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6 No.4 pp.37-46
https://doi.org/10.12811/kshsm.2022.16.4.037

성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EQ-5D)과 구강건강상태 관련성 연구

이 혜경‡
전주비전대학교 치위생과

Relationship between Adul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 Status

Hye Kyung Le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Vision College of Jeonju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European Quality of Life-Five Dimension (EQ-5D) scores and oral health status.


Methods:

For this study, the data of 2,446 adults aged ≥ 19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Eigh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ere included and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EQ-5D scores, and oral health using SPSS 26.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uggested that if an adult’s EQ-5D score was bad, their oral health status was poor.


Conclusions:

A health administration system promoting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for adults could be designed using the study’s findings. In addition, oral health prevention and education programs could be developed tha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Q-5D.



    Ⅰ. 서론

    구강건강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로 영양 섭취의 일부분을 담당하고 있어 구강건강 을 배제하고 건강을 설명할 수 없다. 특히, 치주병 은 심혈관질환, 호흡기질환, 당뇨병, 조산, 미성숙 아 출산, 신장병에 대한 잠재적 위험요인이며, 치 주조직이 세균과 그 생성물, 염증과 면역 매개체들 의 저장고 역할을 하게 돼 그 영향이 혈관을 통해 다른 신체기관에 작용하게 됨으로써 심혈관질환 등 전신질환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1].

    따라서, 오늘날 건강과 구강건강을 합리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구강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함으로써 질병 발생을 최소 화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도구를 개발하 여 측정하고 있다. 한국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주로 특정 요인에 대하여 측정하고 있는데 일반적 특성과 삶의 질, 신체활동과 삶의 질, 성별과 삶의 질 등[2][3][4]이다. 또한,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평가 척도는 Park et al.[5]이 개발 한 한국형 비만 관련 삶의 질 평가 척도, Oh[6]의 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 척도, EQ-5D 점수를 이용 한 EuroQoL 평가척도 Lee et al.[7]이 있다. 대부 분의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건강관련 삶 의 질 평가 척도인 EQ-5D는 유럽에서 개발되어 (EuroQoL Group, 1990) 5개의 문항과 문항별 3개 수준으로 이루어진 EQ-5D 점수를 이용하여 각 수 준에 가중치를 곱한 Kim et al.[8]의 도구로 측정 하였다.

    구강상태는 구강기능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건 강상태나 사회성, 자신감 및 삶의 만족도 등 여러 요인들과의 관련성이 있다. 치아 상실은 저작 능력 의 저하로 인한 식사의 질과 영양 불균형, 발음기 능과 심미성을 저하시키고, 일상생활에서 불편과 통증 등으로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구강이 건강한 사람들은 사회적 관계 망에서 유대감을 형성되어 삶의 질이 전반적으로 높다고 할 수 있다.따라서, 인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의 중요성을 알고 합 리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기존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건강관련 삶의 질(EuroQol 5 Dimension) 의 연관성 연구로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구강건 강상태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EuroQol 5 Dimension) 연구를 통해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관련 문제에 대해 연구한 사례가 있다[9]. 그 결과 구강 건강 상태는 국소적인 구강요인뿐만 아니라 의학 적, 사회경제적 생활환경 요인들과 관련이 있는 것 으로 확인되었으며, 일반적인 HRQoL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경우 삶의 질을 좋지 않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쁜 구강건강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구강건강이 좋을 때보다 일반적인 HRQoL을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저자는 기존에 수행된 연구 들 대부분이 일부 지역에 국한되어 대표성에 한계 를 갖는다고 판단되어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질병관리본부가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2 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과 구강건강상태를 EQ-5D 척도 구성요소를 활 용하여 살펴보고자 하며, 이를 바탕으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강건강상태와 일반적 HRQoL의 관 계를 파악하여 구강건강 및 일반적인 건강 향상을 위한 보건정책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변수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한 제8기(2019-2020)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 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만 19세 이상 성인 4,921 명 중 건강 설문조사에 응답하지 않은 2,475명을 제외한 2,446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이용하여, 연 구의 종속변수는 건강관련 삶의 질(EuroQol 5 Dimension) 및 구강설문을 통한 구강건강 관련성 을 조사하였다. 건강 관련 삶의 질(Health-related quality of life)을 측정하기 위해 EuroQol group이 임 상 및 경제성 평가를 목적으로 개발한 EQ-5D(Euro-Qol-5 dimension)[8]를 종속변수로 이용하였다. EQ-5D의 문항에는 5개 영역으로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 활동, 통증 및 불편, 불안 및 우울을 측정하며, 각 영역에서 응답은‘지장 없음’,‘다소 지장 있음’, ‘지 장 있음’의 3가지 척도로 분류하여 건강상태를 가 장 잘 설명 해주는 하나의 척도에 응답을 선택하 도록 하여 건강상태는 측정값 각각에 대하여 가중 치를 적용하여 EQ-5D index를 측정하였다. 각 index 수치가 1에 가까울수록 건강 관련 삶의 질 이 좋음을 의미한다. 또한, 구강건강상태는 5가지 척도로 하여 ‘매우 좋다’, ‘좋다’, ‘보통이다’, ‘나쁘 다’, ‘매우 나쁘다’로 하여 수치가 높을수록 구강건 강상태가 나쁘다라고 인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 연구윤리심의위원회 승 인번호(2018-01-03-2C-A: 제8기 2차년도)자료사용의 허가를 받아 3년 자료를 통합하여 부표본 추출하 여 연구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삶 의 질(EQ-5D)과 구강건강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다 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측정 도구 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value를 측정하여 0.669로 신뢰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 2. 일반적 특성과 건강 관련 삶의 질(EQ-5D) 관

