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7 No.2 pp.39-52
https://doi.org/10.12811/kshsm.2023.17.2.039

병원 간호사의 직업존중감, 간호근무환경, 조직 내 의사소통이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박미향1, 전민경2
1김해복음병원
2부산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Effects of Job Esteem,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within Organizations on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of Hospital Nurses

Mi Hyang Park1, Min Kyung Jeon2
1Gimhae Bokum Hospital
2Department of Nursing, Bus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onology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job esteem,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within organizations on hospital nurses’ quality of nursing services.


Methods:

The sample comprised 210 nurses from four general hospitals with 100-500 be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direc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t-test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Job esteem,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within organiza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job esteem (β=.533, p<.001) and communication within organizations (β=.280, p<.001) as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with a total explanatory power of 58.0%.


Conclusions:

To enhanc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for hospital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n education program that can strengthen communication within organizations and promote job esteem.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국내의 의료환경은 국민의 의료지식 향상 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정확하고 안전한 간호서비스 제공을 요구하고 있다[1].

    간호서비스 질이란 간호사가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하는 활동의 질이며[2], 성취된 결과의 일치성, 표준과 기준에 대한 적합성, 간호의 우수성 정도를 의미한다[3]. 환자와 간호사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 어지는 시점에서 평가되는 간호서비스 질은 환자 의 건강회복, 건강유지 및 증진[1][4] 뿐만 아니라 간호서비스 만족과 병원 재이용 의도, 재원일 수 단축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변수이다 [1]. 따라서 환자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는 간호사에게 질 높은 간호서비스의 제공이 요구되 고 있다[5].

    질 높은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간호 사 스스로 간호직에 대한 신념과 가치에 대해 높 게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6], 이는 환자의 안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7], 따라서 간호사 스 스로 간호직에 대한 신념과 가치를 확인해 볼 필 요가 있다[6].

    직업존중감은 자신이 몸담고 있는 직장, 직무에 대해 긍정과 긍지, 업무에 대한 보람 및 삶에 대한 인식으로 직업과 관련된 신념과 가치를 의미한다 [8]. 간호사는 직업존중감이 높을수록, 간호직 유지 의도와 직무 만족이 높으며, 간호근무환경 내에서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6].

    간호근무환경은 간호사가 지각하는 물리적 환 경,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업무 수행에 영향을 주는 조직적, 정책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 다[9]. 간호사가 자신의 간호근무환경을 좋게 인식 할수록, 직업에 대한 애착과 자긍심이 증가되며, 환자에게 제공하는 간호서비스의 질도 향상된다 [10]. 간호사가 인식하는 좋은 간호근무환경은 충 분한 인력과 자원의 제공, 간호사에 대한 지지와 상호협력이 유지되는 환경이다. 간호근무환경 내에 서의 상호협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원활한 조직 내 의사소통이 필요하며[9], 이는 간호서비스 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변인이다[11].

    조직 내 의사소통은 모든 구성원들이 협력하여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보를 교환하고, 조 직 내 갈등을 조정 및 해결하기 위한 행위이며, 조 직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12]. 전문직으로 서 간호사는 병원조직 내의 여러 부서와 의사소통 을 통해 치료적 관계를 수립하고, 조직 구성원들 간의 정보를 교환하는 매개체 역할을 함으로써, 간 호서비스의 질과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친다[12]. 따라서 효율적인 조직 내 의사소통은 간 호서비스 질 향상의 필수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직업존중감, 간호근무환경, 조직 내 의사소통은 간호서비스 질에 관련 변인임을 알 수 있다.

    간호서비스 질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간호서비스 질 측정도구 개발[4], 소비자와 제공자 의 지각 차이[2], 리더십[13], 병원 재이용 의사[1], 직무만족[5], 스트레스 및 피로[7], 의사소통 능력 [3][14], 대인관계 문제[15] 등의 연구가 있었다. 그 러나 간호서비스 질을 직업존중감, 물리적 환경 간 호근무환경, 조직 내 의사소통을 관련 변인으로 본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간호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 개인의 사회·심리적인 특성, 업무 와 관련된 요인, 조직 내 상호관계적 요인들을 다 각도로 탐색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15].

