아를 건전하게 보존 하기 위한 구강건강관리가 매우 중요한 시기이며, 외모에 관심이 많아 가지런한 치열과 건강한 치아 에 대해 관심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차성징에 따른 여성호르몬의 변화, 바쁜 학업 일 정으로 인한 부적절한 구강건강관리행동 및 치과 의료기관 미방문, 간식의 섭취빈도 증가 등으로 치 아우식과 치주병이 유발되어 일생동안 잘 보존해 야 하는 영구치 상실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1]. 기존 문헌에서 구강건강증상경험의 위험도가 상승할수록 스트레스 노출도가 커지며, 구강건강증 상발현은 여성이 높으며[8], 여고생의 높은 스트레 스는 올바른 구강관리습관 정착의 방해요인이며, 이로 인한 부정적인 건강행태는 질병 유발 및 구 강건강상태를 저해하고 행복한 삶의 방향성을 낮 추므로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여고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관련된 구강건강자각 증상을 다양한 변인으로 조사한 자료가 미비하다. 이에 저자는 여고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구강건강 증상 관련 조사가 보건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되며 학교구강보건사업 및 구강보건교육에 도 움이 되는 실현성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J시와 I시에 소재한 4개 고 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 3학년을 편의표본추출법 에 의해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대학진 로박람회에 참여한 여고생을 대상으로 2019년 05 월 15일부터 07월 19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법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수는 G*power 3.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효과크기 .25, 유의수준 .05, 통계적 검정력 .90을 적용한 결과 최소인원이 272 명으로 산출되었으며, 손실률을 가정하여 320명으 로 선정하였다. 연구윤리교육을 이수한 연구보조원 2인이 본 연구의 목적에 동의해준 여고생에 한하 여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설문에 응답한 여고생 320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7명을 제외한 연구 대상자 303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 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위해 W대학교 생명윤 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은 후 (WKIRB-201910-SB-077, 2019.09.30)연구를 시행하 였다.

    2. 연구 도구

    조사 내용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구 강건강자각증상, 학업스트레스이었다. 일반적인 특 성에 관한 문항은 학년, 학업성적, 주관적 신체건 강도, 주관적 구강건강도, 전반적인 학업스트레스 를 묻는 총 5문항이었다. 구강건강자각증상에 관한 문항은 Shin[8]의 도구를 토대로 설계하였으며, 세 부 항목은 치아우식자각증상, 악관절질환자각증상, 저작불편자각증상, 치아상실, 구취자각증상, 잇몸출 혈자각증상, 치아통증자각증상을 묻는 총 7문항이 었다. 종속변수인 학업스트레스 항목은 Kim & Han[6]이 개발한 척도를 본 연구의 취지에 맞게 수정·보완하였다. 학업스트레스 척도는 여고생들이 느끼는 학업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함이며 종속변 수를 1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항목은 ‘매우 그렇다’(5점), ‘그렇다’(4점), ‘보통이다’(3점), ‘그렇 지 않다’(2점), ‘전혀 그렇지 않다’(1점)의 5점 리커 트 척도로 조사하였다. 학업스트레스 척도에 관한 16개 항목의 요인별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주성 분 분석과 Verimax 회전을 이용한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Table 1>. 학업스트레스 척도의 각 문항 을 이용하여 고유값이 1.0 이상인 요인을 추출한 결과 4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고, 생성요인에서 Factor Ⅰ은 부모압박 스트레스, Factor Ⅱ는 시험 압박 스트레스, Factor Ⅲ은 대학입시압박 스트레 스, Factor Ⅳ은 개인시간부족 스트레스로 명명하 였다. 요인분석 결과 부모압박 스트레스에 관한 문 항은 ‘부모님께서는 학교공부를 잘해야 한다고 압 력을 주신다.’, ‘부모님께서는 내 성적을 친구나 친 척의 성적과 자주 비교한다.’, ‘부모님께서는 학교 성적이 떨어지면 화를 내시거나 언짢아하신다.’, ‘부모님께서는 내가 밤늦게까지 공부하시길 원하신 다.’, ‘부모님께서는 내가 공부를 하고 있는지 아닌 지 자주 점검하신다.’ 등 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 고, Cronbach's ⍺계수는 0.683이었다. 시험압박 스 트레스에 관한 문항은 ‘공부해야 할 과목이 너무 많다고 생각한다.’, ‘공부하려고 책상에 앉으면 잡 념이 생긴다.’, ‘대학 입시가 코앞에 닥친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시험시간에 긴장이 되어 문제가 머 리에 들어오지 않는다.’ 등 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 었고, Cronbach's ⍺계수는 0.842이었다. 대학입시 압박 스트레스에 관한 문항은 ‘대학입시에서 실패 하면 내 인생은 의미가 없다.’, ‘대학입시에서 실패 하면 나의 미래가 불확실하다.’, ‘앞으로 나의 미래 는 대학입시를 잘 치르느냐 아니냐에 달려있다.’ 등 3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Cronbach's ⍺계수 는 0.712이었다. 개인시간부족 스트레스에 관한 문 항은 ‘취미생활이나 자유시간을 가지기 힘들다.’, ‘학급친구들과 깊이 사귈 시간이 부족하다.’, ‘하고 싶은 일을 마음대로 할 수 없다.’, ‘이성 친구와 사 귈 시간이 없다.’ 등 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Cronbach's ⍺계수는 0.982이었다.

