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6 No.4 pp.135-147
https://doi.org/10.12811/kshsm.2022.16.4.135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 직무의 중요도-수행도, 요구도 분석

김 유진1, 박 순미2
1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부
2진주보건대학교 사회복지과

Social Workers’Perceived Importance, Performance, and Needs Analysis of Tasks in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Yujin Kim1, Soon-Mi Park2
1School of Social Welfa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Division of Social Welfare, Jinju Health College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tasks in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and to identify their needs for job training and education related to their role as social workers.


Methods:

A nationwide survey of social workers in charge of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program, and 471 people responded. The corresponding sample t-verification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techniqu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Both perceived importance(M=4.40) and performance(M=4.16) were high in most tasks, and the level of perceived importance was higher than that of performance. Additionall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29 of the 35 tasks on verifying the difference in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asks. Finally, the IPA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four areas and organize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a strategic plan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curriculum that can improve the difference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task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돌봄의 사회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고령・ 독거노인의 증가, 가족돌봄의 약화 속에 2020년 중 앙정부 주도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라는 재가 노인 돌봄 사업이 출범하였다. 건강한 노화(healthy aging)와 지역사회에서 나이 들어가기(aging in place) 가치를 반영하고, 장기요양 등 고비용 돌봄 진입 예방을 위한 예방적 돌봄서비스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욕구에 맞춘 서비스 제공 을 통해 취약노인의 건강한 노후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된 것이다[1].

    2022년 상반기 기준,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전 국 650개 기관을 통해 약 48만 명의 노인에게 서 비스를 제공하고 있다[2].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취약 정도에 따라 대상자를 선정하는 본 사업의 이용자는 노화와 장애 정도 수준이 다양한 편으로 [3], 이들의 돌봄욕구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계 획하고 제공하는 일이 본 사업의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전담사회복지사는 이런 역할을 하는 주요 수행 인력으로 대상자 선정부터 서비스 제공계획수립, 재사정 등의 업무뿐 아니라 노인 이용자에게 일상 생활 지원 등의 직접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지원 사를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노인맞춤돌 봄서비스 사업안내에 전담사회복지사 채용 조건으 로 사회복지사업 4년 이상 경력자 채용 권장을 명 시할 정도로 이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1]. 실 천현장과 학계에서도 이들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높다. 기존 노인돌봄기본 사업 등의 시절에 사회복 지사의 역할이 주로 행정적인 업무에 초점이 있었 다면,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전담사회복지사는 취 약노인의 에이징 인 플레이스를 지원하는 사례관 리자의 역할이 커졌기 때문이다[4][5][6].

    기존 노인돌봄 사업에 비해 더욱 전문적인 역할 이 요구되는 만큼, 전담사회복지사가 그와 같은 역 량을 갖추도록 돕기 위한 직무교육이 매우 중요하 다. 기본 직무교육에도 불구하고, 많은 전담사회복 지사가 업무를 어려워하며, 노인 이용자와 가족 대 상 실천, 그리고 생활지원사 관리 등에서 많은 딜 레마를 겪으면서[5][7], 이들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 한 보다 깊은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4].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이 제대로 이루어지 기 위해서는 우선 전담사회복지사들이 본인의 직 무 내용을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즉, 노인맞춤돌 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 조사를 통해 향후 직무역량 향상, 유지, 개선 을 위한 자료 마련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이들이 실제로 요구하는 직무교육 내용이 무엇인지 탐색 하는 작업을 통해 직무교육 체계 및 내용을 개선 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는 전담사회복지 사 직무교육 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이자 직무 교육 요구분석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직무교육 요구분석이란 교육이나 학습을 통해 변화가능한 지식, 기술, 태도 등에서 직무자의 현재 수준과 직 무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역량 수준의 차이를 분 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8]. 이러한 직무교육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한 직무교육을 통해 직무역 량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9].