    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t-test 및 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

    • 3. 일반적 특성과 구강건강상태 관련성을 알아 보기 위해 t-test 및 one-way ANOVA 분석, 다중 회귀분석

    • 4. 건강 관련 삶의 질(EQ-5D)이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본 연구는 모집단의 추정치에 대한 연구가 아니 라, 연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이어서 가중치를 부여 하지 않고 분석하였다. 통계적 검정에 사용한 유의 수준(p)은 0.05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에서 여자가 55.5%로 남자 44.5%보다 높았고, 연령은 50~69세 가 48.9%로 가장 높았으며, 30~49세 35.3%, 19~ 29세가 15.8%였다. 교육수준은 전문대졸 이상 45.9%, 고등졸이 37.4%로 나타났고, 결혼상태는 기 혼이 77.2%로 높게 나타났다. 건강보험 종류는 국 민건강보험(직장) 가입자가 67.8%, 국민건강보험(지 역) 가입자가 29.3%, 의료급여 2.9% 순으로 나타났 다. 고혈압과 당뇨병 질환자가 각각 19.1%, 9.2%로 조사되었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KSHSM-16-4-37_T1.gif

    2.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EQ-5D) 관 련성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EQ-5D) 관련 성은 <Table 2>와 같다. 성별에서는 자기관리가 남, 여 모두 1.02로 나타나 건강 관련 삶의 질이 좋게 조사되었고, 남자는 대체적으로 여자보다 운 동능력, 일상활동, 통증 및 불편, 불안 및 우울 영 역에서 건강 삶의 질이 1에 가깝게 나타났고,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p<.05). 연령에서는 19~29세 가 자기관리에서 1.01로 나타나 건강 관련 삶이 질 이 좋았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또한, 운동능력, 일상활동, 통증 및 불편이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수준에서는 전문대졸이 상이 1.01로 건강 관련 삶의 질이 좋게 나타났고,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 및 불편, 불안 및 우울 영역 모두에서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결혼상태에 따라서는 미혼이 자기관리 1.01로 건강 관련 삶의 질이 좋았 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또한, 운동능력, 일상활동, 통증 및 불편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다. 건강보험 종류에 따라서는 국민건강보험(직장) 가입자 자기관리가 1.01로 건강 관련 삶의 질이 좋 았고,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 및 불편, 불안 및 우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고혈압과 당뇨병이 있는 대상자는 일반적으로 건 강 관련 삶의 질이 나쁘게 조사되었고,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 및 불편에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났다(p<.001).

    <Table 2>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G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EQ-5D)

    KSHSM-16-4-37_T2.gif

    3. 일반적 특성이 건강 관련 삶의 질(EQ-5D)에 미치는 영향

    일반적 특성이 건강 관련 삶의 질(EQ-5D)에 미 치는 영향은 <Table 3>과 같다. 일반적 특성에 따 라서는 성별은 남자, 연령은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결혼상태에서는 기혼일수록, 건강보험종 류에 따라서는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고혈압과 당 뇨병이 있는 경우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 쳤으며, 고혈압과 당뇨병을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05). 일반적 특성이 건강 관련 삶 의 질에 미치는 모형의 설명력은 42%로 나타났다 (p<.05).