    3. 자료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 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 고, 구강건강자각증상의 문항별 평균을 구하였다. 일반적 특성 및 구강건강자각증상에 따른 학업스 트레스의 차이는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시행하였 다. 아울러 전반적인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알아보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다중결정계수(R2)를 통하여 파악 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Table 2>와 같 다. 학년별 응답은 2학년이 126명(41.6%)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3학년이 103명(34.0%), 1학년이 74명(24.4%) 순이었다. 학업성적은 ‘중간’이 174명 (57.4%)으로 가장 높았으며, ‘낮은편’이 79명 (26.1%), ‘높은편’이 50명(16.5%) 순이었다. 주관적 신체 건강도는 ‘나쁨’이 132명(43.6%)으로 가장 높 았으며, ‘보통’이 131명(43.2%), ‘좋음’이 40명 (13.2%) 순이었다. 주관적 구강 건강도의 경우 ‘보 통’이 164명(54.1%)로 가장 높았으며, ‘나쁨’이 91명 (30.0%), ‘좋음’이 48명(15.8%) 순이었다.

    전반적인 학업스트레스는 ‘높은편’이 234명 (77.2%)으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2.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자각증상별 평균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자각증상의 문항별 평균 은 <Table 3>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자각 증상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2.28±1.05점으로 조사되 었고, 하위영역별로는 ‘악관절질환자각증상’이 2.91±1.18점으로 점수가 가장 높았다. 두번째 순서 는 ‘치아통증자각증상’으로 2.45±1.10이었으며, 세 번째로는 ‘치아우식자각증상’으로 2.41±1.19이었다. 평균이 가장 낮은 항목은 ‘치아상실’이 1.76±1.02점 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 및 구강건강자각증상별 학업스 트레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구강건강자각증 상에 따른 학업스트레스의 차이는 <Table 4>와 같 다. 학업성적에 따른 학업스트레스는 부모압박 스 트레스, 시험압박 스트레스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성적이 높을수록 부모압박 스트레스, 시험압박 스트레스가 높았으며(p<.01), 대학입시압 박 스트레스, 개인시간부족 스트레스에 따른 유의 한 차이는 없었다(p>.05).

