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5 No.4 pp.107-119
https://doi.org/10.12811/kshsm.2021.15.4.107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 직무역량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개인역량과 조직역량 요인을 중심으로

김 유진1, 박 순미2
1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부
2진주보건대학교 사회복지과

Study on Job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in the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Yujin Kim1, Soon-Mi Park2
1School of Social Welfa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Division of Social Welfare, Jinju Health College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work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in the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Methods:

An online survey of 1,927 social workers affiliated with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was conducted. The data of the final 1,637 participants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actors influencing the job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were job experience at elderly care institutions, value ethics competency, intervention competency, administrative and policy practice competency among geriatric social work competency,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ing task competency among social worker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노인실태조사에서 일상생활수행 능력 (ADL)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 능력(IADL)에 제한 이 있는 고령자는 전체 노인 인구의 12.2%인 것으 로 나타났다. 노인들은 평균 1.9개의 만성질환을 갖고 있고, 2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지닌 경우도 54.9%에 달하며, 전체 노인의 13.5%가 우울 증상, 그리고 25.3%가 인지기능 저하 문제를 갖고 있었 다. 특히, 연령이 높고 독거 가구일수록 경제적 불 안감과 외로움이 심하며, 만성질환 관리의 어려움 을 겪고 있었다[1].

    급속한 초고령화 및 가족 기능 변화와 함께 신 체적, 경제적, 심리 사회적으로 취약한 노인 인구 가 급증하면서 지역사회 돌봄 필요성이 더욱 높아 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2020년 중앙정부 주도로 노인 돌봄 사업이 새롭게 개편되었다. 즉, 기존 노인돌봄기본서비스, 노인돌봄종합서비스 등 유사 돌봄 사업을 통합한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취약 노인이 자립적이고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맞춤식으로 지원한다는 목적을 가진 예방적 노인돌봄 사업이다[2]. 2020년 기준, 약 45만 명의 노인이 이용하고 있는 노인맞 춤돌봄서비스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와 함께 우 리나라의 대표적인 지역사회 노인 돌봄 사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2015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시한 ‘건강한 노화(healty ageing)’ 개념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건강의 의미 를 신체적 차원의 건강뿐 아니라 사회적, 정신적 차원의 건강을 포함하여 정의하고 있다[2]. 그리고 노인의 욕구에 맞춤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취지에 따라 사례관리 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회적 고립과 우울, 자살사고 위험이 높은 노인을 위한 별도의 집중적인 정신건강 개입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에서 사례관리자 역할을 하는 주요 수행인력으로 전담사회복지사가 있다. 보건복지부 사업안내에 사회복지사업 4년 이 상 경력자 채용 권장을 명시할 정도로 본 사업에 서 전담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3]. 전 담사회복지사는 대상자 선정부터 서비스 제공계획 수립, 재사정, 종결 및 사후관리하는 업무를 담당 할 뿐 아니라 다양한 돌봄 프로그램 기획과 생활 지원사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2]. 노인맞춤돌봄서 비스 시행 이전에 실시되었던 여러 형태의 노인돌 봄 서비스에서는 사회복지사가 주로 행정적인 업 무를 담당했던 것에 비해[4],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직무에 큰 변화가 생긴 것이다. 새로운 지역사회 노인돌봄 정책 시행과 함 께 이들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높은 만큼, 전담사 회복지사가 직무수행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고 있 는지, 그리고 어떤 부분의 직무 영역에서 개선이 필요한지 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직무역량 수준을 파악하는 것은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전 문직의 책무성에 관한 일이다[6]. 기존 노인돌봄 사업 담당 사회복지사가 주로 행정적인 업무를 하 고 있다는 Bae et al.[4]의 연구를 제외하면, 노인돌 봄 분야 사회복지사의 직무 관련 연구는 거의 진 행되지 않았다. 노인장기요양 분야의 핵심인력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된 것에 비해[7][8], 지 역사회 노인돌봄 사업 담당 사회복지사에 관한 연 구는 사각지대라고 할 수 있다[9]. 지역사회 노인 돌봄 욕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의 역량에 관한 전문 적인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9]. 그동안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사회복지사 역량 탐색에 관한 연구 가 일부 이루어졌는데, 그 중 노인복지관 사회복지 사의 실천역량을 파악하고 관련 영향요인을 탐색 한 Son[10]의 연구에 의하면, 사회복지사의 노인복 지실천역량(Geriatric Social Work Competency, GSWC) 수준은 4점 만점에 평균 2.13점으로 보통 수준이며, 사회복지경력과 업무 만족 등이 이들의 역량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0]. GSWC는 노인복지 현장의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측정하는 도구로 관련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11][12]. 또 다른 연 구에서는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조직의 지원 분위기, 자기효능 감, 그리고 경력 등을 꼽고 있었다[13]. 다양한 영 역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서도 사회복지사의 경력, 슈퍼비전 등 기관의 지지 등이 직무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파악되고 있다[14][15][16]. 결국, 사회복지사가 효 과적으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역량 강화와 함께 적절한 슈퍼비전 등 조직적 차원의 지원이 중요하다는 것이다[17].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출범한 지 얼마 되지 않 은 시점이라 전담사회복지사에 관한 연구는 아직 찾아보기 어렵다. 지역사회 중심의 노인돌봄 사업 의 확대에 따라 돌봄인력의 역량에 대한 기대가 높고, 서비스 제공자의 역량이 서비스의 질에 미치 는 영향이 큰 만큼,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역량 지 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우선 현재 전담사회복 지사의 직무역량 수준 및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직 무교육 체계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 복지사의 직무역량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 하고, 전담사회복지사 직무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역량, 조직역량으로 나누어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 지사의 직무역량 향상에 필요한 정책적, 실천적 제 언을 개인 수준 및 조직 수준 차원으로 나누어 제 시하고, 체계적인 직무교육 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의 직 무역량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 역량 수준에 개인역량이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 역량 수준에 조직역량이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 의 직무역량 수준을 분석하고 직무역량 수준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역량, 조직역량으로 나누 어 검증하는 설명적 연구이다. 이에 대한 연구모형 은 <Figure 1>과 같다.