    이에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직업존중감, 간 호근무환경, 조직 내 의사소통과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서비스 질을 높이고, 병원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 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간호사의 직업존중감과 간호근무환경, 조직 내 의사소통이 간호서비스 질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연 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첫째, 간호사의 일반적 및 직무관련 특성, 직업 존중감, 간호근무환경, 조직 내 의사소통, 간호서비 스 질의 정도를 파악한다.

    • 둘째, 간호사의 일반적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 른 간호서비스 질의 차이를 파악한다.

    • 셋째, 간호사의 직업존중감, 간호근무환경, 조직 내 의사소통, 간호서비스 질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 한다.

    • 넷째, 간호사의 직업존중감, 간호근무환경, 조직 내 의사소통이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 악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 상으로 직업존중감과 간호근무환경 및 조직 내 의 사소통이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 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상남도 C시와 G시에 소 재한 500병상 이하의 종합병원 4곳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K대학교 생명윤 리심의위원회의 IRB 승인(Kaya IRB-284)을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0년 1월 15일부터 1월 30일까지였으며, 설문지는 사전에 각 병원의 협조를 구한 후 수집하였다. 설문지 배부 전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 후 자 발적 참여에 동의한 230명을 편의 표집 하였다.

    대상자 수는 G-power 3.1.9.4 program을 이용하 여 효과크기(effect size) .15, 유의수준(α) .05, 검정 력(1-β) .95, 일반적 및 직무관련 특성 14개 문항과 독립변수 3개를 포함한 예측변수 17개로 산정한 결과 최소 표본 크기는 208명이었다. 이를 근거로 10%의 탈락율을 고려하여 총 230부를 배부하였으 며 215부를 회수하였다. 이 중 설문지의 응답 내용 이 미비한 5부를 제외하고 총 210부를 최종 분석 에 사용하였다.

    3. 연구도구

    1) 직업존중감

    직업존중감이란 직업과 관련된 사회적 가치와 권위에 대한 자신의 분석 또는 개인이 자신의 직 업에 대해 믿고 있는 존경과 권위의 수준, 직업과 관련된 신념과 가치를 의미한다[8]. 본 연구에서는 Choi & Jung[16]이 개발한 표준화된 병원간호사 직업존중감 도구(Job- Esteem Scale for Hospital Nurse [JES-HN])로 측정하였다. 도구는 직업적 자 아인식 7문항, 직업적 유능감 5문항, 돌봄의 역할 과 전문성 4문항, 사회적 신뢰와 존중 4문항, 조직 의 존중과 인정 4문항, 직업적 권위와 미래가치 4 문항으로 6개의 하위영역, 총 28개 문항으로 구성 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직업존중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개발 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α .94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3이었다.

    2) 간호근무환경

    간호근무환경은 간호사가 지각하는 물리적 환 경, 구성원간의 상호작용 업무수행에 영향을 주는 조직, 정책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9]. 본 연구에서는 Lake[9]가 개발한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PES-NWI)를 Cho et al.[17]이 한국어로 수정 및 보완한 한국어판 간호근무환경측정도구 (K-PES-NWI)로 측정하였다. 도구는 병원운영에 간 호사의 참여 9문항,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 9문 항, 간호 관리자의 능력, 리더십, 간호사에 대한 지 지 4문항,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 4문항, 간호 사와 의사의 협력관계 3문항으로 5개의 하위영역, 총 2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4점 Likert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사가 지각 하는 간호근무환경이 좋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개 발 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α .93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 는 .84이었다.

    3) 조직 내 의사소통

    조직 내 의사소통은 모든 구성원들이 조직의 목 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구성원간의 정보교환 및 상호작용하고 조직 내 갈등을 조정 및 해결하여 조직 내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행위를 의미한다[12]. 본 연구에서는 Downs & Hazen[18] 이 개발한 조직 내 의사소통 만족(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도구를 병원 환경에 맞도록 Hong[12]이 수정 및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 였다. 도구는 수직적 의사소통 8문항, 수평적 의사 소통 5문항, 의사소통 매체 6문항, 조직 분위기 5 문항으로 4개의 하위영역,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 수록 조직 내 의사소통 만족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개발 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α .88이었 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5이었다.

