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6 No.4 pp.11-25
https://doi.org/10.12811/kshsm.2022.16.4.011

의료전문직에 따른 EMR의 과업기술적합도(TTF)가 지식공유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 재성1, 김 하영2
1고신대학교 의료경영학부
2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의료정보과

Influence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Task-Technology Fit(TTF) on Knowledge Sharing and Work Achievement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EMR)

Jaesung Park1, Hayoung Kim2
1Department of Health Care Administration, Kosin University
2Department of Medical Information, Kosin Univerity Gospel Hospit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ed path model which has the path influence of Task-Technology Fit(TTF) and Personal Innnovativenesss(PIIT) on organizational work achievement(OA). This study also tested the moderating effect of occupations on the paths.


Method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00 study subjects. A structural equation path model was used.


Results:

The response rate was 99.9%. The model fit were GFI=.93, and RMSEA=.04. The models between equal and unequal path weight constrai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5). These paths were significant for nurses: TTF→IPKS(interpersonal knowledge-sharing)→IDKS(interdepartment knowledge-sharing) →OA and PIIT→IDKS→OA, for administrators: TTF→IPKS→IDKS, TTF→OA and PIIT→OA, and for physicians: TTF→IDKS and TTF→PA(personal achievement).


Conclusions:

TTF and PIIT significantly influenced knowledge-sharing and work achievement. Knowledge-sharing activities mediated the effect of TTF and PIIT on work achievements. All paths also had a moderating effect by medical professions.



    Ⅰ. 서론

    의료기관에서 정보기술의 사용은 필수적인 요구 사항이며, 특히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E.M.R.)의 사용은 의료의 질을 확 보함과 아울러 유기적인 의료정보의 교환을 위한 필수적인 시스템으로 자리 잡고 있다. 우리나라 의 료기관의 EMR 도입은 2015년에 상급종합병원이 84.2%, 종합병원이 72.6% 그리고 병원이 63.5%[1] 이었지만 2020년도에는 상급종합병원이 100.0%, 종 합병원이 96.0% 그리고 병원이 90.5%[2]로 빠르게 도입되었다.

    한국보건정보원의 연구[2]에 의하면 상급종합병 원의 경우 2020년 정보화 작업을 위해 평균 41억 을 투자하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14.4% 증가한 것 이다.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의 경우는 12억을 사 용하여 전년 대비 145.5% 증가하였다. 정보시스템 유지 및 운영에 사용된 금액에서도 상급종합병원 의 경우 2020년에 평균 28.8억 원을 사용하였다[2]. 이처럼 현재 의료기관들은 한정된 의료수익과 정 책적 구조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정보화와 관련된 투자와 운영비용을 지속해서 상승시켜야만 하는 환경에 직면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시 스템의 도입과 운영에 있어 전략적 효용성과 비용- 효과성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의료의 공 공적 특성은 의료기관의 정보시스템 도입과 사용 에 있어 비용적 측면과 더불어 의료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건강증진에 대한 기여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해야만 하는 측면이 있어 일반기업의 정보화 사업에서는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법적 요건을 만 족시켜야 한다. 2019년에 보건복지부는 EMR인증 제를 실시하여 EMR제품인증과 사용자인증의 개념 을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EMR인증제란 EMR이 정보공유를 위한 의료정보의 표준화, 상호운용성의 확보, 그리고 정보 윤리 및 보안에 대한 기능성을 포함하여야 하고 이를 주기적인 평가하는 제도이 다[3].

    정보시스템의 도입과 사용은 조직구성원들의 정 보검색과 정보의 공유 등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의 료서비스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의료진과 환자 또는 환자 간의 상호작용과 소통의 매개체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것[4]을 기대하지만 정 보시스템의 도입에 따른 새로운 업무수행 방식에 대한 조직문화와의 부조화 또는 조직구성원의 정 보시스템 저항 및 부적응의 문제에 직면할 수도 있다[5].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극복하 고 EMR 사용의 효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써 정보시스템 관리의 이론적 개념을 충분히 반영 한 시스템 평가와 기능 개선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정보시스템 사용과 평가와 관련된 이론 중에는 IT 기술의 채택(adoption)요인을 설명하는 David 의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6]과 시스템 평가를 위한 DeLone과 McLean의 정보시스템성공모형(Information System Success)[7] 그리고 Goodhue와 Thompson의 과업기술적합모형 (Task Technology Fit Model, TTF)[8]이 있다. TAM은 사용의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사용의 편의성 (perceived easy to use)과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이 사용의도(use intension)를 결정하는 모형을 제시하 였다. Dishaw와 Strong[9]는 TAM과 TTF의 이론적 융 합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또한 Roger의 혁신확산이론 (Diffusion of Innovation)[10]에서는 새로운 정보시스 템의 수용성(acceptance level)은 개인의 IT혁신성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T, PIIT) 에 따라 차별화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으며 [4], 혁신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흥미가 높고 시스템성공에 대한 기대가 높을 수 있다고 하였다[11]. DeLone과 McLean의 시스 템성공모형[12]은 3가지 단계로 구성하였는데, 만 족도와 시스템사용(사용의도)은 사용단계(usage layer)이며 3단계 중 2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 의하였다. 2단계는 3단계인 산출단계(outcome layer)에 영향을 미치며, 그 측정개념을 순이익(net profit)으로 설정하였다. 사용단계(usage layer)는 1 단계인 질적평가단계(quality layer)의 영향을 받으며, 그 요인을 정보의 질(information quality), 시스템의 질 (system quality) 그리고 서비스의 질(service quality)로 구성하였다. Goodhue & Thompson[8]의 TTF는 담당업 무와 정보시스템의 기술적 특성의 조합이 시스템에 대 한 사용과 업무 지원성에 대한 적합도(TTF)에 영향을 미치고, 이 TTF가 업무수행결과인 성과(performance impacts)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TTF와 PIIT가 정보공유활동을 매개 또는 직접 업무성과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 경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TTF의 개념을 주요 외 생변수로 설정한 일차적인 이유는 TTF의 하부요인 들이 TAM에서 제시한 사용의도의 결정요인인 편 의성과 유용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DeLone과 McLean[7]의 주요한 개념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두 번째 이유는 TAM의 경우 사용자의 정보기술 수용과 사용에 있어 완전한 자율성(voluntariness)을 가정하기 때문에 이 연구의 시스템사용 환경과 일 치하지 않는다. 의료기관 EMR의 경우 구성원들이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의무적으로 사용할 수밖 에 없는 경우이다. DeLone과 McLean의 정보시스템 성공모형 역시 자율성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

