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7 No.2 pp.25-38
https://doi.org/10.12811/kshsm.2023.17.2.025

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및 행복감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권정옥1, 강정미2
1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과
2BHS한서병원

Effec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Happiness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Hospital Nurses

Jeong-Ok Kwon1, Kang Jung Mi2
1Department of Nursing,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
2BHS hanseo hopit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hospital nurses.


Methods:

The 146 nurses working at two general hospitals in B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sychological empower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fessional self-concept (r=.58, p<.001) and happiness (r=.26, p=.006).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had an adjusted R2 of 39.0%, indicating that nurses over 40 years of age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Conclusions:

Hospital and nurse organization managers must create an environment where clinical nurses can establish professional self-concepts. To this end, developing and applying various strategie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psychological empowerment is necessary.



    Choonhea College of Health Science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에 의료환경은 환자중심케어로 의료 패러다 임이 전환됨에 따라 질 높은 의료서비스와 전문 간호사로서의 역할과 역량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 지고 있으며 간호사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의료 기관 경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안이 되었다 [1]. 그러나 간호인적자원 관리는 변화하는 의료환 경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병원조직 내 인적자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간호사는 제한된 인력 안에서 환자간호 이외에도 다양한 역할을 요 구받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간호사의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 무력감과 함께 정서적 소진 등[2]을 유 발하고 있어 긍정적인 업무태도와 행동에 대한 동 기를 유발하는 심리적 임파워먼트[3]가 중요한 요 소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간호사의 심리적 임파 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다각적 측면의 요인을 파 악하여 그 의의를 찾고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향상 시키고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임파워먼트는 어떤 관점이든 권한과 권능을 부 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구조적 임파워먼트는 조직 차원에서 구조적 혹은 상황적 요인에 초점을 맞춰 조직구성원에게 힘과 책임을 부여하는 방침과 관 습 및 풍조를 의미한다[3].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보다 개인의 내적 동기를 더욱 중요하게 생각 하는 것으로 개인이 심리적으로 임파워되면 업무 에서 의미를 찾고 업무수행에 대한 확신이 있으며 업무수행 방식을 자주적으로 결정하고 조직에 영 향을 줄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다[4][5]. 캐 나다에서는 많은 간호사들이 자신의 전문지식과 기술이 임상현장에서 존중받지 못하는 현실에 좌 절하면서 업무에 대한 만족이 감소하고 이직의도 를 나타내는 사실이 보고되면서 조직 내 임파워먼 트 활성화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4]. 심리적 임파 워먼트가 높은 간호사는 긍정적인 업무태도와 행 동을 할 수 있는 동기를 유발하고, 자신의 업무에 대한 강한 사명감과 의욕을 가지며, 업무에 대한 성취감과 심리적 안녕감을 얻게 된다[5]. 선행연구 를 통하여 간호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주요 요인으로는 전문직 자 아개념[6], 간호근무환경 및 행복감[7]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먼저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성공적인 간 호전문직 역할 수행을 위해 필수적으로 확립되어 야 하는 요건으로 간호사 자신과 간호업무에 대한 정서적 느낌과 견해이며 간호직에 대한 지식과 가 치 및 기술에 대한 자기평가를 통해 이루어지는 내적인 지각상태를 의미한다[8]. 선행연구에서 전 문직업성은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가장 중요한 설 명변인으로 보고하였다[9].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 은 간호사는 자기효능감이 높아서 고도의 자율성 과 자기결정력을 갖고 있으므로 심리적 임파워먼 트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10], 전문직 자아개 념이 높을수록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높다고 하였 다[6].