    4) 간호서비스 질

    간호서비스 질은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호사의 모든 행위에 대한 적합성과 우수성의 정도를 의미 한다[4]. 본 연구에서는 Parasuraman[19]에 의해 제안된 SERVQUAL 모델을 기반으로, 한국 간호서 비스 질 측정을 위하여 Lee[4]가 수정 및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도구는 유형성 3문항, 신뢰성 4문항, 반응성 3문항, 보장성 4문항, 공감성 6문항 으로 5개의 하위영역,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 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 록 간호서비스 질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의 개발 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α .97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 는 .94이었다.

    4.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 1)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직무관련 특성, 직업존중 감, 간호근무환경, 조직 내 의사소통, 간호서비스 질의 정도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 석하였다.

    • 2)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질의 차이는 t-test와 one-way ANOVA로, 사후검증은 Scheffé test로 분석하였다.

    • 3) 대상자의 직업존중감, 간호근무환경, 조직 내 의사소통, 간호서비스 질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 4) 대상자의 간호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직무관련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 결혼상태, 학력, 연봉, 정서적 지지 상대 유무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연령은 평균 29.89±6.86세, 결혼상태는 ‘기 혼’ 70.0%, 학력은 ‘학사’ 68.1%, 연봉은 ‘3500만원 이상’ 59.5%, 정서적 지지 상대는 87.6%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은 총 임상 경력, 현 병동 근무경력, 직위, 근무형태, 근무부서, 직무만족도, 현 근무지 만족도, 이직계획, 이직경험 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총 임상경력’은 평균 6.36±6.03년, ‘현 병원 경력’은 평균 3.62±3.94 년이었으며, 대상자의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75.7%이었다. 근무형태에서는 ‘교대직’ 74.3%로 다 수를 차지하였으며, 근무부서는 ‘병동’이 75.2%이 었다. 간호직에 대해서 75.7%, 현 근무지에서는 64.3%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계획은 ‘없다’가 58.6%로 나타났다<Table 1>.

    <Table 1>

    Descriptive statistics of survey respondents (N=210)

    KSHSM-17-2-39_T1.gif

    2. 대상자의 직업존중감, 간호근무환경, 조직 내 의사소통, 간호서비스 질 정도

    대상자의 직업존중감은 5점 만점에 평균 3.81 ±0.41점으로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돌봄의 역할 과 전문성 4.24±0.47점, 사회적 신뢰와 존중 3.99±0.60점, 직업적 자아인식 3.90±0.45점, 직업적 유능감 3.79±0.48점, 직업적 권위와 미래가치 3.62±0.70점, 조직의 존중과 인정 3.24±0.64점 순으 로 나타났다. 간호근무환경은 4점 만점에 평균 2.69±0.35점으로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충분한 인 력과 물질적 지원 2.78±0.42점, 양질의 간호를 위 한 기반 2.75±0.47점,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 2.65±0.51점, 관리자의 능력, 리더십, 간호사에 대한 지지 2.62±0.44점, 병원 운영에 간호사 참여 2.62±0.39점 순으로 나타났다. 조직 내 의사소통은 5점 만점에 평균 3.30±0.41점으로 하위영역을 살펴 보면, 수직적 의사소통 3.47±0.48점, 조직분위기 3.45±0.53점, 수평적 의사소통 3.29±0.48점, 의사소 통 매체 3.00±0.53점 순으로 나타났다. 간호서비스 질은 5점 만점에 평균 3.71±0.47점으로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신뢰성 3.80±0.51점, 반응성 3.79±0.58점, 공감성 3.77±0.53점, 보장성 3.71±0.51점, 유형성 3.36±0.68점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Mean of scores variables (N=210)

    KSHSM-17-2-39_T2.gif

    3.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질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질의 차이는 연령(F=3.21, p=.042), 결혼상태(t=-2.76, p=.006), 정서적 지지 상대 유무(t=2.61, p=.010) 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3>. 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질의 차이는 총 임상경력(F=4.17, p=.007), 현 근 무부서(F=4.06, p=.019), 직위(F=4.60, p=.011), 간 호직 만족도(F=42.00, p<.001), 현 근무병동 만족 도(F=21.56, p<.001), 이직계획 유무(t=-4.59, p <.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able 3>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ccording to participant characteristics (N=210)

