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6 No.4 pp.47-57
https://doi.org/10.12811/kshsm.2022.16.4.047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예방적 건강 행위 영향요인

김 영숙1, 박 영주2, 이 민희3
1고신대학교 간호대학
2부산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3고신대학교 전인간호과학연구소

Factors Influencing COVID-19 Preventive Health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Youngsuk Kim1, Young Joo Park2, Min Hee Lee3
1College of Nursing, Kosin University
2Department of Nursing,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3Center for Wholistic Nursing Science, Kosin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s:

This descriptive survey aim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of and attitude toward COVID-19 on their infection preventive health behaviors.


Methods:

This study applied a descriptive methodology to analyze the data of, 181 nursing students from 4 universities in B City,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dministered between April 1 and 30, 2022.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IBM SPSS ver. 22.0.


Results:

The degree of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health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was 3.52±0.42 (out of 4).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health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were COVID-19 infection attitude (β = .58, p <.001)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future education on COVID-19 management (β= .12, p = .049). These variables explained 35% of the variance in influence preventive health behavior.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COVID-19 infection control education programs for nursing student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 나19)는 신종 감염병으로, 빠른 속도로 전 세계에 확산되어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에서는 2020년 전염병 경보단계 중 최고 등급인 ‘Pandemic’을 선언하였다[1]. 국내에서는 2020년 1 월 첫 해외유입 이후 2월 경 지역사회 집담 감염 이 발생하여 한국 정부는 ‘심각’ 단계로 감염병 위 기 대응 단계를 격상하고 비상 대응 체계를 24시 간으로 강화하였다[2]. 감염병 확산은 의학적 재난 인 만큼 의료인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며, 간호 사는 확진자와 감염 의심 환자에게 직접 간호를 시행하여 장시간 밀접접촉으로 인한 감염에 노출 될 위험이 높다[3]. 또한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을 통해 환자를 직접, 간접적으로 간호해야 하므로 환 자와 접촉하며 보내는 시간이 많아 감염병에 노출 될 위험이 타 대학생보다 높다[4]. 특히 간호대학 생은 간호사에 비해 전문성이 부족하여[5], 코로나 19와 같은 신종감염병이 발생할 경우 환자 간호에 있어 불안한 정서를 보이며 임상 실무 간호사가 되는 것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다[6]. 따라 서 감염병 유행에 대한 혼란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올바른 지식을 제공하고 인식을 심어주는 노력이 중요하다[7]. 간호대학생의 감염병에 대한 지식 정도가 높을수록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단순 지식이 아닌 행동 변화로 이어질 수 있 으며[8], 나아가 간호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 이다[7]. 태도란 어떤 대상에 대하여 호의적이나 비호의적으로 반응하게 되는 체계화된 성향을 말 한다[9]. 질병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전파방 지를 위한 예방적 건강 행위를 수행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10],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호흡기 감염병을 예방하고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감염관 리에 대하여 올바르게 인지하고 수행할 수 있는 긍정적인 태도가 갖추어야 한다.

    예방적 건강행위란 질병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상태에서 자신이 질병을 피할 수 있다고 믿 는 건강한 사람이 질병을 조기 발견하거나 예방하 기 위한 목적으로 행하는 활동이다[11]. 지난 2015 년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사태를 지나오면서 의료인들은 감염질환의 전파를 막기 위해 감염예방 행위가 중 요하다는 것을 더욱 잘 인식하게 되었다[6]. 하지 만 최근 코로나19 이후 국내에서는 간호사를 대상 으로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를 파악하는 연구 [12][13]는 있으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발표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미래의 간호사인 간 호대학생들의 코로나19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하여 이들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정도를 파 악하고 예방적 건강 행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 중 감염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예방적 건강 행위의 실천이 중요하므로 학생들에게 코로나19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 하고 감염예방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높여 예방적 건강 행위를 실천하도록 도와야 한다[4][7].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 도 및 예방적 건강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 및 예방적 건강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코로나와 같은 감염병 관 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코로 나19 감염예방을 위한 코로나19 지식, 태도, 예방 적 건강 행위를 파악하고, 예방적 건강 행위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 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 2) 대상자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 적 건강 행위 정도를 파악한다.