    본 연구에서 활용하는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은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하 여 그 차이를 파악하고, 직무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향후 직무교육에서 집중하고 보완해야 할 것을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11][12][13]. IPA 기법은 경영학뿐 아니라 교육 학, 심리학, 간호학 분야 등에서 활발히 적용되었 고, 사회복지 분야에서도 사회복지사 직무분석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실천역량 강화를 위한 제언들 이 이루어져왔다[14][15][16][17]. 노인돌봄 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 직무분석 관련 연구는 Bae et al.[6]이 기존 노인돌봄 사업 담당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직무분석과 교육요구를 분석한 것외에 아직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돌봄 의 중요한 축으로 등장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 담사회복지사의 직무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요 구도를 분석하고, 직무의 우선순위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 복지사의 직무 중요도 인식 및 수행도 차이를 분 석하고 직무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역량 향상에 필요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 및 체계적인 직무역량 강화교육 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첫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의 직 무의 중요도 수준은 어떠한가?

    • 둘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의 직 무의 수행도 수준은 어떠한가?

    • 셋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의 직 무의 중요도-수행도 차이 및 요구도 수준은 어떠한 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대상은 전국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 회복지사로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중 일반․중점 전담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국적으로 노 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기관을 광역시․도와 시․ 군․구 등 지역 규모별 구분하여 기관별 2~3명이 조사에 참여하도록 하였고, 총 471명이 조사 완료 하였다.

    자료수집은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였는데, 노 인맞춤돌봄서비스 교육 관리 홈페이지(배움터)에 로그인 후 구축된 설문 링크를 통해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전 조사 목적, 조 사 내용에 대한 안내를 확인하게 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였으며, 모든 참여자에게 참여 동의 를 받았다. 온라인 설문은 대략 15-20분 소요되었 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9월 13일(월) ~ 9월 16일(목) 동안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활용을 위해 연구진이 소속된 기관에서 연구윤리심의 심사를 거쳤다.

    2. 조사 내용

    본 연구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 직무의 중요도 인식 및 수행도 차이 분석 및 요 구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 사회복지사 직무는 2021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 업안내에서 제시하고 서비스를 기준으로 이를 직 무로 규정하기 위한 조작적 정의를 위해 우선 연 구진이 직무 문항에 대한 심층 검토를 하였고, 직 무 구성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위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 수행기관 현장 전문가 5명과 연구진이 총 3회에 걸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을 실시하였다. 그 과정에서 참여자의 의견이 최종 일치할 때까지 심층 논의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내 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도출된 노 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 직무는 크게 사 업관리 및 행정, 네트워크 및 자원연계, 대상자 지 원, 전문성 개발, 대상자 선정, 사정, 서비스 계획 수립, 서비스 제공, 서비스 점검 및 사후관리 등으 로 구분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업관리 및 행정 영역 7문항, 네트워크 및 자원연계 영역 4문항, 대상자 지원 1문항, 전문성 개발 2문항, 대상자 선정 4문 항, 사정 3문항, 서비스 계획 수립 5문항, 서비스제 공 2문항, 서비스 점검 및 사후관리 7문항 등 총 35개로 세분화되었다. 직무 중요도는 ‘거의 중요 하지 않음’ 1점에서 ‘매우 많이 중요함’ 5점, 직무 수행도는 ‘거의 수행하지 않음’ 1점에서 ‘매우 많이 수행함’ 5점의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직무 영 역별 척도의 신뢰도 Cronbach α값은 직무 중요도 측정에서는 .874, .876, .803, .922, .910, .910, .733, .902로 나타났고, 직무 수행도 측정에서는 .796, .794, .715, .918, .879, .803, .618, .852 등으로 나타 났다. 그 외 조사대상자 특성 파악을 위해 조사대 상자의 성별, 연령, 학력, 사회복지사 급수, 노인맞 춤돌봄서비스 근무 경력 등을 조사하였다.

