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4 No.4 pp.33-43
https://doi.org/10.12811/kshsm.2020.14.4.033

자가 경혈지압이 눈의 피로 및 수업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강 미애‡
순천제일대학교 간호학과

The Effects of Self Acupressure on the Eye fatigue and Class Concentration

Mi-Ae Kang‡
Department of Nursing, Jeil College of Suncheon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 acupressure on eye fatigue and class concentration in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s a quasi-experimental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8 to July 3, 2020.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elf-acupressure at specific acupoints (jingming, cuanzhu, sizhukong, tongziliao, and chengqi) thrice a day for 5 days, followed by a 2-day rest period. The control group was administered artificial tears for 4 weeks. Sixty women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n = 30 in eac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s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21.0 program.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eye fatigue (t = −8.85, p = <.001 ) and an increase in class concentration (t = 7.79, p = <.001)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pretest-posttest evaluation.


Conclusions:

The findings confirmed that self-acupressure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not only decrease eye fatigue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but also increase their class concentration.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컴퓨터나 휴대용 영상 기기의 사용이 업무나 학 습, 여가시간 중 보편화되면서 없어서는 안 될 필 수적인 도구가 되었다[1].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 용할 때에는 평소보다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 들고 눈의 피로도가 높아지게 된다. 눈의 긴장이 오래 지속되면 눈물의 생성보다 증발하는 양이 더 많아져 안구건조증 증상이 더 심해진다. 눈의 피로 도 누적으로 인해 눈 면역력이 약해져 잦은 충혈 과 염증, 시력저하가 발생하기도 한다. 건강보험심 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04년 97만 명이었던 안구건조증 환자가 2014년 214만 명으로 10년 새 2배 이상 증가했다[2].

    안구건조 및 눈 피로 증상으로는 눈이 흐릿해지 면서 눈꺼풀이 무거워지고, 이물감, 충혈, 가려움 등 눈 자체의 불편감 뿐만 아니라, 몸은 항상 피곤 하고, 뒷목이나 어깨가 뻣뻣하며 두통까지 호소한 다. 이러한 눈의 피로는 책을 읽거나 철야를 했을 때, 감기 등에 걸려 체력이 소모됐을 때 일어나기 쉽다. 눈의 피로는 과거에 비해 점점 더 혹사 당하 는 현대인들의 눈에 시력저하와 함께 증가하고 있 는 질환으로, 서양의학적으로는 인공눈물 투여와 수술요법 등이 있으나 근본적인 치료가 어려운 실 정이다. 그러므로 안과에서 치료법을 제시하지 못 하거나, 치료를 받았지만 만족할 만한 효과를 거두 지 못하여[3] 스스로 눈의 피로가 쌓이지 않도록 1~2시간 집중하고 난 뒤 5분정도 눈을 감고 쉬어 주는 습관의 개선 노력을 권하고 있다[4].

    동양의학적 관점에서 눈의 피로는 평소에 허약 하거나 시력을 많이 써서 간장과 신장의 기능이 약해지거나 인체의 정혈(精血)이 소모되어 눈에 충 분히 영양을 공급하지 못해 나타난다. 눈은 간(肝) 에 배속되어 간의 이상이 눈 피로의 원인이 되며, 간의 기능이 허(虛)하면 눈이 피로하고 침침해지 며, 이런 현상이 오래 지속되면 간의 해독능력이 떨어져 두통, 만성피로 및 혈액순환 장애를 초래한 다. 그러므로 눈의 피로를 완화하기 위해 간의 열 을 내리면 눈으로 가는 혈액이 맑아지고 시원해져 눈의 피로 및 전신피로가 완화된다[5].

    2010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안구건조증 유병율이 50.6%로 높게 나타났으며[6], 특히 여대생들은 콘텍트렌즈의 주 착용자이고, 시 력교정 및 미용목적으로 많이 사용하여 안구건조 증이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7]. 대학생들은 자주 히터나 에어컨에 노출된 강의실에 있으면서 문서 작업이나 영상기기 사용이 많아[8] 환경적으로 눈 의 피로 및 학습에 대한 집중력이 약해질 수 있다. 안구건조증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및 우울과 관련이 있고[9] 주의집중은 학습자들의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업시간에 주의집중을 못하는 것은 학업 실패의 중요한 요인이라고 언급 하였다[10].