    DeLone과 McLean의 모형[7]과 TAM의 자율성 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2가지 개 념을 적용한 구조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DeLone과 McLean의 모형 3단계 모형 중에서 2단 계인 사용단계(usage layer)에서 제시한 사용요인 (또는 사용의도요인)의 경우 의무적인 사용환경에 서는 이를 제외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며, TAM의 사용의도 역시 같은 경우이다. DeLone과 McLean 의 모형에서 만족도가 질적평가단계에 해당하는 3 가지 요인의 영향을 완전히 매개한다는 개념에서 만족도에 대한 평가가 사용과 순이익에 구조적 영 향 관계에 있고 만족하기 때문에 시스템을 사용하 고 순이익에 영향을 준다는 과정으로 설정되었다. 하지만 만족도의 매개적 구조모형보다는 정보시스 템의 사용으로 기대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활 용영역을 매개효과로 설정한다면 정보시스템의 효 용성을 평가하는 것에 있어 더 많은 함의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EMR 사용이 경영성과[13]와 업무평가[14]에 미 치는 영향을 파악한 이전 연구의 결과는 만족도와 경영성과 또는 업무성과와 양의 관련성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전자의 연구는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파악한 연구로써 TAM에서 제시한 유용성과 편의 성보다는 EMR서비스가 만족도를 매개하여 당기순 이익 및 비용절감에 영향을 주었다. EMR서비스의 구성요소는 대기시간 단축, 효율적인 의료서비스 제공 등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13]를 이론적 측 면에서 조명한다면 DeLone과 McLean[12]이 제시 한 매개요인인 만족도와 경영성과를 내생변수로 사용하였고, 만족도의 결정요인에서는 DeLone과 McLean모형의 1단계의 3개 요인인 시스템, 정보 그리고 서비스의 질 모두를 연구모형에 포함하기 보다는 EMR 서비스라는 단일 요인과 TAM의 편의 성과 유용성을 모형에 제시하였다. 따라서 DeLone 과 McLean 모형과 TAM의 조합으로 생각할 수 있 고, TAM의 결정변수는 성과와는 관련이 없다는 결론에 도달한 것에 의미가 있지만, 이론적 모형들 [6][7][8][10]에 적용된 자율성과 의무성의 개념을 포함하지는 않았다. 후자의 연구[14]는 공공병원의 EMR 사용에 있어 DeLone과 McLean모형을 검증 한 연구로서 시스템의 질, 정보의 질 그리고 서비 스의 질로 이루어진 DeLone과 McLean모형의 1단 계의 요인들이 사용자 만족도와 사용의도를 매개 또는 직접 업무평가의 항목으로 정의된 수익(Net Benefit)에 대한 구조적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에서는 만족도가 수익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 개효과와 직접적인 결정요인으로 유의하였지만, 사 용의도의 매개적 역할과 수익과 관계가 유의미하 지 않았다. 이는 의무적 EMR의 사용환경에서 정 보시스템 평가에서 사용의도와 사용의 매개적 역 할에 대한 제한성을 파악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지식경영에서 정보기술의 역할과 관련된 논문들 [15][16][17]에서는 정보기술이 지식획득과 지식이 전에 유의미한 결정요인[15]이었고, 지식경영의 성 과변수로 설정된 개인 및 조직의 업무성과에도 유 의미한 영향력[16]이 있었다. 또한 정보기술 인프 라와 정보기술이용이 구성원과 부서 간의 지식공 유를 통하여 업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17]도 있었다. 하지만 이상의 연구들에서 제시한 정보기술 사용에 대한 평가 측정항목들이 요인분석 등을 통하여 신뢰도와 구성타당도는 확 보하였지만, 정보시스템평가의 영역에서 전통적으 로 참조하고 있는 이론과 모형[6][7][8][10]의 개념 과는 거리가 있었다.