    3. 자료분석방법

    회수된 설문자료를 SPSS 26.0 for windows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내용 은 기술통계 측면에서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연구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전담사회복지사 직무에 대해 전담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수행도 간의 유의미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 통계치와 대응표 본 t-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고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실시하였다. 나아가 직무 요구도를 파 악하기 위해 Borich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IPA 분석이 중요도-수행도 수준의 단순 차이값을 통해 우선순위를 도출하는데 비해 Borich 요구도 분석은 두 수준의 차이에 중요도 수준의 평균값을 곱함으로써 가중치를 부여하고 총 사례 수로 나누 어 요구 수준을 파악한다[18]. Borich의 요구도 공 식은 다음과 같다.

    요구도 = ( 중요도-수행도 ) × 중요도평균 전체 표본수

    4. 연구의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주저자가 속한 대학의 기관윤리생명 심의위원회의 승인(IRB No. 1 KNU-2021-0211)을 받은 후 진행하였다. 연구의 윤리적 수행을 위해 연구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진행절차를 설명 하였다.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대상자가 원하지 않 으면 연구에 대한 참여 의사를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어떠한 불이익도 없다는 것을 전달하였 으며, 수집된 자료의 내용은 연구의 목적으로만 사 용하고, 참여자의 개인정보는 비밀로 보장됨을 설 명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조사 대상자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 지사의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조사 참여자는 전체 471명이며, 성별은 여성이 90.2%, 남성 9.8%로 나타났다. 연령대는 40대 40.3%로 가 장 큰 비중을 차지 했으며, 50대 25.7%, 30대 17.0%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대졸 58.6%, 전문 대졸 30.8%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 자격증 급수는 2급 소지자가 70.5%, 1급 소지자는 29.5% 로 나타났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업무 종사 기간 최소 7개월, 최대 21개월 평균 16.53개월로 나타났 다<Table 1>.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N=471)