    최근 5년 이내 안구건조와 눈의 피로에 대한 국 내ㆍ외 중재 연구는 침자극[11], [12], 이압요법[13], [14] 등 소수 몇 편이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컴퓨 터 및 영상매체 사용이 빈번하며, 눈 건강과 관련 된 문제에 노출되기 쉬운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명, 찬죽, 사죽공, 동자료, 승읍혈에 경혈지압을 적용하 고자 하였다.

    경락은 온몸의 기혈(氣血)이 통하는 통로를 말 하며, 마치 강력한 힘이 흐르는 것처럼 몸의 모든 부분을 연결한다. 생체 리듬이 경락을 따라 흐르면 서 피부 아래에 아주 작은 파동을 만들어 낸다. 경 혈은 경락을 따라서 일정한 원리에 의해 분포되어 있는 작은 구멍에 해당하는 곳이다. 경혈은 경락의 주요 순행점으로 기혈이 정체되기 쉬운 부위의 부 조화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극점이자 침 구치료의 시술점이다[15].

    1985년 WHO(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공식 확정한 361개 경혈을 자극하는 것은 자율신 경 치료법이다. 자율신경은 동양의학에서 음(陰)과 양(陽)이라 표현하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신경이 교대로 몸의 기능을 조절한다. 지압은 몸의 생명에너지 밸런스를 맞추 기 위해 몸을 자극하는 방법이다. 침술만큼 강력하 지 않지만 처방전 없이 이용하는 침술이다. 침술은 바늘을 사용하기 위해 훈련이 필요한 반면 지압은 배우기 쉽고 스스로 적용하기에 편리하다는 장점 이 있다[16].

    본 연구에 사용된 정명과 찬죽혈은 족태양방광 경에 속하는 경혈로 정명혈은 눈을 밝게 하고 안 구질병의 예방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찬죽혈은 안 질환, 두통, 삼차신경통, 안면신경 마비에 주요 경 혈이다. 사죽공혈은 수소양삼초경으로 열을 내리고 눈꺼풀 떨림, 안통(眼痛), 편정두통(偏正頭痛)효과가 있다. 동자료혈은 족소양담경으로 머리를 맑게 하 고 눈을 밝게 하며, 귀를 잘 들리게 한다. 승읍혈 은 족양명위경으로 안면경련, 안구건조증, 구완와 사에 효과적이다[17].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5개의 경혈에 1mm의 작은 환 형태의 백개자 씨앗 1개를 살색 종이반창고에 붙여 씨앗침으로 이용하고자 한다. 백개자 씨앗은 성질이 맵고 따뜻하여 다른 씨앗보다 기혈순환 상승효과가 있어 지압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18]. 백개자 씨앗 1개를 양쪽 눈 주위의 경혈에 붙여 4주간 지압을 적용한 후 눈의 피로 및 수업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효 과적인 간호중재로 활용가능한지 검토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경혈지압이 눈의 피로 및 수업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간 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3. 연구가설

    • 1) 가설 1: 경혈지압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인공 눈물을 적용받은 대조군보다 눈의 피로가 더 감소 할 것이다.

    • 2) 가설 2: 경혈지압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인공 눈물을 적용받은 대조군보다 수업집중력이 더 높 을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경혈지압이 대학생의 눈의 피로 및 수업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연구 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에 의한 유사 실 험연구이다〈Figure 1〉.

    <Figure 1>

    Research design

    KSHSM-14-4-33_F1.gif

    2. 연구대상

    본 연구기간은 2020년 6월 8일부터 2020년 7월 3일까지 S시에 소재한 S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 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집공고문을 통해 프로 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길 희망한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을 선정하였다.

    1) 선정기준

    • (1) 현재 재학 중인 20~22세 여학생으로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 동의서에 서면 동의한 자

    • (2) 설문지를 읽고 응답할 수 있으며 의사소통 이 가능한 자

    • (3) 눈의 건조함 및 눈의 피로감 측정결과(NRS 점수) 4점 이상인 자

    2) 제외기준

    • (1) 현재 안 질환을 앓고 있는 자

    • (2) 현재 안과 관련 수술이나 질환에서 회복 중 에 있는 자

    • (3) 눈 주위의 상처나 피부병이 있는 자

    • (4) 안과적인 수술이나 시술을 받은 자

    각 집단별 표본 수는 G*Power 3.1 Program을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Yang et al.[11] 결과를 참 조하여 효과크기 .70, 유의수준 .05, 검정력(1-β) .80 로 했을 때 두 집단의 평균에 대한 차이 검증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집단 대상자수는 26명이었 지만 탈락률 15%를 고려하여 30명씩 총 60명의 자 료를 수집하였다.

