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6 No.3 pp.25-38
https://doi.org/10.12811/kshsm.2022.16.3.025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구조모형 : 사회적 교환관계와 일터학습을 중심으로

김 영숙1, 주 명진2, 홍 진영3, 김 선녀4
1고신대학교 간호학과
2고신대학교병원
3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4동명대학교 간호학과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Nursing Work Performance : Social Exchange and Workplace Learning Theories

Young-Suk Kim1, Moung-Jean Ju2, Jin-Young Hong3, Seon-Nyeo Kim4
1College of Nursing, Kosin University
2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3Departments of Nursing,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4Departments of Nursing, Tongmyong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test a hypothetical model of nursing work performance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and workpalce learning theori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any analyzed from 201 nurses working at seven hospitals in Kyeong-Nam Province from June 22 to July 16.


Results:

The goodness-of-fit of the final model was good(χ²/df=2.68, SRMR=.06, GFI=.88, AGIF=.82, IFI=.93, RMSEA=.09) and seven out of nine model paths were supported. Nursing work performance wa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by TMX and indirectly affected by LMX and planned learning. In particular, it was directly affected by unplanned learning.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46% of nursing work performance.


Conclusions:

Nurses work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unplanned learning and TMX.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MX and implemen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Ⅰ. 서론

    1. 연구필요성

    병원에서 간호조직은 병원경쟁력의 핵심적인 중 요원천이며 환자만족도와 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조직이다[1]. 간호사가 환자 간호와 관련된 역할과 책임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간호업 무성과라고 한다[2]. 간호사의 업무성과향상은 의 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환자의 질병 경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과 동시에 간호사의 이직 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 이러한 결 과를 토대로 의료기관은 간호사의 업무성과를 향 상하기 위해 보수교육, 신규간호사의 프리셉터제 도, 교육전담간호사 등의 형태로 일터에서의 학습 을 진행하고 있다[3,4]

    일터학습(Learning at work)이란 일터에서 이루 어지는 모든 형태의 지식습득을 의미하며 개인이 일터환경과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직무수행에 필요한 역량을 형식적, 무형식적, 우연적 형태로 습득하는 과정이다[3]. 일터학습은 학습 전 계획의 여부에 따라 계획학습(형식학습)과 비계획학습(무 형식학습, 우연학습)으로 구분하기도 한다[5][6][7]. 간호사가 환자안전과 근거기반 실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이론과 정보 중심의 계획적 학습이 필요하 고 계획학습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부분은 비계획 학습(무형식, 우연학습)으로 보완한다[3]. 간호사들 은 다양한 일터학습을 자신에 대한 투자로 인식하 여 조직에 대한 의무감과 책임감을 느끼게 되어 조직에 몰입하고 개인의 업무성과를 향상하며 동 시에 조직구성원 간에 신뢰감을 높여 조직의 효과 성도 높인다[4]. 간호조직에서 수행되는 대표적인 일터학습은 간호사 직무교육, 보수교육, 프리셉터 교육 등이 있고, 병동 단위의 일터학습은 집담회, 오리엔테이션, 멘토링, 코칭 등이 있다[4][6]. 일터 학습은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습득할 수 있 음으로 일터학습에는 직장 내에서 원활한 사회적 관계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8].

