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6 No.2 pp.111-118
https://doi.org/10.12811/kshsm.2022.16.2.111

우리나라 청소년의 COVID-19로 인한 가정경제악화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장 혜영1, 김 소영2
1서영대학교 응급구조과
2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Effects of Household Financial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on Korea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Hye Young Jang1, So-Yeong Kim2
1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Seoyeong university
2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eterioration of the household economy due to COVID-19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Methods:

Using data from the 16th Adolescent Health Behavior Survey (KYRBS), 2020,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54,948 adolescents. We evaluated the deterioration of household economic conditions and suicidal thoughts due to COVID-19 through subjective, non-face-to-face online interview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overall prevalence of suicidal thoughts in the study population was 10.9%. People whose household economy deteriorated due to COVID-19 had more suicidal thoughts than those whose economy did not deteriorate. Worse (aOR=1.548, 95% CI=1.437 –1.667, very worse (aOR=2.489, 95% CI=2.242–2.763) based on no economic deterioration.


Conclusions:

Rather than relying on self-reports of suicidal ideation due to COVID-19, objective measurement and research is needed on this subject.



    Ⅰ. 서론

    OECD 국가 간 연령표준화자살율 비교에 따르 면 OECD 국가 자살 평균은 11.9명으로 나타났으 며 그 중 한국은 23.0명으로 OECD 국가 평균의 2 배 정도로 나타나 심각한 자살율을 보이고 있다 [1]. 또한 한국은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청소 년의 자살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함에 따라 더 심 각한 사회적 문제로 여겨진다[2]. 청소년기는 성인 으로 접어드는 과도기적 성장기로 정신적으로 급 변화를 보이는 시기이며,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 는 사회이슈로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청소년 의 자살 원인으로는 자존감 낮거나 절망감, 생활 속 스트레스, 부정적인 가족관계 등의 다양한 정신 건강 원인이 제시되고 있으며 각 각의 개별요인보 다는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 4].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SARS-cor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한 팬데믹 상황은 전 세 계적으로 혼란을 가져 왔으며[5],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의 유행이 지속됨에 따라 확진자 뿐만 아 니라 일반 대중까지 불안감과 공포, 무기력감, 외 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같은 심리문제를 야 기하고 있다[6, 7]. 국내의 정신건강 실태조사에 따 르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 virus disease 19, COVID-19)이 유입된 이후 9개월 시점 에서 유의한 수준의 우울과 불안감이 각 22.1%, 18.9%로 나타났으며[8], COVID-19 유행 전의 우울 고위험군이 3.9%였던 것과 비교한다면 크게 증가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COVID-19라는 감염병 자체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 역시 정신건강을 위협하 는 주요 원인이 된다. 그 예로 심리적 어려움은 개 인 수준의 맥락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고용, 실업, 그리고 그에 따른 빈곤과 같은 광범위한 사회 경 제적 요인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9], 이 처럼 COVID-19 상황은 경제적인 스트레스, 사회 적 고립, 정신건강 개입 서비스에 대한 장벽을 유 발하므로, 다양한 측면에서 자살률을 증가시킨다는 근거가 제기되고 있다[10]. 또한, 정신건강이 악화 될 경우 개입에 대한 의료서비스가 활용되어야 하 지만 COVID-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로 인해 필 요한 정신건강 개입을 받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 여[5] 자살생각까지 이르게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VID-19로 인한 가정경 제 악화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COVID-19가 자살률에 미 치는 잠재적인 경제영향을 파악하는 근거를 제공 하고자 시행되었다. 또한 COVID-19로 인한 가정 경제악화가 청소년의 정신건강의 악화를 최소화하 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본 연구는 2020년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청소년 건강행태온 라인조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행태를 파악하 기 위해 흡연, 음주, 비만, 정신건강 등 다양한 건 강행태 현황과 추이를 파악하는 조사이며, 전국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되는 전국단위 통계조사이다.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는 2020년 4월을 기준으로 전국 중고등학교 재학생을 목표모집단으로 하여 모집단 층화, 표본배분, 표본 추출과정을 거쳐 총 17개 시도의 117개 층화 800 개 학교 대상으로 총 57,925명을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의 최종 대상자는 주요변수의 결측값을 제외 한 54,948명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2. 조사 변수

    1) 결과변수

    대상자의 자살생각은 “최근 12개월간 동안, 심 각하게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었습니까?” 라는 질 문을 이용하여 자살생각을 파악하였으며 응답은 “없다”, “있다”로 분류하였다.