    간호사의 근무환경은 간호사가 지각하는 물리적 환경, 조직 구성원간의 상호작용, 간호사의 업무수 행 내용과 방식에 영향을 주는 정책적 측면, 조직 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간호사는 근무 환경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으면서 업무를 수행 하고 있기 때문에 직무만족과 간호업무수행 향상 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이다[11]. 간호 사들은 지지와 적절한 피드백이 임파워먼트를 증 가시킬 수 있는 반면 관료주의적 시스템, 과도한 통제 및 과업중심의 조직 분위기는 심리적 임파워 먼트를 방해하는 대표적 요인이라고 지적하였다 [12]. 선행연구를 통하여서도 조직의 자원과 정보 제공, 작업풍토와 같은 근무환경적 특성이 임파워 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어[4] 병원간호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설명하기 위해 서는 이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규명해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행복감은 개인의 삶에 대한 평가적 반응으로 사 람이 일상생활에서 느끼게 되는 만족과 기쁨의 정 서상태를 의미한다. 간호사의 행복감에는 개인적 요소와 근무환경이 영향을 미치고, 환자간호에 직 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직업의 유지 발전에도 중요 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13]. 간호사의 행복감은 간호를 이타주의 삶을 실천하는 직업으로 생각할 때 행복지수를 더욱 높인다[7]. 간호사의 행복감은 임파워먼트와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업무수행 에 대한 부담과 좌절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임파워 먼트는 커지게 되고, 심리적 어려움에 긍정적으로 대처하도록 도와준다고 하였다[11].

    간호사의 임파워먼트와 관련된 연구는 주로 이 직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15],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대한 연구는 모 두 종합병원 이상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 로 이루어졌다. 임파워먼트와 관련요인 간 연구는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공식적, 비공식적 파 워, 근무환경, 조직문화, 공정성, 리더십스타일 및 개인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16]. 이렇듯 연구들이 임파워먼트와 관련하여 이 루어졌으나 다각적 측면을 가진 심리적 임파워먼 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전문적 간 호를 지속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간호사들의 직무만족을 증진시켜주고 소진을 감소 시키는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2]. 그러므로 상황을 초월한 영구적인 개인의 특성이 아닌 개인이 처한 근무환경에 의해 형성된 인식을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 근무환경 및 행복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자 아개념, 간호근무환경 및 행복감과 심리적 임파워 먼트의 관계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병원간호 인 력 관리의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 근무환경과 행복감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여 병원간호 인력 관리의 기초 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1)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행 복감, 심리적 임파워먼트 정도를 파악한다.

    •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 념, 간호근무환경, 행복감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차이를 파악한다.

    • 3)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행 복감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 한다.

    • 4) 대상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을 파악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 근무환경, 행복감,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수준을 파 악하고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2개 종합병원 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편의추출 하였다. 표본의 크 기는 G*Power 3.1.9.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위계 적 회귀분석에 필요한 최소표본의 크기를 계산한 결과 예측요인 12개, 유의수준(α) .05, 검정력(1-β) .85, 중간 효과크기 .15를 기준으로 했을 때 필요한 대상자 수는 140명이었다. 탈락률 10%를 고려하여 16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50부가 회수되었고,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4명을 제외하고 총 146 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3. 연구도구

    1) 전문직 자아개념

    전문직 자아개념은 Arthur[7]가 개발하고, Song & Noh[20]가 번역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총 27개 문항의 3개 하위 척도로 전문 적 실무 16개 문항, 만족감 7개 문항, 의사소통 4 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의 4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Arthur[7]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85이었고, Song & Noh[20]의 연구 에서 Cronbach's α=.85이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α=.84이었다.

    2) 간호근무환경

    간호근무환경은 Park & Kang[21]이 개발한 한 국형 간호사 근무환경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총 30개 문항의 4개 하위 척도로 기관의 지원 12개 문항, 수간호사의 리더십 7개 문항, 실 무체계 6개 문항, 동료와의 관계 5개 문항으로 구 성되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 록 간호사의 근무환경이 좋음을 의미한다. 도구 개 발 당시 Park & Kang[21]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92였고, 본 연구에서 Cronbach'α =.93이었다.

    3) 행복감

    행복감은 Hills & Argyle[22]가 개발한 옥스퍼 드 행복감척도(OHQ;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aire)를 Choi & Lee[23]가 번역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총 29개 문항의 3 개 하위 척도로 외적요인 10개 문항, 내적요인 12 개 문항, 자기조절요인 7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외적요인은 다른 사람과 함께 할 때의 흥미, 아름 다움, 재미 등을 느끼고 세상을 긍정적으로 느끼는 외적 행복감에 관한 내용이며, 내적요인은 자기 자 신이 행복감하고 인생에 낙관을 느끼며 보람을 느 끼는 자신의 내적인 긍정적 정서, 내적 행복감을 의미한다. 자기조절요인은 일상에서 자기조절을 잘 함으로 느끼는 긍정적인 반응, 자기조절 행복감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 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Likert 척도로 점 수가 높을수록 간호사가 인지하는 주관적인 행복 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Hills와 Argyle[22]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92였 고, Choi & Lee [23]의 연구에서 Cronbach's α=.92 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92이었다.

