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에 의료환경은 환자중심케어로 의료 패러다 임이 전환됨에 따라 질 높은 의료서비스와 전문 간호사로서의 역할과 역량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 지고 있으며 간호사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의료 기관 경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안이 되었다 [1]. 그러나 간호인적자원 관리는 변화하는 의료환 경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병원조직 내 인적자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간호사는 제한된 인력 안에서 환자간호 이외에도 다양한 역할을 요 구받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간호사의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 무력감과 함께 정서적 소진 등[2]을 유 발하고 있어 긍정적인 업무태도와 행동에 대한 동 기를 유발하는 심리적 임파워먼트[3]가 중요한 요 소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간호사의 심리적 임파 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다각적 측면의 요인을 파 악하여 그 의의를 찾고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향상 시키고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임파워먼트는 어떤 관점이든 권한과 권능을 부 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구조적 임파워먼트는 조직 차원에서 구조적 혹은 상황적 요인에 초점을 맞춰 조직구성원에게 힘과 책임을 부여하는 방침과 관 습 및 풍조를 의미한다[3].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보다 개인의 내적 동기를 더욱 중요하게 생각 하는 것으로 개인이 심리적으로 임파워되면 업무 에서 의미를 찾고 업무수행에 대한 확신이 있으며 업무수행 방식을 자주적으로 결정하고 조직에 영 향을 줄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다[4][5]. 캐 나다에서는 많은 간호사들이 자신의 전문지식과 기술이 임상현장에서 존중받지 못하는 현실에 좌 절하면서 업무에 대한 만족이 감소하고 이직의도 를 나타내는 사실이 보고되면서 조직 내 임파워먼 트 활성화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4]. 심리적 임파 워먼트가 높은 간호사는 긍정적인 업무태도와 행 동을 할 수 있는 동기를 유발하고, 자신의 업무에 대한 강한 사명감과 의욕을 가지며, 업무에 대한 성취감과 심리적 안녕감을 얻게 된다[5]. 선행연구 를 통하여 간호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주요 요인으로는 전문직 자 아개념[6], 간호근무환경 및 행복감[7]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먼저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성공적인 간 호전문직 역할 수행을 위해 필수적으로 확립되어 야 하는 요건으로 간호사 자신과 간호업무에 대한 정서적 느낌과 견해이며 간호직에 대한 지식과 가 치 및 기술에 대한 자기평가를 통해 이루어지는 내적인 지각상태를 의미한다[8]. 선행연구에서 전 문직업성은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가장 중요한 설 명변인으로 보고하였다[9].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 은 간호사는 자기효능감이 높아서 고도의 자율성 과 자기결정력을 갖고 있으므로 심리적 임파워먼 트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10], 전문직 자아개 념이 높을수록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높다고 하였 다[6].
간호사의 근무환경은 간호사가 지각하는 물리적 환경, 조직 구성원간의 상호작용, 간호사의 업무수 행 내용과 방식에 영향을 주는 정책적 측면, 조직 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간호사는 근무 환경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으면서 업무를 수행 하고 있기 때문에 직무만족과 간호업무수행 향상 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이다[11]. 간호 사들은 지지와 적절한 피드백이 임파워먼트를 증 가시킬 수 있는 반면 관료주의적 시스템, 과도한 통제 및 과업중심의 조직 분위기는 심리적 임파워 먼트를 방해하는 대표적 요인이라고 지적하였다 [12]. 선행연구를 통하여서도 조직의 자원과 정보 제공, 작업풍토와 같은 근무환경적 특성이 임파워 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어[4] 병원간호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설명하기 위해 서는 이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규명해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행복감은 개인의 삶에 대한 평가적 반응으로 사 람이 일상생활에서 느끼게 되는 만족과 기쁨의 정 서상태를 의미한다. 간호사의 행복감에는 개인적 요소와 근무환경이 영향을 미치고, 환자간호에 직 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직업의 유지 발전에도 중요 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13]. 간호사의 행복감은 간호를 이타주의 삶을 실천하는 직업으로 생각할 때 행복지수를 더욱 높인다[7]. 간호사의 행복감은 임파워먼트와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업무수행 에 대한 부담과 좌절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임파워 먼트는 커지게 되고, 심리적 어려움에 긍정적으로 대처하도록 도와준다고 하였다[11].