    주관적 신체건강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는 부모 압박 스트레스, 시험압박 스트레스, 대학입시압박 스트레스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고 생이 생각하는 신체의 건강도가 나쁠수록 부모압 박 스트레스, 시험압박 스트레스, 대학입시압박 스 트레스가 높았으며(p<.05), 개인시간부족 스트레스 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주관적 구 강건강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는 시험압박 스트레 스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고생이 생각하는 구강의 건강도가 나쁠수록 시험압박 스 트레스가 높았으며(p<.01), 부모압박 스트레스, 대 학입시압박 스트레스, 개인시간부족 스트레스에 따 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치아우식자각증상에 따른 학업스트레스는 시험 압박 스트레스, 대학입시압박 스트레스에 따라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고생이 치아우식을 자 각할수록 시험압박 스트레스, 대학입시압박 스트레 스가 높았으며(p<.05), 부모압박 스트레스, 개인시 간부족 스트레스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5). 악관절질환자각증상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는 부모압박 스트레스, 시험압박 스트레스, 대학입 시압박 스트레스, 개인시간부족 스트레스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고생이 악관절질환 관련 증상을 자각할수록 부모압박 스트레스, 시험 압박 스트레스, 대학입시압박 스트레스, 개인시간 부족 스트레스가 높았다(p<.05).

    저작불편자각증상에 따른 학업스트레스는 개인 시간부족 스트레스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다. 즉 여고생이 저작이 불편함을 자각할수록 개인 시간부족 스트레스가 높았으며(p<.05), 부모압박 스트레스, 시험압박 스트레스, 대학입시압박 스트 레스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구취자각증상에 따른 학업스트레스는 시험압박 스트레스, 대학입시압박 스트레스, 개인시간부족 스트레스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고 생이 구취를 자각할수록 시험압박 스트레스, 대학 입시압박 스트레스, 개인시간부족 스트레스가 높았 으며(p<.05), 부모압박 스트레스에 따른 유의한 차 이는 없었다(p>.05).

    잇몸출혈자각증상에 따른 학업스트레스는 대학 입시압박 스트레스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다. 즉 여고생이 잇몸의 출혈을 자각할수록 대학입 시압박 스트레스가 높았으며(p<.05), 부모압박 스 트레스, 시험압박 스트레스, 개인시간부족 스트레 스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치아통증자각증상에 따른 학업스트레스는 모든 하부항목인 부모압박 스트레스, 시험압박 스트레 스, 대학입시압박 스트레스, 개인시간부족 스트레 스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여고생이 치아 통증을 자각할수록 부모압박 스트레스, 시험압박 스트레스, 대학입시압박 스트레스, 개인시간부족 스트레스가 높았다(p<.05).

    4. 전반적 학업스트레스 영향 요인

    전반적인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중회귀분석결과는 <Table 5>와 같다. 일반 적인 특성요인을 선정한 Model 1에서 주관적 구 강건강도(β=-.560, p=.002)에서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였으며, 학년, 학업성적, 주관적 신체건강도는 통 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즉 주관적인 구강건강 이 나쁜 경우에 전반적인 학업스트레스가 유의하 게 높았다.

    구강건강자각증상요인을 선정한 Model 2에서 치아우식자각증상(β=.351, p=.004), 악관절질환자각 증상(β=.137, p=.048), 치아통증자각증상(β=.616, p=.006)에서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였으며, 저작불 편자각증상, 치아상실, 구취자각증상, 잇몸출혈자각 증상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즉 치아우식 을 자각할수록, 악관절질환을 자각할수록, 치아통 증을 자각할수록 전반적인 학업스트레스가 유의하 게 높았다.

    일반적인 특성과 구강건강자각증상요인을 선정 한 Model 3의 경우 학업성적(β=.181, p=.006), 주 관적 구강건강도(β=-.444, p=.000), 치아우식자각증 상(β=.715, p=.000), 악관절질환자각증상(β=.122, p=.008), 저작불편자각증상(β=.455, p=.026), 치아통 증자각증상(β=.630, p=.000)에서 유의한 영향관계 를 보였으며, 학년, 주관적 신체건강도, 치아상실, 구취자각증상, 잇몸출혈자각증상은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 즉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치아우식을 자각할수 록, 악관절질환을 자각할수록, 저작 시 불편함을 자각할수록, 치아 통증을 자각할수록 전반적인 학 업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치아우식자각증상이 었으며, 그 다음 순으로는 치아통증자각증상이었다.

