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6 No.1 pp.91-105
https://doi.org/10.12811/kshsm.2022.16.1.091

EMR 인증제 시행 후 상급병원 종사자들의 EMR 인증제 및 영향에 대한 인식

박 초열‡
동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fter Implementation of the EMR Certification System the Perception of Tertiary Hospital Employees on System and Impact

Cho-Yeal Park‡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Dongseo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certified medical institution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certification system.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918 workers in eight tertiary hospitals.


Results:

Awareness of the EMR certification system was highest for the occupation of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manager who directly prepares and manages the EMR certification and low in other occupations.


Conclusion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EMR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certification acquisition of the medical institutions for which one works, the greater the effect on trust and communication between departments and education is considered necessary.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인구 구조, 질병의 변화 등 의료서비스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1].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개인의 생활 패턴과 사회 및 조직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고[2], 보건 의료분야 또한 많은 변화와 영향을 주었다. 1990년대 초반에 처방 전달 시스템(Order Communication System, OCS), 1990년대 후반에 의료 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PACS) 중심의 병원 정보 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었 고[3], PACS와 OCS는 EMR과 연동함으로써, 의료 정보화가 활발히 이루어졌다[4].

    이러한 시스템을 바탕으로 국가적 차원의 의료 정보화 추진을 위하여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s) 시스템의 도입 및 발전에 대한 노력이 가속되면서, 현재 상당 수준까지 진행 되고 있다[3]. EMR의 도입으로 환자 대기시간의 감소, 정보저장의 편의성, 환자기록에 대한 의료인 의 접근 용이, 정보의 다양한 활용, 비용 절감 등 가치가 상당하다[5]. 의료정보화의 발전은 환자 진 료서비스의 질적 향상, 의료정보 활용 및 연구, 정 보 공유 및 표준화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핵심 구실을 하기 위해서는 의무기록 의 전산화, 즉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도입 및 정착 이 필요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전자의무기록(EMR)이란 환자의 모든 진료 정보를 포함한 정보화 체계의 기반 시 스템으로[6], 한 개인의 전 생애에 걸친 건강상태 와 진료 정보가 전자화된 상태로 유지되는 정보의 총체를 뜻한다[7]. 또한, EMR은 임상 및 의학연구 를 원활하게 하고 정보의 접근성을 향상하며, 의학 적 의사결정을 지원하여 병원을 경영하고 관리하 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표준화 된 의료정보 공유를 통한 정보화 체계와 전자건강 기록의 실현에 기반이 되는 시스템이다[8]. 따라서 환자의 진료행위 중 발생한 업무상 자료를 전산을 기반으로 입력하고, 정리하고, 보관하는 시스템을 통칭하는 것이다[9]. 특히 전자의무기록은 현재 개 별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병원 정보시스템, 임상 정 보시스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의료정보 데이터 베이스, 보건 의료 정보망, 그리고 의학 지식 기반 의 구축 등에서 가장 핵심적인 하부 구조를 이루 며[3], EMR 기반의 환자기록은 직접적 환자 진료 와 진료의 질 측정, 연구와 교육, 경영을 위해 사 용될 것이다[10]. 또한, 정부가 국가 보건 의료정보 화 사업의 하나로 추진 중인 전자건강기록 (Electronic Health Records, EHRs) 사업으로 인하 여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의 중요성이 한층 더 부각 되고 있다[3]. 하지만 전자건강기록 시스템을 수립 하기 위해선 전자의무기록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이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구축의 당위성을 의미하는 것[11]이기 때문에 전자의무기록의 특징 적인 특성을 잘 파악해야 한다. 특성이라고 한다면 신속하고 통합된, 그리고 정확한 환자 정보를 제공 하여 기록 관리 및 열람이라는 기본 역할에 있어 종이 의무기록을 능가한다는 것이고, 종이 의무기 록으로서는 불가능한 부분이었던 지식 자원과 임 상 결정 지원이라는 축적된 자료에 대한 지식 정 보를 실시간에 제공하는 것을 들 수 있다[3]. 전자 의무기록 시스템 도입 후 사용자 만족도를 알아보 는 것은 보건의료서비스의 질 향상 및 병원 운영 의 효율성을 위해 필요하다[12]. EMR을 사용하였 을 때 데이터 관리 효율이 향상하고 투약 오류가 감소하며 특히 예방 분야와 관련한 측면에서 정보 시스템을 도입할수록 효율이 높아진다[13]. [4]의 문헌연구에서 보면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사용자의 만족도와 직무 스트레스 간의 연관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전자의무기록시스템 기능 및 성능에 대한 만족도, 전자의무기록시스템 표준화 및 정보 활용 에 대한 만족도, 전자의무기록시스템 도입으로 인 한 업무 만족도에 대한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만족 도가 높아질수록 사용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낮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정보시스템의 성공적인 개발과 도입의 주요변수로 사용자의 만족도와 태 도가 시스템의 경제적, 기술적 측면 못지않게 중요 한 측면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최근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8]. 의료에 관한 시 스템이 점차 발전함에 따라 병원에서 비전 제시와 장기 전략 계획 수립 및 업무의 효율과 경영 혁신, 진료서비스 개선 등의 목표를 고려할 때 병원 정 보화는 중요한 인프라 중 하나로 간주하여 효율적 인 정보화 추진과 시스템 운영의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하였다[13].