    <Figure 1>

    Research Model

    KSHSM-15-4-107_F1.gif

    2. 연구 대상

    본 연구 대상은 전국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 사회복지사로서, 조사 기준시점 현재 노인맞춤돌봄 서비스 일반․중점 전담사회복지사 전체를 대상으 로 하였다. 조사대상 인원은 1,927명이며, 이 중 조 사에 참여 완료한 최종 분석대상은 1,637명이다.

    3. 측정도구

    1) 종속변수 : 전담사회복지사 직무역량 수행도

    전담사회복지사 직무역량 수행도는 노인맞춤돌 봄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사업계획, 서비스 계 획, 실행, 평가 전 과정에 따른 각 세부 직무의 수 행정도를 측정하였다. 전담사회복지사가 판단하는 자신의 직무역량 수행 정도를 ‘전혀 못 하고 있 다’ 1점에서 ‘매우 잘 하고 있다’ 5점의 리커트 척 도로 측정하였다. 각 세부 직무는 표준화된 척도가 아니라 2021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안내에서 제시하고 서비스를 기준으로 이를 직무로 규정하 기 위한 조작적 정의를 위해 우선 연구진이 직무 문항에 대한 심층 검토를 하였고, 직무 구성의 내 용 타당도 검증을 위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 기관 현장 전문가 5명과 연구진이 총 3회에 걸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 다. 그 과정에서 참여자의 의견이 최종 일치할 때 까지 심층 논의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내용 타당도 를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 는 총 33개이며, 세부 영역으로 사업관리 및 행정 영역 7문항, 네트워크 및 자원연계 영역 4문항, 대 상자 지원 1문항, 전문성 개발 2문항, 대상자 선정 4문항, 사정 3문항, 서비스 계획 수립 5문항, 서비 스 제공 2문항, 서비스 점검 및 사후관리 7문항으 로 구성되었다.