    Ⅳ. 고찰

    본 연구는 여고생의 구강건강자각증상과 학업스 트레스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여고생은 전반적인 학업스트레스는 77.2%가 높 은편이라 응답하였으며, Heo et al[3]의 연구에서 고등학생의 경우 여학생의 스트레스 평균이 높은 결과와 유사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여성이 남성보 다 더 뇌의 구조 및 생각 그리고 호르몬의 차이로 인해 환경에 더 예민하게 반응하여 스트레스에 좀 더 잘 노출되며[11], 스트레스가 낮은 경우에 전반 적인 행복추구경향이 높았다[12]. 2019 청소년 통 계에 의하면 한국 고등학생은 청소년 중에서 가장 여가활동 시간이 부족하며, 가장 고민하는 문제는

    장래 직업, 학업 등이라 응답하였다[2]. 청소년 들의 스트레스 유형은 성별이나 학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학업스트레스가 가장 강력한 영향 요인임을 보고하였으며[4], 청소년 중 자아존중감 이 높은 경우 학업스트레스에 대해 긍정적인 문제 해결능력과 적절한 대처능력이 높다고 하였다[13]. 학업스트레스에 지속적인 노출 시 미래에 대한 불 안감과 두려움을 자주 느끼며, 이에 대한 반응으로 감정적 흥분상태가 증가하여 스스로 와해될 위험 에 빠져 건강한 평형상태를 영위하기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학업스트레스는 건강한 고교생활의 방해 변인이며, 사회생활, 교우 및 가족관계 등에서 부 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이므로 여 고생들의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고자 자기조절역량 을 강화할 수 있는 스트레스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여고생은 구강건강자각증상별 평균에서 ‘악관절 질환자각증상’이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악관절질 환을 자각할수록 전반적인 학업스트레스가 유의하 게 높았다. 이는 Park & Yoon[14]의 연구에서 여 성들은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악관절의 잡음 및 통증, 두통 등의 증상이 발현된다는 결과와 유 사하였다. 악관절질환과 관련된 요인은 전반적인 학업스트레스 이외에도 하위영역인 부모압박 및 시험압박 스트레스, 대학입시압박 및 개인시간부족 스트레스 등 모든 항목이 연관성이 있었다. 기존 문헌에 의하면 과도한 스트레스는 혈관수축, 근육 의 긴장 및 피로감 증가, 근육 수축 및 경련 증상 등과 관련이 있어 악관절질환을 유발하며, 또한 악 관절에 무리를 주는 구강 악습관인 이갈이, 손톱 깨물기, 턱 괴기, 잦은 껌 저작, 이 악물기, 편위성 연하 등과 관련이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15]. Jeon & Lee[16]도 악관절질환은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 하여 입이 제대로 벌어지지 않는 개구장애를 유발 할 수 있으며, 턱에 소리가 나거나 염증을 유발하 여 심각한 통증을 야기시킨다 하였다. 또한 스트레 스에 과다 노출되면 이를 갈거나 이를 악무는 습 관을 반복하게 되며, 이러한 구강 악습관이 지속될 수록 측두악관절안의 관절 원판과 하악두에 근접 한 내측 익돌근이 상하악골의 개폐구 운동에 장애 를 야기하여 관절잡음이 생기며, 학업, 입시 등의 스트레스가 심화 될 때 저작 불편, 관절 통증 등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악관절질환과 학 업스트레스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토 대로 여고생을 위한 학업스트레스에 노출 시 대응 법을 다각도로 제안하고 악관절질환의 증상 및 예 방, 치료방안 등에 관한 구강보건교육을 실천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여고생의 치아통증자각증상은 전반적인 학업스 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요인이며, 학업스트레스의 4 개 하위영역(부모압박 및 시험압박 스트레스, 대학 입시압박 및 개인시간부족 스트레스)에서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Hong & Jeong[17]에 의하 면 중·고등학생의 구강증상 및 구강검진을 실시한 결과 고등학생은 치아가 쑤시고 욱신거리는 치아 통증을 느낀 경우가 9.1%로 중학생에 비해 높으며, 치아우식으로 인한 치아 통증은 고등학생이 중학 생에 비하여 거의 두 배이었다. 아울러 스트레스 지수가 상승 시 치아 통증, 구강 연조직 염증 및 통증, 악관절 통증 등 다양한 구강 내 통증 및 증 상을 유발함이 보고된 바 있다[7].