    직장 내 사회적 교환망(Workplace Social Exchange Network: WSEN)은 조직 내에서 발생하 는 교환관계를 뜻하며 간호업무성과의 중요한 영 향요인이다[1][9]. 간호사는 입사와 동시에 리더-구 성원 간의 위계적인 관계(LMX)와 동료들 간의 수 평적인 관계(TMX)를 동시에 맺는다[1]. 간호조직은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관계 지향적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팀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 한 팀 단위 업무와 관계 지향적 문화는 응급상황 에서 혼란을 줄이고 맡은 바 임무에 따라 간호 수 행할 때 효율적인 팀워크를 형성한다[10]. 간호사 는 관리자와 동료 간호사의 관계 형성을 통하여 학습을 익히고 사회화되어 숙련된 건강관리 제공 자가 될 수 있다[9]. 사회적 교환관계는 대상에 따 라 리더-구성원 교환단계(Leader-Member Exchange: 이하 LMX)와 팀-구성원 교환관계 (Team-Member Exchange: 이하 TMX)로 구분된다 [1][9].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일터학습과 사회적 교환관계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최근 간호조직 내의 관계 수준 및 일터학습에 관한 연 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리더-구성원 간의 위계적 관계의 수준인 LMX만을 측정한 연구가 대부분이 며[10] TMX와 LMX 그리고 일터학습을 동시에 분 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현대의 간호사는 팀 내의 다양한 분야의 팀 구성원들 간의 수평적 소통 및 협업이 중요한 직무의 하나이므로 단순히 간호조직 내 관계를 리더와의 교환관계로만 설명 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10]. 선행연구에서도 일 터학습의 요인들인 멘토링, 학습조직화, 간호사의 보수교육과 간호조직 사회적 교환관계 모두 간호 업무성과에 영향요인이였다[110][11][12]. 따라서 간호인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형식교육, 비형식교육, LMX, TMX 중 어떤 순서로 관리를 하는 것이 가장 효율 적인지 알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서도 간호업무 성과는 여러 요인에 의해 복합적인 영향을 받게 되며, 개인적, 조직적 차원의 영향요인을 동시에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에서 간호사의 사 회적 교환관계와 일터학습정도의 관계와 각각의 하부요인인 TMX, LMX, 형식교육, 비형식교육의 종합적인 경로를 파악하여 간호사의 효율적인 일 터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간호업무성과를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자 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를 설 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적합도를 검증하 여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들의 직·간접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3. 연구의 개념적 기틀 및 가설적 모형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직장 내 사회적 교환 망의 모형[9], 일터학습이론[13]을 바탕으로 구성하 였다. 사회적 교환관계, 일터학습, 간호업무성과에 대한 관계를 포괄적으로 밝힌 연구를 찾기 어려웠 기에 선행연구에 사용된 변수들의 관계를 분석하 여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였다.

    먼저 사회적 교환관계는 조직에서 발생하는 교 환관계를 뜻하며 사회적 교환관계 모형의 하부요 인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팀 구성원 교환 관계(TMX)가 있다. 선행연구에 많이 사용된 개념 은 LMX이며 신뢰, 존중, 의무를 기반으로 형성된 리더와 구성원 상호 간의 교환관계를 의미한다. LMX는 관계형성과 동시에 구성원들에게 후원적, 위임적, 참여적 행동을 유도하여 구성원들이 조직 의 성과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14]. 선행연구에서 는 간호조직은 팀으로 업무를 수행하기에 조직의 지원이 활발하고 상사와의 관계가 좋다고 하여도 팀원들과의 관계가 원활하지 않다면 업무를 수행 에 어려움이 따른다고 하였다[8]. 더불어 LMX와 TMX는 동시 분석을 할 때 설명력이 더 높아짐으 로 간호업무성과를 연구할 때에는 TMX와 LMX를 함께 검증할 필요가 있다[9].

    일터학습은 일터에서 개인, 조직 및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직무수행 역량을 습득하는 관계 적 학습이기에[13] 사회적 교환관계의 수준이 일터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교환관계를 외생변수로, 일 터학습을 내생변수로 경로를 설정하였다. 일터학습 은 3개의 성격이 다른 학습인 형식학습, 무형식학 습, 우연학습으로 구성되는데 무형식학습과 우연학 습은 많은 부분에서 유사하기에 대부분의 선행연 구에서는 학습전 계획의 여부와 학습 과정에서의 자기 주도성을 기준으로 계획학습(형식학습)과 비 계획학습(무형식·우연학습)으로 구분한 연구가 많 았다[5][6]. 본 연구에서도 형식학습을 계획적 학습 으로, 무형식학습과 우연학습을 비계획학습으로 분 류하여 용어를 통일하여 사용하였다.

    종합하면 사회적 관계는 일터학습과 간호업무성 과의 영향요인이며 일터학습 역시 간호업무성과의 영향요인이기에 일터학습이 사회적 교환관계에 매 개역할을 하여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 로 경로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2 개의 외생변수(LMX, TMX)와 3개의 내생변수(계획 학습, 비계획학습, 간호업무성과)로 제시하였다 <Figure 1>.

