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5 No.4 pp.71-82
https://doi.org/10.12811/kshsm.2021.15.4.071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가 경증 및 중등도 치매 환자의 신체 기능 및 인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이 경숙1, 이 완희2, 이 원필1, 김 동휘1
1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요양원
2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Effect of Cognitive-Functional Dual-Task Training on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in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Dementia

Kyoung-Suk Lee1, Wan-Hee Lee2, Won-Pil Lee1, Dong-Hwi Kim1
1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Seoul Geriatric Care Facility
2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hmyook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cognitive-functional dual-task training on balance, gait and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dementia.


Methods:

A total 36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cognitive-functional dual-task training (n=11), functional training (n=13), and control group (n=12). There were given 30-minute training for 2day/week, in total 24 times over 12 weeks.


Results:

Participants in the cognitive-functional dual-task triaining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balance and gait than the patients in the functional training and control groups (p<.05).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gnitive function in all groups (p<0.5).


Conclusions:

Cognitive-functional dual-task training appers to have contributed the improvement dementia patient’s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 Dual-task training is necessary to preventing the progression of severity and maintaining residual function in dementia patient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치매는 인지 기능의 저하로 발생하며 기억력, 언어기능, 인지 및 집행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인지 장애가 대표적인 증상이지만 노인 치매 환자의 경 우 퇴행성 변화가 진행됨에 따라 근육 위축, 골량 감소, 관절의 구조 변화, 전정 기능 저하 등의 퇴 행성 변화로 불안정한 보행 패턴, 보행 속도의 감 소와 균형 능력 저하가 나타난다. 결국 신체 활동 이 감소하여 기능의 저하, 신체의 불안정성이 증가 함에 따라 낙상 및 골절의 위험이 증가하면서 일 상생활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의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1][2].

    일상생활에서 두 개 이상의 활동에 동시에 참여 하는 것은 일반적이며 이것을 이중과제 상황이라 고 하며 이때, 수행을 저하시키는 간섭이 발생하는 데 이것을 이중과제 간섭이라고 한다. 이것은 뇌의 정보 처리 능력은 제한이 있으므로 두 개의 과제 를 동시에 수행 시 주의집중력을 더 필요로 하고 현재 보유한 주의집중력보다 더 많은 요구가 있을 때 일어난다. 이중과제 상황에 대한 대처 부족으로 신체 능력이 감소, 낙상의 위험성이 높아지며 단일 과제에 비해 이중과제의 수행 능력이 감소하게 된 다. 앉기에서의 청각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보다 이 중과제 상황인 기립 시나 걸을 때 청각 자극에 대 한 반응시간이 느려지는 것과 같은 수행 능력의 감소가 나타나게 된다.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위해 서는 다른 운동과제나 인지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균형을 유지하거나 이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다중과제 사이의 주의집중력을 효율적으로 분산하여 이중과제 수행 능력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3][4].

    인지 또는 신체 훈련의 단일과제 훈련이 치매 노인의 집행기능을 포함한 인지 기능의 향상에 효 과적인 중재 방법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해서는 과제-지향적인 신체 과제와 인지과제를 병행한 이중과제 훈련이 이중과제 간 섭을 감소시키는 것에 효과적이고 집행기능의 저 하로 인한 보행 속도 감소, 낙상의 고위험성과 기 능 제한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보고가 있 다[4][5].

    이중과제 상황에서는 보행, 공 던지고 받기, 균 형 훈련 등의 다양한 운동과제와 숫자와 단어 기 억하기, 단어 말하기 등의 다양한 인지과제를 동시 에 수행하고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높은 집중력 과 신체의 움직임을 요구하는 주의력과 집행기능 향상에 중점을 둔 이중과제는 전전두엽 피질이 활 성화되고 대뇌 혈류의 개선이 뇌 영상 연구에서 입증되었기 때문에 단일과제 훈련보다 더 효과적 이라고 볼 수 있다[6][7][8].

    기능훈련은 걷기, 계단 오르기, 의자에서 일어나 기와 같은 이동적인 일상생활동작, 옷 입고 벗기와 같은 변형된 일상생활동작 등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움직임 양상을 포함하는 동작 또는 운동 으로 정의한다.