    •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예방적 건강 행위 정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 4) 대상자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 적 건강 행위 정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5) 대상자의 예방적 건강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B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임상실습을 경험한 3, 4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 로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적 건강 행위 정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예방적 건강 행위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B시 4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 인 임상 실습을 경험한 3∼4학년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의 참여에 동의한 사 람을 편의 표집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고신대 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IRB No : KU IRB 2021-0024)을 받은 후 진행하였으며, 코로 나19로 인하여 대면 수업이 제한된 간호대학생들 의 접근성이 어려운 점과 직접 방문 시 그들이 느 끼게 될 불편감, 코로나19의 전염에 대한 두려움을 줄 수 있어,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고, 첫 페이지 에 동의서를 수록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 수는 G-Power 3.1.9.2 program 산출 기준에 근거한 다 중회귀분석 통계법으로 양측검정 유의수준 (Probability level) .05, 중간 효과 크기(Effect size) .15, 검정력(Statistical power) 95%, 예측변수 (Number of predictors) 11개로 계산 하였을 때, 최소 표본수는 178명으로 계산되었으며, 탈락률 약 10%를 고려하여 200명을 대상자로 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동시다발적으로 설문에 응답한 사람 들의 자료가 동시에 수집되었으며, 계획된 표본 수 인 200명의 설문자료가 수집되고, 이중 불충분하게 작성된 설문지 19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 181부를 분석하였다.

    3. 연구도구

    연구 도구는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 용하였으며, 설문지의 구성은 코로나19에 대한 지 식 23개 문항, 태도 12개 문항, 예방적 건강 행위 10개 문항, 일반적 특성 9개 문항으로 총 54개 문 항으로 구성되었다.

    1)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질병관리본부[2]가 제시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 증-19 대응지침 제6판을 기초하여 Yoon[12]이 개 발한 도구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지침 제10판[14]을 기준으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 다. 이 도구는 총 19개 문항으로 각 문항은 ‘예’, ‘아니오’로 구성하여 자신이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에 표기하도록 하였다. 측정 결과 정답에는 1 점, 오답은 0점 처리하여 지식 점수는 최저 0점에 서 최고 19점으로 구성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지 식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신뢰도 는 Kuder-Richardson 20(KR 20)=.15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62였다.

    2) 코로나19에 대한 태도

    Park[15]이 개발한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를 Baik[13]이 코로나19에 대한 태도로 수정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감염관리 전문간호사 2인과 간호학과 교수 1인의 자문을 얻어 최종 수 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12개 문항 으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다’ 5점의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었다. 점수가 높을수록 코로나19 감염병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인 것을 의 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은 .95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91이었다.

    3) 예방적 건강 행위

    Choi & Kim[6]이 개발한 메르스에 대한 간호학 생의 예방적 건강행위 측정도구를 Lee[16]가 수정 한 도구를 감염관리 전문간호사 2인의 자문을 얻 어 코로나19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 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10개 문항으로 ‘매우 아니 다’ 1점, ‘매우 그렇다’ 4점의 4점 Likert 척도로 구 성되었다. 점수가 높을수록 예방적 건강 행위를 잘 함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Choi, Kim[6]의 연구에서 Cronbach's α값은 .77이었으며, 본 연구 에서는 .85였다.