    <Figure 1>

    Theoretical framework and hypothetical model

    KSHSM-16-3-25_F1.gif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회적 교환이론과 일터학습이론을 토대로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모형의 적합도 및 가설을 검정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

    2. 연구 대상

    대상자는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상급종합병원 4곳, 종합병원 3곳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이다. 선행 연구에서 간호사의 직위는 간호업무성과의 영향요 인이기에 책임간호사와 수간호사를 제외한 일반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하였다[1]. 구조방정식에서 가장 일반적인 추정법은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ML)로서 일반적으로 200명이다[15]. 이 에 본 연구에서는 200명 이상이 응답할 때까지 온 라인 설문을 진행하여 201명이 설문에 응답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은 없어 최종 대상자는 201명이었다.

    3. 자료수집 방법과 윤리적 고려

    본 연구의 설문은 간호업무성과에 대한 자가 평 가 및 대상자와 수간호사 그리고 동료와의 관계의 평가 등의 민감한 설문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 경우 의료기관의 간호부를 통하여 서면 설문지 를 배포한다면 대상자는 동료 혹은 수간호사가 있 는 공간에서 작성함으로 솔직하지 않은 응답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온라인 설문이 적합 하다고 판단하였다. 하지만 선행연구[16]에서 무작 위로 선정한 온라인 설문의 경우 응답률이 21.4% 이하로 낮게 보고되어서 필요한 대상자의 수를 확 보하기 위하여 의료기관 간호사 8명을 연구보조원 으로 사용하여 눈덩이 굴리기 방법(Snowball method)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연구보조원에게 조사절차와 대상자의 기준에 관하여 교육했고, 연 구보조원이 대상자에게 직접 연구목적을 설명 후 동의한 자에게 간호단위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혹은 E-mail 에 설문조사의 URL 주소를 링크하여 배포하였다.

    자료조사 기간은 2020년 6월 22일부터 7월 16일 까지로 설문 조사 첫 페이지에 온라인 동의서를 수록하여 조사의 목적, 대상자, 방법, 이득과 손실, 익명성 보장, 자료의 보관과 폐기 등에 대한 설명 서를 읽게 하였고 동의를 한 경우에만 응답이 시 작되도록 고안하였다. 설문조사를 마친 대상자에게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개인 식별이 가능한 항목을 수집하지 않았고, 온라인으로 수집된 자료는 암호화된 상태로 전송 되며 개별 응답 자료가 응답자에게 역 추적되지 않는 Google survey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하는 대상자의 보호를 위해 K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KU IRB 2020-0021) 의 승인을 받 은 후 조사를 시작하였다.

    4. 연구도구

    자료수집을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 다. 연구 도구는 원저자 또는 번역자로부터 도구사 용에 대한 허락을 득한 후 사용하였다. 각 측정 도 구의 타당도 확보를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와 표준화 회 귀계수(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 SRW)가 .40 이하인 개별 관측변수는 제거하였다[15].

    1) 일터학습

    일터학습은 Rowden[12]이 개발하고 Lim & Lee[17]가 수정 보완한 일터학습 도구를 사용하였 다. 일터학습은 3개의 하위영역에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항목은 Likert 5점 척도로 점수 가 높을수록 일터학습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일터학습을 계획학습(형식학습)과 비계획학습(무형 식학습, 우연학습)으로 분류하였다.

    (1) 계획학습

    계획학습은 단일 잠재변수에 단일 관측변수이기 에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실무학습(1,2,3번 문항)과 일반학습(5,6번 문항)으로 2개의 하위요인 으로 구분하고 CFA결과 SMC가 .4이하인 4번 문 항을 삭제하였다. 전체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72 이고 하위요인인 실무학습 .60, 일반학습 .74으로 나타났다.

    (2) 비계획학습

    우연학습은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단일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무형식학습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 여 주요 특징인 상호작용학습(7~9번 문항)과 경험 및 성찰학습(10~14번 문항)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 구에서는 신뢰도는 Cronbach’s α= .89 이며, 하위 요인인 우연학습(6문항) .72 상호작용학습(3문항) .68, 경험 및 성찰학습(5문항) .87으로 나타났다.