    협조성 훈련, 다양한 동작을 결합한 운동 유형, 다중 관절의 사용 및 다양한 과제를 포함한 신체 의 기능훈련은 노인의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며, 일상생활활동 수행 방법에 더 적합하 도록 여러 근육 사용과 과제-지향에 기반한 신체 운동 요소를 촉진함으로써 노인의 기능 수행을 증 가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9][10]. 기능적 수행 능력의 향상은 일상생활 참여를 극대화하고 자립 성이 증가하며, 여러 과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 는 능력이 향상됨으로써 치매 노인의 장기요양기 관 입소 시기의 지연, 치매의 예방 및 케어자에 대 한 의존을 감소시킬 수 있다[11]. 독립적인 일상생 활 유지를 위해서 이중과제 상황에서 하나의 과제 에 대한 주의집중력 요구량 감소, 이중과제 간섭의 최소화 결과로 주의집중력 분산이 자동으로 일어 나도록 과제-지향적인 이중과제 훈련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보고 되었다[5].

    치매 노인에 대한 이중과제를 수행한 선행 연구 들이 많이 있었지만 주로 병원과 가정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였고,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 기관인 주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경 증 및 중등도 치매 환자에 관한 이중과제 연구는 부족하다. 주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과제와 기능훈련을 병행한 연구는 없었는데, 기관을 이용하는 치매 노인의 신체 수행 능력과 일상생활의 자립성 향상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의 이중과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인지과제와 기능훈련을 병행하여 수행하 는 동시적 이중과제의 효과를 무작위 비교 시험으 로 시행하고 균형 능력, 보행 능력 및 인지 기능의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치매 진행 예방 및 잔존기능 의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효율적인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 운동 방법을 제시하고 주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치매 대상자의 잔존기능 유지를 위한 중 재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의 효 과를 알아보고, 치매 노인에게 효율적인 운동 방법 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며, 연구의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가 균형 능력에 미 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가 보행 능력에 미 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셋째,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가 인지 기능에 미 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서울시 및 경기도에 소재한 주야간보 호센터를 이용하는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총 39명 을 모집하였다. 대상자 모집 방법은 주야간보호센 터를 이용하는 대상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프로 그램 참여에 대한 공지,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동 의성 확인 후 본 연구 참여 동의서에 서명한 대상 자만을 연구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선정기준으로는 K-MMSE 점수가 17~26점인 65세 이상 경증 및 중등도 치매로 진단 받은 자, 적절한 의사소통과 이해력이 기능하며 인 지 기능 및 신체 평가가 가능한 자, 시각과 청각 및 전정기관에 장애가 없는 자, 3m 이상 독립보행 이 가능한 자로 하였다. 제외기준으로는 심각한 신 경학적 이상이나 심혈관계 및 대사성 질환이 있는 자, 보행이 불가능한 정형외과적, 시각 또는 청각 의 장애가 없는 자로 하였다. 본 연구는 삼육대학 교 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승인(관리번호: 2021043HR)을 받은 후 진행하였다.

    2. 연구 절차

    본 연구의 표본 크기는 G-power 3.1 software for windows를 통해 샘플 사이즈를 설정하였고 선행논문을 바탕으로 표본 수 21명을 산출하였고 (Effect size 0.80, power 0.80 a significant level α.05, ANOVA effects, omnibus, one way), 연구 제외기준에 부합되어 탈락하는 대상자의 수를 고 려하여 39명으로 선발하였다. 대상자 39명을 선정 편견의 최소화를 위해 무작위로 인지-기능훈련군 (n=13), 기능훈련군(n=13), 대조군(n=13)으로 분류 하였다.

    모든 연구대상자에 대한 사전 검사로 일반적 특 성, 균형 능력, 보행 능력, 인지 기능을 측정하였 다. 대상자들은 훈련군에 따라 각각의 운동을 수행 하였다. 인지-기능훈련군에서 기관 퇴소, 사망 등으 로 2명이 탈락하여 제외되었으며 대조군에는 대상 자 거부로 1명이 제외되어 12주 후에 총 36명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 검사 를 측정하였다.