    실험의 오염을 배제하기 위해 S시에 소재한 S대 학교 I관에 재학 중인 여학생 30명을 실험군으로, I관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B관 여학생 30명을 대 조군으로 선정하였다.

    3. 연구도구

    1) 눈 피로

    Woo et al.[19]과 Ryu et al.[20]의 측정도구에서 안자각 중상, 안과적 증상에 관한 10개 문항을 사 용하였다. 각 문항은 Likert형 5점 척도이며 ‘그렇 지 않다’ 1점에서 ‘항상 그렇다’ 5점으로 측정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눈의 피로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 다. 선행연구에서 신뢰도는 Cronbach's α=.84였으 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94였다.

    2) 수업집중력

    수업집중력 검사는 Park et al.[21]이 제작한 수 업집중력 100문항 중에서 성인학습자의 수업집중 력에 부합하는 문항을 수업정신지향, 학습지향, 수 업자세지향, 수업태도지향, 수업심화지향 5개 영역 으로 분류된 하위요소를 선별하여 총 20개 주요문 항을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Likert형 5점 척도이며 ‘전혀 아니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측정 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수업집중력이 높은 것을 의 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98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92였다.

    4. 연구진행절차 및 자료수집

    1) 윤리적 고려

    연구를 시작하기 전 P대학의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CUPIRB-2020-001)을 받았으며, 윤리적 문제를 고려하여 자료수집 전 모집공고문을 통해 대상자 를 모집하여 서면 동의를 받았다. 연구대상자는 연 구 참여를 거부할 권리가 있고, 원할 경우 언제든 지 참여 의사 철회, 실험에서 제외할 수 있고, 관 련 자료는 삭제하며 그로 인한 불이익은 발생하지 않는다고 설명하였다. 연구 중에 수집하는 모든 자 료에 대하여 익명성을 보장하고, 연구의 목적, 진 행절차, 위험과 이익이 되는 부분에 대해 설명하였 다. 연구대상자 수집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관리되고, 관련 정보는 잠금장치가 있는 연구자 서 랍장에 보관하였다. 익명화한 수집 자료는 코딩 처 리하고 데이터 파일은 비밀번호를 설정한 개인 컴 퓨터에 보관하여 연구종료 3년 후 삭제할 것이며, 학술발표 및 출판 이외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 하였다.

    연구대상자가 취약한 환경의 대상자로 분류되기 때문에 본 연구자의 직속 학생이 아닌 타과의 학 생을 연구대상자로 모집하였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교과 과정의 성적이나 수업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연구 참여의 보상으로 추가 성적을 주는 것도 없다고 설명하였다. 연구 참여를 거절했 다는 사실이 연구대상자 지도교수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이로 인한 부당한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고, 연구대상자의 사생활이 존중될 것임을 설 명하여 연구대상자를 보호하였다.

    경혈지압을 적용받지 않은 대조군에게는 연구종 료 후 윤리적인 문제를 고려하여 얼굴경혈 모형을 활용하여 혈 이름, 혈자리 잡는 방법, 기대되는 효 과를 연구자가 교육하고 시범, 개별 지도하였다. 얼굴경혈 모형도에 지압점을 색깔로 표시하여 코 팅하고, 지압방법, 순서가 적힌 유인물, 백개자 씨 앗이 붙여진 종이반창고 압환판을 배부하여 사용 하도록 하였다.

    2) 연구자 준비 및 연구보조자 훈련

    본 연구자는 대학원 한방간호 교육과정에서 경 혈학, 한방생리학, 임상본초학 등의 교과목을 이수 하고 한방병원에서 실습하면서 이론과 실무를 겸 비하였다. 한국보완대체요법 간호사회 회원이며, 간헐적으로 보완대체요법과 관련된 특강 및 보수 교육에 참여함으로써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민감성 을 유지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보완대체요법을 적용한 5편의 실험논문을 등재학술지에 게재하였 고, 연구를 시작하기 전 문헌고찰과 한의사 1인에 게 자문을 구하였으며, 기관장, 학과장의 허락을 득한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보조자 1인은 대조군의 설문지 배부 및 수 거, 실험군의 중도 탈락율을 낮추고 연구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월~금요일 오전 1회 문자메시지와 오후 전화통화를 하여 연구 참여에 따른 연구방법 을 준수하도록 독려하였다.