    2) LMX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Linden & Maslyn[14] 이 개발하고 Kim[18]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7점 척도로 응답점수가 높을수록 리더 구성원 교환관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하며 총 4개 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당시 Cronbach's α는 .89이며 Kim[18]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96였다.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정서 적 유대감 .95, 충성 .94, 공헌 .72, 전문적 존경 .95 이였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95 이며, 하위영역은 정서적 유대감(3문항) .97, 충성(3 문항) .97, 공헌(2문항) .63, 전문적 존경(3문항) .97 이었다.

    3) TMX

    팀구성원 교환관계는 Seer et al.[19]이 개발한 도구를 Im[8]이 국내상황에 맞게 신뢰도와 타당도 를 검증하고 수정하고 보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TMX는 개발 당시에 하위영역 없는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어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측정항목을 바탕으 로 하위영역을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TMX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후 선행연구[20]의 분류 법을 적용하여 2개의 하위영역으로 분류하였다. SFC결과 SRW가 .5이하인 1개 문항(1번), SMC가 .4이하인 1개 문항(2번)을 삭제하였다. 하위영역은 서로의 인격을 존중하며 업무를 대하는 태도인 ‘신 뢰 및 존중’(1,3,4,5,6번 문항), 협동하여 업무를 처 리하려는 연대의식인 ‘공동체 의식’ (2,7,8,9,10번 문항)이다. 개발당시의 신뢰도 Cronbach’s α .83이 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87, 하위요인인 신뢰 및 존중 (4문항) .78, 공동체 의식 (4문항) .84 이었다.

    4) 간호업무성과

    간호업무성과는 Ko et al.[2]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4개의 하위영역으로 총 17문항 4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Likert 5점 척도로 점 수가 높을수록 간호업무성과가 좋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FC 수행 후 SMC가 .4이하인 1개 의 문항(수행태도 8번)을 제거하여 총 16문항을 이 후 분석에 적용하였다. 개발 당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92이며 업무수행능력 .88 , 수행태도 .81, 간호업무수준향상 .76, 간호과정적용 .68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는 .92이며 간호업무 수행태도(7문항) .72, 간호업무 수행능력 (3문항) .90, 간호과정 적용(3문항) .76, 간호업무 수 준향상(3문항) .81이었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특성

    대상자는 모두 직급이 없는 일반 간호사로 평균 연령은 32.3세이며 30대가 96명(47.8%)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은 여성 185명(92%)이 대부분이며 미 혼 128명(63.7%)이 많았으며 학사(71.6%)출신의 병 동(51.2%)근무자가 대부분이였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4.81년이며 5년 이상(54.7%) 근무자가 가장 많았으며, 현재 부서경력은 평균 3.58년이며 1~3년 (30.3%)이 가장 많았다<Table 1>.

    <Table 1>

    General participant characteristics (N=201)

    KSHSM-16-3-25_T1.gif

    2. 측정변수의 기술통계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성 검증

    대상자의 비계획 학습 정도는 평균 3.15점(1~5점 범위), 계획학습은 2.98점(1~5점 범위), TMX는 평균 3.78 (1~5점 범위), LMX는 평균 4.03 (1~7점 범위), 간호업무성과는 평균 3.84 (1~5점 범위)로 나타났다. 모든 측정변수의 정규성 검정결과 본 연구에 사용된 변수의 왜도값의 범위는 -1.18~0.54, 첨도값의 범위 는 -.79~.33으로 왜도값 2, 첨도값 7을 넘지 않아 자 료의 정규성 가정을 만족하였다[15].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잠재요인의 평균분산추출 (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는 .62~.86이며 개 념신뢰도(Construct Reliability, CR)가 .86~.94으로 나타나서 집중타당도의 기준치인 AVE .5이상, CR .7으로 집중타당도를 확인하였다. AVE값이 상관계 수 -.39~.66의 제곱값 보다 커서 구성개념에 대한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모든 측정 변인 들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부분의 측정변수의 상관계수의 절대값은 r= .10~.83 (p<.05) 으로 절대값 .9이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Table 2>.