간호사의 임파워먼트와 관련된 연구는 주로 이 직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15],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대한 연구는 모 두 종합병원 이상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 로 이루어졌다. 임파워먼트와 관련요인 간 연구는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공식적, 비공식적 파 워, 근무환경, 조직문화, 공정성, 리더십스타일 및 개인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16]. 이렇듯 연구들이 임파워먼트와 관련하여 이 루어졌으나 다각적 측면을 가진 심리적 임파워먼 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전문적 간 호를 지속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간호사들의 직무만족을 증진시켜주고 소진을 감소 시키는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2]. 그러므로 상황을 초월한 영구적인 개인의 특성이 아닌 개인이 처한 근무환경에 의해 형성된 인식을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 근무환경 및 행복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자 아개념, 간호근무환경 및 행복감과 심리적 임파워 먼트의 관계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병원간호 인 력 관리의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 근무환경과 행복감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여 병원간호 인력 관리의 기초 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1)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행 복감, 심리적 임파워먼트 정도를 파악한다.
-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 념, 간호근무환경, 행복감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차이를 파악한다.
-
3)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행 복감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 한다.
-
4) 대상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을 파악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 근무환경, 행복감,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수준을 파 악하고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2개 종합병원 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편의추출 하였다. 표본의 크 기는 G*Power 3.1.9.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위계 적 회귀분석에 필요한 최소표본의 크기를 계산한 결과 예측요인 12개, 유의수준(α) .05, 검정력(1-β) .85, 중간 효과크기 .15를 기준으로 했을 때 필요한 대상자 수는 140명이었다. 탈락률 10%를 고려하여 16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50부가 회수되었고,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4명을 제외하고 총 146 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3. 연구도구
1) 전문직 자아개념
전문직 자아개념은 Arthur[7]가 개발하고, Song & Noh[20]가 번역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총 27개 문항의 3개 하위 척도로 전문 적 실무 16개 문항, 만족감 7개 문항, 의사소통 4 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의 4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Arthur[7]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85이었고, Song & Noh[20]의 연구 에서 Cronbach's α=.85이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α=.84이었다.
2) 간호근무환경
간호근무환경은 Park & Kang[21]이 개발한 한 국형 간호사 근무환경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총 30개 문항의 4개 하위 척도로 기관의 지원 12개 문항, 수간호사의 리더십 7개 문항, 실 무체계 6개 문항, 동료와의 관계 5개 문항으로 구 성되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 록 간호사의 근무환경이 좋음을 의미한다. 도구 개 발 당시 Park & Kang[21]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92였고, 본 연구에서 Cronbach'α =.93이었다.
3) 행복감
행복감은 Hills & Argyle[22]가 개발한 옥스퍼 드 행복감척도(OHQ;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aire)를 Choi & Lee[23]가 번역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총 29개 문항의 3 개 하위 척도로 외적요인 10개 문항, 내적요인 12 개 문항, 자기조절요인 7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외적요인은 다른 사람과 함께 할 때의 흥미, 아름 다움, 재미 등을 느끼고 세상을 긍정적으로 느끼는 외적 행복감에 관한 내용이며, 내적요인은 자기 자 신이 행복감하고 인생에 낙관을 느끼며 보람을 느 끼는 자신의 내적인 긍정적 정서, 내적 행복감을 의미한다. 자기조절요인은 일상에서 자기조절을 잘 함으로 느끼는 긍정적인 반응, 자기조절 행복감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 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Likert 척도로 점 수가 높을수록 간호사가 인지하는 주관적인 행복 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Hills와 Argyle[22]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92였 고, Choi & Lee [23]의 연구에서 Cronbach's α=.92 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92이었다.