    KSHSM-17-2-39_T3.gif

    이들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Scheffé test로 사후 검정한 결과, 연령은 ‘40세 이 상’ 군이 ‘30세 미만’ 군보다 간호서비스 질이 높았 고, 총 임상경력은 ‘1년 미만’ 군이 ‘4-5년’ 군보다 간호서비스 질이 높았다.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와 현 근무병동 만족도에서는 ‘만족’ 군이 ‘보통’ 군과 ‘불만족’ 군보다 간호서비스 질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4. 대상자의 직업존중감, 간호근무환경, 조직 내 의사소통, 간호서비스 질 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간호서비스 질에 따른 직업존중감, 간 호근무환경, 조직 내 의사소통의 상관관계는 다음 과 같다. 간호서비스 질은 직업존중감(r=.716, p<.001), 간호근무환경(r=.512, p<.001), 조직 내 의 사소통(r=.598,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Table 4>.

    <Table 4>

    Correlation between job esteem,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and quality of nursing service (N=210)

    KSHSM-17-2-39_T4.gif

    5. 대상자의 간호서비스 질의 영향요인

    병원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직무 관련 특성 중 간호서비스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된 연령, 결혼상태, 정서적 지지 상대, 직위, 총 임상경력, 현 근무부서, 간호직 만족도, 현 근무병동 만족도, 이직계획과 상관관계가 확인 된 직업존중감, 간호근무환경, 조직 내 의사소통 변수를 중심으로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분석에 앞서 결혼상태, 직위, 현 근무부서, 간 호직 만족도, 현 근무병동 만족도, 이직계획, 정서 적 지지 상대는 가변수(Dummy variables) 처리하 였다.

    다중회귀분석의 독립변수들에 대한 가정을 검증 하기 위해 다중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회귀분석의 공차한계 범위는 0.673∼0.882로 0.1이상이었고, 분 산팽창인자(Variation inflation factor, VIF)는 1.133 ∼1.486로 기준치인 10을 넘지 않아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잔차 분석 결 과 Durbin-Watson은 2.082으로 그 값이 2에 가깝 고 0 또는 4와 가깝지 않으므로 잔차들 간의 상관 관계가 없어 회귀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대상자의 간호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으로는 직업존중감(β=.533, p<.001), 조 직 내 의사소통(β=.280, p<.001), 간호직 만족도(β =.098, p=.043)순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58%(F=95.75, p<.001)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령, 결혼상태, 총 임상경력, 직위, 현 근무부서, 현 근무병동 만족도, 이직계획, 정서적 지지 상대 및 간호근무환경 변수는 대상자의 간호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Table 5>.

    <Table 5>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N=210)

    KSHSM-17-2-39_T5.gif

    Ⅳ. 고찰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업존중감, 간호근무환경, 조직 내 의사소통, 간호서비스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인간의 관계 및 직업존중 감과 간호근무환경 및 조직 내 의사소통이 간호서 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간호서비 스 질 향상을 위한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의 직업존중감은 평균 3.81점이 었다.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업존중감을 조사한 Kim[20]의 연구에서 평균 3.97점으로 본 연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하위 영역의 평균을 비교해 볼 때, ‘돌봄의 역할과 전문 성’, ‘사회적 신뢰와 존중’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 나, ‘조직의 존중과 인정’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난 결과와는 유사하였다. 이는 간호사들이 자신의 역 할에 전문성을 지니고 사회로부터 신뢰와 존중을 받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자신이 속해있는 조직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인정과 존중을 받지 못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조 직 내에서 전문직으로서 간호직을 인정하고 존중 하는 조직분위기의 조성이 필요하다. 같은 도구를 사용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직접적인 비교는 어 려운 실정이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Son et al.[21]의 연구에서는 평균 3.65점으로 본 연구결과 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간호사가 간호학생과는 달리 대상자에게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적용한 간 호를 환자에게 직접 제공하는 과정에서, 간호전문 직에 대한 정체성이 확립되고, 간호직을 긍정적인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16]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500병상 미만의 중소병원에 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추 후 다양한 규모의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 으로 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간호사들의 직업존 중감을 확인하여, 간호직에 대한 스스로의 자긍심 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고 생각된다.