    <Table 3>

    Effect of General Characteristic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EQ-5D)

    KSHSM-16-4-37_T3.gif

    4. 일반적 특성과 구강건강상태 관련성

    일반적 특성과 구강건강상태 관련성은 <Table 4>와 같다. 성별은 남자 3.18로 여자 3.06보다 구강 건강상태가 나쁘다라고 인지하고 있었고,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연령은 50~69세가 3.24 로 구강건강상태가 나쁘다라고 인지하고 있었고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교육수준은 전문 대졸이상이 3.04, 고등졸 3.12, 중등졸 3.23, 초등졸 3.39로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구강건강상태를 나쁘 다라고 인지하고 인지하고 있었고,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결혼상태는 기혼이 3.18로 나쁘 다라고 인지하고 있었고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건 강보험 종류에 따라서는 의료급여자가 3.43으로 가 장 구강건강상태가 나쁘다라고 인지하고 있었고,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그리고 고혈압과 당뇨병이 있는 경우에 각각 3.27, 3.30으로 구강건 강상태를 나쁘다라고 인지하고 있었고,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05).

    <Table 4>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Status

    KSHSM-16-4-37_T4.gif

    5. 건강관련 삶의 질(EQ-5D)과 구강건강상태 관련성

    일반적 특성이 건강관련 삶의 질(EQ-5D)에 미 치는 영향과 건강관련 삶의 질(EQ-5D)과 구강건강 상태 관련성은 <Table 5>와 같다.

    <Table 5>

    Relationship betwee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EQ-5D) and Oral Health Status

    KSHSM-16-4-37_T5.gif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남자, 연령은 높을수록, 교육수준은 낮을수록, 기혼자, 의료급여자가 구강 건강상태를 나쁘게 인지하고 있었고, 고혈압과 당 뇨병이 있는 경우에 구강건강상태를 나쁘게 인지 하고 있었다. 일반적 특성이 구강건강상태에 미치 는 모형의 설명력은 42%로 나타났다(p<.05). 건강 관련 삶의 질(EQ-5D)과 구강건강상태 관련성은 운 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 및 불편, 불안 및 우울 요인이 높을수록 구강건강상태를 나쁘다 라고 인지하고 있었고, 자기관리와 불안 및 우울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건강 관련 삶의 질(EQ-5D)이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모형의 설명 력은 16%로 나타났다(p<.05).

    Ⅳ. 고찰

    본 연구는 만 19세 이상 59세 이하인 성인을 대 상으로 연구로 제8기(2019-2020년) 국민건강영양조 사 자료를 이용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EQ-5D)과 구강건강상태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시행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EQ-5D) 관련 성은 자기관리 영역이 1에 가깝게 나타남으로써 대체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이 좋게 나타 났고, 의료급여 수급자는 운동능력 1.44, 통증 및 불편 1.58로 나타나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이 나쁘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이는 Kim[10]과 Kim & Lee[11]의 연구와 일치된 결과로 저소득층에 해당되는 의료급여 수급자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보건의료서비스를 충분하 게 이용하지 못하고 있어 장애나 만성질환을 가지 고 있을 가능성이 크고 건강수준이 낮게 나타나 운동능력, 통증 및 불편이 나쁘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일반적 특성이 건강관련 삶의 질(EQ-5D)에 미 치는 영향은 남자, 연령은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기혼일수록,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고혈 압과 당뇨병과 질환이 있는 경우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이 나쁘게 나타났고, 성별, 연령, 교육수 준, 결혼상태, 건강보험 종류는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p<.05). 이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만성질환인 고혈압과 당뇨병이 있는 경 우, EQ-5D 5개 영역에서 삶의 질이 전반적으로 낮 은 결과를 보였던 타 연구[12][13][14]와 같은 결과 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동반 질환의 증가가 그 원인이라고 분석된다. 또한, 교육수준에 따른 반비 례적으로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것에 대해서는 교육 수준에 따른 직업의 선택과 관련이 있고, 교육 문 호의 개방으로 인해 젊은층의 교육 수준이 높은 것도 원인이라고 사료된다. 더욱이 남자가 여자보 다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이 나쁘게 나타난 결 과는 Gim et al.[15]의 연구와는 다른 결과로, 사회 문화적으로 남자가 음주, 흡연 등의 노출 환경과 가족의 생계를 위해 직장생활을 하며 받는 스트레 스 등이 크기 때문에 남자가 여자보다 건강관련 삶(EQ-5D)의 질이 나쁘게 분석된 결과로 생각된 다.