4) 심리적 임파워먼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Spreitzer[5]의 PEI(Psycho logical Empowerment Instrument)를 Lee[24]가 번 역하여 사용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12 개 문항의 4개 하위 척도로 의미성, 역량, 자기결 정, 영향력에 대하여 각각 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 다. 의미성은 개인의 신념과 조직의 직무 목표가 일치하는 정도이며 역량은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 는 개인의 기대, 확신, 자기효능감을 의미한다. 자 기결정성은 직무 수행 과정에서 개인에게 부여되 는 자율성, 독립성, 재량권이며 영향력은 직무활동 결과가 조직에 영향 미칠 수 있다는 개인의 확신 을 의미한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 서 ‘매우 그렇다’의 5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 수록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Spreitzer[5]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72였고, Lee[24]의 연구에서 Cronbach's α=.86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91이었다.
4.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는 U광역시에 소재하는 C대학교 생명윤 리심의위원회에서 승인(IRB: 1044386-A-2022-001)을 받은 후 B광역시 소재 2개 종합병원 간호부를 방 문하여 부서장에게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한 후 자료수집에 대한 협조를 얻었다. 그 후 연구자가 해당 병동을 방문하여 대상자에게 연구목적과 방 법을 설명하고, 수집된 자료는 연구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본인 의사에 따 라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자발적 으로 자료수집에 동의한 대상자에게는 2022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설문지를 배부하고, 개별봉 투에 밀봉하여 제출하도록 하여 연구자가 회수하 였다.
5.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WIN 25.0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변수의 정도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 념, 간호근무환경, 행복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또는 One-way ANOVA 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ẻ test로 분석하 였다.
-
3)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행 복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
4) 대상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성별 은 여성이 140명(95.9%)으로 대부분이었고, 평균 연령은 33.06±7.19세로 29세 이하가 41.1%으로 가 장 많았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67.8%이었고, 총임 상경력은 평균 7.40년으로 3년∼6년 미만이 36.3% 로 가장 많았고, 현재 근무부서경력은 평균 4.44년 으로 3년 미만이 32.2%으로 가장 많았다. 현재 근 무지를 선택한 이유는 ‘출·퇴근이 용이해서’가 55명 (37.7%)으로 가장 많았다. 근무지는 일반병동 간호 사 48.6%로 가장 많았고, 근무형태는 3교대 간호사 가 전체의 59.6%이었고, 상근직이 40.4%이었다. 현 부서 만족도는 보통이 57.3%으로 가장 많았고, 만 족 30.4%, 불만족 12.3% 순으로 나타났다<Table 1>.
2.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행 복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정도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평균은 2.66±0.24(4 점 만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전문적 실무 2.64점, 만족감 2.47점, 의사소통이 2.35점 순이었고, 간호 근무환경의 평균은 2.65±0.41점(4점 만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실무체계 2.99점, 수간호사의 리더십 2.93점, 동료와의 관계 2.82점, 기관지원 2.26점 순 이었다. 행복감은 평균 3.04±0.25점(5점 만점)이었 고, 하위영역별로 자기조절요인 3.41점, 외적요인 3.36점, 내적요인 3.24점이었고, 심리적 임파워먼트 평균은 3.44±0.48점(5점 만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의미성 3.91점, 역량 3.48점, 자기결정성 3.25점, 영 향력 3.12점 순이었다<Table 2>.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 념, 간호근무환경, 행복감 및 심리적 임파워 먼트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F=4.83, p=.010), 결혼상태(t=-2.03, p=.046), 총임상경력(F=5.35, p=.002), 근무형태(t=-2.63, p=.010)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전문직 자아개념은 40 세 이상이 29세 이하, 30∼39세보다, 기혼이 미혼 보다, 총임상경력 9년 이상이 3년 미만보다, 상근 직이 교대근무보다 높게 나타났다. 간호근무환경 정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근무형태(t=-3.14, p=.002), 현부서 만족도(F=11.90, p<.001)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간 호근무환경은 상근직이 교대근무보다 높게 나타났 고, 현부서에 만족하는 경우, 간호근무환경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행복감에 대한 정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현부서 만족도(F=6.69, p=.002)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후검정 결과 현부서에 만 족하는 간호사가 보통과 불만족으로 인식한 간호 사 보다 행복감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임파워먼트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 령(F=7.47, p=.001), 총임상경력(F=7.17,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40세 이상이 29세 이하, 30∼39세 보다, 총임상경 력 9년 이상이 3년 미만, 6∼9년 미만보다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높게 나타났다<Table 3>.