    본 연구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은 평균 2.69점 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간호근무환경 도구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PES-NWI)는 점수가 2.5점 이상인 경우 자 신의 간호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9]을 의미하므로 본 연구 대상자들은 자신의 간호근무 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할 수 있다. 하위영 역별 점수를 살펴보면,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 이 2.7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관리자의 능 력·리더십·간호사에 대한 지지 2.62점, 병원 운영에 간호사 참여 2.62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상급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An et al.[22]의 연구에서 간호사들이 인식하는 간호근무환경은 평 균 2.45점, 하위영역 중 관리자의 능력, 리더십, 간 호사에 대한 지지가 가장 높게 인식하는 반면, 병 원 운영에 대한 간호사 참여 및 충분한 인력과 물 질적 지원을 가장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간호사의 간호근 무환경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병원의 규모, 전문성 및 특성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의 영향[10]을 받으므 로 다양한 변인을 적용한 반복 연구를 통해 인식 의 차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대상자의 조직 내 의사소통은 평균 3.30점으로 하위영역별 점수를 살펴보면, 수직적 의사소통이 3.47점, 수평적 의사소통은 3.29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의사소통 매체는 3.00점으 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간호조직 내에서 수직적, 수평적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반면, 다양 한 의사소통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은 부족한 것을 의미한다.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Jung[23]의 연구에서 조직 내 의사소통은 평균 3.39점으로 본 연구와 유사하였으며, 상급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Kim & Kim[24] 연구에서는 평균 3.05점으로 본 연구의 결과보다 낮게 나타났 다.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상급종합병 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 보다 조직 내 의사소통 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고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소병원은 상급종합병원에 비해 조직의 규 모가 작아 복잡성이 낮고, 조직구조의 계층이 저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조직 내 구성원과 부서 간 에 수평적 의사소통이 많이 이루어진다[23]. 이를 통해 병원 구성원 사이의 다양한 정보가 공유되고 의견을 자유롭게 나눌 수 있는 조직 내 분위기가 조성되어 조직 내 의사소통에 참여할 기회가 많아 질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사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한 정보교환을 위해서는 다양한 의사소통 매체 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조직문 화를 적극적으로 조성하고, 나아가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이 필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대상자의 간호서비스 질은 평균 3.71점 이었다.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한 Song & Lee[3]의 연구에서 평균 3.76점, Yom & Seo[15]의 연구에서 평균 3.69점으로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 으며, Jang et al.[5]의 연구에서 평균 3.42점으로 본 연구 결과 보다 낮게 나타났다. Jang et al.[5]의 연구에서는 일반간호사만 대상자에 포함되었으나, 본 연구에서의 대상자는 책임 간호사 이상이 24.3% 포함되어 있어, 본 연구의 대상자들이 상대 적으로 직위가 높고 임상경력이 많기 때문에 상대 적으로 간호서비스 질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 로 생각된다. 직위가 높은 간호사일수록 전문지식 과 다양한 경험의 오랜 임상경력을 바탕으로 환자 의 건강요구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간호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환자와 신뢰관계를 형성 하여 질 높은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3][5]. 따라서 연령과 직위가 낮은 저 연차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직무능력을 향상시키고 연차별에 따른 업무수행에 자신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훈련 프로 그램이 집중적으로 제공된다면 간호사들의 간호서 비스 질은 더욱 향상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 구에서 간호서비스 질의 하위영역 중 정확하고 능 숙한 간호능력 평가를 한 신뢰성이 가장 높게 나 타났고, 물리적 시설의 평가인 유형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하위영역 중 가장 낮은 유형성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시설, 장비의 개선 과 충분한 간호인력의 충원을 위한 제도적인 지원 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의 질은 연령, 결혼상태, 정서적 지지 상대 유무, 직위, 현 근무부서, 총 임상경력, 간호 직 만족도, 현 근무병동 만족도, 이직계획에 따라 간호서비스 