    <Table 2>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measurement model (N=201)

    KSHSM-16-3-25_T2.gif

    3. 가설적 모형과 수정모형의 적합도 검증

    본 연구의 간호업무성과의 가설적 모형 적합지수 는 χ²/df=2.68, SRMR=.06, GFI=.88, AGIF=.82, IFI=.93, RMSEA=.09로 양호한 수준으로 판단하였 으나 모델의 적합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정지수 (Modification Index, MI)를 기준으로 변수 간 공분 산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어 형식 학습의 일반학습과 무형식학습의 상호작용학습의 측정오차 간에 공분산을 설정하였다. 수정모형의 적 합도는 χ²/df=2.05, SRMR=.06, GFI=.91, AGIF=.86, IFI=.96, RMSEA=.07로 산출되었다. 적합도 지수들 은 수정모형의 수용기준을 충족하며 수정모형이 가설적 모형보다 타당하여 수정모형을 본 연구의 최종모형으로 확정하였다.

    4. 수정모형의 추정계수의 유의성 검정

    수정모형의 분석 결과, 9개의 경로 중 7개가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 계획학습정도에는 LMX(SRW=.35, p=001), TMX(SRW=.30, p=002)가 유의한 정적 영향 을 보였다. 비계획학습정도에는 LMX(SRW=.29, p=001), TMX(SRW=.14, p=009), 계획학습(SRW=.66, p<.001)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 다. 간호업무성과에는 TMX(SRW=.49, p=001), 비계획 학습(SRW=.63, p=.038)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LMX(SRW=-.11, p=.466), 계획 학습(SRW=-.39, p=.061)은 간호업무성과의 영향요인 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2>.

    <Figure 2>

    Path diagram for the modified model

    KSHSM-16-3-25_F2.gif

    5. 수정모형의 효과 분석

    수정모형에서 내생변인에 대한 직접효과, 간접 효과 및 총효과는 다음과 같다<Table 3>.

    <Table 3>

    Standardized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of the modified model

    KSHSM-16-3-25_T3.gif

    계획학습 정도에 LMX(SRW=.35, p=001), TMX(SRW=.30, p=002)는 유의한 정적 직접효과가 나타났으며, 변수들 의 설명력은 32.0%이었다.

    비계획 학습에 대한 LMX는 총효과(SRW=.29, p=001)로 정적 직접효과(SRW=.29, p=001)와 계획학 습을 매개로 한 정적 간접효과(SRW=.23, p=001)가 있고, TMX는 총효과(SRW=.33, p<001)로 정적 직접 효과(SRW=.14, p=009)와 계획학습을 매개로 한 정적 간접효과(SRW=.20, p=002)가 있고, 계획학습은 (SRW=.66, p<.001)로 유의한 정적 직접효과를 나타냈 으며 비계획학습에 대한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86.2% 로 나타났다.

    간호업무성과에 있어 TMX는 간접효과(SRW=.09, p=.079)는 미미하였으나 유의한 정적 직접효과 (SRW=.49, p=.001)를 보였고 총효과는 (SRW=.59, p<.001)로 나타났다. LMX는 직접효과(SRW=-.11, p=.466), 총효과(SRW=.09, p=.394)로 유의하지 않았 으나 계획학습과 비계획 학습을 매개로 한 유의한 정적 간접효과(SRW=.19, p=.042)가 있었다. 계획학 습은 직접효과(SRW=-.39, p=.061), 총효과 (SRW=.02, p=.765)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비계획 학습을 매개로 한 유의한 정적 간접효과(SRW=.41, p=.033)가 있었다. 비계획 학습은정적 직접효과 (SRW=.63, p=.038)를 나타냈다. 간호업무성과에 대 한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45.7%로 나타났다.