4.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행 복감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 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전문직 자아개념 (r=.58, p<.001), 행복감(r=.26, p=.006)과 유의한 양 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행복감은 전문직 자아개념 (r=.42, p<.001), 간호근무환경(r=.36, p<.001)과 유 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근무환경은 전 문직 자아개념(r=.42,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간호근무환 경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5. 대상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
대상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인의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변수 인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행복감과 일반 적 특성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연령과 총임상경력을 더미변수로 처리하여 독립변수로 투입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독립변수 간 다중공선성을 검토한 결과, 공차 한계(tolerance)는 .675∼.952으로 0.1 이상이었고, 분산팽창지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는 1.050∼1.482으로 10미만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었으며, Durbin-Watson은 1.905으로 잔 차의 독립성을 만족하여 회귀분석의 가정을 만족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하였고(F=53.75 p<.001), 대상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β=.58, p<.001), 연령 중 40세 이상(β=.23, p=.004)이었고, 투입된 제 변 수들에 의한 설명력은 39.0%였다<Table 5>.
Ⅳ. 고찰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 근무환경, 행복감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관계 와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 봄으로써 궁극적으로 병원간호인력 관리의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평균 평점은 3.44점(5점 만점)으로 중소병원간호사를 대 상으로 한 Lee et al.[18]의 연구결과 2.89점보다는 높았고,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 로 한 Lee et al. [13]의 연구 결과 3.33점, 혈액투 석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Seo &ee[25]의 연구 결과 3.41점,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종합병원 간호 사를 대상으로 한 Jeon & Yom[2]의 연구 3.45점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정신전문병원의 간호사를 대상 으로 한 Kim et al.[2]의 연구결과 3.60점보다는 낮 았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사 각 개인의 간호역량이 나 일반적인 배경, 의료전달체계, 조직문화, 간호사 의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통한 간호업무 수행 한계 등[2][4]에 따라 심리적 임파워먼트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밝힌 선행연구결과와 유사한 결 과라 생각된다.
영역별 심리적 임파워먼트 수준은 3.91∼3.12점 으로 의미성 영역이 가장 높고, 영향력 영역이 가 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h & Chung[20], Lee et al.[13]과 Wagner et al.[6]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고, 역량 영역이 가장 높고, 자기결정성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난 Ebrahimi et al.[12]의 연 구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 대상자들이 자신이 수행하는 간호업무를 중요하고 의미있게 생각하는 반면, 간호업무 수행결과가 조 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확신은 낮음을 보여준다. 간호사들이 간호업무 수행결과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력이 낮다고 인식하는 것은 자신들이 근무하 는 간호전달체계에 따른 차이로 사료된다. 본 연구 가 진행된 간호부의 간호전달체계는 팀간호가 아 닌 기능적 분담 방법의 전달체계로 이루어지고 있 어 낮은 연차 간호사들의 업무에 대한 통제력이나 영향력이 낮아서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그러므 로 간호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간호전달체계와 개인의 내적동기[12]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되므로 다양한 간호전달체계에 따른 심리적 임파워먼트 정도를 살펴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 총임상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분석되어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대상자의 연령, 근무부서의 경력, 개인적 특성과 관련성이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25]와 유사하였다. 이는 간호사들이 경력이나 연령에 따라 임상 현장에서 수행하는 업 무의 차이로 인하여 나타난 결과로 사료되며, 연차 에 따라 간호와 관련된 업무량이나 책임감, 의사결 정 능력이 다르므로 개별적으로 임파워먼트 되는 과정이 서로 달라 차이를 보인 결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간호근무환경이 심리적 임파워 먼트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근무환경 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는 선행연구결과[12]와 달랐다. 