    최근 건강보험 제도가 확대 시행되면서 의료이 용률이 급증하고, 의료서비스 질에 관한 관심이 함 께 증가하면서[14] 전자의무기록의 중요성과 함께 인증제 또한 강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국내 전자 의무기록시스템에 대한 평가, 즉 전자의무기록 인 증제는 빅데이터와 AI 시대를 맞아 의료정보 활용 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그 필요성이 더욱 강 조되고 있다[18]. 국내 EMR 인증제도는 2020년 6 월 1일부터 시작되었고, EMR 인증제도에 실시에 대한 논문은 전무하며, EMR 인증을 통과한 의료 기관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 분석을 실시한 연 구는 본 연구가 유일무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0년 6월 ~ 2021년 5월까지 1차연도에는 인증을 받은 대학병원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진 행한 설문을 분석하여 인증 후의 인식에 대한 연 구와 더불어 EMR 인증제도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 자의 인식도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향후 인증제 도의 단·장기발전 방안을 살펴보고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능에 대한 국가적 표준과 적합성 검증을 통해 진료 정보 상호운용성 확보 및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1) 전자의무기록 인증제도의 이해

    (1) 전자의무기록 인증제도

    우리나라는 전자의무기록인증제를 2020년 6월 1 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인증제 는 환자 안전과 진료 연속성 지원을 목적으로 국 내 전자의무기록시스템에 대한 국가적 표준과 적 합성 검증을 통해 업체의 표준제품 개발을 유도하 여 시스템의 상호호환성 확보 등 품질 향상으로 의료소비자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이다. 인증은 한국보건의료 정보원에서 시행하며, 인증제의 인증 기간은 3년이 다.

    (2) 전자의무기록 인증제의 목적

    인증제의 추진 목적은 세 가지 관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국민 관점으로 보았을 때 표 준화된 전자의무기록 기반으로 의료진과의 의사소 통 향상과 환자 진료기록의 변경 이력 관리 등이 강화되어 진료기록에 대한 신뢰성 향상, 그리고 의 료정보의 정보보안 수준을 높여 개인정보 유출 및 보안사고 방지가 목적이다. 두 번째, 의료기관 관 점으로 보았을 때 안전하고 체계적인 정보관리를 통한 환자 진료의 연속성 확보와 투약 경고 등 임 상 의사결정 지원 강화, 의료정보의 이력 관리 등 으로 안전하고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가능하게 하 는 게 목적이다. 세 번째로는 산업계 관점으로 보 았을 때 각 의료기관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대한 중복 개발 및 인력 투입 방지를 통한 비용 절감과 품질 향상,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품질 기준에 국 가가 인정함에 따라, 시장의 품질 요구 대응이 목 적이다. 이 세 가지의 관점에서 공통적인 목적은 전자의무기록시스템 기능에 대한 국가적 표준과 적합성 검증을 통해 진료 정보 상호운용성 확보 및 품질을 향상하는 것이다.

    (3) 전자의무기록 인증 신청 주체 및 인증 종류

    전자의무기록 인증은 두 가지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의료정보업체 또는 의료기관에서 개발한 전 자의무기록시스템이 인증기준에 부합함을 인증하 는 것인 제품인증, 의료기관이 제품인증을 받은 전 자의무기록시스템을 인증기준과 관련된 기능의 변 경 없이 사용하고 있음을 인증하는 사용인증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품인증과 사용인증을 동시에 신 청할 수도 있는데 인증대상으로는 자체 개발한 전 자의무기록시스템과 의료기관을 인증하는 것이다.