    Ⅳ. 고찰

    본 연구의 결과 비계획학습과 TMX는 간호업무 성과의 직접영향요인이며, 계획학습과 LMX는 비 계획학습을 통하여 간호업무성과에 간접적인 영향 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 간호업무성과에 가장 큰 직접영향 요인은 비계획학습이였다. 선행연구에서도 무형식 학습의 참여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직무능력과 노 동생산성이 향상되었다[7]. 간호사의 경우 병원에 서 제공하는 계획적 교육훈련에서 제공하지 못하 는 부분을 비계획학습이 보완하여 의료서비스 질 을 향상시키고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3]. 비계획학습은 이직률을 감소시키는 영향력도 보임으로[1][7] 신규간호사의 프리셉터 기 간이 지난 후에도 지속적인 상사와의 대화, 회의참 가, 직장내 훈련, 코칭, 멘토링 등을 지속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비계획학습은 의료 기관이 비공식적인 학습조직등을 통하여 비계획학 습 환경을 제공하고, 개인의 학습을 지원하고, 학 습에 대한 보상 시스템을 마련할 때 높아짐으로[4] 병원내에도 이와같은 환경과 보상시스템을 활성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일터 학습을 계획학습과 비계획학습으로 구분하여 연구 를 진행하였는데 간호업무성과에 더 큰 영향력을 가진 변수는 비계획학습이였다. 선행연구에서도 직 무수행과 관련된 지식의 70% 이상이 비계획학습을 통하여 습득되며[21] 비계획학습은 계획학습보다 경력몰입, 조직몰입, 생산성 등에 영향력 높았다 [7][21].

    계획학습은 비계획학습에 강한 직접영향요인으 로 비계획학습에 완전매개하여 간호업무성과에 영 향을 미쳤다. 이론과 정보중심의 계획학습은 간호 사의 실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며[3] 비계 획학습의 업무의 역량과 노하우를 향상시킨다[21]. 계획학습은 비계획학습에 매우 강한 영향력을 행 사하지만 간호업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보이지 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일터학습은 성과에 주요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데 계획학습보다 비계 획학습이 의미가 있다는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 를 보였다[4][7][17]. 비계획학습은 타인을 관찰하고 학습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자기주도적이고 성찰 지향적인 학습활동을 하게 됨으로 조직성과에 더 욱더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였다[7]. 전 문직 종사자의 초기경력발전에 비계획학습은 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7]. 이상의 결과를 종합 하여 볼 때 계획학습이 선행되고 이를 보완하고 강화하는 비계획학습의 결과로 의료서비스의 질이 향상되어 간호업무성과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LMX, TMX로 구성된 사회적 교환관계가 일터 학습과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LMX는 간호업무성과에 직접 영향력 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매개변수인 계획학습, 비계 획학습에 TMX 보다 더 강한 영향을 보였고 이를 통하여 일터학습에 완전매개하여 간호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선행연구에서는 LMX의 질 이 향상되면 상사가 자신의 업무에 대한 권한위임 을 통해서 부하직원의 업무 관련 역량을 개발하고, 자신과 팀의 성과를 내기 위해서라도 자신이 신뢰 하는 부하직원의 역량개발에 개입한다고 하였다 [22]. 그리고 사회적 교환관계와 조직효과성의 회 귀분석 연구에서도 LMX (β=.48)가 TMX(β=.28)보 다 더 강한 영향력을 보였다[20]. 이는 LMX는 구 성원과 리더 사이에 존재하는 양자간의 교환관계 였다면 TMX는 팀구성원 전체간의 교환관계를 중 시하기에 교환의 대상이 LMX에 비하여 더 넓은 것과 관련지어 생각할 수 있다. 즉 LMX는 직접적 인 성과를 제공하지는 않지만 리더와의 깊은 교환 관계를 토대로 업무성과에 큰 영향을 보인다는 점 에서 중요한 변수라고 할 수 있다.