    2) 독립변수 : 개인역량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역량 수행에 영향을 미치 는 개인역량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 업무를 하기 전 사회복지기관 종사 경력 유무, 노인돌봄 관련 종사 경력 유무, 노인복지실 천역량 수준을 변수로 구성하였다. 사회복지기관 종사 경력 유무 및 노인돌봄 관련 종사 경력 유무 변수값은 ‘경력 있음=1’, ‘경력 없음=0’의 명목변수 로 더미변수 처리하였다. 노인복지실천역량 수준은 노인복지 실천가가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서 노인과 일할 때 갖춰야 할 지식, 기술, 태도 및 실 천 활동에 관한 역량으로 미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8)에서 개발하고, 한국노인복지관협회(2012)에 서 번역한 노인복지실천역량(Geriatric Social Work Competency Scale Ⅱ: GSWC-II) 척도를 사용하였 다[10][12]. 가치와 윤리, 이론적 역량, 사정 및 서 비스 제공계획 수립 역량, 개입 역량, 행정 및 정 책실천 역량 등 4영역 40항목의 역량 수준에 대해 ‘전혀 수행할 수 없다’ 1점부터 ‘매우 잘 수행할 수 있다’ 5점의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노인복지 실천역량 척도의 전체 문항에 대한 신뢰도는 Cronbach's α= .981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으로 가치와 윤리, 이론적 역량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946, 사정 및 서비스 제공계획 수립 역량의 신 뢰도는 Cronbach's α=.951, 개입 역량의 신뢰도는 Cronbach's α=.948, 행정 및 정책실천 역량의 신뢰 도는 Cronbach's α=.951로 신뢰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확인되었다.

    3) 독립변수 : 조직역량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조 직역량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을 위해 제공되는 수행기관의 슈퍼비전 체계 및 슈퍼비전 수준 변수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하는 슈퍼비전이란 담당 사회복지사가 효과적 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행정적, 교육적 지원과 함께 정서적 지 지나 도움을 제공하는 모든 행위로, 중간관리자 이 상이 담당 직원을 돕기 위해 제공하는 업무 지시, 업무 지원, 교육 제공, 상담 등 다양한 역할을 의 미하는 것으로 조직 내 인사관리의 핵심 과업이라 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슈퍼 비전 체계와 수준을 조직 역량을 진단하는 변수로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슈퍼비전 체계는 기관 내 슈퍼비전 체계 유무, 슈퍼비전의 정기적 제공 유무 로 ‘슈퍼비전 체계 있음=1’, ‘슈퍼비전 체계 없음 =0’, ‘슈퍼비전 정기적으로 제공함=1’, ‘슈퍼비전 비 정기적으로 제공함=0’,의 명목변수로 더미변수 처 리하였다. 슈퍼비전 수준은 슈퍼비전 제공 충분 정 도와 슈퍼비전 제공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슈퍼비 전 제공 충분 정도는 ‘매우 불충분하다’ 1점에서 ‘매우 충분하다’ 5점의 리커트 척도, 슈퍼비전 제공 만족도는 ‘매우 불만족한다’ 1점에서‘매우 만족한 다’ 5점의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4) 통제변수 : 성별, 연령, 학력, 수행기관 유형

    연구대상자의 성별(기준변수 여성=1, 남성=0)은 더미변수로 변환하였고, 연령과 학력은 연속변수로 투입하였다. 수행기관 유형(기준변수 노인관련기관 =1, 기타 기관=0)은 등과 더미변수로 변환하여 투 입하였다.

    4. 자료수집방법 및 윤리적 고려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자료 수집은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였다. 즉, 노인맞춤돌봄서비스 교 육 관리 홈페이지(배움터)에 로그인 후 구축된 설 문 링크를 통해 온라인 설문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전 조사 목적, 조사 내용에 대한 안내를 확인하게 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였으며, 모든 참여자에게 참여 동의를 받았다. 온라인 설문 은 대략 15-20분 소요되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2월 8일(월) ~ 2월 18일(목) 동안 실시되었 다.

    본 연구는 주저자가 속한 대학의 기관윤리생명 심의위원회의 승인(IRB No. 1 KNU-2021-0211)을 받은 후 진행하였다. 연구의 윤리적 수행을 위해 연구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진행절차를 설명 하였다.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대상자가 원하지 않 으면 연구에 대한 참여 의사를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어떠한 불이익도 없다는 것을 전달하였 으며, 수집된 자료의 내용은 연구의 목적으로만 사 용하고, 참여자의 개인정보는 비밀로 보장됨을 설 명하였다.