    (4) 전자의무기록 인증기준

    전자의무기록 인증을 위한 인증기준으로는 기능 성(Functionality),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보 안성(Safety&Security)이 있다. 기능성(Functionality) 은 62개의 기준이 있고, 진료 정보를 생성, 관리하 기 위해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성능 으로 주요 내용으로는 진료기록 생성, 저장, 관리 등의 필수기능 적용 여부와 임상 의사결정 등과 같은 의료서비스와 연관된 선택기능을 심사하는 것이다.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은 10개의 기준 이 있고 두 개 이상의 전자의무기록시스템, 또는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컴포넌트 간에 정보를 교환하 고 정보를 활용하는 성능을 상호운용성이라고 한 다. 주요 내용으로는 의료기관 사이에 진료 정보교 류가 가능하도록 보건복지부 진료 정보교류표준에 서 요구하는 기능의 적응 여부를 심사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보안성(Safety&Security)은 14개의 기준 이 있고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자체적인 관리, 물 리, 기술적인 보안과 개인정보보호 성능을 보안성 이라고 한다. 보안성의 주요 내용으로는 전자의무 기록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보안, 외부보관제품에 대한 기술적, 관리적, 물리적 보안 여부와 개인정 보 보호법 등의 준용 여부를 심사하는 것이다[15].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을 도입한 병원 중 인증제도, 인증기준에서 인증을 받은 상급종합병원 에서 전자의무기록(EMR)을 사용하는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행정직에 종사하는 의료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에 겐 연구의 목적과 개인 비밀 보장 및 연구 이외의 목적에는 사용하지 않을 것을 설명하였고, 이에 동 의한 대상자들이 설문 조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 에서 사용된 내용과 연구방법에 관해서는 D 대학 교 IRB 심의위원회 심의번호(1041493-A-2021-008) 를 받았다.

    2. 연구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 8월 1일부 터 10월 31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EMR 인증 1차연도에 인증을 통과한 10개 상급종합병원 중 수도권과 경남, 부산에 소재한 8개의 상급종합 병원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EMR 인증제에 대한 설문조사 참고문헌은 전무하 며, 일개소의료기관을 대상, 혹은 일부 지역의 의 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선행논문에서는 의료기관당 40~50건의 전국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였 으나, 본 연구는 연구자료 수집에 있어 1주기 EMR 인증을 받은 수도권, 경상 및 부산권의 상급 종합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의료기관 당 50건 ~ 200건 이상 상이하게 진행이 되었다. 연구 대상자 대상 연구설명서를 제시하여, 연구 목적에 동의를 구한 후 설문지와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 여 조사하였으며, 종이 설문지 총 820부를 배부하 여 817부를 회수하였고, 온라인 설문지는 101부 수 집되어, 총 91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3. 분석변수

    본 연구에서 EMR 인증을 조사한 연구 변수는 첫째, 인증제도 인식 5문항(EMR 인증제도에 대해 알고 있다, 우리 병원이 EMR 인증받은 것을 잘 알고 있다, EMR 인증 이후 업무의 질이 개선되었 다, EMR 인증 이후 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졌다, EMR 인증제도의 필요성을 알게 되었다), 둘째, EMR 인증 후의 영향 4문항(EMR 인증 후 EMR 시스템에 대한 신뢰감이 향상되었다, 부서 간 의사 소통이 원활해졌다, EMR 인증으로 인한 스트레스 가 증가하였다, EMR 인증 후 병원 간의 진료 연 속성이 개선되었다), 셋째, EMR 인증 후 시스템 보완사항 4문항(속도개선, 검색 기능, 다양한 입출 력 기능, 사용법 및 설명)이다. 이 13개의 문항은 5 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은 성별, 연령(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 교육 수준(전문대졸 이하, 4년제 졸업, 대학원수료 이 상), 직종(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보건의료정보관 리사, 행정직), 근무 년수(3년 미만, 3-5년 미만, 5-10년 미만, 10-20년 미만, 20년 이상), 결혼 여부 로 조사하였다.

    4. 연구도구

    본 연구의 도구는 EMR 인증을 위한 인증기준 의 3항목을 설문지 문항으로 사용하였으며, 모든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 ”매우 그렇다(5점) 까지 Likert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 수록 인식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신뢰도는 “EMR 인증제도 인식”의 5문항의 Cronbach’s alpha는 평균 .874, “EMR 인증 후 내 부 요인”항목에 대한 Cronbach’s alpha는 평균 .728로 양호하였다.