    이 연구의 연구모형은 정보시스템의 평가 영역 에서 연구대상 의료기관의 업무수행 환경과 이용 조건에 부합하는 개념으로서 TTF와 개인의 IT혁신 성(PIIT)을 최초 외생변수로 채택하고, 시스템 사용 자가 비록 의무적 사용 환경에 놓여있지만, 조직구 성원의 직종에 따라 업무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선 택적 EMR 활용영역으로써 지식공유활동을 제시하 였다. 따라서 TTF와 PIIT가 지식공유활동을 매개 또는 직접적으로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는 EMR의 활용이 특정한 경영적 가치를 지닌 활동을 통하여 최종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또한 그 구조적 영향 경로가 직종별로 차이가 있 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시스템의 채택과 사용 에 있어 자율적 환경에서 설명변수로 더 적합할 수 있는 개인의 IT혁신성이 의무적 사용 환경에서 도 특정 업무영역에 대한 자발적 적용과 활용을 통하여 EMR의 도구적 역할(instrumental role)을 달성하여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영향 경로를 파악하는 것에서 추가적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 직종별 EMR 사용에 따 른 과업기술적합도(TTF)와 개인의 IT혁신성(PIIT) 이 지식공유활동을 매개 또는 직접적으로 조직과 개인의 업무성과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파 악하는 것에 있다. 첫 번째로는 EMR의 의무적 사 용 환경에서 TTF와 PIIT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 향을 파악하며, 두 번째 목적은 TTF와 PIIT가 지 식공유활동을 매개하여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EMR의 다양한 활용 기능 중에서 이 연 구에서 선택한 지식공유활동을 어떤 직종에서 선 택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이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부산광역시에 있는 1개 대학병원의 직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 병원이 EMR을 최초 도입 후 8개월이 지난 시점이 었다. 전체 병원근로자 1,650명 중 각 직종의 전체 인원의 약 18%를 임의 추출한 300명(의사 59, 간 호사 172, 의료기사 26, 행정관리직 43명)을 표본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 배부 후 미응답자에 대한 추후관리를 통하여 300개의 설문을 회수하였다. 응 답이 부실한 3개의 경우를 제외한 297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K병원의 기관생명윤 리위원회의 승인(IRB No:KUGH2019-07-030)을 획 득한 후 수행하였다.

    2. 연구도구 및 변수의 정의

    1) 과업기술적합도

    과업기술적합도(Task-Technology Fit, TTF)는 Goodhue & Thompson[8]와 Goodhue[12]가 제시 한 과업기술 적합도의 정의와 측정도구를 이 연구 에 맞게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Goodhue는 과업과 기술의 적합도는 정보기술이 개인이 수행해야 할 업무의 영역에서 해당 업무를 보조해주는 정도로 정의하였으며, 시스템의 질(Quality), 자료의 일치성 (Compatibility), 자료의 위치파악수월성(Locatability), 의 미(Meaning), 자료제공의 적시성(Production Timeliness), 시스템신뢰성(System Reliability), IT지원(IT Support), 사용편의성(Easy to Use), IT교육(IT Training) 그리고 자료에 대한 권한(Authority)으로 하위영역을 정의하 였다. 이 연구에서 Goodhue가 제시한 10개의 하 위영역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 각 영역을 평균하여 최저 수준의 TTF를 1점, 그리고 최고 수준은 5점으로 만들고 이를 연구모형에 적 용하였다.

    2) 개인의 IT혁신성

    Roger[10]가 제시한 혁신에 대한 이론인 혁신확 산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은 사람이 새 로운 개념, 물건 또는 행동을 접하게 되었을 때 개 인의 혁신성에 따라 각자 다른 행동을 보인다는 것이다. EMR의 사용과 같은 새로운 정보기술의 활용에 조직적 요구나 지식공유와 같은 새로운 경 영프로세스의 변화에 직면했을 때 병원의 구성원 들은 자신이 소유한 혁신성의 정도에 따라 개인별 또는 직군별로 차별화된 적응 또는 대응 행동을 가질 것이다.

    정보기술에 대한 개인의 혁신성 정도를 측정하 기 위하여 Agarwal & Prasad[19][20]의 개념을 이용한 개인의 IT혁신성(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T, PIIT)을 사용하였다. PIIT의 정의는 개인이 새로운 정보기술에 대하여 시험적 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개인의 의지이다. Agarwal  & Prasad가 제시한 3가지 측정 문항을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3) 지식공유활동

    지식공유활동의 정의는 조직구성원들이 지식을 공유하는 상호 간의 이해이며, 업무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지식을 상호 교환하며 자신의 지식으로 통 합하는 과정이며[21], 또한 정보기술을 매개로 조 직 구성원들의 내재화되어 있는 지식을 구성원이 상호 교환함으로써 지식을 축적하는 과정[22]으로 개인, 그룹, 조직에 내재한 지식은 기업의 자산이 며 지식의 획득 및 공유의 과정을 통하여 조직의 가치를 창출해나가는 과정[12]으로 정의하였다. 이 연구에서 Lee[17]의 지식공유 측정항목 12개를 사 용하여 부서와 구성원 간의 지식공유 활동을 측정 하였다.

    4) 업무성과

    지식공유에 따른 지식경영의 업무성과 개념은 지식공유 활동의 결과로 발생한 업무수행의 효율 성 증대로 정의하였다[16]. 또한 성과 발생의 주체 에 따라 조직구성원의 성과, 해당 기업의 성과 그 리고 기업 간의 성과로 분류할 수 있지만[15], 이 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과 조직의 업무성과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개인의 업무성과는 지식공유의 결과로 개인의 업무 효과성 증대에 미치는 정도이 며[16], 조직의 효과성은 지식공유를 통한 조직의 효율성 증대에 미치는 영향[16]으로 정의하였다. 측정 척도는 Lee[17], Chang[15]과 Song[16]의 개 인과 조직 업무성과 측정 항목을 이용하였다.