    2) 독립변수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남성, 여성), 학년 (중1, 2, 3, 고1, 2, 3), 학업성적(상,중,하), 가구경제 상태(상,중,하), COVID-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 (매우 그렇다, 그렇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전혀 그렇지 않다)을 파악하였다. 또한 건강관련특성은 현재 흡연 여부(비흡연, 흡연), 현재 음주 여부(비 음주, 음주), 최근 1주일 간 60분 이상 신체활동(신 체활동 한다, 안한다), 주관적 행복(매우행복, 약간 행복, 보통, 약간불행, 매우불행), 피로회복(충분, 보통, 충분하지 않음), 슬픔&절망 경험(없다, 있다), 외로움(전혀, 거의, 가끔느낌, 자주 느낌, 항상느낌) 을 파악하였다.

    3. 분석방법

    자료 분석은 SPSS 26.0 (IBM Corp., Armonk, NY, USA)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는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의 복합표본설계에 따라 복합표본분석방법(complex sampling analysis)을 활용하였다. 복합표본 설계요 소를 적용한 분석법을 사용하기 위해 군집은 집락 변수(Cluster), 계층은 층화변수(strata), 분석변수에 적합한 가중치를 지정하기 위한 표본가중값은 가 중치변수(W)를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복합표본 빈도분석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은 Pearson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이 수정된 Rao-Scott 카 이제곱검정을 시행하여 확인했다. 또한, COVID-19로 인한 가정경제악화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파 악하기 위해 복합표본설계 단변량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 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 <.05로 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특성

    본 연구 대상자는 총 54,948명으로 남성 51.9%, 여성 48.1%이었다. 청소년의 가구 경제 상태는 상 39.9%, 중 47.5%, 하 12.6% 였으며, COVID-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는 매우 그렇다 5.8%, 그렇다 24.2%, 그렇지 않은 편이다 39.9%, 전혀 그렇지 않 다 30.1%였다. COVID-19로 가정경제가 악화된 경 우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약 30% 정도였다 <Table1>.

    <Table1>

    Gemeral characteristics

    KSHSM-16-2-111_T1.gif

    2. 대상자의 건강관련특성

    건강관련 특성을 살펴본 결과 현재 흡연자는 43.2%, 현재 음주자는 31.9%, 신체활동 하는 경우 60.9%이었다. 우울감을 느끼는 경우 25.2%였으며, 자살 생각이 있는 경우 10.9%로 나타났다<Table2>.

    <Table2>

    Health Status Characteristics

    KSHSM-16-2-111_T2.gif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 유무를 비교한 결 과는 다음과 같다<Table3>. COVID-19로 인해 가 정경제가 매우 악화된 청소년은 자살생각 없다 5.2%, 자살 생각 있다 10.2%로 나타났으며, 성별, 교육수준, 학교성적, 가구소득 등에 따라서도 자살 생각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able3>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KSHSM-16-2-111_T3.gif

    4.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

    건강관련특성에 따른 자살생각 유무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4>. 최근 12개월 동안 2 주 이내 슬픔과 절망을 경험한 학생에서 자살 생 각 없다 19.4%, 자살생각 있다 72.3%로 나타났다. 외로움을 항상 느끼는 학생에서 자살생각 없다 1.5% 였지만 자살생각 있다 13.7%로 나타났다.

    <Table4>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health characteristics

    KSHSM-16-2-111_T4.gif

    5. 우리나라 청소년의 COVID-19로 인한 가정 경제 악화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리나라 청소년의 COVID-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Table5>, 가정 경제가 변화가 없는 학생을 기준 으로 없는 편에서 1.173배(95%CI 1.094-1.257) 자살 생각이 높았으며, 악화된 편이다 1.548(95%CI 1.437-1.667), 매우 악화된 편이다 2.489배(95%CI 2.242-2.763)로 높게 나타나 가정경제가 악화될수록 자살 생각의 위험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Table5>

    The Effects of Household Financial Difficulties due to COVID-19 on suicidal ideation

    KSHSM-16-2-111_T5.gif

    Ⅳ. 고찰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COVID-19로 인 한 가정경제 악화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파 악하기 위해 제16차(2020)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 사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복합표본분석을 실시하였 다.