    4) 심리적 임파워먼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Spreitzer[5]의 PEI(Psycho logical Empowerment Instrument)를 Lee[24]가 번 역하여 사용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12 개 문항의 4개 하위 척도로 의미성, 역량, 자기결 정, 영향력에 대하여 각각 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 다. 의미성은 개인의 신념과 조직의 직무 목표가 일치하는 정도이며 역량은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 는 개인의 기대, 확신, 자기효능감을 의미한다. 자 기결정성은 직무 수행 과정에서 개인에게 부여되 는 자율성, 독립성, 재량권이며 영향력은 직무활동 결과가 조직에 영향 미칠 수 있다는 개인의 확신 을 의미한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 서 ‘매우 그렇다’의 5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 수록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Spreitzer[5]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72였고, Lee[24]의 연구에서 Cronbach's α=.86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91이었다.

    4.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는 U광역시에 소재하는 C대학교 생명윤 리심의위원회에서 승인(IRB: 1044386-A-2022-001)을 받은 후 B광역시 소재 2개 종합병원 간호부를 방 문하여 부서장에게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한 후 자료수집에 대한 협조를 얻었다. 그 후 연구자가 해당 병동을 방문하여 대상자에게 연구목적과 방 법을 설명하고, 수집된 자료는 연구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본인 의사에 따 라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자발적 으로 자료수집에 동의한 대상자에게는 2022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설문지를 배부하고, 개별봉 투에 밀봉하여 제출하도록 하여 연구자가 회수하 였다.

    5.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WIN 25.0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변수의 정도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 념, 간호근무환경, 행복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또는 One-way ANOVA 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ẻ test로 분석하 였다.

    • 3)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행 복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 4) 대상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성별 은 여성이 140명(95.9%)으로 대부분이었고, 평균 연령은 33.06±7.19세로 29세 이하가 41.1%으로 가 장 많았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67.8%이었고, 총임 상경력은 평균 7.40년으로 3년∼6년 미만이 36.3% 로 가장 많았고, 현재 근무부서경력은 평균 4.44년 으로 3년 미만이 32.2%으로 가장 많았다. 현재 근 무지를 선택한 이유는 ‘출·퇴근이 용이해서’가 55명 (37.7%)으로 가장 많았다. 근무지는 일반병동 간호 사 48.6%로 가장 많았고, 근무형태는 3교대 간호사 가 전체의 59.6%이었고, 상근직이 40.4%이었다. 현 부서 만족도는 보통이 57.3%으로 가장 많았고, 만 족 30.4%, 불만족 12.3% 순으로 나타났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46)

    KSHSM-17-2-25_T1.gif

    2.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행 복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정도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평균은 2.66±0.24(4 점 만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전문적 실무 2.64점, 만족감 2.47점, 의사소통이 2.35점 순이었고, 간호 근무환경의 평균은 2.65±0.41점(4점 만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실무체계 2.99점, 수간호사의 리더십 2.93점, 동료와의 관계 2.82점, 기관지원 2.26점 순 이었다. 행복감은 평균 3.04±0.25점(5점 만점)이었 고, 하위영역별로 자기조절요인 3.41점, 외적요인 3.36점, 내적요인 3.24점이었고, 심리적 임파워먼트 평균은 3.44±0.48점(5점 만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의미성 3.91점, 역량 3.48점, 자기결정성 3.25점, 영 향력 3.12점 순이었다<Table 2>.