    KSHSM-16-4-135_T1.gif

    2. 전담사회복지사 직무 중요도-수행도 차이 분 석

    전담사회복지사 직무 중요도-수행도 분석 결과 첫째, 중요도는 모든 영역에서 4점 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전담사회복지사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을 위한 대부분의 직무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요도 인식이 가장 높은 직무 영역은 ‘대상자 선정’(M=4.66), ‘사 정’,(M=4.52), ‘서비스 계획’(M=4.47), ‘사업관리 및 행정’(M=4.45)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장 낮은 중요 도 인식 수준을 보인 영역은 ‘네트워크 및 자원연 계’(M=4.12), ‘서비스 제공’(M=4.29)으로 나타났다. 중요도 인식이 가장 높은 직무는 ‘대상자 선 정’(M=4.66) 영역으로, 세부 직무는 ‘신청자에게 노 인맞춤돌봄서비스 설명하기’(M=4.70), ‘서비스 상담 지 활용하여 신청자 상황 파악하기’(M=4.66) 순으 로 나타났다. 대상자 선정 영역 다음으로 중요도 인식이 높은 직무 영역은 ‘사정’, ‘사업관리 및 행 정’ 영역으로 구체적인 직무내용으로 ‘신청자의 욕 구 탐색하기’(M=4.63),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 파악하기’ (M=4.62)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장 낮은 중요도 인식 수준을 보인 직무 영역은 ‘네트 워크 및 자원연계’ 영역’이었으며, 구체적인 직무로 는 ‘노인맞춤돌봄협의체 심의 참석하여 안건 보고 하기’(M=3.92), ‘사후관리 하기’(M=3.99), ‘수행기관 간 실무협의회 운영하기 또는 참석하기’(M=4.00), ‘기타 전문성 개발하고 직무에 반영하기’ (M=4.14)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 수행도 수준이 가장 높은 직무 영역 은 중요도 인식과 마찬가지로 ‘대상자 선정’ 영역 이었다. 세부 직무로 ‘신청자에게 노인맞춤돌봄서 비스 설명하기’(M=4.65), ‘서비스 상담지 활용하여 신청자 상황 파악하기’(M=4.63)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선정 영역 다음으로 수행도 인식이 높은 직무 영역은 ‘서비스 계획’, ‘사정’ 영역으로 구체적 인 직무내용으로 ‘선정조사 결과 및 서비스 제공계 획 승인 요청하기’(M=4.55), ‘신청자의 욕구 탐색하 기’ (M=4.47) 순로 나타났다. 반면, 가장 낮은 수행 도 수준을 보인 직무 영역은 중요도 인식과 마찬 가지로 ‘네트워크 및 자원연계’ 영역’이었는데, 구 체적으로 ‘노인맞춤돌봄협의체 심의 참석하여 안건 보고하기’(M=3.05), ‘수행기관 간 실무협의회 운영하 기 또는 참석하기’(M=3.26), ‘회계처리하기’(M=3.48), ‘지역사회 취약노인 발굴과 지원을 위한 유관 기관 협력체계 구축하기’ (M=3.59)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간 차이를 분석 하기 위해 평균 차이 검정(paired t-test) 실시하였 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직무에서 수행도 보다 중 요도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p<.001). 중요도-수행도 차이가 가장 큰 직무는 ‘노 인맞춤돌봄협의체 심의 참석하여 안건 보고하 기’(B1), ‘회계 처리하기’(A4), ‘수행기관 간 실무협 의회 운영하기 또는 참석하기’(B2), ‘지역사회 취약 노인 발굴과 지원을 위한 유관 기관 협력체계 구 축하기’(B3) 등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앞서 수행도 수준이 낮은 네트워크 및 자원 연계 영역와 일치 하고 있다. 또한 ‘회계 처리하기’ 직무도 수행기관 내에서 구체적으로 어느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 는지에 대한 평가와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다. 한 편, 중요도보다 수행도가 더 높은 직무 내용은 ‘서 비스 종결하기’(I3), ‘서비스 재사정하기’(I2), ‘혹한 기, 혹서기 대상자 보호 대책 수립 및 지원하 기’(C1), ‘선정조사 결과 및 서비스 제공계획 승인 요청하기’(G3) 등으로 나타났는데, 서비스 종결과 서비스 재사정, 대상자 직접 지원 직무는 노인맞춤 돌봄서비스 제공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만 큼, 이에 대한 교육지원이 필요하다<Table 2>.

    <Table 2>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KSHSM-16-4-135_T2.gif

    3. 전담사회복지사 직무 요구도 분석

    직무의 중요도-수행도 간의 단순 차이 분석을 넘어 중요도의 가중치를 적용한 Borich 요구도 분 석을 실시하였다. Borich의 요구도 공식에 의하여 산출된 우선순위는 ‘노인맞춤돌봄협의체심의 참석 하여 안건 보고하기’(B1)가 가장 높은 요구도를 나 타냈으며, ‘회계 처리하기’(A4), ‘수행기관 간 실무 협의회 운영하기 또는 참석하기’(B2), ‘지역사회 취 약노인 발굴과 지원을 위한 유관 기관 협력체계 구축하기’(B3) 순으로 요구 순위가 나타났다.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항목은 ‘혹한기, 혹서기 대상자 보호 대책 수립 및 지원하기’(C1), ‘서비스 재사정 하기’(I2), ‘선정조사 결과 및 서비스 제공계획 승인 요청하기’(G3), ‘선정조사지 활용하여 신청자 대상 으로 대상자 선정 조사하기’(E2)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해당 항목이 비교적 잘 시행되고 있는 것으 로 볼 수 있다<Table 3>.

    <Table 3>

    Borich Needs Analysis

    KSHSM-16-4-135_T3.gif

    4. 전담사회복지사 직무 IPA분석

    중요도-수행도 간 평균 차이 검증은 단순 차이 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직무 간 우선순위에 대한 분석방법으로 IPA(Importance-Performance) 매트 릭스 분석을 추가적으로 활용하였다. IPA기법은 중요도와 수행도의 평균을 중심으로 4분면에 과업 내용을 표시함으로써 요구의 우선순위를 시각적으 로 분석해 준다[19].