    3. 중재 방법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군, 기능훈련군, 대조군 으로 나누어 12주 동안 주 2회, 30분씩 과제를 수 행하였으며,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군은 인지과제 (계산능력 2과제, 언어능력, 기억력 2과제, 집중력) 와 기능훈련(의자에서 일어나기, 앉은 자세에서 여 러 방향으로 팔 뻗어 물건 집기, 벽면에 한 발씩 공차기, 양발 부딪히며 발 박수치기, 발끝 서기, 계 단 오르내리기)을 병행하여 동시에 수행하였고 기 능훈련군은 기능훈련(의자에서 일어나기, 앉은 자 세에서 여러 방향으로 팔 뻗어 물건 집기, 벽면에 한 발씩 공차기, 양발 부딪히며 발 박수치기, 발끝 서기, 계단 오르내리기)을 수행하였으며 대조군은 인지 활동 워커북을 수행하였다. 인지-기능훈련 이 중과제군에서는 인지과제와 운동과제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두 과제를 병행하여 시행하였으며, 기능 훈련도 순서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시행하였다.

    1)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

    인지과제는 기존 연구의 인지과제[12][13][14]의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계산하기 2과제 (덧셈, 뺄셈), 언어능력 1과제, 기억력 2과제, 집중 력 1과제로 6가지의 과제로 구성되었다. 인지과제 는 계산 2과제(한 자리 숫자의 간단한 덧셈, 뺄셈), 언어능력 2과제(단어 거꾸로 말하기), 기억력 2과 제(제시된 앞장 그림의 내용을 숙지한 후 뒷장 물 음에 답하기, 제시되는 그림 및 물건 가격 등을 기 억한 뒤 답하기), 집중력 과제(숫자 거꾸로 세기)를 수행하였으며 6개의 과제를 무작위 순서로 5분씩 수행하였다.

    운동과제인 기능훈련은 일상생활의 기본적 활동 과 연관된 운동과제를 포함하였으며 의자에 앉고 일어서기, 서기 운동, 보행의 요소를 포함하고 분 리된 운동보다는 신체 기능과 여러 근육을 복합적 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선행 연구의 기능훈련 [9][11][15]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수정 ‧ 보완하여 의자에서 일어나기, 앉은 자세에서 여러 방향으로 팔 뻗어 물건 집기, 벽면에 한 발씩 공차기, 양발 부딪히며 발 박수치기, 발끝 서기, 계단 오르내리 기의 6가지 동작으로 구성되었다. 인지과제와 운동 과제를 병행하여 각 5분 동안 수행하며 6가지의 동작을 30분 동안 수행하였다. 인지과제는 무작위 순서로 기능훈련 과제와 동시에 수행하였다.

    2) 기능훈련

    서기 운동, 보행의 요소를 포함하고 분리된 운 동보다는 신체 기능과 여러 근육을 복합적으로 사 용할 수 있는 기능훈련(의자에서 일어나기, 앉은 자세에서 여러 방향으로 팔 뻗어 물건 집기, 벽면 에 한 발씩 공차기, 양발 부딪히며 발 박수치기, 발끝 서기, 계단 오르내리기)의 6가지 동작을 무작 위로 각 5분씩 30분 동안 수행하였다.

    3) 인지 활동 워크북

    인지 활동 워크북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작 한 인지활동형 워크북의 기억력, 회상력, 계산능력, 집중력, 언어능력 등의 내용을 기관에 적합하게 수 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인지 활동을 연구 대상자 에게 30분 동안 수행하도록 하였다.

    4. 측정 도구 및 자료수집

    1) 균형 능력

    (1) 일어나 가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 TUG)

    노인의 기능적 이동성과 동적 균형 능력을 검사 하기 위한 도구로 팔걸이가 있는 의자에 앉은 자 세에서 ‘준비, 출발’의 언어적 지시와 함께 3m를 걷고 반환점을 돌고 다시 의자로 돌아와 앉는 것 을 수행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특별한 훈 련 없이 수행할 수 있고 작은 공간에서 측정이 쉽 게 빠른 신뢰도 높은 유용한 평가 도구이다. 14초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면 낙상의 위험이 높다고 평 가하며, 30초 이상이 소요되면 독립적 이동의 어려 움으로 스스로 실외 이동이 어렵다고 평가한다. 측 정자 내 신뢰도는 r=0.99, 측정자 간 신뢰도는 r=0.99이다[16].