질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 [2][3][5]에서 연령, 결혼상태, 최종 학력 등이 유의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연령이 높을수록, 기혼자 일수록 간호 서비스 질을 높게 인식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상 대적으로 연령이 높은 간호사들이 간호에 대한 전 문지식을 간호실무에 숙련되게 적용함으로써 질 높은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간 호서비스 질에 대한 연구는 환자 또는 보호자의 만족도와 관련된 간호서비스 질에 초점을 맞춘 연 구가 대부분으로 간호사가 인식하는 간호서비스 질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정확한 비교 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병원규모 별로 간호사 스스로의 간호서비스 질의 정도를 어떻게 인식하 고 있는지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그 결과에 따라 부서, 직급, 연차에 따른 간호서비스 질 향상 을 위한 직무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 간호서비스 질은 직업존중감, 간호 근무환경, 조직 내 의사소통 모두 유의한 양의 상 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자신의 직업에 대한 신념과 가치를 의미하는 직업존중감이 높을수록, 간호근무 환경을 좋게 인식할수록, 조직 내 의사소통이 높을 수록 간호서비스 질이 향상됨을 의미한다. 간호사 를 대상으로 한 간호서비스 질과 직업존중감에 대 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웠 으나, Choi & Jung[16]의 직업존중감에 대한 개념 분석연구에서 간호서비스 질이 직업존중감과 관계 가 있음이 도출되어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간 호서비스 질과 간호근무환경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Lee & Seomun[25]의 연구에서 간호근무환경의 만족도 와 간호서비스 질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과 유사하였다. 따라서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바람직한 간호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간호서비스 질과 조직 내 의사소통은 유 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Song & Lee[3]의 연 구결과와 유사하였다. 간호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직 내 의사소통 능력 및 기술 훈련 프로그 램을 개발 및 활성화 하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대상자의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직업존 중감, 조직 내 의사소통, 간호직 만족도 순으로 이 들 변인들은 간호서비스 질을 58% 설명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가장 큰 영향요인은 직업존중감으로 파악되었다. 간호사의 직업존중감이 높으면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와 적 응력이 높아져 환자에게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제 공한다는 Kang & Kang[26], Kim[20]의 연구결과 와 유사하였다. 이는 직업존중감이 높은 간호사일 수록 자신의 직업에 대한 만족이 높고, 그 결과 환 자와 원활한 관계가 형성되어 질 높은 간호서비스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질 높은 간호서 비스의 제공을 위해 자신의 직업에 대한 신념과 가치를 평가하는 직업존중감 정도를 정확히 파악 하여,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직업존중감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 대상자의 간호서 비스 질에 미치는 두 번째 영향요인은 조직 내 의 사소통으로 파악되었다. 간호사의 조직 내 의사소 통이 높으면 간호서비스 질이 향상된다는 Song & Lee[3]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조직 내 의사소 통 정도가 높을수록 환자와 간호사 간의 치료적 관계가 잘 형성되며, 다학제 간의 상호협조가 원활 하게 이루어져 간호서비스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14]. 따라서 조직 내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교 육프로그램이나 직무교육 등을 통해 조직 내 의사 소통 향상을 위한 방안과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 할 수 있는 의사소통 수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 다. 본 연구 대상자의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세 번째 요인은 간호직 만족도로 파악되었다. 간호사 의 간호직 만족도가 높으면 환자에게 질적인 간호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Yeo & Song[14], Kang & Kang[26]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 는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지하여 환자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간호사 스 스로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직업에 대한 자긍심과, 자신의 일에 대한 의미를 긍정적으로 부여받는 조 직 내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간호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직업존중감과 조직 내 의사소통, 간호직 만족도가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병원간호사의 간호서 비스 질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직업존중감과 조직 내 의사소통, 간 호직 만족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간호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 가 있다고 하겠다.