    중요도-수행도 간 차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IPA 분포도를 확인하면 그래프의 1사분면(유지, 관 리)에는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과업이 분포 하고 있는데, 대상자 선정, 사정, 서비스 계획, 사 업관리 및 행정, 대상자 지원 등과 관련된 직무가 분포되어 있다. 이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 초 기 단계에 필수 직무들임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 로 사업 지침을 이해하고 사업 지침에 맞게 대상 자를 선정하고 사정, 서비스 계획 등의 초기 과정 에 대한 직무이다.

    다음으로 2사분면(중점 개선)은 직무의 중요도 는 높으나 수행도가 낮아 향후 개선의 집중 대상 인데, 이 영역에는 비교적 분포 직무가 가장 적다. 사업계획 수립하기(A2), 생활지원사 슈퍼비전 제공 하기(I7) 직무가 분포되어 있다.

    3사분면(개선)의 경우는 중요도 인식도 낮고, 수 행도도 낮은 영역으로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영역 이다. 이 영역은 네트워크 및 자원연계 영역(B) 모 든 세부 직무가 포함되어 있으며, 회계처리하기 (A4), 기타 전문성 개발하고 직무에 반영하기(D2), (집단)프로그램 기획, 운영하기(H1), 서비스 만 족조조사 실시하기(I1), 사후 관리하기(I4)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세부 직무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회복지사들이 대체로 주요 업무로 인식하지 않 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4사분면(과잉)에는 중요도는 비교적 낮은데, 수행수준은 높은 영역으로 이 영역의 분포 는 서비스 재사정하기(I2)가 포함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IPA분석 결과를 보면 노인맞춤돌봄 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는 직무 중요도-수행도 인식 과 수준이 둘다 높거나 둘 다 낮은 특성을 보이고 있다<Figure 1>.