    4.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 성은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값과 최 대값으로 산출하였으며,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 도 및 예방적 건강 행위 정도는 평균, 표준편차, 평균평점,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예방적 건강 행위 정도 의 차이는 t-test, ANOVA로, 사후 검정은 Scheffé 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코로나19에 대한 지 식, 태도 및 예방적 건강 행위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으로 산출하였으며, 예방적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은 여성이 157명 (86.7%)으로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26.08±7.13세였 으며, 23~24세가 64명(35.4%)으로 가장 많았다. 학 년은 3학년이 96명(53.0%)으로 많았으며, 건강 상 태는 ‘좋음’으로 응답한 군이 82명(34.8%)으로 많았 고, 임상 실습 기관은 대학병원이 97명(53.6%)으로 많았다. 또한, 임상 현장실습 만족도는 ‘만족’으로 응답한 군이 71명(39.2%), 코로나19 관리에 대한 교육의 유, 무는 ‘유’로 응답한 군이 158명(87.3%), 필요성은 ‘예’로 응답한 군이 172명(95.0%), 코로나 19 관리에 대한 추후 교육 참여 의사는 ‘예’로 응 답한 군이 159명(87.8%)으로 많았다(Table 1).

    <Table 1>

    Differences in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Health Behavior by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N = 181)

    KSHSM-16-4-47_T1.gif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예방적 건강 행위 정도 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예방적 건강 행위 정도는 건강 상태(F=3.64, p=.014), 코로나19 관리 에 대한 추후 교육 참여 의사(t=2.41, p=.023)에 따 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증 결과 건강 상태는 ‘매우 좋음’이라 응답한 군이 ‘좋음’이라 응 답한 군보다 예방적 건강 행위 정도가 높게 나타 났다(Table 1).

    3. 대상자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 방적 건강 행위 정도

    대상자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정도는 정답을 1, 오답을 0으로 하였을 때, 평균 0.84±0.11점으로 약 79%의 정답률을 보였다. 코로나19에 대한 태도 정도는 4.09±0.62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으며, 예 방적 건강 행위 정도는 3.52±0.42점(4점 만점)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Degree of COVID-19 Infection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N = 181)

    KSHSM-16-4-47_T2.gif

    4. 대상자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 방적 건강 행위 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예방적 건강 행위는 코로나19에 대한 태도(r=.59, p<.001)와 순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예방적 건강 행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able 3).

    <Table 3>

    Correlations among COVID-19 Infection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of Students (N = 181)

    KSHSM-16-4-47_T3.gif

    5. 대상자의 예방적 건강 행위 영향 요인

    대상자의 예방적 건강 행위 영향 요인을 파악하 기 위해 예방적 건강 행위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으로 건강 상태와 코로나19 관리 에 대한 추후 교육 참여 의사를 가변수 처리하여 투입하였고, 본 연구의 주요 변인인 태도를 투입하 여 다중회귀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다중회귀 분석 독립변수들에 대한 가정을 검증하기 위해 다 중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회귀분석의 공차한계값 (Tolerance)은 .995으로 모두 0.1이상이고, 분산팽창 인자(Variation inflation factor, VIF) 값은 1.005으 로 10 이하로 나타나 독립변수 간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었다. 또한, 잔차의 독립성 검증을 위해 Durbin-Watson 값을 구한 결과 2.02로 나타나 2에 가까우므로 자기 상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상자의 예방적 건강 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은 코로나19에 대한 태도(β=.58, p<.001) 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코로나19 관리에 대한 앞으 로의 교육 참여(β=.12, p=.049)로 나타났으며, 예방 적 건강 행위에 대한 설명력은 총 35%이었다 (Table 4).

    <Table 4>

    Variables that Influence Preventive Health Behavior (N = 181)