    간호업무향상에 두 번째로 강한 영향을 주는 요 인은 TMX이며 TMX-비계획-간호업무성과 경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비계획학습은 현장에서 수 평적인 관계에서 일어나기에[21] TMX가 좋을수록 비계획학습 정도도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팀 교환관계의 질은 조직성과에 기여도가 높다는 선 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19]. TMX와 간호업무성 과의 선행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어 호텔과 항공서 비스 분야의 선행연구와 비교를 하였다. 두 분야는 인적서비스 중심이 되며 팀으로 업무를 수행하며 이직률이 높다는 점에서 간호조직과 공통점을 가 진다, 두분야 모두 TMX는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23][24][25]. 이는 TMX가 높은 구 성원들은 상호 개방적 의사소통 및 상호 지원 정 보 교환 등을 바탕으로 개인적인 성과와 조직의 기능을 촉진하고 임파워먼트를 높여 팀의 성과를 향상할 수 있다고 하였다[23-25] 간호직 역시 팀교 환 관계의 질을 높인 후 비계획 학습을 시행한다 면 간호업무성과를 효율적으로 향상할 수 있을 것 이다.

    이상을 종합하여 보자면 당장의 효과가 보이지 않는 LMX와 계획학습은 비계획 학습의 기초가 되 어 간호업무 성과를 높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LMX는 비계획학습에 영향을 주어 간호업무성과를 간접적으로 촉진하고 TMX는 비계획학습과 간호업 무성과 모두를 향상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간 호조직에서는 리더는 LMX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전 문적 능력을 함양하고 리더 자질을 가져야 한다. 그리하여 부서의 간호사가 상사의 전문성을 존중 하며 간호사와 정서적으로 유대감을 가지게 될 때 일터학습이 촉진된다고 볼 수 있다.

    간호조직의 리더는 지속적으로 역량강화와 리더 십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의료기관에서 는 간호부서에 적합한 계획학습 프로그램 및 비계 획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지식의 유효기 간은 점점 짧아짐으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계획학습을 제공하고 참여를 장려하여 일터 학습의 이론과 기초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러한 계 획학습을 기반으로 비계획적 일터학습이 일어나도 록 간호단위에서도 언제든 질문하고 의견에 답할 수 있는 열린 분위기로 환경조성을 해야 할 것이 다. 가장 효과적인 무형식학습은 질의응답이다. 따 라서 간호사가 편히 질문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 성해 주고 주기적으로 토론과 지식을 나눌 수 있 는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일터학습과 사회적 교환관계 즉 두 개의 이론을 포괄하여 다각적인 관점에서 간호사 의 간호업무성과를 높이기 위한 이론을 구축하였 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지닌다. 본 연 구의 결과는 간호실무 현장에서 간호사의 학습에 있어서 선행되어야 할 요인들에 대하여 안내를 하 고 간호사의 학습방법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 것과, 그동안 연구가 부족했던 TMX와, 형식계획을 모형 에 포함시켜 측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간호업무성과를 정확히 측 정하는데 간호사의 주관적 인식을 조사하였다는 것과 일부지역의 종합병원 이상의 간호사를 대상 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일반할때는 신 중을 기해야한다. 추후 간호사의 성과를 측정함에 있어서 조금 더 객관적인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며, 간호사의 직급, 부서, 학력 등에 따라 대상자를 분 류하여 반복연구 해 볼것을 제안한다.

    Ⅴ. 결론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일 터학습이론과 직장내 사회적 교환망 모델을 기반 으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유 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최종모형은 간호업 무성과에 45.7%의 설명력이 있고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순서는 비계획학습, TMX로 직접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그 외 계획학습과 LMX는 간호업무성과에 완전매개하여 간접영향을 나타났 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조직의 리더인 수간호 사와의 교환관계 및 계획학습이 선행된 후 TMX를 통한 비계획학습을 적용한다면 간호업무성과 향상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 여 간호 전문직의 효율적인 학습과 이를 통한 학 문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 을 것이다.