    <Figure 1>

    IPA Matrixes of Task

    KSHSM-16-4-135_F1.gif

    Ⅳ. 고찰

    본 연구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 의 직무 중요도 인식 및 수행도 차이를 분석하고 직무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노인맞 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역량 향상에 필요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 및 체계적인 직무역량 강화교육 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자 한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직무 중요도-수행도 분석 결과 중요도는 전체 평균값이 5점 만점에 4.40점이고, 수행도 전 체 평균은 5점 만점에 4.16점으로 대부분 직무에서 수행도 보다 중요도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중요도 인식이 가장 높은 직무는 ‘대상자 선정’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사정’, ‘서비스 계획’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노인 돌봄사업 사회복지사 직무 IPA 연구를 진행한 Bae et al.[6]의 연구나 사회복지사 사례관리 직무에 대 한 IPA연구를 진행한 Park[17]의 연구결과와 유사 하다. ‘대상자 선정’, ‘사정’ 및 ‘서비스 계획’은 노 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 절차에서 초기 단계에 해 당하는 직무영역이다. 서비스를 설명하고 대상자를 상담하여 적합한 대상자를 선정하고, 서비스 계획 수립을 위한 욕구 사정 직무 및 사업지침을 파악, 숙지하는 직무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가장 낮은 중요도 인식 수준을 보 인 직무 영역은 ‘네트워크 및 자원연계’ 전문성 개 발‘ 영역으로 나타났다. 수행도 수준이 가장 높은 직무 영역은 중요도 수준 결과와 마찬가지로 ‘대상 자 선정’ 영역이었고, 가장 낮은 수행도 수준을 보 인 직무 영역도 ‘네트워크 및 자원연계’ 영역’이었 다. 결과적으로 ‘네트워크 및 자원 연계’ 영역이 중 요도, 수행도 모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는 데, 이 영역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직접적 실행 은 아니지만 지역사회 내 다양한 기관들과 연계하 거나 협력, 자원연계 등을 통해 서비스가 효과적, 효율적으로 실행되는 것과 관련된 직무이다. 이는 Park[17]의 연구에서 사례관리자 직무에서 중점 개 선이 필요한 영역으로 외부운영체계가 제시된 결 과와 Kim[5]의 연구에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 사회복지사의 사례관리 경험에서 유관 기관과의 협력의 어려움과 한계를 지적하고 있는 결과와도 유사한 결과이다. 이러한 직무는 현실적으로 전담 사회복지사가 단독으로 수행하는 직무이기 보다 수 행기관이나 관리자의 협조가 필요한 직무인 만큼 이에 대한 기관 차원의 실제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중요도-수행도 차이를 넘어 중요도의 가중 치를 적용한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노인맞춤돌 봄협의체심의 참석하여 안건 보고하기’(B1), ‘회계 처리하기’(A4), ‘수행기관 간 실무협의회 운영하기 또는 참석하기’(B2), ‘지역사회 취약노인 발굴과 지 원을 위한 유관 기관 협력체계 구축하기’(B3) 순으 로 요구 순위가 나타났다. 이는 앞서 중요도-수행 도 차이 분석에서 평균값 차이가 가장 큰 직무로 ‘노인맞춤돌봄협의체심의 참석하여 안건 보고하 기’(B1), ‘회계 처리하기’(A4), ‘수행기관 간 실무협 의회 운영하기 또는 참석하기’(B2), ‘지역사회 취약 노인 발굴과 지원을 위한 유관 기관 협력체계 구 축하기’(B3) 등이 나타난 것과 연관되는 것이다. 요 구도가 높다는 것은 향후 가장 역량강화 지원이 필요한 직무 영역 및 내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지역사회 통합돌봄 담당자의 직무 요구도를 분석 한 Bae et al.[19]의 결과에서는 ‘사업 운영체계 구 축’,‘프로그램 기획’, ‘지역사회 자원개발’ 등의 직 무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본 연구결과에서는 지역사회 자원개발과 관련하여 수행기관 간 실무 협의회 운영, 유관 기관 협력체계 구축하기 등 돌 봄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이러한 간접서비스 제 공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중요도-수행도 평균값을 중심으로 중요도- 수행도 간 IPA(Importance-Performance) 매트릭스 분석 결과, 중요도-수행도가 모두 높은 1사분면(유 지, 관리)에는 ‘대상자 선정’, ‘사정’, ‘서비스 계획’, ‘사업관리 및 행정’, ‘대상자 지원’ 등과 관련된 직 무가 분포되어 있었다. 이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 초기 단계에 필수 직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사업 지침을 이해하고 사업 지침에 맞 게 대상자를 선정하고 사정, 서비스 계획 등의 초 기 과정에 대한 직무이다. 이는 지역사회 노인돌봄 사업 사회복지사 직무를 분석한 Bae et al.[6]의 연 구결과와도 유사하다. 다음으로 직무 중요도는 높 으나 수행도가 낮아 향후 개선 집중 대상인 2사분 면(중점 개선)은 비교적 분포 직무가 가장 적었는 데, ‘사업계획 수립하기’(A2), ‘생활지원사 슈퍼비전 제공하기’(I7)가 분포되어 있었다. 중요도 인식도 낮고, 수행도도 낮은 영역으로 우선순위가 가장 낮 은 영역인 3사분면(개선)에는 ‘네트워크 및 자원연 계 영역’(B) 모든 세부 직무가 포함되어 있으며, ‘회계처리하기’(A4), ‘기타 전문성 개발하고 직무에 반영하기’(D2), ‘(집단)프로그램 기획, 운영하 기’(H1), ‘서비스 만족조조사 실시하기’(I1), ‘사후 관리하기’(I4) 등이 분포되었다. 이러한 세부 직무 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들이 대체 로 중요 업무로 인식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요도는 낮은데, 수행도가 높은 영역 인 4사분면(과잉)에는 서비스 재사정하기(I2)가 포 함되어 있었다. 서비스 재사정의 경우 서비스 이용 자의 욕구와 상태 등에 맞는 적절한 서비스가 제 공되고 있는지 점검하는 것으로[2], 서비스 제공과 정에서 필수 직무이기 때문에 직무교육 등을 통해 서비스 재사정이 단순 행정업무가 아닌 서비스 성 과 평가에 관련된 직무임을 재인식하는 것이 필요 하다.