    구강건강상태는 의료급여 수급자 3.43, 초등졸 3.39로 나쁘게 인지하고 있었고, 연령, 성별, 교육 수준, 건강보험 종류, 고혈압과 당뇨병 유무에 따 라 구강건강상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는 Lim[16]과, Kim & Lee[17]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치아상실과 치주질 환 등으로 치아기능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합리 적인 구강관리를 통한 구강건강 유지 및 증진 필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성별에 따라서는 사 회경제 활동을 하는 남자에 비해 육아나 가사 일 을 주로 담당하는 여자가 더 섬세하고 본인은 물 론 가족들의 건강에도 관심이 더 많고 시간적으로 도 여유가 있어 치과 방문도 더 자주 하게 되는데 서 오는 결과로 해석된다. 교육수준에 따른 구강건 강상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구강건강이 좋다고 인지하였다. 이는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구강건강상 태를 나쁘다고 인지한다고 한 Jung et al.[18]의 연 구와 유사한 결과로 교육수준이 낮으면 구강검진 을 잘 하지 못할 뿐 아니라 치과진료가 필요함에 도 불구하고 치과치료 욕구를 채워주지 못해 치과 진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아지면서 저작불 편을 야기시킴으로써 발생한 결과로 생각된다.

    또한, 의료급여 수급자의 경우, 국민건강보험 가 입자보다 구강건강상태가 열악한 것은 우리나라 치과 진료가 비급여인 항목이 많아 저소득계층인 의료급여 수급자가 외래 이용에 제약 요인으로 작 용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1977년 국민건강 보 장 제도의 실시를 통하여 모든 국민이 소득이나 지불능력에 상관없이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 도록 제도적 장치를 시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개 인 간의 경제적인 격차로 인하여 기초 생활 수급 자의 치과진료 접근성은 여전히 낮게 나타났다 [11]. 경제적인 이유로 치과의료 서비스의 혜택을 누리지 못한다면 치아의 손상과 상실로 인해 치료 비용이 더 커질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개인 측면에서 올바른 구강건강 행위와 구강건강 지식 및 태도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 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그러나 구강건강 관련 행태의 변화만으로 사회경제적 상태에 따른 구강 건강 불평등을 감소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사회경제적 수준과 교육수준을 고려한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 력이 필요할 것이다.

    고혈압과 당뇨병이 있는 경우, 구강건강 상태가 나쁘게 나타난 결과는 Lee[19]와 Han et al.[20]의 연구와 일치된 결과로 만성 질환을 가진 경우 치 주질환과 상실치, 말하기, 저작불편 등의 구강건강 문제의 위험이 증가하여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구 강건강 상태를 나쁘게 인지하게 된 결과로 생각된 다. 따라서 이러한 구강보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인적인 관리와 더불어 국가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이 구강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 및 불편, 불안 및 우울이 높을수록 나쁘게 인지하 고 있었고, Choi et al.[21]과 Heo et al.[22]의 연구 와 같은 결과로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이 일반 적으로 구강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 로,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이 나쁘면 구강상태 가 좋지 못해 음식 섭취 및 구강통증 및 저작불편, 말하기 불편 등으로 이어져 구강건강 상태에 악영 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대인관계에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 결과로 사료된다.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은 구강건강증진을 향 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되므로, 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성인을 위한 구강보건을 포함하는 보건 행정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구강건강 의 예방 및 교육차원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건강관 련 삶의 질(EQ-5D)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전신건강의 활발한 중재 프로그램과 더 불어 구강관련 사업을 함께 진행할 것을 제안해 본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국민건강영양 조사는 단면 조사 연구로 건강관련 삶의 질 (EQ-5D)과 구강건강상태의 선후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없다는 점이다. 둘째, 건강관련 삶의 질(EQ-5D) 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요인을 고려하지 못 한 점이다. 향후에는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다양 한 환경요인을 포괄하는 모형을 구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가를 대표할 수 있는 자료를 이용하 였고, 성인의 구강건강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 (EQ-5D) 구성요소와 관련성을 확인한 의미 있는 연구이다.

    Ⅴ. 결론

    본 연구는 성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EQ-5D)과 구강건강상태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제8기 (2019-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 성인 2,446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EQ-5D), 구강건강상태 관련성은 경제적 저소득 층인 의료급여 대상자,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에 보 건의료서비스를 충분하게 제공받지 못해 장애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크고 건강수준 이 낮아 이에 대한 보건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이 다. 둘째, 고혈압과 당뇨병이 있는 경우, 구강건강 상태가 나쁘게 나타나 만성 질환을 가진 경우 치 주질환과 상실치, 말하기, 저작불편 등의 구강건강 문제의 위험이 증가한 결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변화하는 질병구조, 의료환경에 맞춰 만성질환 관 리 정책의 방향을 새롭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셋 째,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이 구강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 및 불편, 불안 및 우울이 높을수록 나쁘게 인지하 고 있었고, 이는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이 나쁘 면 구강상태가 좋지 못해 음식 섭취 및 구강통증 및 저작불편, 말하기 불편 등으로 이어져 사회생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인의 건강관련 삶 의 질(EQ-5D)이 나쁘면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못함 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성인의 구강건강상태를 건강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건강의 중요성을 인 식하고 성인을 위한 구강보건을 포함하는 보건행 정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구강건강의 예방 및 교육차원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EQ-5D)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전신건강의 활발한 중재 프로그램과 더 불어 현 상황에 맞는 구강보건정책 개발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G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EQ-5D)
    Effect of General Characteristic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EQ-5D)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Status
    Relationship betwee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EQ-5D) and Oral Health Status