이는 심리적 임파 워먼트는 자신의 업무에 대한 통제력을 가지고 행 동하는 전반적인 과정[18]이나 본 연구 대상자들의 경우 자기 결정력과 영향력을 낮게 인지하고 있어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 전문직 자아개념 평균평점은 2.66 점(4점 만점)으로 중 이상 수준이었다. 동일척도를 사용한 Kim[8]의 연구결과 2.61점, Song & Noh의 연구결과[20] 2.79점과 유사하였다. 영역별 전문직 자아개념의 하위영역은 전문직 실무영역이 가장 높았고, 만족감, 의사소통 영역의 순이었다. 이는 Song & Noh의 연구결과[20] 전문직 실무영역이 가장 높고 의사소통, 만족감의 순으로 나타난 결과 와 일부 유사하였고, 의사소통 영역이 가장 높고, 만족감이 가장 낮은 연구결과로 나타난 Kim[8]의 연구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간호사들은 실무에서 3년 정도 일하면 교육적 지식, 관리기술을 익히고, 전문간호를 위한 환자와의 관계를 정립하며 전문 직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된다[20]. 간호사들은 코 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정부와 기관의 전염병 관 리 지침에 따라 신종감염병 관리와 절차를 익히고 새로운 역할을 잘 수행하여[15] 간호업무의 전문직 실무영역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선후배 의 위계질서가 비교적 분명한 조직문화의 반영으 로 간호사와 의사, 간호사와 간호사의 의사소통 단 절이 일어날 수 있으나[21] 업무시간의 절약과 조 직의 효과적인 목표달성을 위해 개방적이고 다양 한 의사소통은 필수이므로 원활한 의사소통의 통 로는 마련되어야 하며[8] 팬데믹 상황이 종료되면 이에 대한 반복연구를 통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간호근무환경의 평균평점은 2.65점 (4점 만점)으로 동일척도를 사용한 Kang & Lim[21]의 연구결과 2.38점보다 높았고, 다른 도구 를 사용하여 근무환경 정도를 측정한 Seo & Lee[25]의 연구결과 2.55점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 다. 이는 간호사들이 근무하는 부서에 따른 차이로 본 연구는 간호부 전체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사 하였고, Kang & Lim[21]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Seo & Lee[25]은 병원투석간호사회에 등록된 간호 사를 대상으로 하면서 수간호사는 제외하였다. 간 호근무환경은 일하는 장소뿐만 아니라 기관의 지 원, 관리자의 리더십, 실무체계, 동료와의 관계에 대한 간호사의 지각 정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21]. 간호사가 자신의 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 식할수록 임파워먼트가 높았고, 간호업무수행 정도 도 높아질 수 있으므로[25] 간호사가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간호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 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근무환경은 단 시간에 간호조직의 노력만으로는 개선할 수 없는 부분이므로 의료기관에서는 각 근무부서에 맞는 인력수급과 정책적인 지원 등의 노력이 이루어져 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 행복감의 평균평점은 3.04점(5점 만 점)으로 동일척도를 사용한 Kim & Kwon[11]의 연구결과 3.07점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행복감에서 유의한 차이 를 보인 것은 근무지에 대한 만족도이었고, Kim & Kwon[11]의 연구에서는 결혼여부, 교육수준, 임 상경력이었다. 이러한 결과의 차이는 본 연구 대상 자들은 현재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를 합리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감염관리가 가장 중시되며 다양한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근무시간이 연장 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없어서[15]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그러나 간호사들이 주어진 환경 에서 행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조직적인 지원이나 보상 등이 뒷받침이 되어야 할 것이며, 추후 일상 으로 회복된 상황에서 간호사의 업무상황 및 문화 적 측면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에서 행복감을 측정 하기 위한 도구개발과 조사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전문직 자아 개념, 행복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임파워먼트가 직무특성, 전문직업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Lee의 연구결과[26]와 유 사하며, 행복감이 임파워먼트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Kim & Kwon의 연구결과[11]와 일 치한다. 그러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간호근무환경 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심리적 임 파워먼트가 높았다는 Lee et al.[18]의 연구와는 상 반된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 대상자가 처한 시기적 특성에 따른 결과라 생각된다. 본 연 구 대상자들은 코로나19 감염병 상황에서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긴급하고 일방적인 부서이동과 익숙하지 않은 물품과 장비 및 감염대응 지침을 따르는 근무환경에서[15], 업무 재량권을 갖고 능 동적으로 업무를 통제하거나 선택하기 어려워 선 행연구 결과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코로 나19와 관련된 직무 스트레스가 임파워먼트와 상 관관계가 없다는 연구결과[15]를 지지하며, 간호조 직은 위계질서가 비교적 분명하여[21] 감염병 상황 에서도 관리자를 믿고 의사-간호사, 간호사간 동료 를 의지하며 업무를 수행한 결과로 유추된다.