    전체적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 는 자신이 수행하는 직무에 대해 중요도-수행도 모 두 높다고 인식하거나 중요도-수행도 모두 낮게 인 식하는 직무로 크게 구분하고 있는 특성을 알 수 있다. 즉,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 초기 단계에 해당하는 대상자를 상담하여 적합한 대상자를 선 정하고, 서비스 계획 수립을 위한 욕구 사정 직무 및 사업지침을 파악, 숙지하는 직접 실천에 해당하 는 직무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반면, ‘네트워 크 및 자원연계 영역’(B)에 포함되는 모든 직무를 비롯해 ‘회계처리하기’(A4), ‘기타 전문성 개발하고 직무에 반영하기’(D2) 등 간접 실천에 해당하는 직 무나, ‘(집단)프로그램 기획, 운영하기’(H1)‘, ’서비 스 만족조조사 실시하기‘(I1), 사후 관리하기(I4) 서 비스의 전문적 실천에 필요한 직무는 중요도를 낮 게 인식하고 실제로도 낮은 수행도를 나타냈다. 이 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전담 사회복지사 직무역량 향상을 직무 매뉴얼 제시 및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직무역량교육 교육과정 개발 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

    Ⅴ. 결론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도가 시행된 지 초기 단 계이다 보니 관련 선행연구들이 주로 제도 시행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정책과제 등이 주로 발표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 직무의 중요도-수행도, 요구도 분석을 통해 전담사회복지 사 직무역량 향상에 필요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 마련 모색을 위해 시도되었다. 직무분석 결과, 전 체적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들은 자신이 수행하는 직무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대체 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령사회 노인의 지역사회 내 건강한 노후생활과 자기돌봄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시작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의 타당성과 필요성을 뒷받침해 주는 결과이다. 또 한 전담사회복지사 직무에 대한 IPA 분석에서 중 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직무로 대상자 선정, 사정, 서비스 계획, 사업관리 및 행정, 대상자 지원 등으로 나타난 결과에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 사회복지사 직무역량 수준이 대체로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사업계획 수립하기나 생활 지원사 슈퍼비전 제공하기 직무는 중요도는 높으 나 수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맞춤돌봄 사업은 이전 사업에 비해 사회복지사의 전문적이 고 재량적인 역할을 필요로 하고[6], 직접 서비스 를 제공하는 생활지원사를 관리하고 교육을 제공 하며,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슈퍼비전을 제공해야 하는 만큼 이를 위한 직무교육 과정 개발이 필요 하다.

    또한, 네트워크 및 자원연계와 관련하여 간접 실천과 집단 프로그램 기획, 서비스 만족도 조사하 기, 평가하기, 사후관리하기 등 서비스 실행과정 중 후반부에 해당하는 직무에 대해 직무교육 강화 필요성도 제기할 수 있다. 이는 Kim & Park[4]의 연구에서 전담사회복지사 직무역량이 서비스 초기 단계에 해당하는 직무나 행정 위주의 직무역량 수 준은 높게 나타난 반면, 서비스 평가, 종결, 사후관 리에 해당하는 직무역량 수준은 다소 낮게 나타난 결과와 상관이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지역사회 내 돌봄체계 구축에 필요한 ‘노인맞춤돌 봄협의체 심의 참석’, ‘수행기관 간 실무협의회 운 영’ 등의 직무수행도를 높이기 위해 이론 중심보다 는 현장의 다양한 사례별 구체적인 지식과 기술을 담은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전담사회복지사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 이 제시할 수 있다. 즉, 직무교육의 기본은 직무 중요도와 직무 수행도 간의 차이를 줄이는 방향으 로 설정되어야 한다. 직무교육의 실제 활용 및 적 용을 높이기 위해 전담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 정 도와 실천역량을 직무교육 활용도와 연계하여 파 악하는 환류 체계를 갖춤으로써 직무교육의 차별 화를 기하고, 전담사회복지사의 경력개발 경로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경력별 교육체계 수립이 필요 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갖고 있 다. 첫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담사회복지사는 일반․중점 전담사회복지사와 특화서비스 전담사 회복지사로 구분된다. 일부 서비스 계획과 실행과 정에서 직무 간 차별성이 있지만 본 연구는 일 반․중점 전담사회복지사만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 되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전체 전담사회복지사 직 무 특성을 대표하지 못하고 있다. 전담사회복지사 유형별로 직무분석을 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전 담사회복지사의 노인복지실천 경험과 경력수준에 따른 직무 중요도-수행도 인식도의 차이가 있을 것 으로 예상되어, 향후 이 부분에 대한 세부적인 분 석을 통해 전담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강화 방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Figure