    (2) 이중과제 일어나 가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 with Dual Task: TUG-DT)

    이중과제와 함께 실시하는 TUG-DT는 이중과제 수행 상태에서 인지 능력을 측정하기 때문에 이동 성과 낙상 위험성에 대해서 더 많은 정보를 제공 하는 평가 도구이다[16]. TUG-DT는 노인에서 운동 과 인지과제를 병행한 시도에서 가능성을 평가하 기 위해 사용되며, TUG-DT manual(TUG-DT man)와 TUG-DT cognitive(TUG-DT cog)가 있다. TUG-DT man는 TUG 수행 시 물이 들어 있는 컵 을 들고 수행하며 컵의 가득 찬 높이에서 1cm 정 도 낮은 위치까지 물을 채워 3m를 걷고 반환점을 돌고 물컵을 테이블 위에 놓고 다시 의자에 앉는 것을 수행하는 시간을 측정하고 TUG-DT cog 수 행 시 60~100 사이의 숫자를 무작위로 선택해서 3 자리씩 거꾸로 세면서 3m를 걷고 반환점을 돌고 다시 의자에 앉는 것을 수행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17].

    (3) Tinetti 수행 이동 평가(Tinetti Performance Oriented Mobility Assessment: POMA)

    보행과 균형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노인에게 사용하고 있으며, 기능적 이동성 검사, 균형 검사 또는 낙상을 예상할 수 있는 검사로 임 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일상에서의 근골격계 기능, 자세 변화에 대한 균형과 보행 특징들의 범위에 대하여 평가하며 균형 척도는 8문항이며(16점 만 점), 보행 척도는 8항목이며(12점 만점) 총점은 28 점으로서 높은 점수일수록 좋은 수행 능력을 뜻하 며 19점 이하를 낙상 위험이 높다고 해석한다. 이 평가 도구의 측정자 간 신뢰도는 노인에게서 r=0.97로 보고되었다[18]. 본 연구에서는 낙상 위험 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2) 보행 능력

    (1) 10M 보행 검사(10 Meter Walk Test: 10MWT)

    보행 능력을 결정하는 변수인 보행 속도를 측정 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며 보행 시간이 적을수록 보 행 능력이 좋은 것으로 평가하며 10m의 거리에서 시작과 끝은 각 2m는 가속과 감속을 위한 거리로 설정하였으며 6m 거리를 보행한 시간을 측정하였 으며, 측정자 간 신뢰도는 r=0.95였다[19]. 본 연구 에서는 전반적인 보행 수행 능력인 보행 속도 변 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10M 보행 검사를 사용하였 다.

    3) 인지 기능

    (1) 시계 그리기 검사(Clock Drawing Test: CDT)

    경도인지장애나 다른 다양한 종류의 치매가 있 는 환자들에게 쉽고 간편하게 전반적인 인지 저하 를 평가하는 도구이며 청각적 이해력, 주의집중력, 시공간적 능력, 기억력, 추상적인 사고, 계획, 운동 실행 기능, 집행기능과 같은 광범위한 인지적 영역 의 수준을 평가한다. CDT는 집행기능과 시공간능 력에 더 중점을 두고 다양한 인지 기능을 평가하 고, 본 연구에서는 양적 채점 방법인 Freedman 등 의 평가 방법을 사용하였고 시계의 윤곽(2점), 숫 자(6점), 바늘(6점), 중심(1점) 등의 4개의 하위 채 점체계를 합한 총점 15점이 최대 점수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인지 기능이 잘 보존되어 있음을 의미한 다[20].