    전반적인 학업스트레스와 관련요인이 치아우식 자각증상이었으며, 이는 선행 연구에서 시험긴장 및 성적부진 관련 입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치아 우식증상을 많이 인지하였다는 결과와 유사하였으 며, 전반적인 스트레스 강도가 높은 집단에서 치아 우식이 빈발함이 보고된 바 있다[6]. 치아우식 발 생에는 숙주요인, 병원체요인, 환경요인 등이 연관 성이 있으나 고등학교 시기는 학업스트레스를 해 소하기 위해 또래 집단과의 간식 기회가 잦으며, 식품 선정 시 우식성 식품의 선호도가 높고, 식품 섭취 시 치아에 부착되어 구강내 미생물에 의해 산을 생성하여 치아우식의 원인이 되는 자당 (sucrose)의 섭취량 및 빈도가 높아 치아우식의 호 발에 일조할 것으로 유추된다[18]. Park & Yoon[14]의 연구에서 여성들은 스트레스가 심할수 록 치아와 잇몸에 통증, 치주질환, 치아우식 등의 구강건강자각증상을 많이 느끼며, 음식 저작할 때 통증을 감지하거나 치은 출혈, 구취 인식 등의 구 강자각증상이 반복될 시 주관적 구강 건강이 부정 적이라 인식하게 된다[9].

    본 연구에서 주관적인 구강건강이 나쁜 경우에 전반적인 학업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Kim & Han[6]에 의하면 주관적 구강건강도에 부정적 인 영향 요인은 여가생활부족, 시험긴장 및 성적부 진, 미래의 불확실성 등의 스트레스이었다. 여고생 들이 구강건강자각증상을 인지한다는 의미는 그간 학업 관련 바쁜 일정과 스트레스로 인하여 구강위 생관리를 철저히 하지 않은 자신의 평소 구강관리 습관을 의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결과로 실제 구강병이 진행이 되어 구강건강자각증상을 느낀다 고 생각된다. 따라서 고등학교 시기에 적절한 효율 적인 구강건강관리가 필요하며, 세부적으로 스스로 실천 가능한 가정구강환경관리 및 식이조절과 정 기적인 치과방문, 전문가 예방처치 등이 요구된다 [1]. 나아가 여고생의 학업스트레스 관리 방안과 구강건강을 유지·증진하는 데에 필요한 실용 지식 을 함양해야 할 것이다. 이들을 위한 구강병 예방 과 조기 치료 위주의 정책이 요구되며,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학교구강보건사업에서 구강보 건전문인력인 치과위생사를 주축으로 한시적이 아 닌 분기별 정기적인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절 실하다. 더불어 이들은 학업스트레스 및 구강건강 관리의 주체자는 스스로임을 명심하고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능동적인 자세가 선행되어 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편의표본추출법의 자기기입 식 설문조사법을 실시하여 연구대상자의 주관적 판단과 실제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향후 후 속연구에서는 일부 불성실하고 왜곡된 응답의 가 능성이 있는 설문조사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관 찰법 및 면접법 등의 연구방법을 적용하고자 하며, 청소년들의 학업스트레스와 관련된 신체, 정신, 구 강건강과 매개효과를 가지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Ⅴ. 결론