    <Table 2>

    Degre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Nursing work Environment, Happiness, Psychological Empowerment (N=146)

    KSHSM-17-2-25_T2.gif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 념, 간호근무환경, 행복감 및 심리적 임파워 먼트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F=4.83, p=.010), 결혼상태(t=-2.03, p=.046), 총임상경력(F=5.35, p=.002), 근무형태(t=-2.63, p=.010)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전문직 자아개념은 40 세 이상이 29세 이하, 30∼39세보다, 기혼이 미혼 보다, 총임상경력 9년 이상이 3년 미만보다, 상근 직이 교대근무보다 높게 나타났다. 간호근무환경 정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근무형태(t=-3.14, p=.002), 현부서 만족도(F=11.90, p<.001)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간 호근무환경은 상근직이 교대근무보다 높게 나타났 고, 현부서에 만족하는 경우, 간호근무환경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행복감에 대한 정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현부서 만족도(F=6.69, p=.002)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후검정 결과 현부서에 만 족하는 간호사가 보통과 불만족으로 인식한 간호 사 보다 행복감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임파워먼트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 령(F=7.47, p=.001), 총임상경력(F=7.17,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40세 이상이 29세 이하, 30∼39세 보다, 총임상경 력 9년 이상이 3년 미만, 6∼9년 미만보다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높게 나타났다<Table 3>.

    <Table 3>

    Difference in Professional Self-Concept, Nursing Work Environment, Happiness, Psychological Empowerment by General Characteristics (N=146)

    KSHSM-17-2-25_T3.gif

    4.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행 복감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 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전문직 자아개념 (r=.58, p<.001), 행복감(r=.26, p=.006)과 유의한 양 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행복감은 전문직 자아개념 (r=.42, p<.001), 간호근무환경(r=.36, p<.001)과 유 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근무환경은 전 문직 자아개념(r=.42,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간호근무환 경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Table 4>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 self-concept, Nursing work environment, Happiness, Psychological empowerment (N=146)

    KSHSM-17-2-25_T4.gif

    5. 대상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

    대상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인의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변수 인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행복감과 일반 적 특성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연령과 총임상경력을 더미변수로 처리하여 독립변수로 투입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독립변수 간 다중공선성을 검토한 결과, 공차 한계(tolerance)는 .675∼.952으로 0.1 이상이었고, 분산팽창지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는 1.050∼1.482으로 10미만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었으며, Durbin-Watson은 1.905으로 잔 차의 독립성을 만족하여 회귀분석의 가정을 만족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하였고(F=53.75 p<.001), 대상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β=.58, p<.001), 연령 중 40세 이상(β=.23, p=.004)이었고, 투입된 제 변 수들에 의한 설명력은 39.0%였다<Table 5>.

    <Table 5>

    Factors Influencing Psychological Empowerment (N=146)

    KSHSM-17-2-25_T5.gif

    Ⅳ. 고찰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 근무환경, 행복감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관계 와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 봄으로써 궁극적으로 병원간호인력 관리의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평균 평점은 3.44점(5점 만점)으로 중소병원간호사를 대 상으로 한 Lee et al.[18]의 연구결과 2.89점보다는 높았고,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 로 한 Lee et al. [13]의 연구 결과 3.33점, 혈액투 석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Seo &ee[25]의 연구 결과 3.41점,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종합병원 간호 사를 대상으로 한 Jeon & Yom[2]의 연구 3.45점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정신전문병원의 간호사를 대상 으로 한 Kim et al.[2]의 연구결과 3.60점보다는 낮 았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사 각 개인의 간호역량이 나 일반적인 배경, 의료전달체계, 조직문화, 간호사 의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통한 간호업무 수행 한계 등[2][4]에 따라 심리적 임파워먼트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밝힌 선행연구결과와 유사한 결 과라 생각된다.