    Reference

    1. C.S. Kim, Y.K. Choi (2017), Survey of Adults’Perceptions of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ic Diseases and Oral Health, J Dent Hyg Sci, Vol.17(1);12-19.
    2. B.G. Kim (2020),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Adults using EQ-5D, KJOHSM, Vol.14(4);147-16.
    3. S.Y. Park, D.H. Yun (2014), Associations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KNHANES V-2, JHMS, Vol.53(2);201-214.
    4. J.N. Choo, S.H. Jeon, J.Y. Lee (2016), Gender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sociated with Abdominal Obesity in a Korean Population. BMJ Open, Vol.4;1-8.
    5. K.S. Park, J.W. Kim, J.Y. Jo, J.M. Lee (2012), A Study on Quality of Life of Overweight and Obese Women using SF-36, J Korean Med Obes Res, Vol.12;1-8.
    6. H.S. Oh (2014), Important Significant 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EQ-5D) by Age Group in Korea Based on KNHANES, JKDIS, Vol.28(3);573-584.
    7. J.J. Lee, H.J. Lee, E.J. Park (2014), Effect of Staged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on, Diabetes Patients in a Community(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Using EQ-5D), JAMCH, Vol.39(1);37-45.
    8. S.H. Kim, S.J. Jo, M.W. Jo (2013), Effect of EuroQol-5 Dimension on Visual Analogue Scale in Korean Population, Korean J Health Promot, Vol.13(2);69-75.
    9. E.S. Choi, J.Y. Lyu, H.Y Kim (2015),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EuroQoL-5 Dimension), J Dent Hyg Sci, Vol.15(4);480-487.
    10. H.R. Kim (2013),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Affecting Factors among the Aged in one Korean Community, KJOHSM, Vol.7(4);167-178.
    11. K.H. Kim, S.G. Lee (2020), Effects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KJOHSM, Vol.14(1);161-176.
    12. O.J. Ju, I.J. Kim, J.L. Son (2020), Influenc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EQ-5D) on Oral Health Problems in the Elderly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KCS, Vol.11(1);309-315.
    13. B.E. Carlier, M. Schuring, J.B. Lotters, B. Bakker, N. Borgers, A. Burdorf (2013), The Influence of Reemployment on Quality of Life and Self-Rated Health, a Longditudinal Study among Unemployed Persons in the Netherlands, BMC Public Health, Vol.13;503.
    14. Y.R. Kim (2021), Effect of Oral Health Promotion and Oral Disease Treatmen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ment Tools EQ-5D and HINT-8: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KSDH, Vol.21(5);621-628.
    15. M.S. Gim, J.Y. Han, C.W. Kim (2015),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the Employment Status, KAIS, Vol.16(9);6080-6088.
    16. C.Y. Lim (2014), Association of Oral Health with the Nutri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17. Y.H. Kim, J.H. LEE (2016), The Relationship of Quality of Health-Related Life with the Status of Oral Health in Adults, JKAH, Vol.40(3);165-170.
    18. M.H. Jung, S.S. Kim, Y.S. Kim, E.S. Ahn (2014), Relationship of Socioeconomic Status to Self-Rated Oral Health, J Dent Hyg Sci, Vol.14(2);207-13.
    19. J.H. Lee (2020), Effects of Oral Health Behavior on Remaining Teeth in Korean Adults Older than 45 years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J Korean Soc Dent Hyg, Vol.20(1);41-51.
    20. Y.J. Han, M.A. Han (2016), Oral Health and Behavior by Diabetic Status: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Korean Soc Dent Hyg, Vol.16(2);233-40.
    21. E.S. Choi, J.Y. Lyu, H.Y. Kim (2015),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EuroQoL-5 Dimension), J Dent Hyg Sci, Vol.15(4);480-487.
    22. S.E. Heo, J.H. Ji, S.C. Yi, J.H. Heo (2016), The Relevance of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Oral-Cavity for Removable Denture Satisfaction of Senior Citizens Over 65 Years of Age, KJOHSM, Vol.10(3);135-146.
    August 22, 2022
    November 17, 2022
    December 16, 2022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