    5) 연구모형

    이 연구의 연구모형은 <Figure1>과 같다. 개인 의 혁신성과 EMR의 사용이 업무에 얼마나 적합하 게 지원하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인 TTF가 지식공 유에 대한 인식을 매개로 또는 직접적으로 조직 및 개인의 업무성과에 미치는 구조적 경로의 영향 력에서 직종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 다. 구조방정식모형의 경로분석을 통하여 연구모형 에 대한 적합도를 검정하였으며 직종에 따른 구조 적 경로의 동일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Figure 1>

    the Study Model

    KSHSM-16-4-11_F1.gif

    6) 연구가설

    (1) 과업기술적합도 가설

    정보기술의 활용은 지식공유와 지식경영의 주요 한 결정 요소 중의 하나이며[15], 중요한 핵심동인 이라 할 수 있다[12]. 따라서 EMR 사용에 대한 병 원구성원의 과업기술적합도(TTF)는 부서들간의 지 식공유와 구성원들간의 지식공유에 양의 영향력을 가질 것이다. 또한 EMR에 대한 높은 수준의 TTF 는 정보공유의 정도를 긍정적으로 촉진하여 조직 의 업무성과와 구성원의 업무성과에 양의 영향을 줄 것이다. 정보기술과 업무성과의 직접적인 영향 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TTF의 수준이 조직의 업무 성과와 구성원의 업무성과는 양의 영향관계를 가 질 것이다.

    (2) 개인의 IT혁신성 가설

    혁신확산이론[10]을 바탕으로한 개인의 IT혁신 성(PIIT)[19][20]은 EMR을 사용한 과업기술적합도 (TTF)와 지식공유활동에 양의 영향력을 가질 것이 다. 또한 PIIT는 TTF와 지식공유활동 매개하여 조 직의 업무성과와 개인의 업무성과에 양의 영향력 을 가질 것이다.

    (3) 직종별 연구모형 경로에 대한 가설

    의료기관은 다양한 전문인력의 역할을 통하여 진료서비스를 개선하고 의료의 질을 확보하며 환 자의 건강회복을 종국적인 목표로 하는 조직이라 할 수 있다. EMR의 도입 및 사용은 이러한 종국 적인 목표를 보다 효과 및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자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직 종별 EMR의 사용에 따른 업무성과 분석은 정보시 스템의 성공에 있어 직종별 차이를 파악하는 것으 로, 정보기술의 활용이 각 직종별 의료서비스 제공 및 관리 업무의 진행을 얼마나 원활히 지원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그리고 행정관리직에 따른 PIIT와 TTF가 지식공유를 매개로 조직의 업 무성과와 개인의 업무성과에 미치는 모형경로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3.통계분석

    1) 통계방법

    이 연구에서는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EMR이용 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 으며, 연구모형에서 제시한 요인들의 신뢰도와 타 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를 이용한 내적신뢰도를 파악하였다.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직교회전(varimax rotations)을 이용한 요인 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과업기술적합 도와 개인의 IT 혁신성이 지식공유활동과 업무성 과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구 조방정식 모형(Structured Equation Model)의 경로 분석을 하였다. 또한 직종에 따른 구조모형의 조절 효과를 파악하였다.

    2) 연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Table1>과 같이 연구모형에 사용된 6개 요인 에 대한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를 확인하였 다. 회전방법은 직교회전(varimax rotation)을 사용 하였고, 각 측정항목의 해당요인에 대한 구성 타당 성은 요인적재값(factor loadings)이 .45이상인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각 요인들의 Cronbach’s α는 모 든 요인에서 .80이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구성원 간의 지식공유(IPKS), 부서간의 지식공유(IDKS), 개인의 혁신성(PIIT), 조직의 성과(OA)는 모든 측 정항목들이 의도한 요인에 할당되었으며, 개인의 성과(PA)에는 1개 항목은 제외한 3항목 그리고 과 업기술적합도(Task-Technology Fit, TTF)는 10개 중 5개가 의도한 요인에 할당되었다.

    <Table 1>

    Internal reliability and factor loadings

    KSHSM-16-4-11_T1.gif

    이 연구에서 TTF를 개념적으로 10개의 요인으 로 구성된 개념으로 정의하여 자료의 질(Quality) 은 6개 항목, 일치성(Consistency), 시스템신뢰성 (System Reliability) 그리고 IT지원(IT Support)은 각각 3개 항목, 편의성(Easy to Use), 위치파악성 (Locatability), IT교육(IT Education), 권위(Authority), 시간성(Timeliness) 그리고 의미성(meaning)은 각각 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총 26문항으로 측정하였다. TTF의 요인 10개에 대한 요인분석에서 구성타당도 를 1차적으로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전체적인 TTF의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구성타당 도가 확보된 TTF의 10개 요인에서 해당 측정항목 에 대한 산술평균값을 관측변수(indicate variables) 로 취급하여 최종적인 요인분석<Table1>을 하였 다. 과업기술적합도는 최종적으로 자료의 질, 일치 성, 권위성, 즉시성, 그리고 의미성의 5가지 요인이 과업기술적합도의 구성요소로 선택하였다. 요인분 석에 대한 표본 적합성 검증 값(KMO) .89로 변수 간의 편상관성이 있다고 말할 수 없었으며, Bartlett 값의 유의확률이 .001보다 낮아 행렬이 대 각행렬이 아니었다.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이 연구의 설문응답자의 특성은 <Table2>와 같 다. 전체 연구응답자 300명중 연구모형에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한 29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 였다. 성별분포에서 여성이 81.5%였으며, 직종 중 에 간호사가 57.6%로 가장 많았다. 직무경력에서는 5년 미만이 41.6%, EMR사용 시간에서는 5-9시간 범위의 응답자가 71.3%로 가장 많았다.