    5. 자료 분석

    본 연구의 모든 통계적 분석은 SPSS Win version 22.0 Program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 차를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 신체적 및 인지적 특성과 측정된 변수 값의 정규분포 여부를 알아보 기 위해 Kolmogorov-Smirnov 검정을 하였다. 본 자료 정규분포 가정을 만족하여 군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을 이용하였다, 실험 전과 12주 후의 효과를 비교 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이용하였으며, 훈련 방법에 따른 세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 여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사후검정은 tukey 방법을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 간의 동질성을 분석 한 결과, 세 군은 차이가 없는 동질한 그룹으로 확 인되었다. <Table 1>. 평균 연령은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군은 83.55세, 기능훈련군 82.54세, 대조군 은 82.16으로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p=0.227). K-MMSE는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군은 20.81점, 기능훈련군은 20.53점, 대조군은 19.16점이었으며 (p=0.421), 학력은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군은 9.63년, 기능훈련군은 8.07년, 대조군은 6.00년으로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p=0.546). 신장은 인지-기능 훈련 이중과제군은 158.45cm, 기능훈련군은 158.07cm, 대조군은 159.91이었으며(p=0.464), 몸무 게는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군은 63.20kg, 기능훈 련군은 59.30kg, 대조군은 59.33kg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p=0.437).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KSHSM-15-4-71_T1.gif

    2. 균형 능력의 변화

    훈련 방법에 따른 균형 능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table 2>. 실험 전과 12주 후의 군 내의 변화 를 살펴보기 위해 대응표본 t-test 분석을 한 결과,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군과 기능훈련군에서 일어 나 가기 검사(TUG), 이중과제 일어나 가기 검사 (TUG-DT man, TUG-DT cog)에서 유의하게 향상 되었고(p<.05),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 다. 군 간의 차이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사후분석 결과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군이 기능훈련군과 대 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기능훈 련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 다(p<.05). 훈련 방법에 따른 Tinetti 수행 이동 평 가(POMA) 점수의 변화는 실험 전과 12주 후의 군 내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대응표본 t-test 분석을 한 결과,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군과 기능훈련군 에서 POMA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p<.05)고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군 간의 차이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사후분석 결과 인지- 기능훈련 이중과제군이 기능훈련군과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기능훈련군이 대 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Table 2>

    Changes in balance function by intervention

    KSHSM-15-4-71_T2.gif

    3. 보행 능력의 변화

    훈련 방법에 따른 보행 능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table 3>. 실험 전과 12주 후의 군 내의 변화 를 살펴보기 위해 대응표본 t-test 분석을 한 결과, 세 군 모두에서 10m 보행 검사(10 MWT)에서 소 요 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군 간의 차이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 간에 유의 한 차이가 있었고(p<.001), 사후분석 결과 인지-기 능훈련 이중과제군이 기능훈련군과 대조군보다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기능훈련군이 대조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Table 3>

    Changes in gait function by intervention

    KSHSM-15-4-71_T3.gif

    4. 인지 기능의 변화

    훈련 방법에 따른 인지 기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table 4>. 실험 전과 12주 후의 군 내의 변화 를 살펴보기 위해 대응표본 t-test 분석을 한 결과, 세 군 모두에서 시계 그리기 검사(CDT) 점수가 유 의하게 향상되었다(p<.05). 군 간의 차이를 일원분 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by intervention

    KSHSM-15-4-71_T4.gif

    Ⅳ. 고찰

    치매 환자는 인지 기능의 저하와 신체적 퇴행성 변화의 진행으로 신체 활동이 감소 되고 이중과제 상황에 대한 대처 부족으로 균형 능력, 보행 능력,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이 저하되어 낙상의 위험 이 증가하고 있다[2]. 현재 치매에 대한 완전한 치 료법이 없으며 약물 치료만으로는 그 진행을 효과 적으로 중단시키는 것은 어려우며, 비약물적 치료는 치매 환자의 독립성, 기능적 상태 및 심리·사회적 안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 재 방법으로 추천되고 있으며 중재 방법의 하나로 많은 인지과제나 운동과제가 단일과제로 제공됐지 만, 일상생활의 대부분이 이중과제 조건이기 때문 에 두 가지 이상의 과제에 동시에 집중하고 집중 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이중과제 훈련이 필요하다 [3]. 따라서 본 연구는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가 경증 및 중등도 치매 환자의 균형, 보행 능력 및 인지 기능 향상에 적합한 중재인지를 알아보고자 12주 동안 시행되었다.