    연구 결과 COVID-19로 가정경제가 매우 악화 된 경우가 5.8%, 악화된 편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24.2%로 우리나라 청소년의 약 30% 정도가 COVID-19로 가정경제가 악화된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의 가정의 가정경제 변화가 전 혀 없는 경우보다 가정경제가 악화되는 경향을 보 일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낮은 경제적 수준이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선행연구[11]와 비슷한 결과 이다. 또한, 최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 르면 빈곤계층의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66.4명 으로 평균 자살률의 2.73배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12].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가정경제상 태에서 빈곤층으로 악화됨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 으로 인한 자살생각이 높아졌을 것으로 사료되며 빈곤층의 자살에 관한 요인통제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COVID-19로 인한 피해는 여성, 노인, 장 애인, 저소득층 등 전통적인 사회적 취약계층에서 더 치명적일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는 선행연구 결 과에 따르면 재난 상황이 장기화 됨에 따라 고용 불안정성의 심화로 인한 경제적 여파는 부모의 생 계 부담의 가중[13]에 영향을 주어 경제적 취약계 층 청소년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 된다. 가족의 경제적 압박은 부모의 우울증과 관련 되고 이것이 부모의 적대적 행동 및 신체적 학대 로 이어져 경제악화는 청소년의 자존감과 우울증 에 영향을 미쳐 자살 충동을 일으킬 수 있다[14].

    청소년기는 개인적, 가정적, 사회 환경적인 다양 한 요인들에 의해 충동적 행동이 촉진될 수 있는 시기로써 자살시도가 높은 시기인 만큼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현재 우리 사회는 전례 없는 재난 상황에서 취약계층에 대한 더 큰 피해가 예견됨에 따라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 생각을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어느 때보 다 필요할 것이며 성장하는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보호를 위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 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단면조사 연구로 연구결과 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선후관계를 명확히 하기 어렵다는 점이 있다. 또한 자기기입식 설문방법으로 시행되었으므로 대상자가 이롭다고 생각되는 방향으로 편향되어 답변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청소 년을 대상으로 한 조사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우리 나라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대변할 수 있다는 점에 서 큰 의의가 있다. 향후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우 리나라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평가하고, 개선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Ⅴ. 결론

    본 연구는 2020년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의 COVID-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를 파악하고, 가 정경제 악화와 자살생각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COVID-19로 인한 가정경제가 악화되었 다고 느끼는 경우 자살 생각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존의 가정경제상태에서 빈곤층으 로 악화됨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으로 인한 자살 생각이 높아졌을 것으로 사료 되며 빈곤층의 자살 에 관한 요인통제 및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Figure

    Table

    Gemeral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Characteristics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health characteristics

    The Effects of Household Financial Difficulties due to COVID-19 on suicidal ideation

    Reference

    1. Statistics Korea(2018), Cause of death. Daejeon.
    2. H.J. Shin, I.J. Chung, S.A. Lee, H.Y. Lee, J.Y. Park(2014),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suicide plans and suicide attempts in adolescence,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Vol. 27(1);25-50.
    3. J.J. Kim, G.P. Cho(2011), The effect of stress and stress-coping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nd plan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2(1);301-314.
    4. H.Y. Kang, K.H. Yang(2013), Path analysis on variables of suicide ideation in the adolescent: Focusing on depression and self-concept,"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4(1);539-554.
    5. M.S. Lee, S.H. Han, J.Y. Kang, J.B. Kim(2021), The Effects of Household Financial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on Suicidal Tendencies of Adolescents: Application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ol. 22(2);1-14.
    6. S. Sood(2020), Psychological effects of the Coronavirus disease-2019 pandemic, Research &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Vol. 7(11);23-26.
    7. M.Y. Sim(2020), Psychological effects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95(6);360-363.
    8. Korean Society of Traumatic mental health survey(2020), COVID-19 mental health survey; second half of 2020, pp. 10-13
    9. M.H. Brenner, D. Bhugra(2020), Acceleration of anxiety, depression, and suicide: secondary effects of economic disruption related to COVID-19, Frontiers in psychiatry, Vol. 11(1);1422.
    10. M.A. Reger, I.H. Stanley, T.E. Joiner(2020), Suicide mortality and coronavirus disease 2019— a perfect storm?, JAMA psychiatry, Vol.77(11);1093-1094.
    11. H.S. Park, S.A. Hong(2019), Gender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the suicide ideation of adolescents-based on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46(3);47-57.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9), Korea Suicide Prevent Center Whitebook for Suicide Prevention, pp. 162-163.
    13. S. Pascale, H, Aline, A.B. Danielle, A. Carla, A. Randa, S, Hala(2020), Mental health outcomes of the COVID-19 pandemic and a collapsing economy: perspectives from a developing country, Psychiatry research, Vol. 294(1);113520.
    14. K.A. Yoder, D.R. Hoyt(2005), Family economic pressure and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application of the family stress model.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Vol.35(3);251-264.
    November 12, 2021
    February 7, 2022
    April 18, 2022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