    KSHSM-16-4-47_T4.gif

    Ⅳ. 고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적 건강 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의 상관관계를 분석 및 예방적 건강 행위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코로나와 같은 감염병 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 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지 식 정도는 정답을 1점, 오답을 0점으로 하였을 때, 평균 0.84±0.11점으로 약 84%의 정답률을 보였다. 이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수 준을 확인한 Yoon[12]의 연구에서 평균 0.72±0.08 점으로 약 72%, Baik[13]의 연구에서 71%의 정답 률을 보인 것과 비교하였을 때 간호대학생의 지식 정도가 높았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선행 연 구는 코로나19가 발생한 직후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인 반면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전 세 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간호대학생들이 인터넷, 신문, 소셜미디어 등의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정보 를 습득할 기회가 많아져, 즉 연구 진행시기 차이 로 인해 본 연구 의 대상자가 선행연구의 대상자 보다 지식이 높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코로나19에 대한 태도 정도는 4.09±0.62점 (5점 만점), 49.05±7.38점(60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Baik[13]의 연구에서 52.06±4.55점(60점 만점)로 나타난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Jeon & Baek[17]의 연구에서는 24.57±2.70(30점 만점)으 로 나타났으나 측정 도구가 상이하여 정확한 비교 는 불가하였지만 선행연구와 본 연구 모두 간호대 학생의 태도 정도가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결과는 코로나19 확산할 당시 3, 4학년 간호대 학생들이 임상실습 현장에서 코로나19로 인해 급 변하는 임상현장을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함으로서 코로나19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것으로 여겨진 다. 따라서 코로나19와 같은 감염질환관련 교육 시 교육내용에 감염병의 심각성과 예후 등을 포함하 여 감염병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방적 건강 행위 정도는 3.52±0.42점(4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Park et al.[18]의 연구에서 3.62±0.30점(4점 만 점)으로 나타난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게 높게 나타 났다. 간호대학생의 예방적 건강 행위 정도가 다소 높게 나타난 결과는 간호학과에서 교내⋅임상 실 습 교육 시 감염에 대한 안전교육을 강조한 결과 로 보여진다[18].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예방적 건 강 행위 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교육에 흥미 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매체 활용이 필요하다. 특히나 건강 상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간호대 학생들은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예방 건 강 행위를 준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9]. 이에 간 호대학생들이 강의 및 임상실습 등의 바쁜 일정 가운데에서도 자신의 건강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동기부여, 건강프로그램 개 발 및 적용, 나아가 학생들을 위한 대학차원의 건 강관련 복지시설 구비하여 학업과 건강관리를 병 행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예방적 건강 행위 정도는 건강 상태(F=3.64, p=.014), 코로나19 관리에 대한 추후 교육 참여 의사(t=2.41, p=.023)에 따라 차이 가 있었다. 건강 상태에 따라 차이를 보인 것은 Jeon & Baek[17]의 연구에서 주관적 건강 인식에 따라, Kim et al.[19]의 연구에서 주관적 건강 수준 에 따라 예방적 건강 행위에 차이가 나타난 결과 와 일맥상통하다. 또한, 코로나19 관리에 대한 추 후 교육 참여 의사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Park et al.[18]의 연구에서 코로나19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 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본 연구의 간호대학생 들이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코로나19 감염 전파로 인해 대면수업이 제한됨에 따라 비대면 수업방법이 개 발되어 있으므로, 간호대학생들을 위한 감염관리 교육 또한 다양한 교육 전달 매체를 활용하여 원 활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구체적인 예시 로 첫 번째, 방호복 입기와 같은 직접 체험 활동. 두 번째, 감염관리와 관련된 3D, 시뮬레이션 실습 수업. 세 번째, 감염관리 교육 컨텐츠 프로그램 개 발 활동 등의 다양한 매체를 교과목에 접목시켜 학생들의 예방적 건강 행위 실천을 증진할 수 있 도록 교육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적 건강 행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 코로나19에 대한 태도와 예방적 건강 행 위(r=.59, p<.001)는 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20]와 임상병리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21]에서 코로나19에 대한 태도와 감염예방 행위가 순 상관관계를 나타낸 결 과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지식과 예방적 건강 행위 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선행연구 의[17][18][19]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코로나19에 대한 경로나 증 상, 잠복기 등의 기본적 지식이 높아져[21]나타난 현상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지난 2015년 중동호흡 기증후군 사태 시기 이루어진 연구에 따르면 지식 과 태도가 높을수록 감염예방 행위가 높게 나타나 [22] 감염예방을 위한 행위에 지식과 태도가 모두 중요함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신종 감염병 유행시 간호대학생의 예방적 건강 행위 실천을 통하여 얻 게 되는 유익성에 대한 정보를 교육내용에 포함하 여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예방행위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지닐 수 있도록 하여 간호대학생의 예방적 건강 행위를 증가시킬 수 있 도록 해야한다.