    KSHSM-16-4-135_F1.gif
    IPA Matrixes of Task

    Tabl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N=471)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Borich Needs Analysis

    Reference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The guidance for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Seojong: MHW. pp.1-258.
    2. General Support Center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2022), User status of the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http://www.16612129.or.kr/sub04/detail040301.do?page_index=1&b_seq=7015&board_type=general&b_detail=title&b_search=, 2022/8/20
    3. M.H. Lee, Y.H. Jeon, D.M. Seo (2020), A study on the diagnosis and quality Improvement of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Seojong: MHW. pp.1-229.
    4. Y.J. Kim, S.M Park (2021). Study on job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in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5(4):107-115.
    5. Y.J. Kim (2022), Difficulites and dillemmas of supporting aging in place based on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affliated with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Discourse and Policy in Social Sciences, Vol.15(1);65-103.
    6. J.Y. Bae, N.J. Yang, E.H. Park (2020), Task analysis of the job description of elderly care service manager and needs for job training.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Vol.51;115-151.
    7. S.S. Lee, J.W. Ma, J.S. Yang, Y.J. Heo (2020), A basic study on the elderly care system in Seoul. Seoul: Seoul Welfare Foundation. pp.1-118.
    8. T.J. Sork (2001), Needs Assessment. In Poon Poonwassie, D.H and Poonwassie, A.(Eds.), Fundamentals of adult education: Issues and practices for lifelong learning(pp.101-115). Toronto: Thompson Educational Publishing.
    9. M.M. Grzeda (2005), In competence we trust? Addressing conceptual ambiguity. Journal of management development, Vol.24(6);530-545.
    10. A.J. Martilla, J.C. James (1977), Importance-performa -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2(1);77-79.
    11. H. Oh (2001), Revisit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urism Management, Vol.22(6);617– 627.
    12. S.Y. Kim, B.K. Kim, M.J. Chae (2019), Analysis of education needs on nursing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 case of college A.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38(6);115-135.
    13. N.Y. Kim, G.H. Lee, K.W. Cho (2017). Analysis of task importance and task performance for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Using the IPA method,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1(1);43-53.
    14. S.M. Park, S.Y. Mun (2016), A study on IPA of the care helper's task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71(3);163-191.
    15. S.Y. Min, H.S. Choi (2016), The comparative study of mental health and non-mental health case management practice-focusing on mental health enhancement center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32(2);189-216.
    16. E.A. Lee (2020), A study on the gap between knowing the importance of and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family-centered practices of social workers at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Gyeonggi-do: focused on IPA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11(12);353 –362.
    17. E.J. Park (2019), A study on the case management practice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19(1);278-292.
    18. G.D. Borich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31(1);39-42.
    19. J.Y. Bae, S.Y. Heo, E.H. Park, D.M. Seo (2021), Analysis of job performance and training needs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integrated community care,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Vol.23(4);1-29.
    October 31, 2022
    November 28, 2022
    December 16, 2022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