    5. 분석 방법

    설문 조사된 자료를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EMR 인 증제도에 대한 인식’, ‘EMR 인증 후 영향에 대한 인식’, ‘EMR 인증 후의 보완 사항 인식’에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t-test 및 ANOVA, Scheffe 사후분 석을 실시하였다. ‘EMR인증 후의 영향’은 다중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검증은 유의수준 p=.05 로 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성별은 남자가 33.8%(310명), 여자가 66.2%(608명) 로 나타났고, 연령은 20~29세가 29.5%(271명), 30~39세가 32.8%(301명), 40~49세가 25.6%(235명), 50세 이상이 12.1%(111명)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전문대 이하(2, 3년제 포함)가 9.0%(83명), 대졸이 63.5%(583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원 이 상은 27.5%(252명)이었다. 직종은 의사가 11.5%(106명), 간호사는 34.3%(315명), 의료기사는 16.3%(150명), 보건의료정보관리사는 14.1%(129명), 행정직은 23.7%(218명)이었다. 결혼 여부는 기혼이 50.2%(461명)로 가장 많았고, 미혼은 49.8%(457명) 로 나타났다. 근무년수는 3년 미만 17.5%(161명), 3 년~5년 미만은 12.9%(118명), 5년~10년 미만은 29.4%(270명), 10년~20년 미만은 20.8%(191명), 20 년 이상은 19.4%(178명)로 나타났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KSHSM-16-1-91_T1.gif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EMR 인증제도 인식

    일반적 특성에 따른 EMR 인증제도에 대한 인 식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Recognition of the EMR certification system

    KSHSM-16-1-91_T2.gif

    ‘EMR 인증제도에 대해 알고 있다’는 평균 3.34 는 나타났다. 성별로는 차이가 없었고, 연령이 높 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근무 년 수가 길수 록 인식도가 높았다(* p<.05, ** p<.01). 직종별로는 보건의료정보관리사가 4.3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 로 행정직 3.45였으며, 간호사 3.19, 의사 2.87과 의 료기사 2.99가 가장 낮았다(** p<.01). 결혼상태는 기혼이 3.55로 미혼 3.13보다 높았다(** p<.01).

    ‘귀하 병원이 EMR 인증받은 것을 알고 있다’의 평균은 3.58이었다. 성별로는 차이가 없었고, 연령 이 높을수록, 대학원수료 이상, 근무년수가 길수록 인식도가 높았다(** p<.01). 직종별로는 보건의료정 보관리사가 4.5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행정직 3.71, 간호사 3.39였으며, 의사 3.21과 의료기사 3.16이 가장 낮았다(p<.01). 결혼상태는 기혼이 3.75 로 미혼 3.40보다 높았다(p<.01).

    ‘EMR 인증 이후 업무의 질이 개선되었다’의 평 균은 3.30이었다. 성별로는 차이가 없었고, 연령 50 대 이상에서, 근무년수가 길수록 인식도가 높았다 (p<.01). 직종별로는 보건의료정보관리사가 3.57과 행정직 3.48이 가장 높았고, 간호사 3.36, 의료기사 3.24였으며, 의사가 2.47로 가장 낮았다(p<.01). 결 혼상태는 기혼이 3.47로 미혼 3.12보다 높았다 (p<.01).

    ‘EMR 인증 이후 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졌다’의 평균은 3.24이었다. 성별로는 여자가 3.32로 남자 3.07보다 높았고, 연령 50대 이상에서, 근무 년 수 가 길수록 인식도가 높았다(p<.01). 직종별로는 의 사가 2.43으로 가장 낮았다(p<.01). 결혼상태는 기 혼이 3.36으로 미혼 3.12보다 높았다(p<.01).

    ‘EMR 인증제도의 필요성을 알게 되었다’의 평 균은 3.37이었다. 성별로는 여자가 3.44로 남자 3.23보다 높았고, 연령 50대 이상에서, 근무 년 수가 길수록 인식도가 높았다(p<.01). 직종별로는 보건의료정보관리사 3.68, 행정직 3.48, 간호사 3.39 로 높았고, 의료기사 3.19였으며, 의사가 2.92로 낮 았다(p<.01). 결혼상태는 기혼이 3.52로 미혼 3.22 보다 높았다(p<.01).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EMR 인증 후의 영향에 대한 인식

    일반적 특성에 따른 EMR 인증 후의 영향에 대 한 인식은 <Table 3>과 같다.

    <Table 3>

    Impact recognition of the EMR certification system

    KSHSM-16-1-91_T3.gif

    ‘EMR 인증 후‘EMR 시스템에 대한 신뢰감이 향 상되었다’의 평균은 3.49이었다. 성별로는 여 자가 3.56으로 남자 3.34보다 높았고, 연령 50대 이 상에서, 근무년수 20년 이상에서 인식도가 높았다 (p<.01). 직종별로는 보건의료정보관리사 3.80으로 가장 높았고, 의사가 3.22로 가장 낮았다(p<.01). 결혼상태는 기혼이 3.59로 미혼 3.39보다 높았다 (p<.01).