    영역별 심리적 임파워먼트 수준은 3.91∼3.12점 으로 의미성 영역이 가장 높고, 영향력 영역이 가 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h & Chung[20], Lee et al.[13]과 Wagner et al.[6]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고, 역량 영역이 가장 높고, 자기결정성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난 Ebrahimi et al.[12]의 연 구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 대상자들이 자신이 수행하는 간호업무를 중요하고 의미있게 생각하는 반면, 간호업무 수행결과가 조 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확신은 낮음을 보여준다. 간호사들이 간호업무 수행결과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력이 낮다고 인식하는 것은 자신들이 근무하 는 간호전달체계에 따른 차이로 사료된다. 본 연구 가 진행된 간호부의 간호전달체계는 팀간호가 아 닌 기능적 분담 방법의 전달체계로 이루어지고 있 어 낮은 연차 간호사들의 업무에 대한 통제력이나 영향력이 낮아서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그러므 로 간호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간호전달체계와 개인의 내적동기[12]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되므로 다양한 간호전달체계에 따른 심리적 임파워먼트 정도를 살펴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 총임상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분석되어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대상자의 연령, 근무부서의 경력, 개인적 특성과 관련성이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25]와 유사하였다. 이는 간호사들이 경력이나 연령에 따라 임상 현장에서 수행하는 업 무의 차이로 인하여 나타난 결과로 사료되며, 연차 에 따라 간호와 관련된 업무량이나 책임감, 의사결 정 능력이 다르므로 개별적으로 임파워먼트 되는 과정이 서로 달라 차이를 보인 결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간호근무환경이 심리적 임파워 먼트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근무환경 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는 선행연구결과[12]와 달랐다. 이는 심리적 임파 워먼트는 자신의 업무에 대한 통제력을 가지고 행 동하는 전반적인 과정[18]이나 본 연구 대상자들의 경우 자기 결정력과 영향력을 낮게 인지하고 있어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 전문직 자아개념 평균평점은 2.66 점(4점 만점)으로 중 이상 수준이었다. 동일척도를 사용한 Kim[8]의 연구결과 2.61점, Song & Noh의 연구결과[20] 2.79점과 유사하였다. 영역별 전문직 자아개념의 하위영역은 전문직 실무영역이 가장 높았고, 만족감, 의사소통 영역의 순이었다. 이는 Song & Noh의 연구결과[20] 전문직 실무영역이 가장 높고 의사소통, 만족감의 순으로 나타난 결과 와 일부 유사하였고, 의사소통 영역이 가장 높고, 만족감이 가장 낮은 연구결과로 나타난 Kim[8]의 연구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간호사들은 실무에서 3년 정도 일하면 교육적 지식, 관리기술을 익히고, 전문간호를 위한 환자와의 관계를 정립하며 전문 직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된다[20]. 간호사들은 코 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정부와 기관의 전염병 관 리 지침에 따라 신종감염병 관리와 절차를 익히고 새로운 역할을 잘 수행하여[15] 간호업무의 전문직 실무영역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선후배 의 위계질서가 비교적 분명한 조직문화의 반영으 로 간호사와 의사, 간호사와 간호사의 의사소통 단 절이 일어날 수 있으나[21] 업무시간의 절약과 조 직의 효과적인 목표달성을 위해 개방적이고 다양 한 의사소통은 필수이므로 원활한 의사소통의 통 로는 마련되어야 하며[8] 팬데믹 상황이 종료되면 이에 대한 반복연구를 통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간호근무환경의 평균평점은 2.65점 (4점 만점)으로 동일척도를 사용한 Kang & Lim[21]의 연구결과 2.38점보다 높았고, 다른 도구 를 사용하여 근무환경 정도를 측정한 Seo & Lee[25]의 연구결과 2.55점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 다. 이는 간호사들이 근무하는 부서에 따른 차이로 본 연구는 간호부 전체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사 하였고, Kang & Lim[21]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Seo & Lee[25]은 병원투석간호사회에 등록된 간호 사를 대상으로 하면서 수간호사는 제외하였다. 간 호근무환경은 일하는 장소뿐만 아니라 기관의 지 원, 관리자의 리더십, 실무체계, 동료와의 관계에 대한 간호사의 지각 정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21]. 간호사가 자신의 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 식할수록 임파워먼트가 높았고, 간호업무수행 정도 도 높아질 수 있으므로[25] 간호사가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간호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 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근무환경은 단 시간에 간호조직의 노력만으로는 개선할 수 없는 부분이므로 의료기관에서는 각 근무부서에 맞는 인력수급과 정책적인 지원 등의 노력이 이루어져 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 행복감의 평균평점은 3.04점(5점 만 점)으로 동일척도를 사용한 Kim & Kwon[11]의 연구결과 3.07점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행복감에서 유의한 차이 를 보인 것은 근무지에 대한 만족도이었고, Kim & Kwon[11]의 연구에서는 결혼여부, 교육수준, 임 상경력이었다. 이러한 결과의 차이는 본 연구 대상 자들은 현재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를 합리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감염관리가 가장 중시되며 다양한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근무시간이 연장 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없어서[15]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그러나 간호사들이 주어진 환경 에서 행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조직적인 지원이나 보상 등이 뒷받침이 되어야 할 것이며, 추후 일상 으로 회복된 상황에서 간호사의 업무상황 및 문화 적 측면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에서 행복감을 측정 하기 위한 도구개발과 조사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전문직 자아 개념, 행복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임파워먼트가 직무특성, 전문직업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Lee의 연구결과[26]와 유 사하며, 행복감이 임파워먼트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Kim & Kwon의 연구결과[11]와 일 치한다. 그러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간호근무환경 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심리적 임 파워먼트가 높았다는 Lee et al.[18]의 연구와는 상 반된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 대상자가 처한 시기적 특성에 따른 결과라 생각된다. 본 연 구 대상자들은 코로나19 감염병 상황에서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긴급하고 일방적인 부서이동과 익숙하지 않은 물품과 장비 및 감염대응 지침을 따르는 근무환경에서[15], 업무 재량권을 갖고 능 동적으로 업무를 통제하거나 선택하기 어려워 선 행연구 결과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코로 나19와 관련된 직무 스트레스가 임파워먼트와 상 관관계가 없다는 연구결과[15]를 지지하며, 간호조 직은 위계질서가 비교적 분명하여[21] 감염병 상황 에서도 관리자를 믿고 의사-간호사, 간호사간 동료 를 의지하며 업무를 수행한 결과로 유추된다.