    본 연구는 일부 여고생의 구강건강자각증상과 학업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유의한 변인 에 대한 추이변화를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함축 적인 결과로는 여고생의 학업스트레스는 높은편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학업스트레스와 구강건강자 각증상은 긴밀한 연관성이 있었다. 구강건강자각증 상에 따른 학업스트레스의 하위 영역별 차이는 시 험압박 스트레스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 이 나타났다. 전반적인 학업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 향을 미친 구강건강요인은 치아우식자각증상이었 으며, 주요 영향 변수는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악 관절질환자각증상, 저작불편자각증상, 치아통증자 각증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고생은 현재 입시에 대한 부담감 및 불안감이 일상생활 환경에서 가중될 수 밖에 없는 환경적인 여건에 노출되어 있으며, 나 자신의 스트레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동적인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여고생이 인지하는 다양한 구강건강증상에 관한 질적인 연구와 대안 이 필요하며, 학업스트레스와 관련된 구강건강자각 증상 완화방법, 조기 치료 및 예방 지향적인 대응 방안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입시를 준비하는 여고생들 이 현재 겪고 있는 스트레스와 구강건강관련증상 이 개연되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고등학교 시기 의 교육환경에 적합하며, 구강병을 조기 발견·치료 할 수 있는 실천 가능한 학교구강보건사업이 절실 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저자는 학업스트레스의 하위변수를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제시하였고, 여고생의 구강건강자각증상과 학업스트레스와의 관련 요인을 살펴보았으며, 이는 향후 여고생들이 학업스트레스를 극복하고 행복한 고등학교 생활을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 가치가 있다고 생 각된다.

    Figure

    Tab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verage by Oral Health Symptom

    Academic Str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Symptoms

    Factors Influencing Overall Academic Stress

    Reference

    1. B.W. Kang, I.Y. Gu, H.M. Kwon, M.J. Kim, I.S. Kim, H.J. Kim et al(2019), Public Oral Health. 5th ed, Seoul:Komoonsa, pp.67-70.
    2.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6/1/i ndex.board?bmode
    3. A.R. Heo, I.S. Park, K.S. Song(2016), Influence of Stress on Oral Health Practic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16)1;45-52.
    4. J.K. Kim(2018),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on Suicidal Ideation :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Graduate School of Kukje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pp.1-113.
    5. M.S. Kim(2015), The Subjective Well-being of Korean Children and Its Policy Implication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p.14-26.
    6. S.R. Kim, S.J. Han(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and Entrance Exam Stress Levels in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15(4);509-517.
    7. A. Cruz, B. Carvalho, J. Lacerda, M. Carneiro, P. Santos, A. Carneiro, R. Resende(2020), Association of Stress and Oral Lesions,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and Oral Radiology, Vol.129(1);137-138.
    8. S.H. Shin(2014),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Oral Symptoms in Health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4(4);519-526.
    9. M.J. Jun, J.S. Kim(2017), The Convergence Impact of Oral Health Behaviors, Health behaviors to Stress in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8(4);139-148.
    10. K.H. Yang, Y.H. Kim, K.S. Park(2013), Factors Related to Stress, Coping, and Physical Symptom in High School Girls, Th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ventive, Vol.17(1);13-25.
    11. G. MacKerron, S. Mourato(2013), Happiness is Greater in Natural Environments, Global Environmental Change, Vol.(23)5;992-1000.
    12. S.Y. Park(2019), Effects of Mental Health and Oral Health Symptoms of the Myself Generation on Orientation to Happines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3)2;93-105.
    13. O.S. Cho, J.A. Paik(2014), The Effects of Adolescent’s Academic Stress and School Bullying Victim on Suicidal Ide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8)2;233-244.
    14. C.M. Park, H.S. Yoon(2018), Perceived Oral Subjective Symptoms According to Stress Level of Adult Femal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8)9;837-846.
    15. Y.Y.Jung, J.T. Hong(2013), A Study of the Relation of Stress to Oral Parafunctional Habits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13)4;471-479.
    16. E.S. Jeon, J.H. Lee(2009), Relation between Maxillofacial Trauma Experience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 Prevalence among Some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9)7;218-224.
    17. M.H. Hong, M.A. Jeong(2010), A Study on Oral Symptoms and Oral Health Behavior among Secondar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1(4);1534-1539.
    18. I.S. Kim, O.J. Sook, E.S. Lee, Y.H. Jang, S.H. Jung, M.A. Jung(2013), Dental Nutrition, Seoul:Komoonsa, pp.27-32.
    June 10, 2020
    June 24, 2020
    June 25, 2020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