    3) 사전조사

    실험처치 1주 전 실험군과 대조군 각 30명에게 일반적 특성, 눈 건강관련 특성, 눈 피로 및 수업 집중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작 성의 소요시간은 5분 정도였다.

    4) 자가 경혈지압 교육

    • (1) 연구자는 자가 경혈지압을 위해 얼굴경혈 모형을 활용하여 혈 이름, 혈자리 잡는 방법, 기대 되는 효과를 설명한다.

    • (2) 얼굴경혈 모형도에 지압점을 표시하고, 경락 의 흐름에 근거하여 지압 순서 및 방법이 적힌 유 인물을 배부한다.

    • (3) 연구자는 한 명씩 혈 이름, 혈자리 위치, 지 압방법을 확인하고 틀린 경우 교육한다.

    • (4) 6일 째 백개자 씨앗이 붙여진 종이반창고를 제거한 후 2일 휴식기간을 갖고 익주 월요일 아침 얼굴경혈 모형도에 표시된 지압점을 보고 백개자 씨앗이 붙여진 종이반창고를 자신의 양쪽 얼굴경 혈에 붙인 후 사진을 찍어 연구자에게 전송하면 정확한 혈위가 맞는지 확인한다.

    • (5) 자가 경혈지압 체크리스트에 기록하고 주 3 회(월, 수, 금요일) 오후 확인 받게 한다.

    5) 실험처치

    안구건조증 환자에게 4주간 침자극을 적용하여 안구건조 및 눈의 피로가 개선되었다는 Yang et al.[11] 연구를 기초로 인공눈물은 점적하지 않고, 양쪽 얼굴경혈(정명, 찬죽, 사죽공, 동자료, 승읍)에 지압을 1일 3회(아침 식사 후, 점심 식사 후, 저녁 식사 후), 주 5일(월~금), 4주간 총 60회를 적용하 였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1) 손을 씻는다.

    • (2) 양쪽 손바닥을 문질러 손을 따뜻하게 한 후 양 손바닥으로 눈을 덮어 10초간 지그시 눌러 자 극한다.

    • (3) 손가락의 바닥면을 이용하여 약간 불편하다 고 느낄 정도의 압력으로 5초간 지속적으로 눌러 주다가 피부에서 떼지 않고 5초간 힘만 빼준다. 누 를 때는 숨을 내시고 힘을 뺄 때는 코로 숨을 크 게 들이마신다.

    • (4) 한 경혈점마다 5회 반복하며 지압의 순서는 양쪽 정명→찬죽→사죽공→동자료→승읍혈 순으로 지압한다〈Figure 2〉. 총 경혈지압 시간은 약 4분 이다.

    • (5) 양쪽 손바닥을 문질러 손을 따뜻하게 한 후 양 손바닥으로 눈을 덮어 10초간 지그시 눌러 자 극한다.

    • (6) 손을 씻는다.

    • (7) 백개자가 붙여진 종이 반창고 위에 주 5일 지압을 적용한 후 6일째 얼굴에 붙여진 종이반창 고를 모두 제거한 후 6~7일째 휴식시간을 갖도록 한다.

    <Figure 2>

    Acupressure points

    KSHSM-14-4-33_F2.gif

    6) 대조군에 대한 처치

    Lin et al.[22]의 연구를 토대로 대조군은 경혈지 압을 적용하지 않고 소량씩 포장된 방부제 없는 인공눈물을 1일 3회(아침 식사 후, 점심 식사 후, 저녁 식사 후), 4주간 점적하는 것이다.

    7) 사후조사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4주간의 실험처치가 끝난 후 5주차 월요일 점심시간에 눈의 피로 및 수업집 중력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으며, 사전조 사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5. 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눈 건강관련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 차, χ2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 2) 대상자의 실험 전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정 및 실험 후 종속변수의 차이는 t-test, 집단 내 실험전후의 종속변수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인구사회학적, 질병관련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 안경 및 렌즈 착용, 인공눈물 사용, 눈 보호제 섭취, 흡연, 음주 여부에 대해 동질성 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 실험 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두 군이 동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1〉.