    Sherrington et al.[21]은 균형 및 이동성 장애는 낙상 위험과 관련이 있으며 신체 기능의 향상은 일상생활 과제 수행 및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진 다고 하였으며, 경도인지장애가 있는 노인에게 근 력운동보다 균형 운동을 포함하는 훈련을 먼저 시 행하면 낙상의 위험률이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TUG, TUG-DT man, TUG- DT cog, Tinetti 수행 이동 평가(POMA)를 이용하여 균형 능력의 전 · 후 효과를 확인하였는데 인지-기 능훈련 이중과제군과 기능훈련군에서 중재 후 유 의한 향상이 나타난 결과는 이 두 개의 프로그램 이 균형 능력, 신체 수행 능력과 낙상률 위험 감소 에 효과적인 중재임이 증명되었다. 특히 단일과제 훈련보다 인지과제를 병행한 기능훈련 이중과제군 에서 자세 조절과 관련된 균형 능력의 향상 결과 가 확인되었으므로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가 치매 수급자의 균형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이 라고 여겨진다. 그리고 POMA 점수가 인지-기능훈 련 이중과제군에서 21.36점에서 25.45점으로 유의 하게 향상되었는데 이것은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 가 낙상 위험도의 감소에도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 사한다.

    이중과제의 종류와 상관없이 TUG보다 TUG-DT 에서 더 많은 시간이 소비되며 이것은 인지-운동 간섭(Cognitive-Motor Interference)으로 보행의 안 정성과 속도가 감소하는데 이중과제 수행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군에서 TUG-DT man, TUG-DT cog 수행시간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이것은 Bohannon[22]의 연구처 럼 반복적인 이중과제 훈련의 결과로 인지-운동 간 섭이 감소하였고, 신체 과제 및 인지과제 사이에 역동적으로 주의집중력을 분산시키는 능력이 이중 과제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것은 이중과제 상태에서 인지 기능의 변화를 평가 한 것이므로 결국 인지 기능의 향상이 일어난 것 으로 사료된다. 인지과제와 운동과제를 병행할 수 있는 균형, 자세 조절 등의 신체 기능 개선의 결과 는, 특히 두 가지의 과제의 주의 집중을 분배시킬 수 있는 집행기능이 향상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TUG-DT cog은 실생활에서의 복잡한 다중과제 상 황의 수행 능력 평가에서 TUG와 TUG-DT man보 다 더 효과적이며 낙상의 원인이 되는 인지 기능 감소를 파악할 수 있는데[23], 본 프로그램에서 TUG-DT cog의 유의한 향상은 실생활에서 적절한 주의력 배분의 결과인 집행기능 향상으로 인한 여 러 과제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다중과제 수행 능력 의 개선으로 낙상 위험도의 감소, 이동성 향상이 나타났으며,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가 단일과제인 기능훈련보다 인지 기능 향상, 이중과제 수행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인 운동 방법이라는 것을 시사한 다.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경우 보행 속도나 보속 수가 낙상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으로 알려 져 있으며 보행 속도는 시설 등에서의 이동성과 관련이 있고 운동을 통한 보행 속도의 향상은 지 역사회에서 장기간 거주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보행 속도는 근력과 균형 능력을 반영하며, 빠른 보행 속도는 근력과 균형이 향상된 결과라고 보고하였다[11].

    본 연구 결과에서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군에 서 10M 보행 검사에서 8.98초에서 프로그램 후 6.67초로 감소 되었고, 기능훈련군은 8.68초에서 프 로그램 후 7.87초로 감소하였으며 프로그램 방법에 따른 전·후 변화량 비교에서는 인지-기능훈련 이중 과제군에서 기능훈련군과 대조군보다 유의한 향상 을 보였다. 치매 노인에게 저항 훈련과 기능적인 훈련을 병행한 결과, 기능적 수행 능력 평가 도구 인 POMA 점수의 향상, 양쪽 하지에서 근력 향상 의 효과가 보행 속도, 보속수 등의 증가로 이어졌 는데[15], 이는 본 연구에서도 POMA 점수의 향상 이 일어났고 결국 균형 능력의 유의한 향상이 보 행 속도의 향상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한 Nicole & Katherine[11]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따라서 인 지-기능훈련 이중과제는 균형 및 보행 능력 향상에 단일과제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 며 이중과제 수행 능력의 향상이 보행의 속도 향 상과 관련이 있다고 사료된다.