    Ⅴ. 결론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직업존중감, 간호근무 환경, 조직 내 의사소통, 간호서비스 질 사이의 관 계를 규명하고 간호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 련 변수를 파악하여 간호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병원간호사의 직업존중감, 조직 내 의사소통, 간호직 만족도는 간호서비스 질에 영 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직업 존중감과 간호서비스 질 간의 높은 관련성으로 볼 때 병원의 특성에 맞게 직업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하는 것이 필요함 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 고자 한다.

    • 첫째, 본 연구는 일부 지역 병원의 간호사를 대 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화에 제한점이 있다. 따 라서 다양한 지역과 병원의 규모를 고려하여 반복 연구를 할 것을 제언한다.

    • 둘째, 간호사의 직업존중감을 향상하기 위해서 긍정적인 간호근무환경 내에서의 직업존중감에 대 한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을 제언한 다.

    • 셋째, 조직 내 의사소통을 높이기 위해서 의사 소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함과 동시에 구체 적인 교육프로그램과 제도적 지원 방안 등을 개발 하여 간호사들에게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 넷째,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과 그 관련성을 규명하는 후속연구 를 제언한다.

    Figure

    Table

    Descriptive statistics of survey respondents (N=210)
    Mean of scores variables (N=210)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ccording to participant characteristics (N=210)
    Correlation between job esteem,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and quality of nursing service (N=210)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N=210)

    Reference

    1. M.A. Lee, S.W. Gong, S.J. Cho(2012), Relationship among Nursing Service Quality,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and Hospital Revisit Int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8(2);96-105.
    2. M.A. Lee, Y.H. Yom(2005), A Comparative Study of Consumers and Providers on Nursing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Hospital Rivisiting Int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1(4);425-437.
    3. H.J. Song, S.M. Lee(2016), The Effects of Hospital Nurses'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 on Self-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2(3);220-229.
    4. M.A. Lee(2003), A Study of the Nursing Service Perceived by Consumers and Providers, and the Tool that Measures Nursing Serv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6(6);772-783.
    5. R.J. Jang, Y.S. Kang, Y.M. Kim(2016), The Relationships in Emotional Intelligenc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Nursing Service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6);326-337.
    6. H.J. Lee, K.I. Jung(2019), Development of Job-Esteem Scale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5(4);302-316.
    7. M.J. Lee, S.H. Yoon, Y.C. Cho(2016),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Job Stress Contents, Fatigue Symptoms and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mong General Hospital Nurs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8);569-581.
    8. D.G. Miller(1999), Effect of Value-based Training on Job-esteem and Hospitality Values of Front-line Hotel Employe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Utah. pp2.
    9. E.T. Lake(2002),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25(3); 176-188.
    10. M.Y. Han, M.S. Lee, J.Y. Bae, Y.S. Kim(2018),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1(2);193-202.
    11. B.J. Kim, S.Y. Lee, G.J. An, G.A. Lee, H.J. Yun(2019),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44(2);189-197.
    12. E.M. Hong(2007), (A) Study on Hospital Nurses' Level of Communications and their Perception of the Organizational Activitie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Unpublished Master Thesis, Kyunghee University. pp.4-.60.
    13. D.W. Kim(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Quality of Nurses' Care Service with Nurses'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as a Moderator,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1(2);206-236.
    14. S.Y. Yeo, I.J. Song(2022), Factors Affecting on Nursing Service Quality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13(2);331-340.
    15. E.Y. Yeom, K.W. Seo(2018), Influences of Interpersonal Problems and Character of Nurses on Quality of Nursing Serv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4(5);445-454.
    16. H.J. Choi, K.I. Jung(2020), Development of Job-Esteem Scale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50(3):444-458.
    17. E.H. Cho, M.N Choi, E.Y. Kim, I.Y. Yoo, N.J. Lee(2011),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1(3);325-335.
    18. C.W. Downs, MD. Hazen(1977), A Factor Analytic Study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Vol.14(3);63-73.
    19. A. Parasuraman, V.A. Zeithaml(1988), SERVQUAL :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 Vol.64(spring);12-40.
    20. I.H. Kim(2020),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Empathy Competence and Job-esteem on Quality of Work Life in General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 Thesis, Kyungnam University. p.22.
    21. B.H. Son, Y.M. Kim, I.K. Jeon(2011), A Study on Nursing Students' Job-esteem, Work Values, and Satisfaction of Their Major,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20(3);240-249.
    22. Y.M. Ahn, K.S. Jang, H.Y. Park(2018), Effects of Compassion Competenc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Caring Behaviors of Clinical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 Vol.12(4);17-30.
    23. S.J. Jung, J.H. Jeong(2017), Influence of Professionalism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of Nurses in Hemodialysis Uni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59(4);245-272.
    24. M.J. Kim, K.J. Kim(2016), The Influence of Nurses' Clinical Career and Communication within Organization on Teamwork Competency,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Vol.14(2);333-344.
    25. Y.J. Lee, K.A. Seomun(2016),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 Turnover Intention,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Vol.14(6);355-362.
    26. M. Kang, K.S. Kang(2017), A Study on Nurses’ Job Esteem, Job Satisfaction, and Field Adaptation in SmallㆍMedium Sized Hospital,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8(2);423-428.
    April 4, 2023
    May 17, 2023
    June 13, 2023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