    <Table 1>

    Homogeneity of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N=60)

    KSHSM-14-4-33_T1.gif

    눈 건강 관련 특성으로 컴퓨터 사용시간, 스마 트폰 사용시간, 독서시간, 독서거리, 독서하는 자 세, TV 시청시간, TV 보는 거리에 대하여 동질성 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 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두 군이 동질한 것으 로 확인되었다〈Table 1〉.

    2. 사전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정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눈의 피로 및 수업집중력 에 대한 동질성 검정결과는 Table 2와 같다. 경혈 지압 중재 전 눈의 피로는 실험군의 경우 평균 2.66(±0.66)점, 대조군은 평균 2.73(±0.62)점이었고 (t=-0.33, p=.746), 수업집중력은 실험군의 경우 평 균 2.94(±0.32)점, 대조군은 평균 2.88(±0.43)점으로 나타났다(t=0.75, p=.456). 연구결과 경혈지압 중재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눈의 피로 및 수업집증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어 종속변수의 동질성이 검정되 었다〈Table 2〉.

    <Table 2>

    Homogeneity of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he Study Groups (N=60)

    KSHSM-14-4-33_T2.gif

    3. 가설검정

    1) 가설 1

    ‘경혈지압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인공눈물을 적 용받은 대조군보다 눈의 피로가 더 감소할 것이 다.’라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다음과 같다.

    실험군의 눈의 피로정도는 경혈지압 중재 전 사 전평균 2.66(±0.66)점에서 사후평균 1.67(±0.23)점으 로 감소하였고, 대조군은 사전평균 2.70(±0.56)점에 서 사후평균 2.73(±0.62)점으로 증가하였다. 연구결 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눈의 피로가 더 낮고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t=-8.85, p<.001) 가설 1은 지지되었다〈Table 3〉.

    <Table 3>

    Differences in Eye fatigue and Class concentration between the Study Groups (N=60)

    KSHSM-14-4-33_T3.gif

    2) 가설 2

    ‘경혈지압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인공눈물을 적 용받은 대조군보다 수업집중력이 더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다음과 같다.

    실험군의 수업집중력은 경혈지압 중재 전 사전 평균 2.94(±0.32)점에서 사후평균 3.23(±0.48)점으로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사전평균 2.88(±0.43))점에서 사후평균 2.86(±0.36)점으로 감소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업집중력이 더 높고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t=7.79, p<.001) 가설 2는 지지되었다〈Table 3〉.

    Ⅳ. 고찰

    본 연구는 자가 경혈지압이 대학생의 눈의 피로 및 수업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근거중 심 간호실무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4주간 얼굴경혈(정명, 찬죽, 사죽공, 동자료, 승읍)에 지압을 적용받은 실 험군은 인공눈물을 적용받은 대조군보다 눈의 피 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수업집중력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가 눈의 피로이므로 안경 및 렌즈 착용, 인공눈물 사 용, 눈 보호제 섭취 여부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어 이를 독립변수에 포함시켜 두 집단 간 사전차이를 검정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실험처치 기간과 자료수집 기간이 6~7월이었고, 이 기간은 냉방기기의 사용으로 인 해 안구건조증이 증가하는 것을 고려해볼 때 실험 군에서 눈의 피로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보인 것 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Yang et al.[11] 연구를 살펴보면 안구건조증 대 상자에게 양쪽 경혈(잔죽, 사죽공, 양백, 풍지, 상 성, 곡지, 승읍)에 침술을 1주일에 3회, 4주간 적용 한 그룹과 인공눈물을 적용한 그룹을 비교한 결과 침술치료는 4주 후 안구건조증 증상이 개선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침술치료의 누적효과와 관련 있음을 언급하였다. 그러나 인공눈물을 적용한 그 룹에서는 부작용이 없었지만 침술을 적용한 그룹 에서는 통증과 혈종의 부작용을 보고하였다. 본 연 구에서도 실험군은 1일 3회, 4주간 양쪽 얼굴 경혈 (정명, 찬죽, 사죽공, 동자료, 승읍)에 자가 지압을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소량씩 포장된 방부제 없는 인공눈물을 1일 3회, 4주간 점적한 후 비교한 결과 실험군에서 눈의 피로 및 수업집중력이 개선되어 Yang et al.[11]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 러나 Yang et al.[11] 연구는 경혈에 대한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학적 특성 및 침 자극에 대한 교육과 훈련이 요구되며,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해 꾸준히 외래를 내원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부작용 발생의 문제가 있지만 본 연구는 부작용이 전혀 없어 안 전하며, 누구든지 쉽게 배우고 익혀 장기간 스스로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Hu et al.[12] 연구에서는 안구건조증 대상자에게 양쪽 잔죽, 사죽공, 사백, 합곡, 족삼리, 광명혈에 레 이저 침술을 1주일에 3회, 12주간 적용한 결과 안구 표면질환지수, 안구피로도, 눈물막 파괴시간이 유 의하게 감소하였다. 레이저 침술은 침 자극보다 통 증이 없고 안전하며, 시간이 덜 소요되는 장점이 있 다고 언급하였지만 연령, 성별이 통제되지 않은 제 한점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20~22세 여대 생을 대상으로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침술치료 최적화 연구 [23]에서 침술과 인공눈물 치료는 눈물파괴시간, 쉬르머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침술은 단독치료보다는 병합치료, 치료 기간은 4주 이상, 치료 빈도는 주 3회 이상으로 빈도가 잦을수록 더 욱 효과적이었다고 강조하였다.