본 연구에서 간호근무환경, 전문직 자아개념과 행복감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규 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문 직 자아개념과 연령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대해 39.0%의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이는 40대 이상인 경우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임파워먼트 수준이 유 의하게 높고, 전문 직업성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가장 중요한 설명 변인임을 보고한 연구결과[26]와 유사하였다. 40대 이상의 경우 경력이 많고 직급을 가진 경우가 많아[26], 업무에서의 의사결정 시 자 율성과 재량권을 발휘할 기회가 나이가 적은 경우 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편으로[8] 부서에서의 영 향력이 있다고 인식한 결과라 생각된다. 심리적 임 파워먼트는 업무수행능력[16], 조직몰입, 직무만족 을 증진[19]시키고 이직을 감소[2]시키는 직접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간호사들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증진시키기 위해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여주기 위 한 전략이 포함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전문직 자 아개념이 확고한 간호사는 자신의 업무에 대한 자 율성과 독립성이 증진되고 직무에 몰입하여 조직 내에서 자신의 업무에 의미를 부여하며 심리적 임 파워먼트를 높게 지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5]. 간 호조직은 간호사들에게 개인이나 부서 차원의 정 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이나 워크숍을 통하여 간호 전문직으로서의 역할과 개념을 분명하게 제시하고 조직의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 공하는 전략이 필요하고[6][8][12]. 간호사 스스로도 전문직 간호사로서 간호업무 수행 시 요구되는 핵 심역량을 키우고, 업무에서 의미와 자율성을 찾고 자기결정성을 높여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높이기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17].
본 연구는 일 지역 2곳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 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의표본 추출법으로 추출 하여 연구 대상자의 모집단 대표에는 취약하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으나, 간호사 개인의 특성이 아닌 개인이 처한 근무환경에 의해 형성된 인식을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행복감과 심리적 임파워 먼트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간호근무환경과 같 은 구조적 임파워먼트를 고려하여 심리적 임파워 먼트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전문직 자아개념을 증진을 위해 간호조직에서는 간호사가 자율성과 자기결정 권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교육을 통하여 간호사가 전문직으로서 나아가야 할 역할을 분명하게 제시하고, 조직의 성과에 기여 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결과에 따른 지지나 보상을 통하여 심리적 임파워먼트 수준을 향상시킬 수있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Ⅴ. 결론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행복감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 정도 를 확인하고,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행복 감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 명하기 위한 연구로 궁극적으로 종합병원 간호인 력 관리의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 었다.
본 종합병원 간호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영향 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으로 나타났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증진을 위해 간호조 직에서는 간호사가 자율성과 자기결정권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교육을 통하여 전문직으로서의 역할을 분명하게 제시하고, 조직성 과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결 과에 따른 지지나 보상을 통하여 심리적 임파워먼 트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향후 간호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다 양한 요인을 파악하는 연구를 시도해 볼 것과 심 리적 임파워먼트와 간호근무환경, 행복감에 대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아울러 국내 간호사의 문화 적 맥락과 실정을 반영한 간호사의 행복감을 측정 하는 도구 개발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