    본 연구에서 간호근무환경, 전문직 자아개념과 행복감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규 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문 직 자아개념과 연령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대해 39.0%의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이는 40대 이상인 경우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임파워먼트 수준이 유 의하게 높고, 전문 직업성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가장 중요한 설명 변인임을 보고한 연구결과[26]와 유사하였다. 40대 이상의 경우 경력이 많고 직급을 가진 경우가 많아[26], 업무에서의 의사결정 시 자 율성과 재량권을 발휘할 기회가 나이가 적은 경우 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편으로[8] 부서에서의 영 향력이 있다고 인식한 결과라 생각된다. 심리적 임 파워먼트는 업무수행능력[16], 조직몰입, 직무만족 을 증진[19]시키고 이직을 감소[2]시키는 직접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간호사들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증진시키기 위해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여주기 위 한 전략이 포함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전문직 자 아개념이 확고한 간호사는 자신의 업무에 대한 자 율성과 독립성이 증진되고 직무에 몰입하여 조직 내에서 자신의 업무에 의미를 부여하며 심리적 임 파워먼트를 높게 지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5]. 간 호조직은 간호사들에게 개인이나 부서 차원의 정 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이나 워크숍을 통하여 간호 전문직으로서의 역할과 개념을 분명하게 제시하고 조직의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 공하는 전략이 필요하고[6][8][12]. 간호사 스스로도 전문직 간호사로서 간호업무 수행 시 요구되는 핵 심역량을 키우고, 업무에서 의미와 자율성을 찾고 자기결정성을 높여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높이기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17].

    본 연구는 일 지역 2곳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 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의표본 추출법으로 추출 하여 연구 대상자의 모집단 대표에는 취약하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으나, 간호사 개인의 특성이 아닌 개인이 처한 근무환경에 의해 형성된 인식을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행복감과 심리적 임파워 먼트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간호근무환경과 같 은 구조적 임파워먼트를 고려하여 심리적 임파워 먼트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전문직 자아개념을 증진을 위해 간호조직에서는 간호사가 자율성과 자기결정 권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교육을 통하여 간호사가 전문직으로서 나아가야 할 역할을 분명하게 제시하고, 조직의 성과에 기여 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결과에 따른 지지나 보상을 통하여 심리적 임파워먼트 수준을 향상시킬 수있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Ⅴ. 결론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행복감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 정도 를 확인하고,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근무환경, 행복 감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 명하기 위한 연구로 궁극적으로 종합병원 간호인 력 관리의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 었다.