    5. 분석방법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18.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다. 먼저, 조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 성 및 주요 변인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전담사 회복지사의 직무수행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조사 대상자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 지사의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성별은 남성이 12.8%, 여성이 87.2%로 나타났으며, 연령대는 40대가 36.4%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하였고, 그 다음으로 50대 26.9%, 30대 18.9% 순으 로 나타났다. 학력은 대졸 55.6%, 전문대졸 34.6% 순으로 나타났다. 수행기관 유형은 재가노인복지시 설, 노인복지관 등 노인복지서비스 제공기관 유형 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N=1,637)

    KSHSM-15-4-107_T1.gif

    2.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 특성

    1) 전담사회복지사 직무역량 수행 수준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역량 수행 수준을 크게 사업관리 및 행정, 네트워크 및 자원연계, 대상자 지원, 전문성 개발, 대상자 선정, 사정, 서비스 계 획수립, 서비스 제공, 서비스 점검 및 사후관리 등 으로 구분하여 각 세부 직무별 역량 수행 수준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전체 직무역량 수행 수준은 5점 만점 평균 3.71점으로, 보통보다 높은 수행 수준으로 나타났다. 영역별 직무역량 수 행 수준을 살펴보면 사업관리 및 행정 3.67점, 네 트워크 및 자원연계 3.18점, 대상자 지원 3.97점, 전문성 개발 3.68점, 대상자 선정 4.13점, 사정 3.86 점, 서비스 계획수립 3.94점, 서비스 제공 3.59점, 서비스 점검 및 사후관리 3.74점 등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선정 영역에서 5점 만점 평균 4.1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네트워크 및 자원연계 영역이 5점 만점 평균 3.18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우 선 대상자 선정 직무의 경우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과정 초기 과정에서 신청자에게 노인맞춤돌봄 서비스 설명하기, 선정조사지 활용하여 신청자 대 상으로 대상자 선정 조사하기 등의 직무를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는 특성을 반영한다. 반면 직무역 량 수행수준이 가장 낮은 네트워크 및 자원 연계 영역은 간접 서비스로 지역사회 내 다양한 기관들 과 연계하거나 협력, 자원연계 등과 관련된 직무인 데, 향후 전담사회복지사 직무교육 커리큘럼 개설 이 필요하다.

    <Table 2>

    Task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KSHSM-15-4-107_T2.gif

    2) 전담사회복지사의 개인역량 수준

    전담사회복지사의 개인역량 수준은 <Table 3> 과 같다. 첫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업무를 하기 전 사회복지기관에 종사한 경험은 84.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업무 를 하기 전 노인돌봄 서비스 기관에 종사한 경험 은 60.7%의 응답자가 경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셋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의 노인복지실천역량 측정 결과 5점 만점 평균 3.76점 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복지실천가들을 대상으로 노인복지실천역량을 조사한 Son[10]의 연구결과와 비교해 보면 다소 높은 실천 역량을 보유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물론 현재 보다 더 높은 노인복지 실천역량 향상이 필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노인복 지실천역량 하위 역량에서 가치․윤리․이론 역량 이 3.9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행정 및 정 책실천 역량은 3.56점으로 다른 영역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가치․윤리․이론 역량은 노인복지실천 의 가장 기본 역량으로 이 역량이 높게 나타난 측 면은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행정 및 정책실천 역량은 보다 거시적인 실천역량을 요구 하는 영역으로 향후 개선이 필요한 영역이다. 이는 앞서 살펴본 전담사회복지사 직무역량 중 네트워 크 및 자원 연계 영역 직무 역량 수준이 가장 낮 게 분석된 결과와 연관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able 3>

    Individual Competency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KSHSM-15-4-107_T3.gif