    <Table 2>

    Demographics n = 297

    KSHSM-16-4-11_T2.gif

    2. 구조모형의 검증

    개인의 혁신성과 과업기술적합도가 지식공유를 매개 또는 직접적으로 업무성과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에 대한 직종의 조절효과를 파악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모형에서 모든 직종을 포함한 연구 모형에서 제시한 구조적 경로의 영향이 동일함을 가정한 제약모형의 적합도가 GFI(Goodness-of-Fit Index) = .93, AGFI(Adjusted Goodness-of-Fit Index) = .87, CFI(Comparative Fit Index) = .95 그리고 RMSEA = .043이었다<Table3>. 이 결과는 구조방정 식모형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지표 중 GFI > .90, AGFI > .80, CFI > .90 그리고 RMSEA <.05의 값을 모두 충족하는 결과이므로,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확 보하였다고 할 수 있다. 직종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 정하기 위하여 직종별 모든 구조경로 계수가 동일하 다는 것을 가정한 제약모형과 직종별로 각자의 경로 계수를 가지는 모형(자유모형)의 동일성을 검정한 결 과 동일성의 통계적 가설은 기각되었다(CMIN = 69.5, d.f. 45, p <.05)<Figure2>. 따라서 직종이 구조 모형에 대한 조절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able 3>

    Structured paths with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professional groups n = 297

    KSHSM-16-4-11_T3.gif
    <Figure 2>

    Structured Equation Path Models and Pairwise Model Comparisons

    KSHSM-16-4-11_F2.gif

    <Figure2>의 E 모형비교(Pairwise Model Comparisons)에서는 구조모형들의 동질성에 대한 계층적 비교를 도식화한 것이다. 이는 다양한 제약 모형과 자유모형과의 동일성을 단계적으로 파악하 기 위한 것이며, 각 직종의 4가지, 3가지 그리고 2 가지 조합의 제약모형과 자유모형과의 동일성을 검 정한 것으로 직종별 구조모형의 동일 적합성을 가 진 직종조합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단일 직종모 형(자유모형)에서 2가지 직종의 조합들의 동일성에 서는 의사모형(P)과 행정관리직모형(A), 간호사모형 (N)과 행정관리직모형(A), 행정관리직모형(A)과 의 료기사모형(N) 그리고 의사모형(P)과 의료기사모형 (T)이 각각 동일한 구조모형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3가지 직종의 조합에서는 의사모형(P)-행정 관리직모형(A)-의료기사모형(N)의 경우만 동일한 모형이었다. 모든 가능한 조합 중에서 E 모형비교 에서 제시되지 않은 조합은 동일성이 없는 경우이 다. 일반적인 구조방정식모형의 비교에서는 동일성 의 가정을 만족시킬 경우 간편 모형을 선호하기 때문에 동일성을 가정한 모형보다 직종별 모형이 더 선호하는 모형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연구 에서 파악한 동일성 집단에 대한 정보는 정보시스 템의 효용성을 촉진하기 위한 직종그룹별 접근방 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각 직종별 구조경로의 영향력은 <Fiqure2>와 <Table 3>과 같다. 의사의 경우 주요한 구조적 영 향경로는 EMR사용의 과업기술적합도(TTF)(β=.60, p<.01) → 개인의 업무성과(PA)(β=.57, p<.001) → 조직의 업무성과(OA)로 영향을 주었으며, TTF가 PA와 IDKS에 동시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간호사 의 경우는 TTF → IPKS(β=.21, p<.01) → PA(β=-.28, p<.05) → OA(β=.38, p<.001), TTF → IPKS(β=.21, p<.01) → IDKS(β=.47, p<.001) → OA(β=.26, p<.001) 그리고 PIIT → IDKS(β=.11, p<.05) → OA(β=.26, p<.001)가 주요한 경로였다. 행정관리직의 경우 TTF → IPKS(β=.69, p<.001) → IDKS(β=-.59, p<.001), TTF → OA(β=.52, p<.001), PIIT → OA(β=.21, p<.05) 그리고 의료기사의 경우 PIIT → IPKS(β=-.22, p<.05) → IDKS(β=.48, p<.05)가 주요한 경로였다.