    ‘부서 간 의사소통이 원활해졌다’의 평균은 3.23 이었다. 성별로는 여자가 3.32로 남자 3.05보다 높 았고, 연령 50대 이상에서, 근무년수 20년 이상과 3~5년에서 인식도가 높았다(p<.01). 직종별로는 의 사가 2.87로 가장 낮았고, 간호사가 3.35로 가장 높 았다(p<.01). 결혼상태는 기혼이 3.30으로 미혼 3.15 보다 높았다(p<.01).

    ‘EMR 인증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증가하였다’의 평균은 3.12이었다. 성별과 연령 , 근무년수 별로는 차이가 없었다. 직종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결혼상태는 기혼이 3.21로 미혼 3.04보다 높았다 (p<.01).

    ‘EMR 인증 후 병원 간의 시스템 상호운용성’의 평균은 3.45이었다. 성별로는 여자가 3.51로 남자 3.32보다 높았고, 연령 50대 이상에서 높았다 (p<.01). 직종별로는 간호사 3.51로 가장 높았고, 의사가 3.18로 가장 낮았다(p<.01). 결혼상태는 기 혼이 3.46으로 미혼 3.43보다 높았다(p<.01).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EMR 인증 후의 보완 사항 인식

    일반적 특성에 따른 EMR 인증 후의 보완사항 인식은 <Table 4>와 같다.

    <Table 4>

    Matters to be supplemented after the EMR certification

    KSHSM-16-1-91_T4.gif

    EMR 인증 후 시스템에 대해 보완해야 할 점 중 ‘속도개선’의 평균은 3.68이었다. 대학교 이상의 교육수준에서 요구가 높았고(p<.01), 근무년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p<.05). 직종별로는 보 건의료정보관리사가 3.36으로 다른 직종보다 낮았 다(p<.01).

    ‘검색 기능’보완의 평균은 3.49이었다. 성별로는 여자가 3.53으로 남자 3.41보다 높았고(p<.05), 연 령 50대 이상에서 높았고, 3년 미만에서 낮았다 (p<.01). 직종별로는 의료기사가 3.57로 가장 높았 고, 다음으로 간호사 3.57, 행정직 3.45였고, 의사 (3.14)와 보건의료정보관리사(3.33)는 낮았다(p<.01).

    ‘다양한 입출력 기능’ 보완의 평균은 3.53이었다. 성별로는 여자가 3.57로 남자 3.45보다 높았고 (p<.05), 연령 50대 이상, 대학교 졸업 이상에서 높 았고, 근무 년수 별로 차이가 있었다(p<.01). 직종 별로는 의사가 3.32로 다른 직종보다 낮았다 (p<.01).

    ‘사용법 및 설명’ 보완의 평균은 3.46이었다. 연 령 50대 이상에서 높았다(p<.01) 근무 년 수와 직 종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5. EMR 인증 후의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EMR 인증 후의 영향 3개 항목에 대한 다중회 귀분석은 <Table 5>와 같다.

    <Table 5>

    Multiple regression on the impact perception of the EMR certification system

    KSHSM-16-1-91_T5.gif

    ‘EMR 시스템에 대한 신뢰감이 향상되었다’를 종속변수로 시행한 다중회귀 분석의 모형은 유의 하였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490이었다.

    여성에서 신뢰감이 높았고(β=.084,p<.01), 보건 의료정보관리사보다 간호사 (β=.-.085, p<.05)과 행 정직(β=.-.085, p<.05)에서 낮았다. 근무년수 3년 미 만보다 3~20년은 낮았다(p<.05, p<.01). EMR 인증 제도를 잘 알수록(β=.114,p<.01), EMR 인증 후 업 무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느낄수록(β=.163,p<.01), EMR 인증 후 업무 효율성이 높아졌다고 느낄수록 (β=.206,p<.01), EMR 인증 후 EMR 필요성을 알게 되었다고 느낄수록 (β=.320,p<.01) EMR 신뢰도가 높았다.

    ‘부서 간 의사소통이 원활해졌다’를 종속변수로 시행한 다중회귀 분석의 모형은 유의하였으며 모 형의 설명력은 .330이었다.

    여성(β=.101,p<.01), 50대 이상β=.120,p<.01)에서 높았고, 근무년수 3년 미만보다 5년 이상에서 낮았 다(P<.01). 보건의료정보관리사보다 간호사(β=.151, p<.01)과 의료기사(β=.082, p<.05)에서 높았다. 미 혼보다 기혼에서 높았다(β=.075, p<.05).