    시공간능력의 장애, 시공간구성 능력과 관련된 두정엽과 후두엽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CDT에 서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군에서 8.45점에서 프로 그램 후 12.18점으로 향상이 되었고, 기능훈련군은 5.23점에서 프로그램 후 8.76점으로 향상되었고 대 조군에서도 6.00점에서 프로그램 후 8.17점으로 유 의하게 향상되었으나 프로그램 방법에 따른 전·후 변화량 비교에서는 세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이것은 Royall et al.[24]의 연구에서 기 술한 것처럼, CDT 점수의 향상은 인지 활동 및 신 체 활동이 집행기능과 시공간능력에 더 영향을 미 친 것으로 보이며 이 결과로 프로그램 전·후 CDT 점수 향상으로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 운동 중재는 종류 및 특성과 상관없이 인지기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하였는데[25], 본 연구도 운동과제 및 인지과제가 인지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 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참여 대상자의 수가 적어서 모두 치매 환자에게 일반화하기 어려 운 점이 있으며, 둘째, 학력이나 인지 기능에 따른 과제 난이도 조절 및 세부 분류화가 되지 않았으 며, 마지막으로 인지 기능 평가로서 주의집중력과 집행기능의 평가가 되지 않은 점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학력이나 인지 기능에 따른 과제 난이 도 조절을 할 수 있는 인지-운동 이중과제의 개발 과 다양한 인지 기능 평가를 통하여 그 효과를 검 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경증 및 중등도 치매 환자들을 대상으로 균형 능력, 보행 능력 및 인지 기능을 유지 또는 향상할 수 있도록 하여 신 체 및 인지의 잔존기능 유지와 일상생활에서의 독 립성이 장기간 유지되도록 후속 연구들이 계속되 기를 바란다.

    Ⅴ. 결론

    본 연구는 인지-기능훈련 이중과제가 치매 환자 의 균형 능력, 보행 능력,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인지-기능훈련 이중과 제와 기능훈련에서 균형 능력, 보행 능력에서 유의 한 향상이 나타났고(p<.05), 군 간의 비교에서 인 지-기능훈련군이 기능훈련군과 대조군보다 더 효과 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5). 세 군 모두에 서 인지 기능이 연구 전 · 후로 유의한 향상이 나 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치매 환자의 균형, 보행 및 인지 기능의 향상을 목적으로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이중과제를 이용한 인지-기능훈련 이중 과제가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인 지과제와 운동과제를 명확히 구분한 이중과제와 인지과제와 운동과제를 병행한 이중과제 사이의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향 후 다학제적인 논의를 통하여 치매 환자의 중증도 진행 예방 및 잔존기능 유지에 적합한 지역사회기 반 인지-운동 이중과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치매 환자의 삶의 질 향상으로 연결될 수 있기를 바란 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Changes in balance function by intervention
    Changes in gait function by intervention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by intervention