    이상의 4가지 직종의 구조경로 중에서 공통적으 로 유의한 경로는 개인의 업무성과(PA)가 조직의 업무성과(OA)의 경로와 구성원간의 지식공유 (IPKS)와 부서간의 지식공유(IDKS)의 경로였다. 2 가지 지식공유 요인이 매개변수(mediating variable)로서 OA 또는 PA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경우는 간호사였으며, 간호사의 EMR에 대한 TTF는 지식공유 활동을 매개하거나 직접 PA와 OA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의사, 행정관리직 그 리고 의료기사의 경우 IPKS가 IDKS에 유의한 영 향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지식공유의 개념들이 PA 나 OA에는 유의한 영향은 없었다.

    Ⅳ. 고찰

    이 연구는 한 의료기관에 새로 도입한 EMR 사 용에 따른 전문 직종별 업무기술적합도(TTF)와 개 인의 IT혁신성(PIIT)의 정도가 부서 간 또는 구성 원 간의 지식공유활동을 매개하거나 직접적으로 조직과 개인의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 고자 하였다.

    의료기관의 EMR 사용에 따른 성과를 평가한 연구들은 주로 만족도가 경영성과[13] 또는 업무평 가[14]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연구였고, 만족도 가 유의한 결정요인이었다. Noh & Chung[23]의 연구에서는 EMR의 특성을 지각된 이익, 호환성, 이용의 편리성으로 제시하고 정보와 기술에 대한 신뢰가 각각 매개 또는 직접 EMR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정보시스템의 평가에 있어 만 족도와 신뢰도의 매개 경로가 시스템성공을 평가 하는 인지적 요인으로 중요한 부분이지만, 이 연구 에서는 정보기술의 활용성에 초점을 둔 연구모형 을 제시하고 지식정보공유활동의 매개적 역할을 파악하였다. 또한 구조적 경로모형에 대한 전문 직종별 구조경로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모형에서 제시한 지식공유활동의 매개역할 에서 4가지 직종을 통합한 모형에서는 TTF와 PIIT 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구조영향경로를 지식공유활 동이 매개하는 것이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조절효 과의 검증에서 간호사모형에서만 유의한 매개역할 이 있었고, 의사와 행정관리직모형의 경우 TTF가 지식공유활동에만 유의한 영향력이 있었다. 모형의 비교에서 3가지 직종조합과 자유모형의 비교에서 간호사를 제외한 의사-행정관리-의료기사 모형이 동일한 모형으로 파악된 것은 지식공유활동과 관 련된 구조경로의 차이에서 발생한 것일 것이다. 이 결과는 직종별 업무행태와 특성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간호사의 업무에서 개인적 역량과 함께 팀웍 을 통한 의료서비스의 제공이라는 업무특성을 가 정할 때, 이는 의무적 EMR 사용환경에서도 타 직 종과 다르게 EMR의 활용을 통하여 지식공유활동 을 하는 것이 업무성과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공 통된 결과기대를 형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PIIT가 부서간지식공유활동(IDKS)을 매개로 조직 의 성과(OA)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경로의 유의성 을 생각할 때 개인의 IT혁신성(PIIT)이 높은 간호 사일수록 다른 직종에 비해 지식공유를 위한 도구 적 역할로서 EMR의 활용 수준이 높고, 이를 이용 한 업무성과 달성을 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의사와 행정관리직의 경우 EMR사용에 따른 TTF가 개인과 조직의 업무성과에는 각각 직접적인 영향 관계에 있었지만 지식공유활동의 매개역할은 유의하지 않았다. EMR의 의무적 사용에 따른 TTF 는 두 직종이 요구하는 업무성과에는 유의한 영향 을 주었지만, EMR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영역 으로 설정된 지식정보공유활동을 위한 도구로서는 제한적 요소가 있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의사 및 행정관리직에 대한 지식공유의 핵심 영역 을 도출하고, 이들이 추구할 수 있는 효율적인 채 널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개선된 시스템 기능을 반영할 수 있다면 EMR 사용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간호사모형에서 조직업무성과의 주요경로인 TTF→IPKS→IDKS→OA는 유의미한 경로였지만, 구성원간의 지식공유활동(IPKS) → 개인의 업무성 과(PA)의 경로가 음의 영향 관계에 있었다. 이는 구성원들의 개인적 지식공유활동과 관련된 연구대 상 의료기관의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보상체계, 정 보공유와 관련된 조직문화 및 태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일 것이다[24]. 간호사의 EMR의 업무적 활용에 있어 구성원들의 지식공유활동이 개인들에 게 주어진 직무를 해결하는 중 추가적인 EMR 사 용이 요구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과정이 개인 적 업무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인식될 수 있 었을 것이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식정 보의 상호지원성을 통한 목적달성의 효과성을 강 조할 필요가 있고, 조직구성원들의 지식공유와 관 련된 장애 및 촉진 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EMR 기 능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개인의 IT혁신성(PIIT)은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사용시스템의 종류와 관계없이 TAM의 유용성과 편의성을 매개하여 사용의도에 영향에 미치는 요 인으로 모형화할 수 있으며, 이를 Park & Kim[11] 와 Yi et al.[25]의 연구에서 증명하였다. PIIT의 선 행연구들[11][24]은 시스템의 채택과 사용에 있어 자율성(voluntarily)을 가정한 연구였다. 본 연구는 시스템사용에 의무성(mandatory) 이 부여된 경우 이다. 간호사의 PIIT는 부서간의 지식공유활동 (IDKS)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고, 행정관리직의 경 우에 조직의 업무성과(OA) 그리고 의료기사직에서 는 구성원간의 지식공유활동(IPKS)에 유의한 영향 력이 있었다. 모든 직종에서 PIIT는 과업기술적합 도(TTF)에는 유의하지 않은 것은 EMR시스템의 의 무적 사용환경에 의한 결과일 것이다. 사용자의 IT 혁신성이 높다고 해서 의무적 사용영역의 시스템 사용 평가결과인 TTF가 높아야 한다는 가정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의무적 사용 환경에 서 PIIT와 TTF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관련성이 없 는 것은 이 연구의 이론적 주장을 뒷받침하는 결 과라 할 수 있다. 또한 PIIT가 의무적 시스템 사용 의 영역 중에서 직종별 업무성과를 위해 선택적으 로 활용할 수 있는 영역에서는 영향력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을 검정한 결과, 의사, 행정관리직 그리고 의료기사직에는 파악되지 않았지만, 간호사 의 PIIT의 경우 EMR의 선택적 활용영역인 부서간 지식공유활동(IDKS)을 매개로 조직의 성과(OA)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의무적 사용 환경에서도 자 율적 환경의 외생변수로 고려할 수 있는 PIIT가 의무적 구조적 경로에서 부분적으로 접근할 가능 성을 파악하였다. 활용성의 영역은 조직구성원의 성과지향성과 업무의 특성에 따라 EMR의 기능을 활용도구(role of instrumentality)로서 취사 선택하 는 영역이기 때문일 것이다. 사용의 의무성과 기능 사용의 선택성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또한 의사와 행정직의 경우 간호사와 달리 EMR의 다른 기능적 활용영역이 성과형성에 기여하고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고찰을 종합하면 EMR 사용의 평가에서 의미 있는 관리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하여 이론모 형에서 제시하는 만족도, 태도 또는 의도를 매개요 인으로 설정하는 것보다 정보시스템의 활용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식공유활동의 매개적 역할을 파 악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의무적 EMR 사용의 평가결과인 TTF와 자율적 영역의 주요한 요인인 개인의 IT혁신성(PIIT)이 지식정보공유활동의 매개 또는 직접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것과 전문직종별 구조경로에 대한 조절효과를 파악한 것에 의의가 있다. TTF는 의사, 간호사, 행정관리 직의 개인성과 및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결정요인 이었고, 간호사모형에서는 TTF와 PIIT의 영향을 지식공유활동이 매개하여 업무성과에 영향을 주었 다. 이는 의무적 환경의 EMR사용과 EMR기능에 대한 활용영역의 선택이 직종에 따라 다르게 존재 함을 확인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직종별 EMR 사용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지식공유활동과 더불어 각 직종별 주요 매개요인을 추가적으로 발 굴할 수 있다면 시스템 사용의 활용성을 더욱 높 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는 지식공유활동만을 매개요인으로 검증한 한계가 있다. 추후 연구를 통하여 직종별 EMR 사용의 효 용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매개요인의 발굴과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Ⅴ. 결론