    EMR 인증 후 업무 효율성이 높아졌다고 느낄 수록(β=.362,p<.01), EMR 인증 후 EMR 필요성을 알게 되었다고 느낄수록 (β=.192,p<.01) EMR 시 행 후 부서 간 의사소통이 원활해졌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인증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증가하였다’를 종속 변수로 시행한 다중회귀 분석의 모형은 유의하였 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047이었다. 보건의료정보관 리사보다 의료기사(β=.121, p<.05)에서 높았으며, 미혼보다 기혼에서 높았다(β=.097, p<.05). EMR 인 증제도를 잘 알수록(β=.135,p<.05), 인증 후 업무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느낄수록(β=.186,p<.05) 인증으 로 인한 스트레스가 증가하였다.

    다중회귀분석에 앞서 다중공선성을 진단한 결 과, 공차한계(Tolerance)는 0.1이상이었고, 분상팽창 계수(VIF)는 10을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다중공 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Ⅳ. 고찰

    본 연구에서는 2020년 6월부터 시행된 EMR 인 증제를 바탕으로 1차년도에 인증을 받은 상급종합 병원 근로자 중 EMR을 이용하는 의사, 간호사, 의 료기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행정직을 대상으로 EMR 인증을 받은 후, 업무변화에 대한 직종별 인 식도, 인증 후 영향에 대한 인식, 일반적 특성에 따른 EMR 인증 후의 보완사항 인식, EMR 인증 후의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인증받은 전 산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상급종합병원 의료기관 종 사자들을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이용 인증 후의 인식도 변화를 조사하여, 인증제도의 이용에 대한 여러 의견을 수렴하여 향후 인증제도의 단· 장기발전 방안을 살펴보고 전자의무기록시스템 기 능에 대한 국가적 표준과 적합성 검증을 통해 진 료 정보 상호운용성 확보 및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는 시행되 었다.

    EMR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도는 EMR을 이용하 여 처방을 입력, 수정하는 의사가 평균 2.99로 낮 은 인식도를 보였고, 보건의료정보관리사가 4.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병원에서 직접 EMR 인 증제도를 준비하고 인증을 진행하는 중심 부서로 활동하고 있으며, 보건의료정보팀, 의료정보팀의 직군인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이므로 EMR 인증제에 대한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반면, EMR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의사, 간호사의 직군에서 낮은 결과를 보여 EMR 인증제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중요성에 대한 홍보를 확대할 필 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EMR 인증제도 자체에 대한 인식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 수록, 근무 년 수가 길수록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EMR 인식도 및 만족도를 연구한 Kang의 연구[1]에서도 학력이 높을수록, 근무 년수 가 길수록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EMR 인 증제도에 대한 인식 정도와 EMR 자체에 대한 인 식 정도가 비슷한 결과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MR 인증을 받은 것을 알고 있는 인식도 문항에서도 인증제 준비에 직접 연관이 되어있는 보건의료정보관리사에서 4.59로 높게 나타났으며, 의사는 2.4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의료기관 인증평가 통과 시 의료기관에 곳곳에 인증통과 마 크 표기 및 홈페이지 작성 등 다양한 홍보로 활용 되고 있으나, EMR 인증제는 시범사업으로 시행되 고 있는 현시점에서 EMR 인증제 통과에 대한 의 료기관 자체의 교육 및 홍보도 상당히 부족한 현 실이며, 향후 의료정보원과 보건복지부 차원의 홍 보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EMR 인증 후 업무 의 질 개선, 업무의 효율성, 인증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평균은 3.24 ~ 3.37로 전체적으로 낮은 평균 을 보였으며, 의사 직군에서 2. 43 ~ 2.92로 가장 낮은 결과로 나타났다. 직접 EMR을 이용하는 의 사들은 EMR 인증 이후 업무의 개선, 효율성, 필요 성 등에 대한 인식도가 낮은 결과를 보이는 것은 EMR 및 EMR 인증제도에 관한 관심 자체가 떨어 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바쁜 환자 진료업무로 인한 결과 및 EMR 인증제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한 교육 및 홍보 부족으로 사료된다.

    인증 이후 업무의 질 개선, 효율성 향상, 필요성 인식 등의 인식도는 보건의료정보관리사 가 3.33 ~ 4.5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EMR 인증을 준 비하며 인증제도의 필요성과 중요성, 신뢰감이 다 른 직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받는 것 으로 사료된다.