    Reference

    1. H. Feldman, A. Sauter, A. Donald, I. Gelinas, S. Gauthier, K. Torfs, A. Mehnert (2001), The disability assessment for dementia scale: a 12-month study of functional ability in mild to moderate severity Alzheimer disease, Alzheimer Disease & Associated Disorders, Vol.15(2);89-95.
    2. P.A. Miller, D. Butin (2000),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in dementia-C.O.P.E.(Caregiver Options for Practical Experi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15(1);86-89.
    3. G.L. Pellecchia (2005), Dual-task training reduces impact of cognitive task on postural sway, Journal of Motor Behavior, Vol.37(3);239-246.
    4. P. Plummer, L.A. Zukowski, C. Giuliani, A.M. Hall, and D. Zurakowski (2015), Effects of physical exercise interventions on gait-related dual-task interference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erontology, Vol.62;94–117.
    5. T. Suzuki, H. Shimada, H. Makizako, T. Doi, D. Yoshida, K. Ito (2013),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multicomponent exercise i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PLoS One, Vol.8(4);e61483.
    6. Y.L. Chen, Y.C. Pei (2018), Musical dual-task training in patients with mild-to-moderate dement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psychiatr Dis Treat, Vol.14;1381-1393.
    7. P. Pulummer-D'Amato, L.J.P. Altmann, A.L. Behrman, D. Saracino, M. Marseske (2010), Interference between cognition, double-limb support, and swing during gait in community-dwelling individuals post stroke,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Vol.24(6);542-549.
    8. T. Doi, H. Makizako, H. Shimada, H. Park, K. Tsutsumimoto, K. Uemura, T. Suzuki (2013), Brain activation during dual-task walking and executive function among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 fNIRS study,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Vol.25(5);539-544.
    9. C.J. Liu, D.M. Shiroy, L.Y. Jones (2014), Systematic review of functional training on muscle strength physical functioning,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older adults, Eur Rev Aging Phys Act, Vol.11;95–106.
    10. D. Rritchie, C. Spie (2012), The significant 7: principles of functional training for mature adults, IDEA Fitness Journal, Vol.9;42-49.
    11. N. Dawson, K. Judge (2019), Accepting the Challenge—Moderate-Intensity Exercise with Individuals with Dementia: A Case Series, Rehabil Process Outcome, Vol.8;1-9.
    12. B. Karlene, B.B. Daniel, F.H. Karin, B.J. Jared, D.L. Mary, M. Michal, N.M. John, W.R. George, M.S. David, I.T. Sharon, W.U. Frederick, L.W. Sherry (2002), Effects of cognitive training interventions with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Vol.288(18);2271-2281.
    13. M. Schwenk, T. Zieschang, P. Oster, K. Hauer (2010), Dual-task perfomances can be improved in patients with dement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logy, Vol.74(24);1961-1968.
    14. H. Park, J.H. Park, H.R. Na, S. Hiroyuki, G.M. Kim, M.K. Jung, W.K. Kim, K.W. Park (2019), Combined Intervention of Physical Activity, Aerobic Exercise, and Cognitive Exercise Intervention to Prevent Cognitive Decline for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Study, J Clin Med, Vol.8(7);940.
    15. M. Schwenk, T. Zieschang, S. Englert, G. Grewal, B. Najafi, K. Hauer (2014), Improvements in gait characteristics after intensive resistance and functional training in people with dementia: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C Geriatrics, Vol.14;73.
    16. D. Podsiadlo, S. Richardson (1991),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39;142-148.
    17. P. Quinn, F. Horgan (2013), Single-and dual-task assessments in elderly patients in a falls intervention programm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apy and Rehabilitation, Vol.20;530-535.
    18. C.S. Sterke, S.L. Huisman, E.F. Van Beeck, C.W.N. Looman, T.J.M. Van Der Cammen (2010), Is the Tinetti Performance Oriented Mobility Assessment(POMA) a feasible and valid predictor of short-term fall risk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22(2);254.
    19. M.J. Watson (2010), Refining the ten-metre walking test for use with neurologically impaired people, Physiother, Vol.88(7);386-397.
    20. K.S. Lee, H.K. Cheong, B.H. Oh, C.H. Hong, D.W. Lee (2008), Validity of Four Scoring Methods of Clock Drawing Test for Screening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Vol.8(1);53-60.
    21. C. Sherrington, J.C. Whitny, S.R. Lord, R.D. Herbert, R.G. Comming, J.C.T. Close (2008), Effective exercise for the prevention of fal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6(12);2234-2243.
    22. R.W. Bohannon (2006), Reference values for the timed up and go test: a descriptive meta-analysis, J Geriatr Phys Ther, Vol.29(2);64-8.
    23. M. Woollacott, A. Shumway-Cook (2002), Attention and the control of posture and gait: a review of an emerging area of research, Gait Posture, Vol.16(1);1-14.
    24. D.R. Royall, J.A. Cordes, M. Polk (1998), CLOX: an executive clock drawing task,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Vol.64;588-594.
    25. S.Y. Jeon, K.M. Park (2020),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 on Cognitive Function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4(4);63-75.
    November 2, 2021
    November 25, 2021
    December 13, 2021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