    이 연구는 EMR의 사용에 따른 과업기술적합도 (TTF)와 개인의 IT혁신성(PIIT)이 조직의 업무성과 (OA)와 개인의 업무성과(PA)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서 지식공유활동의 매개적 역할을 파악하는 구조 모형을 제시하고 직종에 따른 구조경로의 영향력 에 대한 조절효과를 파악하였다. 4개 직종의 통합 모형의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GFI= .93, AGFI = .87, CFI = .95 그리고 RMSEA = .043로 일반적으 로 제시된 적합도 판정의 기준을 만족시켜 연구모 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직종에 따른 조절효과 를 파악하기 위한 제약모형과 자유모형의 동질성 검정에서는 동일성 가설이 기각되어(CMIN = 69.5, d.f. 45, p <.05) 직종에 따른 구조경로의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4개 직종의 통합모형의 경우 TTF와 PIIT가 업 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지식공유활동이 매 개적 영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직종별 모형비교에서는 3개 직종의 동일성을 가정하였을 때 의사-행정관리직-의료기사모형이 동일한 모형으 로 파악되고 간호사모형은 분리되었다. 간호사의 경우 다른 직종보다 EMR을 활용한 지식공유활동 이 업무성과 창출의 중요한 요인임을 발견하였고, 의사의 경우 TTF가 직접 개인의 업무성과에 영향 을 주었으며, 행정관리직의 경우 TTF와 PIIT가 조 직의 업무성과에 영향을 주었다.

    이 연구는 기존 정보시스템 평가모형에서 제시 하는 시스템 만족도나 신뢰도가 정보시스템의 사 용이나 사용의도를 결정하는 모형을 채택하지 않 고, EMR의 의무적 사용환경에 맞게 모형을 수정 하였다. 의무적 시스템사용의 결과에 대한 평가를 TTF로 측정하였고, 또한 EMR을 통하여 자율적으 로 활용할 수 있는 선택적 영역으로 설정된 지식 공유활동을 매개화하여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EMR의 과업기술적합도(TTF)의 영향 에서 의사의 경우 개인의 업무성과(PA)에 유의미 한 영향력이 있었고, 간호사는 지식공유활동 (PA,OA), 조직의 업무성과(OA)와 개인의 업무성과 (AP)에 영향을 주었다. 행정관리직의 경우 TTF가 개인의 지식공유활동(IPKS)과 조직의 업무성과 (OA)에 각각 양의 영향력 있었다.