    3) 전담사회복지사의 조직역량 수준

    전담사회복지사가 속해 있는 수행기관의 조직역 량은 <Table 4>와 같다. 첫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슈퍼비전 체계가 수행기관 내 있는가에 대해 75.0%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슈퍼비전의 정기적 제공은 비정기적 제공이 56.2%, 정기적 제공이 43.8%로 나타났다. 수행기관 내 슈퍼비전 체계가 있는 비율이 높은 것은 전담 사회복지사의 직무 역량 지원이 대체로 이루어지 고 있는데, 정기적 제공이 56.2%에 불과한 것은 앞 으로 수행기관의 역할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슈퍼비전 제공 수준의 충분성에 대해 행 정적 슈퍼비전, 교육적 슈퍼비전, 지지적 슈퍼비전 등 슈퍼비전 유형별로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 며, 5점 만점 기준 행정적 슈퍼비전 3.60, 교육적 슈퍼비전 3.50, 지지적 슈퍼비전 3.57점으로 각각 나타났다. 슈퍼비전 제공 만족도 수준도 슈퍼비전 유형별로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5점 만점 기준 행정적 슈퍼비전 3.58, 교육적 슈퍼비전 3.52, 지지적 슈퍼비전 3.56점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러 한 슈퍼비전 수준은 대체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나 고 있어 수행기관의 슈퍼비전 정도와 수준 점검이 필요하다.

    <Table 4>

    Organizational Competency Characteristics

    KSHSM-15-4-107_T4.gif

    3.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역량 수행 영향 요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 직무역량 수행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역량, 조직 역량으로 나누어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우선, 각 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 을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와 공차한계(tolerance), 분산팽창요인(Variance Inflation Factor, VIF)을 확인한 결과, 공차한계는 0.170~0.993, 분산팽창요인은 1.007~5.911로 나타 나 독립변수 간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첫 째, 개인역량 요인만을 투입한 첫 번째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55.1%로 나타났고, 모형의 F값(F=201.94) 이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담사회복지사의 개인역량에서는 노인 돌봄기관 종사 유무(β=.082, p<.001), 노인복지실천 역량 중 가치․윤리․이론 역량(β=.218, p<.001), 개입 역량(β=.315, p<.001), 행정 및 정책 역량(β =.222,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 역량에 는 노인돌봄기관 종사 경험이 매우 중요하며, 노인 복지실천역량 중 무엇보다 가치․윤리․이론 역량, 개입 역량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것으로, 이러한 역량 강화 지원의 필요하다.

    <Table 5>

    Predictors of Job Competency

    KSHSM-15-4-107_T5.gif

    개인역량 요인과 조직역량 요인을 모두 투입한 두 번째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56.5%로 나타났고, 모형의 F값(F=153.0)이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역량 요인 중에는 노인돌봄기관 종사 유무(β=.087, p<.001), 노인복지 실천역량 중 가치․윤리․이론 역량(β=.171, p<.001), 개입 역량(β=.322, p<.001), 행정 및 정책 역량(β=.200, p<.001)이, 조직역량 요인 중에는 슈 퍼비전 제공 수준 충분 정도(β=.125, p<.01)가 통 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 담사회복지사의 개인역량과 더불어 조직 역량으로 수행기관에서 제공하는 슈퍼비전 제공량이 보다 더 많이 제공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Ⅳ. 고찰