    EMR 인증 후 내부요인에서 신뢰감 향상(3.49), 부서 간 의사소통 원활(3.23), 스트레스 증가(3.12) 의 결과로 신뢰감은 상대적으로 향상되었지만, 스 트레스 증가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EMR을 사용은 하지만, EMR 인증 제도 자체에 대한 인식도가 낮고, 인증제도 평가를 준비하는 부서가 일부 부서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인증 후 스트레스 증가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 다고 판단된다. 부서 간 의사소통의 원활에 대한 인식도는 간호사가 3.35로 높게 나타났고, 의사는 2.87로 가장 낮은 결과로 나타났다. Choi et al.[17] 의 대학병원 EMR 시스템 사용자 만족도를 조사한 연구에서는 EMR 업무 효율성에 대한 만족도에서 의사의 경우 동 직종, 타 직종과의 의사소통 원활 에 대한 만족도가 3.46 ~ 3.53, 간호사의 경우 3.59 ~ 3.63등의 결과로 나타났으나, 본 연구는 EMR 인 증 후 영향을 나타내는 연구로 EMR 사용 자체에 대한 인식도와 및 EMR 인증 후 사용에 대한 인식 도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MR 인 증 후 시스템 상호운용성의 평균은 3.45로 높게 나 타났으며, 간호사가 3.5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의 사는 3.18의 결과로 타 병원의 연계 및 진료 정보 교류 부분에서는 EMR 인증 후 간호사의 업무 개 선에 영향을 가장 많이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적 특성에 따른 EMR 인증 후의 보완사항 인식에 대한 평균은 속도개선 3.68로 가장 높았고, 사용법 및 설명이 3.46으로 가장 낮은 결과로 나타났다. 대다수 응답자가 속도개선 보완에 대한 개선의 결 과가 높게 나타난 결과는 Park의 연구[16]에서도 시스템의 속도를 높여 EMR의 안정화에 더욱 이바 지하고 환자 대기시간을 줄일 필요성을 논의한 바 있으며, 직종별 EMR을 사용할 때 불편사항이 없 도록 의료정보통신에 대한 보완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EMR 인증 후의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 분석에서는 첫째 신뢰감 향상은 남성보다 여성, 보 건의료정보관리사보다 간호사, EMR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도, 업무 효율성,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EMR 시 스템에 대한 인식도가 높을수록 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지는[2][16][17]의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EMR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도 가 높을수록 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도는 현재 인증을 준비하는 관련 직종인 보건의료정보관리의 직종에 서 높은 결과로 나타나 향후 의료기관의 직종별 혹은 업무별 홍보 및 교육이 대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이 대두된다. 인증 후 부서 간 의사소통 원 활에 대한 영향이 높은 것은 연령에서는 성별은 여성, 50대 이상, 근무 년 수는 3년 미만 5년 이상, 간호사, 기혼에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 며, EMR 인증 후 업무 효율성이 높다고 느낄수록, 필요성을 알게 되었다고 느낄수록, 부서 간 의사소 통이 원활해졌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는 신뢰감 향상과 같은 결과로 나타났다. 인증으로 인한 스트 레스 증가는 다중회귀 분석의 모형은 유의하였고, 보건의료정보관리사보다 의료기사 직종에서, 미혼 보다 기혼, EMR 인증제도를 잘 알수록, 업무의 질 이 향상되었다고 느낄수록 인증으로 인한 스트레 스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설명력은 다소 떨어진 .047로 나타났다. 이는 EMR 인증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증가한 부분에 대하여 성별, 연령별, 직종별로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부분으로 해 석할 수 있다.

    제한점으로는 첫째, EMR 인증제 시행 후 인증 받은 의료기관이 대부분 상급종합병원으로 설문 대상이 상급종합병원의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종사 자로 되어있어 후속연구 시 확산할 필요성이 대두 된다. 둘째, 설문 조사 진행 시 서울, 수도권을 비 롯하여 COVID-19 확진자의 확산으로 설문 조사의 어려움이 발생하여 지역별 균등한 설문 조사가 진 행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EMR 인증제의 확대 및 발전을 위한 조직화한 협조체계의 도모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론