    개인의 IT혁신성(PIIT)은 의무적 사용환경에서 EMR의 기능 중 직종별 업무성과를 위해 선택적으 로 활용할 수 있는 가치영역을 파악하기 위한 것 이었다. 간호사의 PIIT는 부서간의 지식공유(IDKS) 를 경유하여 조직의 성과(OA)에 영향을 주었다. 간호사의 경우 EMR의 활용영역에서 지식공유활동 이 업무성과를 달성하는 것에서 주요한 매개 요인 이며, 업무 성과달성을 위한 선택적 활용의 영역으 로써 지식공유활동을 위한 EMR의 지원성을 파악 한 결과이다. 의사와 행정관리직의 경우 이러한 매 개효과가 없었으며, 이들 직종군에서 EMR 사용을 통하여 업무성과에 추가적인 매개적 역할을 할 수 있는 활용영역을 파악하여 시스템에 반영할 수 있 다면 EMR의 활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두 가지 직종모형의 동일성 검정 결과에 의 하면 행정관리직모형이 의사와 간호사모형과 각각 동일성이 파악된 것을 고려할 때 EMR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가치영역을 영역을 발굴하는 것에 있 어 행정관리직의 EMR 사용에 따른 추가적인 요구 기능을 파악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매개요인을 발 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추후 연구를 통하여 직종별 EMR사용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매개변 수의 발굴과 이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Figure

    KSHSM-16-4-11_F1.gif
    the Study Model
    KSHSM-16-4-11_F2.gif
    Structured Equation Path Models and Pairwise Model Comparisons

    Table

    Internal reliability and factor loadings
    Demographics n = 297
    Structured paths with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professional groups n = 297

    Reference

    1. Y.T. Park, Y.S. Lee (2015), Support for the introduction of Standardized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s(E.M.R.) in Domestic Medical Institutions, Health Insurance Review & Accessment Services, pp.20-21.
    2. J.H. Lee (2021), 2020 Health and Medical Informatization Survey Results Report Korea Health Information Service, pp.40-43.
    3. C.Y. Park (2022). After Implementation of the EMR Certification System the Perception of Tertiary Hospital Employees on System and Impac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6(1);91-105.
    4. C.H. Kim, K.D. Lee, Y.J. Kim (2015), Hospital Healthcare Service Innovation: Interaction and Knowledge Sharing based on ICT Relatedness,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17(1):19-47.
    5. J.H. An (1991), Successes and Failures in Information Systems Implementation, Information and Society, Vol.39(-):18-28.
    6. F.D. Davis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3):319-340.
    7. W.H. DeLone E. R. McLean (2003),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 Vol.19(4):9-30.
    8. D. Goodhue, R. Thompson (1995), Task-Technology Fit and Individual Performan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Quarterly, Vol.19(2); 213-236.
    9. M.T. Dishaw, D. M. Strong (1999), Extend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ith task-technology fit constructs,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36(1):9-21.
    10. E. Roger (2003), Difussion of Innovation(5td ed) New York Press, pp.1-50
    11. J.S , Park, H.S. Kim (2010), Impacts of Individual Innovativeness on the Acceptance of IT-based Innovations in Health Care Fields.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16(4);290-298.
    12. D. Goodhue (1998), Development and Measurement Validity of a Task-Technology Fit Instrument for User Evaluations of Information Systems, Decision Sciences, Vol.29(1); 105-138.
    13. C.T. Kim (2014). The Effects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ystem on Hospital Management Performance, J. of Global Business Administration, Vol.(11)(4);157-178.
    14. K.W. Cho, S. K Bae, J.H. Ryu, K.N. Kim (2015).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by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Healthcare I n f o r m a t i c s Research, Vol.21(1);43-48.
    15. K.S. Chang (2010), The Determinants and Performance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Doctoral Dissertation, Sangji University.
    16. S.H. Song (2005), A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 and Influence factors of knowledge Management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ol.6(2);1-22.
    17. J.K. Lee (2012), Influence of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on Job Performance in Hospital, Master's Thesis, Injae University.
    18. H.G. Kim, H.Y. Kwon, S.H. Jeong (2001),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Readiness of an Organization for Knowledge Management’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ol.2(1);45-63.
    19. R. Agarwa, J. Prasad (1998), The Role of Innovation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Voluntariness in the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Decision sciences, Vol.28(3);557-582.
    20. R. Agarwa, J. Prasad (1997), A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28(3);204-215.
    21. M. Hansen, T ,Nohria, T. Tierney (1999), What's Your Strategy for Managing Knowledge? Harvard Business Review, Vol.77(2);106-116.
    22. J.L. Park, J.H. Park (200), A Study on Relation of Knowledge Sharing and Competitive Advantage, J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System, Vol.1;127-147.
    23. M. Noh, K. Chung (2013).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Focusing on Information Trust and Technology Trus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28(1);193-216.
    24. K.R. Park, K.T. Hwan. D.H. Jeong (2003), A Study on resistance to the adoption of ERP system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Vol.10(1);47-59.
    25. M. Yi. K. , Fiedler, J. Park (2006), Understanding the Role of Individual Innovativeness in the Acceptance of IT-Based Innovations: Comparative Analyses of Models and Measures, Decision sciences, Vol.37(3);393-426.
    October 31, 2022
    December 15, 2022
    December 21, 2022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