    본 연구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 의 직무역량 수준을 분석하고, 전담사회복지사 직 무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역량 요인, 조직역량 요인을 파악하여 지역사회 노인 돌봄서비스 전문 가로서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역량 향상과 이를 위한 직무교육체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 대상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 지사의 직무는 크게 사업관리 및 행정, 네트워크 및 자원연계, 대상자 지원, 전문성 개발, 대상자 선 정, 사정, 서비스 계획수립, 서비스 제공, 서비스 점검 및 사후관리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러 한 직무의 역량 수행 수준은 전체 5점 만점 평균 3.71점으로, 보통보다 다소 높은 수행 수준으로 나 타났다. 구체적으로 대상자 선정 영역에서 5점 만 점 평균 4.1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네트워크 및 자원연계 영역이 5점 만점 평균 3.18점으로 가 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지역사회 노인돌봄사업 사 회복지사 직무 분석을 수행한 Bae et al.[4]의 연구 결과에서 대상자 선정 책무의 중요도, 수행도가 높 게 나온 결과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지침에 근 거한 대상자 선정은 사정을 비롯한 서비스 계획 직무에 비하면 행정 중심의 업무이며, 사업 수행 과정 중 초기과정에서 신청자에게 노인맞춤돌봄서 비스 설명하기, 선정조사지 활용하여 신청자 대상 으로 대상자 선정 조사하기 등의 직무를 가장 많 이 수행하고 있는 특성을 반영한다. 반면 통합 사 례관리를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및 자원연계 직무 는 역량 수행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는데, 이 직무는 간접 서비스로 지역사회 내 다양한 기 관들과 연계하거나 협력, 자원연계 등과 관련된 직 무이다. 이런 직무 역량 수행 수준이 낮다는 것은 향후 전담사회복지사 역량 개선을 위해 직무교육 커리큘럼 개설이 필요하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들은 노인맞 춤돌봄서비스 시행 이전 사회복지기관에 종사한 경험이 84.5%, 노인돌봄 서비스 기관에 종사한 경 험이 60.7%로 각각 나타나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 행에 필요한 객관적인 역량을 갖추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전담사회복지사 직무역량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으로 노인돌봄 기관 종사 경험이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노인맞 춤돌봄서비스가 기존 노인돌봄기본서비스, 노인돌 봄종합서비스, 단기가사서비스, 지역사회 자원연계 사업 등을 통합한 종합 서비스로서 이전 노인돌봄 사업 수행 경력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안정적인 수행의 전제 조건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종사자들의 열악 한 임금구조와 매년 계약을 통한 수행기관 선정 등의 구조적인 한계는 수행인력의 전문성 향상의 장애물로 작용한다. Lee & Chon[9]의 노인돌봄기 본서비스 서비스관리자의 업무에 연구결과에서도 종사자의 불안정한 고용 상황은 업무의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졌다.

    전담사회복지사의 노인복지실천역량은 5점 만점 평균 3.76점으로 나타났고, 하위 역량에서 가치․ 윤리․이론 역량이 3.9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 며, 사정 및 서비스 제공계획 수립 역량은 3.75점, 개입 역량 3.81점, 행정 및 정책실천 역량은 3.56점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Son[10], Kim[13]의 연구결 과와도 대체로 일치하고 있다. 휴먼서비스 특성으 로 가치․윤리․이론 역량이 높은 것은 긍정적인 특성이지만 행정 및 정책실천 역량이 낮게 평가되 는 것은 앞서 전담사회복지사 직무역량 수준에서 네트워크 및 자원연계 직무역량 수행 정도가 상대 적으로 낮게 나타난 결과와 연관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직무의 역량 수준이 평균보다 낮게 평가되었는데 노인복지실천역량 중 개입 역량이 높게 평가된 차이에 대해 추후 재평 가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담사회복지사가 속해 있는 수행기관의 조직역 량으로 슈퍼비전 특성을 살펴보았는데, 노인맞춤돌 봄서비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슈퍼비전 체계는 75.0%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슈퍼비전 제공은 비정기적 제공이 56.2%로 나타났다. 슈퍼비전 제공 의 충분성과 만족도는 5점 만점 3.56점, 3.55점으로 각 슈퍼비전 유형별(행정적, 교육적, 지지적 슈퍼비 전)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Kim[18]의 연구에 서는 정기적 슈퍼비전 제공이 장기요양서비스 기 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 로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는 슈퍼비전 제공 충분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슈퍼비전 의 제공 충분 정도는 슈퍼비전의 정기적 제공과 연관되는데 결국 슈퍼비전을 충분히 제공할수록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역량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연구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 직무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역량 요인, 조직역 량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전담사회복지사의 노인돌봄 기관 종사경력, 가치․ 윤리․이론 역량, 개입 역량, 행정 및 정책 역량 등의 노인복지실천역량, 그리고 수행기관 내 슈퍼 비전 제공 수준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역량 수준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지역사회 내 노인돌봄 욕구가 확대되고, 이와 더불 어 노인돌봄 서비스 제공 인력의 전문성 강화, 그 리고 이를 통한 서비스 질 향상에 대한 기대가 점 점 높아지고 있다. 나아가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 역량 개선 및 향상을 위한 직무교육 체계를 마련 하는 것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노인 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역량 수준 을 세부적으로 확인하였고, 이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노인복지실천역량 향상, 슈퍼비전 활성화 필 요성도 확인하였다.