    마지막으로 간호대학생의 예방적 건강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한 결과 예방적 건강 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코로나19에 대한 태도(β=.58, p<.001)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코 로나19 관리에 대한 추후 교육 참여 의사(β=.12, p=.049)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코로 나19에 대한 태도와 예방적 건강 행위를 살펴본 연구가 없어 정확한 비교는 불가능 하나 임상병리 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23]에서 주거 형태, 코로나19에 대한 교육 참여 유무, 코로나19에 대한 태도 및 위험 인식이 감염예방 행위 수행 정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와 부분 적으로 유사하였다. 또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24]에서 메르스를 예방하려는 태도가 적극 적일수록 감염예방 행위를 더욱 준수하려 한다는 연구 결과와 일맥상통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간호 대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태도가 적극적일수록 예방적 건강 행위를 실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코로나 환자를 직접적으로 관리하는 실무 자와의 만남과 특강을 통하여 임상현장의 실태를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팬데믹 현상으로 인한 경제 사회, 문화의 변화에 대한 토의의 장을 마련하여 전염병에 대한 심각성과 위험 인식을 고취함으로 써 코로나19에 대한 태도를 확립할 수 있도록 해 야 한다. 또한, 간호대학생들이 코로나19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코로나19 를 포함한 감염병 교육을 더욱 활발히 해야하며, 코로나19에 대한 경각심이 낮으면 예방행위에 부 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25], 감염병의 심각 성, 예후와 함께 예방적 건강 행위 실천의 유익성 을 포함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예 방적 건강 행위를 실천하도록 해야한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예방적 건강 행위에 코 로나19에 대한 태도가 영향을 미쳤으며, 간호대학 생의 예방적 건강 행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코로나19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과, 코로나19 관리에 대한 교육 제공의 필요성을 제시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개 지역에 국한된 4개 대학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 간호대학생으 로 일반화 하는데 신중한 해석이 요구된다.

    Ⅴ. 결론

    본 연구는 3, 4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코 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적 건강 행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예방적 건강 행위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예방적 건강 행위는 건강상태, 코로나19 관리에 대한 추후 교육 참여 의사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예방적 건강 행위는 코로나19에 대한 태도와 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예방적 건강 행위에 코로나 19에 대한 태도와 코로나19 관리에 대한 추후 교 육 참여 의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이 적극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코로나 병동 임상현장의 간접적 경험과 더불어 펜데믹 현상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변화와 심각성과 위험 인식을 고취시키 고, 예방적 건강 행위 실천의 유익성을 포함한 감 염병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통하여 자신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예방적 건강 행위를 실천하 도록 해야 한다. 또한, 지식이 예방적 건강 행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므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 하 고자 한다.

    먼저, 예방적 건강 행위 실천의 유익성을 포함 한 감염병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예방적 건강 행위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나타난 두 변수의 설명력이 35%로 낮게 나타난 점을 고려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 로 예방적 건강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 각적으로 검토하는 후속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Figure

    Table

    Differences in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Health Behavior by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N = 181)
    Degree of COVID-19 Infection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N = 181)
    Correlations among COVID-19 Infection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of Students (N = 181)
    Variables that Influence Preventive Health Behavior (N = 181)