    Zhang et al.[24] 연구에서는 중등도 이상의 안 구건조증 대상자에게 실험군은 8주 동안 주 3회 양쪽 정명혈에 단독 침술을 제공하였고, 대조군은 1일 4회, 8주간 인공눈물을 점적한 결과 실험군은 안구표면질환지수, 눈물파괴시간, 쉬르머 검사에서 대조군보다 더 효과적인 결과가 확인되었다.

    침술치료 및 인공눈물 치료 후 광간섭 단층촬영 으로 눈물띠 변화를 측정한 연구[22]에서 실험군은 1주일에 3회, 4주간 정명, 찬죽, 사백, 양백, 광명, 합곡, 태충, 삼음교에 침술을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1일 4회, 4주간 인공눈물을 적용한 결과 안구표면질 환지수는 침술이 인공눈물보다 약 3배, 눈물막 파괴 시간은 약 8배로 안구건조증 증상 개선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4주 이상의 침 자극 및 경혈지압을 적용한 그룹은 인공눈물을 적 용한 그룹보다 안구표면질환지수, 안구피로도, 눈 물막 파괴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눈 건강을 증 진시키는 효과적인 간호중재임이 입증되었다. 따라 서 침 자극과 경혈지압은 자율신경 및 면역시스템 을 조절하여[24] 오장육부와 체내 불균형을 바로 잡아주고, 안구의 기혈을 소통시켜 열을 내리게 하 며[12], 건조해진 눈을 촉촉하게 해 주어 눈의 피 로가 개선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확인되었듯이 경혈지압은 눈의 피 로 및 수업집중력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증명되 었고 안구건조증은 증상의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 여 장시간 지속되는 것을 고려한다면 꾸준히 스스 로 증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경혈지압 교육 및 훈 련이 적극적으로 요구되며, 일상생활에서 쉽게 활 용할 수 있어 자가간호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 대된다.

    Ⅴ. 결론

    본 연구는 경혈지압이 대학생의 눈의 피로 및 수업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4주간 경혈지압을 실시하였다. 경혈지압을 적용받은 실험 군은 인공눈물을 적용받은 대조군보다 눈의 피로 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수업집중력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경혈지압이 눈 건강을 증 진시키는 효과적인 간호중재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 1) 시력에 영향을 주는 환경 및 생활습관 등의 요소를 통제한 반복 실험연구를 제언한다.

    • 2) 눈의 피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Figure

    KSHSM-14-4-33_F1.gif
    Research design
    KSHSM-14-4-33_F2.gif
    Acupressure points

    Table

    Homogeneity of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N=60)
    Homogeneity of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he Study Groups (N=60)
    Differences in Eye fatigue and Class concentration between the Study Groups (N=60)