    반면,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갖는다. 첫 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시행된 지 불과 2년도 채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 가 서비스 전체 과정에서 발휘되기에는 한계를 지 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도 서비스 초기 단계에 해당하는 직무나 행정 위주의 직무역량 수 준은 높게 나타난 반면, 서비스 평가, 종결, 사후관 리에 해당하는 직무역량 수준은 다소 나타나고 있 다. 이에 좀 더 장기간의 추적 조사를 통해 전담사 회복지사의 직무역량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둘 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기관 역량 평가도 중 요한데 사업 초기인 만큼 수행기관 유형을 통제변 수로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향후, 수행기관 유형별 로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역량 및 조직 내 슈퍼비 전 제공 특성을 분석하여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전문성 강화 방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Figure

    KSHSM-15-4-107_F1.gif
    Research Model

    Tabl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N=1,637)
    Task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Individual Competency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petency Characteristics
    Predictors of Job Competency

    Reference

    1. Y.K. Lee, S.J. Kim, N.H. Hwang, J.M Lim, B.H. Joo, E.H. Namgung, S.H. Lee, G.H. Jeong, E.N. Kang, G.R. Kim (2020),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Findings and implications, Os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iars.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The guidance for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Osong: MHW, pp.1-258.
    3. S.S. Lee, J.U. Ma, J.S. Yang, Y.J. Heo (2021), Senior care system in Seoul, Seoul: Seoul Welfare Foundation.
    4. J.Y. Bae, N.J. Yang, E.H. Park (2020), Task analysis of the job description of elderly care service manager and needs for job training.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Vol.51;115-151.
    5. General Support Center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2021), Report on the job training for social workers affiliated with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Seoul: GSCELA, pp.1-20.
    6. M. Fabricant, S. F. Burghardt, I. Epstein (2016), The welfare state crisis and the transformation of social service work, New York: Routledge, pp.71-150.
    7. J.U. Lee (2020), Effects of role conflict and ambiguity on quality of service of workers in longterm welfare facilities : the moderating effect of job-crafting.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4(3);157-169.
    8. H.E. Nam, C.H. Lim, H.G. Lyu, S.K. Bae, S.H. Kim, S.H. Kim, J.H. Lee, H.E. Kim (2008), Case study on network of manpower-training related to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cus on education management about long-term care-giver of Yong Do Gu in Busan cit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2(1); 147-157.
    9. M.H. Lee, Y.H. Chon (2018), Job Characteristics and Consequences of Service Manger Engagement at basic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73(1);209-234.
    10. D.S. Son (2016),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geriatric social work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in seniors welfare center,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71(2); 195-218.
    11. H.J Lee (2017),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y for the elderly service in Korea, Stuides on Life and Culture, Vol.44;135-165.
    12. J. Damron-Rodriguez, F. P. Lawrance, D. Barnett, J. Simmons (2006), Developing geriatric social work competencies for field educatio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Vol.48(1-2); 139-160.
    13. H.S. Kim (2012), A study on the practitioners competency and job performance in the senior welfare facility: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supportive atmosphere of the organization,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Vol.14(2);111-142.
    14. S.U. Lee, S.K. Park (2019),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r,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social worker,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69;73-102.
    15. S.K. Shim (2017), The effects of job demands, job-resources, and leader-member exchange(LMX) on the social workers burnout: focusing on senior welfare center,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72(4);167-189.
    16. Y.L. You, M.S. Kim, Y.M. Bae (2018),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of social work supervision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Vol.20(1);107-149.
    17. E.J. Park (2019), A study on the case management practice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19(1);278-292.
    18. G.H. Kim (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Super Vision Function of Social Welfare in Long-Term Care Accommodations on Job Satisfaction, Daegu University Master's thesis, pp.1-61.
    October 31, 2021
    November 29, 2021
    December 28, 2021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