    본 연구는 2020년 6월부터 시범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EMR 인증제도 시행 후, 인증을 통과한 의료 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인증 제 시행 1년 차, 즉 2020년 6월부터 2021년 5월까 지 인증을 받은 의료기관이 대부분 상급종합병원 급이며 그 중 수도권, 경남, 부산 8개 의료기관에 서 설문을 진행하여 연구하였으나, 현재 EMR 인 증제 시행 후 진행된 연구는 전무하며, 인증을 통 과한 의료기관 종사자의 인식도 조사 또한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EMR 시스템에 대한 논문과 비 교·분석하여 고찰을 진행한 점에 제한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종합병원, 병원급으로 확산하여 의료기관별, 직종별, EMR 인증제도의 기능별로 비 교 분석하여 EMR 시스템뿐만 아니라 EMR 인증 제도 시행 및 발전 방향 제시에 있어서 뒷받침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EMR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도는 EMR 인 증을 직접 준비하고 관리하는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직종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직종에서는 낮은 인식도를 보여 EMR 인증제도에 대한 교육 및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둘째, EMR 인증 후 내부요인에 대한 영향인 신 뢰감 향상, 부서 간 의료소통 원활, 병원 간의 상 호운용성 개선의 항목에서는 전체적으로 간호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반 면에 의사는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EMR 시스템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의사 직군에서 인식도를 높일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EMR 인증 후 보완사항에서는 속도개선, 입출력 기능, 검색 기능, 사용법 및 설명 순으로 나타나 EMR 시스템 사용에 대한 선행논문에서도 속도개선에 관한 결과가 높게 나타난바, 보건의료 정보통신에 대한 발전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넷째, EMR 인증제도 및 근무하는 의료기관의 인증 획득에 대한 인식도가 높을수록, 신뢰감, 부 서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이 높게 나타나, 의 료기관 인증제와 함께 EMR 인증제도에 대한 보건 복지부 산하 공공기관 차원에서의 전폭적인 홍보 및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EMR 인증제도, 목적, 필요성에 대해 보건의료정보관리 사뿐만 아니라 병원에 종사하는 다양한 직종에 홍 보의 필요성 및 인증제도의 인식도, 만족도를 향상 시켜 갈 필요성을 강조하고, 인증제도의 부족한 부 분과 현장 종사자들이 보완해야 할 점으로 요구한 속도개선 같은 의견을 수용하고, 정기적인 홍보와 교육을 통해 병원마다 EMR 인증제도 인식도 관리 가 필요할 것이며, 인증제도의 중요성을 증강할 수 있는 제도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의료를 제공하는 의료진이나 종사자뿐만 아니라, 주 고객 인 환자들에게도 EMR 인증을 받은 의료기관에서 신뢰감을 가지고 믿고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도 록 EMR 인증제도의 재정비 및 발전을 위해 관련 정부산하기관의 재정적인 지지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Recognition of the EMR certification system
    Impact recognition of the EMR certification system
    Matters to be supplemented after the EMR certification
    Multiple regression on the impact perception of the EMR certification system

    Reference

    1. K.A. Hong, J.Y. Oh, K.H. Um, S.M. Kim(2009),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EMR System Users'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EMR Systems Operated by Large-Scale Hospitals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3(2);76-86.
    2. J.S. Kang, S.J. Kim, W.J. Kim(2015), 'The Autonomy, Nursing Performance based on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EMR System for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9);6061-6070.
    3. E.S. Lee(2012),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Nurses with Electronic Medical Records in General Hospitals',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pp.1-60.
    4. S.M. Go(2010), ‘User satisfaction and job stress of health care workers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Master's thesis, Koryeo University, pp.1-55.
    5. J.H. Kim, T.K. Kwon, Y.G. Won, J.J. Kim(2010), 'The Development of Patient-Accessible EMR System',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s, Vol.14(3);595-602.
    6. E.A. Cho, M.S. Kim, K.H. Kim(2009),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among nurses of a Local hospital', Health & Nursing, Vol.21(2);1-11.
    7. Y.J. Jeun(2013), 'EMR System and Patient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3);213-224.
    8. S.J. Kwak(2013), 'A Study on the Awareness,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of Nurse Using EMR System',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pp.1-61.
    9. H.Y. Yoon(2006),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and Work Performanc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Video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Master's thesis, Koryeo University, pp.1-93.
    10. S.Y. Kim(2011), 'An empirical study on user perception and user satisfaction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ystem: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user in a general hospital',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pp.1-89.
    11. K.H. Wang(2006), 'Survey on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in Korea',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pp.1-79.
    12. K.A. Hong(2008),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User Satisfaction i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pp.1-72.
    13. K.B. Yoo(2011), 'Effects of EMR and CDSS on hospital performanc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pp.1-85.
    14. C.Y. Park(2020), 'Factors related to the medical use behavior of the elderly exceeding the upper limit of their own burden',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Busan, pp.1-122.
    15. https://emrcert.mohw.go.kr/index.es?sid=a1
    16. U.J. Park(2011), 'Study for Improvement of the Doctor’s Satisfaction and Completeness of the Medical Record in the EMR System',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ol.16(2);19-30.
    17. E.Y. Choi, Y.S. Chang, H.J. Chin, E.J. Chung, N.S. Byeun, D.H. Yoo, S.N. Bae, K.S. Ha(2006), ‘User’s Satisfaction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Vol.12(1):45-55.
    18. S.Y. Sin, Introduction of a certification system to upgrade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HIRA Policy trends., Vol.12(3);17-23.
    February 7, 2022
    March 18, 2022
    March 23, 2022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