    Reference

    1. Y.W. Suh, K.H. Kim, S.Y. Kang, S.W. Kim, J.R. Oh, H.M. Kim, J.S. Song(2010). The objective methods to evaluate ocular fatigue associated with computer work,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Vol.51(10);1327-1332.
    2.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1/25/2016012502167.html
    3. J.H. Kim(2012). Clinical study on ocular fatigue (dry eye) patients,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ol.23(1);59-66.
    4.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1320076
    5. https://m.health.chosun.com/column/column_view_2015.jsp?idx=6992
    6. C.M. Yun, S.Y. Kang, H.M. Kim, J.S. Song(2012). Prevalence of dry eye disease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Vol.53(4);505-509.
    7. S. Her, K.H. Kim(2014). Dry eye syndrome and ocular fatigue according to the status of contact lens wearing and management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25(4);259-269.
    8. M.K. Cho, J.E. Ga, D.I. Kim, M.J. Kim, S.Y. S.J. Kim, S.H.Kim, G.B. Choi(2016). Factors influencing the cognitive degree of dry eyes in nursing student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ol.13(2);110-118.
    9. K.J. Cho, H.K. Kim, M.H. Lim, H.S, Baek, Y.A, Yang, B.H. Kang, J.Y. Lee, J.Y. Kim, M.S. Kim, C.M. Lee(2015) Depression, ADHD, job stress and sleep problems with dry disease in Korea, The Journal of Psychiatry, Vol.18(6);1-5.
    10. J.O. Kim(2011). The effects of spot program on class concentration and learning attitudes of high school students[dissertation], Gongju: Kong Ju National University, p.1.
    11. L. Yang, Z. Yang, H. Yu, H. Song(2015). Acupuncture therapy is more effective than artificial tears for dry eye syndrome: evidence based on a meta-analysis,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Vol. 2015 Article ID 143858;1-11.
    12. W.L. Hu, P.C. Wu, L.Y. Pan, H.J. Yu, C.C. Pan Y.C. Hung(2018). Effect of laser acupuncture on dry eye: A study protocol for a 2-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dcine, Vol.97(22);e10875-e10875.
    13. K.J. Park, D.H. Kang, D.S. Kim, S.Y. Kang, A.D. Seo, J.S. Yoon, Y.S. Jeong, H.J. Choi(2018). The effects of auriculotherapy on relieving symptoms of dry eye syndro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ol.31(3);178-185.
    14. J.S. Lee, S.H. Hwang, B.C. Shin, Y.M. Park(2017). Electrical stimulation of auricular acupressure for dry eye: A randomized controlled-clinical trial, Chinese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Vol.23(11);822-828.
    15. H.Y. Lee, H.J. Park, J.O. Lee, S.H. Lee, K.W. Kim, G.J. Park, J.H. Yang(2017).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for nursing practice, 4th ed. Seoul: Jungdam pub, pp.210-225.
    16. C.G. Kim, J.A. Kim, M.J. I.S. Noh, Wang, U.J. Cheon(2012), Applic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1st ed. Seoul: Sohwa pub,pp.99-156.
    17. P.H. Kim, N.Y. Kwon, M.H. Lee, H.J. Lee, J.M. Jang, S.H. Jeon, T.O. Jeong(2013).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nursing for integrated practical application, 1st ed. Seoul: Edufactory pub, pp.58-141.
    18. M.G. Shin(2010). Clinical traditional herbology, Seoul: Yeonglimsa pub, pp.763-764.
    19. K.H. Woo, G.S. Choi, Y.Y. Jung, G.W. Han, J.H. Park, J.H. Lee(1992). The effect of VDT work on vision and eye symptoms among workers in a TV manufacturing plant,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25(3);247-268.
    20. S.H. Ryu, J.I. Son, S.J. Lee, J.C. Song(1997). changes of visual acuity and ophthalmic symptoms in female workers examining silver plating products,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30(3);567-576.
    21. H.Y. Park, K.Y. Kang(2001). Development of classroom lesson-directed,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5;127-156.
    22. T. Lin, L. Gong, X. Liu, X. Ma(2015). Fourier-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or monitoring the lower tear meniscus in dry eye after acupuncture treatment,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Vol. 2015 Article ID 492150;1-10.
    23. B.H. Kim, M.H, Kim, S.H. Kang, H.J. Nam(2018). Optimizing acupuncture treatment for dry eye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BMC Complementary & Alternative Medicine, Vol.18(145);1-9.
    24. X. Zhang, L. Zhishun, W. Ding, J. Zhang, H. Shi, W. Zhu(2018). Efficacy and safety of acupuncture at a single BL1 acupoint in the treatment of moderate to severe dry eye disease: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dcine, Vol.97(22);e10924-e10924.
    October 19, 2020
    November 18, 2020
    December 11, 2020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