    Reference

    1. https://www.who.int/health-topics/coronavirus#tab=tab_1
    2. http://nqs.kdca.go.kr/nqs/quaStation/masan.do?gubun=notice&fromMainYn=Y&ctx=MS1&contentid=233254
    3. I.S. Jang, S.J. Lee, A.R. Song, Y.G. Kim (2018), Influence of Resilience and Anger Expression Style on Nyrsing Work Performance in Emergency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27(4);247-256.
    4. Y.H. Sung, H.K. Nam (2006), The Study of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for the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15(1);40-49.
    5. R. Derek, A. Peter (2005), Needlestick and sharps injurie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51(5);449-455.
    6. J.S. Choi, J.S. Kim (2016), Factors Influencing Preventive Behavior against Middel East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 among Nursing Students in South Korea, Nurse Education Today, Vol.40;168-172.
    7. S.Y. Park, M. Kim (2010), Factors Affecting Children’s Preventive Behavior for Novel Influenza A(H1N1),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7(1);9-19.
    8. S.H. Son, J.S. Park (2017), A study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Behavior of Patient Safety,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ol.29(4);1043-1053.
    9. G.H. Yoon, M.S. Kim, J.H. Kim, G.D. Nam, K.S. Do, G.S. Park, S.Y. Yu (2006), Introduction to Psychology, Hakjisa, pp.1-539.
    10. D. Papagiannis, F. Malli, D.G. Raptis, I.V. Papathanasiou, E.C. Fradelos, Z. Daniil, G. Rachiotis, K.I. Gourgoulianis (2020), Assessment of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es towards New Coronavirus (SARS-CoV2)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Greece before the Outbreak Period,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7(14);4925.
    11. S.V. Kasl, S. Cobb (1966), Health Behavior, Illness Behavior and Sick-Role Behavior, Archives of Environmental Health, Vol.12(2);246-266.
    12. S.R. Yoon (2020), Correlations between Nurses’ Knowledge of COVID-19 and Infection Control Compliance, Resilience, Resilience and Psychosocial Well-being,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pp.1-73.
    13. J.H. Baik (2020), A Study on Nursing Intention and Knowledge, Attitudes about COVID-19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Nursing & Welfare Graduate School of Hansei University, pp.1-89.
    14. http://ncov.mohw.go.kr/upload/ncov/file/202107/1625119337645_20210701150218.pdf
    15. G.S. Park (2006), The study on the Health center avian influenza worker’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al skills about management of avian influenza,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Inje University, pp.1-35.
    16. K.H. Lee (2017), Kowledge, health belief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on Middel East Respiratory Syndrome(MERS),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pp.1-47.
    17. S.H. Jeon, S.M. Baek (2021), A Study on the Knowledge, Attitude, Anxiety, and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s of COVID-19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12(6);2285-2300.
    18. S.H. Park, E.K. Byun, Y.S. Seo (2021), Knowledg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of Coronavirus disease19(COVID-19)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7(2);281-289.
    19. H.J. Kim, E.Y. Cheon, J.H. Yoo (2021),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Risk Perception, Preventive Health Behavior from Coronavirus disease-2019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Vol.22(4);246-254.
    20. S.J. Park, J.E. Han, K.H. Kwak (2021),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for COVID-19 upon the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the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Research, Vol.5(1);13-23.
    21. M.K. Bundorf, J. DeMatteis, G. Miller, M. Polyakove, J.L. Streeter, J. Wivagg (2021), Risk perceptions and protective behaviors: evidence from COVID-19 pandemic,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tch, Vol.28741.
    22. S.J. Chang, J.H. Park (2018), Knowledge, Attitudes and Compliance Regarding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s for MERS among Staff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6);334-344.
    23. S.H. Shin, S.G. Park (2021), A Study on the Knowledge, Attitude, Perceived Risk, and Preventative Behavior of COVID-19, Among Clinical Laboratory Science Students in Some Regions of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Health&Fundamental Medical Science, Vol.14(2);160-167.
    24. M.J. Kim (2017), The Convergence Study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Preventive Behaviors against MER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8(4);149-157.
    25. Y.M. Seo, W.H. Choi (2020), COVID-19 Prevention Behavior and Its Affecting Factors in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4(4);215-225.
    October 24, 2022
    December 22, 2022
    December 27, 2022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