    본 종합병원 간호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영향 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으로 나타났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증진을 위해 간호조 직에서는 간호사가 자율성과 자기결정권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교육을 통하여 전문직으로서의 역할을 분명하게 제시하고, 조직성 과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결 과에 따른 지지나 보상을 통하여 심리적 임파워먼 트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향후 간호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다 양한 요인을 파악하는 연구를 시도해 볼 것과 심 리적 임파워먼트와 간호근무환경, 행복감에 대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아울러 국내 간호사의 문화 적 맥락과 실정을 반영한 간호사의 행복감을 측정 하는 도구 개발을 제안한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46)
    Degre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Nursing work Environment, Happiness, Psychological Empowerment (N=146)
    Difference in Professional Self-Concept, Nursing Work Environment, Happiness, Psychological Empowerment by General Characteristics (N=146)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 self-concept, Nursing work environment, Happiness, Psychological empowerment (N=146)
    Factors Influencing Psychological Empowerment (N=146)

    Reference

    1.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1101
    2. J.H. Jeon, Y.H. Yom(2014), Roles of empower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sion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0(3);302-312.
    3. G.M. Spreitzer(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8(5);1442-1465.
    4. T. Cho, S.R. Faerman(2010), An integrative approach to empowerment:Construct definition, measurement, and validation, Public Management Review, Vol.12(1);33-51.
    5. A. Baumann, P. Giovanett, L. O’Brien-Pallas, C. Mallette, R. Deber, J. Blythe, J. Hibberd, A. DiCenso(2001), Health care restructuring: the impact of job change, Canadian Journal of Nursing Leadership, vol.14(1);14-20.
    6. J.I. Wagner, S. Warren, G. Cummings, D.L. Smith, J.K. Olson(2013) Resonant leadership, workplace empowerment, and spirit at work: impact on R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anadia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Archive, Vol.45(4);108-128.
    7. D. Arthur(1992),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17(1);712-719
    8. J.J. Kim(2020), The effect of perception of justice, role conflict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experienced nurse, College of Nursing Kos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9. E.T. Lake, C.R. Friese(2006), Variations i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s: Relation to staffing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Vol.55(1);1-9.
    10. S.J. Han, J.W. Oh, B.Y. Huh, H.W. Kim(2020),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between nurse's character and happiness for nurses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6(1);22-30.
    11. S.Y. Kim, Y.E. Kwon(2020), Effect of happiness and empowerment on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21(1);112-1 20.
    12. P. Ebrahimi, Z. Malmoon, R. Zaboli(2017), Nursing workloads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hospitals: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Hospital Practices and Research, Vol.2(3);84-89.
    13. Y.S. Lee, Y.J. Lee, J.Y. Ha, M.J. Jo(2021),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and empowerment on nurses'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7(1);1-11.
    14. E.S. Lee, S.W. Ryu(2017), Effect of supportive work environment on the job satisfaction of registered nurses : resonant leadership and structural empowermen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1(2);43-53.
    15. H.N. Kim, S.A. Yang(2022), The Effect of Job stress related to COVID-19, emotional labor and empowerment on retention intention of nurses working at a infectious disease-specialized hospital, Korea Internet of Things Society, Vol.8(6);35-47.
    16. Y.M. Kim, Y.J. Yi(2012), Influence of job stress and empowerment on clinical nurses' performance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21(3);258-265.
    17. E.B. Baek, S.H. Bae(2022), Relationship between a university hospital nurses’ structural empowerment and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47(2);159-166.
    18. D.Y. Lee, OK CHo, KH Hwang(2020)., The effect of nursing work environment on job involvement in operating room nurses in smalland medium-sized hospitals: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8(10);265-275.
    19. K.A. Cho, S.J. Moon(2019), The Effect of nurses self-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ocused on intermediation effects of empowerment,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9(10);1,197-1212.
    20. C.H. Song, C.H. Noh(1996), An analytical study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hospital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6(1);94-406.
    21. S.H. Park, J.Y. Kang(2015),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Nursing work environment scale,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ol.8(1);50-61.
    22. P. Hills, M. Argyle(2002),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A compact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3(7);1073-1082.
    23. Y.W. Choi, S.J. Lee(2004), The influe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al awareness on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9(4);887-901.
    24. J.H. Lee(2020), Relationships among structural empowerment,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nurse's job satisfaction, ,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Seoul, pp.1-103.
    25. J.A. Seo, B.S. Lee(2016), Effect of work Environment on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in hemodialysis units: Focusing on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empower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2(2);178-188.
    26. S.Y. Lee(2006), The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and professionalism on empowerment perceived b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2(4);587-596.
    March 27, 2023
    May 26, 2023
    June 14, 2023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