    Figure

    KSHSM-16-3-25_F1.gif
    Theoretical framework and hypothetical model
    KSHSM-16-3-25_F2.gif
    Path diagram for the modified model

    Table

    General participant characteristics (N=201)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measurement model (N=201)
    Standardized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of the modified model

    Reference

    1. N.Y. Shin, S.Y. Yu, S.S. Kang, S.S. Lee, M.J. Park, D.T. Lee, S.M. Nam (2020), Influence of Nurse Manager and Peer Group Caring Behaviors as Perceived by Nurses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6(2);110-119.
    2. Y.K. Ko, T.H. Lee, J.Y. Im (2007),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Measurement Scale for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7(2);286-294.
    3. S.R. Yoon, E.N. Chung, E.N. Park, M.S. Jung, G.Y. Ko, J.H. Jang (2017), Influence of Workplace Learning, Job Satisfaction and Geriatric Nursing Practi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7(3);655~667.
    4. Y.H. Cho, W.J. Choi, B.M. Yang (2012), Learning Organization, Workplace Learning and Perceived Hospital Performance.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14(3);87-110.
    5. M. Eraut (2004),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Studies in Continuing Education. Vol.26(2);247-273.
    6. W.J. Rothwell, E.S Sanders, J.G. Soper (2007), Models for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0th Edition, ASTD, pp.8-121.
    7. Y.B. Shim (2016), The Impact of Informal Learning on the Firm Performance in Korean Small & Medium Companies: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transfer, Management & Economic Research Institute, Vol.40(2);77-100.
    8. J.H. Im (2010), Relationship between LMX(Leader-Member Exchange)/TMX(Team-Member Exchange) and Work-family Conflict: Based on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a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Job Security. Korea University master’s thesis.
    9. M.S. Cole, W.S. Schaninger, S.G Harris (2002), The Workplace Social Exchange Network: A Multilevel, Conceptual Examination.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Vol.27(1);142-167.
    10. K.N. Kang (2020), Structural Equataion Modelling of Nurses’s Turnover Intention based on Social Exchange(LMX-TMX),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 Committment –Rocused on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Korea University master’s thesis.
    11. S.Y. Jun, J.W. Han, K.H. Park, H.N. Lee (2018), The effect of mentoring function on job motivation and nursing performance with a focus on the mediated effect of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2(3);41-52.
    12. Y.M. Yun, M.S. Yoo (2017), Effects of Emotional Competence, Learning Organization, and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among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1(4);29-40.
    13. R. Rowden, S. Ahmad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Learning and Job Satisfaction in Small to Mid-sized Businesses in Malaysia.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Vol.3(3);307-322.
    14. R.C. Linden, J.M. Maslyn (1998), Multidimension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An Empirical Assesment through Scale Development. Journal of Management, Vol.24(1);43-72.
    15. J.P. Woo (2016),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cept and Understanding. Hannara Academy. pp.277-300.
    16. S.R. Porter, M.E. Whitcomb (2007), Mixed-mode contacts in Web surveys: Paper is not necessarily better. Public Opinion Quarterly. Vol.71(4);635-648.
    17. J.W. Lim, C. Lee (2010), The Relationship among Workplace Learning,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mall and Midium Businesse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42(4);223-248.
    18. Y.S Kim, (2016), Leader-member Exchange Influencing Hotel Employee Performance: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Affective and Cognitive Trust in Leader and Job Engagement. Sae-jong University master’s thesis.
    19. A. Seers, M.M. Petty, J.F. Cashman (1995), Team-member Exchange Under Team and Traditional Management: A Naturally Occurring Quasi-experiment.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Vol.20(1);18–38.
    20. J.N. Jung, S.J. Lee (2016), Effects of Worker Relationship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Geriatric Hospitals. Journal of Health Information and Statistics. Vol.41(3);261-269.
    21. T.J. Conlon (2004), A Review of Informal Learning Literature, Theory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 Developing Global Professional Competence.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Vol.28(2);283-295.
    22. J.H. Jun, S.J. Cho (2016), The Impact of LMX on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formal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18(3);87-113.
    23. B.H. Choi, H.M Park (2019), The Effect of Hotel Employees’ TMX on Organizational Trust and Turnover Intention. The Academy of Korea Hospitality & Tourism, Vol.21(4); 149-465.
    24. M.J. Ra, S.H. Ma, S.M. Rye (2022), The Effect of TMX and Performance via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Nunchi Perception and Behaviors. Korea Coporation Management Association, Vol.29(2);65-86.
    25. K.W. Kim (2021),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f Rural Community Employe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diation Effect of Empowerment and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12(2);1097-1110.
    July 22, 2022
    August 23, 2022
    September 8, 2022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