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7 No.4 pp.1-14
https://doi.org/10.12811/kshsm.2023.17.4.001

EMR 인증 의료기관의 인증제 인식도 연구 - 공공의료기관의 EMR 인증 및 시스템 기능성 중심

박초열‡
동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Certification System in EMR Certified Medical Institutions - Focusing on EMR Certification and System
Functionality of Public Healthcare Institutions

Cho-Yeal Park‡
Department of Healthcare Administration Dongseo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workers in public medical institutions who have acquired accredited certification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ystem Certification Management Portal, categorized by job type.


Methods:

For data collection, 984 people were analyzed by introduc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in public medical institution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Gyeonggi-do, Busan Metropolitan City, Gyeongsangbuk-do, Gyeongsangnam-do, and Jeju-do.


Results:

Among different occupations,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professionals demonstrated the highest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the EMR authentication system.


Conclusions: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physician group, which is the main user of the EMR system, in the survey was significantly low. In order to promote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the medical community in EMR system certification, it is judged that the certification body needs to make considerable efforts such as public relations activities and education projects.



    Ⅰ. 서론

    정보통신망의 발달은 다양한 조직, 기관, 기업에 큰 영향을 미쳤고 그중 의료기관에서 많은 변화가 발생했다. 과거에는 수작업으로 처리되던 의무기록 들이 현재에는 컴퓨터화된 정보 시스템을 통해 쉽 게 처리되며, 환자의 의무기록을 다른 부서와 손쉽 게 공유하고 전달할 수 있는 기능성이 향상되었다. 이로써 병원을 내원하는 환자들에게 더 우수한 의 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더 나아가 의 료종사자들은 효율적인 의사소통 및 업무의 상호 작용이 가능하게 되었다[1].

    정보통신기술 발달에 따른 보건의료분야에서의 변화로는 1990년대 전자의무기록의 개인 처방전달 시스템(Order Communication System, OCS)이 도 입되었고, 1990년대 후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PACS) 이 중심인 병원정보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에 본격적으로 도입되었으며, 2000년 대 초반에 의료정보화가 이루어져, 많은 병원들이 환자 정보의 입력, 저장 및 정보의 교환까지 가능 한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었다[2]. 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EMR의 활용은 보건의료분야에서 중요한 역 할을 하고 있음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진보화된 기술을 통해 정보에 쉽게 접근하고 활용 할 수 있게 되어, 보건의료분야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EMR은 전자의무기 록, 환자의 전 진료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 으로 정보화 체계 기반이다[3]. 전자의무기록을 통 해 진료의 효율성 및 의료의 질 향상, 환자 안전 관리, 요양급여 적절성 평가, 양질의 의료데이터, 진료정보교류, 진료정보 및 경영정보의 생성으로 의사결정 정보 제공하는 역할 수행이 가능하기에 공공의료기관은 진료, 행정, 경영 등의 개선으로 공공의료기관의 발전을 이룰 수 있으며, 환자는 양 질의 의료서비스 제공과 적절한 요양급여 및 다양 한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4].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시스템 도입은 환자 정보 획득을 위한 반복적인 작업을 줄여 병원의 재정적 손실과 시간 낭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환자의 진료 대기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지니며[5][6], 환자와 의료 인 간의 상호작용마다 반복되는 절차와 접촉을 줄 여 환자들이 의료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시간 소비 를 최소화하게 된다. 환자의 의료 이용을 더욱 편 리하게 만들고 의료정보의 반복 작성을 회피하여 환자에게 일관성 있는 진료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 이다. 게다가 종이 기반의 의료기록은 큰 공간, 많 은 인력 및 시간, 그리고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으 로 병원 경영의 수익을 제한하는 제약 요소로 작 용한다[7]. 이와 같은 종이 기반 의무기록의 제한 점을 보완하여 저비용 및 높은 효율성을 제공함으 로써 병원의 재무 활동에 있어 수익 창출을 극대 화할 수 있는 역할 수행을 한다. 초기 인프라 구축 작업에 들어가는 투자 비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인 시각에서 전자의무기록은 조직 구조의 재조정 없이도 경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8]. 더불어, 민간의료기관처럼 수익 보다는 환자들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중점을 둔 공 공의료기관에서도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은 큰 이점 을 가져다준다. 여기서 말하는 공공의료기관이란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제2조 3항에 의하면, 공공보건의료기관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또는 대 통령령으로 정하는 공공단체가 공공보건의료의 제 공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여 설립 및 운영하는 보 건의료기관을 일컫는다. 이 가운데 공공의료기관은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와 같은 공공보건기 관 제외 공공의료기관으로서 매년 보건복지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지정된다[9]. 이로 인해 공공의료 기관은 수익성이 없는 의료서비스와 관련된 국가 의 의료 정책 사업을 수행하며, 민간의료기관과는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며 국가적인 의료 정책 구현 에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10]. 국내 224개의 공 공의료기관이 운영되고 있고, 일반 환자들을 대상 으로 진료를 수행하는 곳은 국립대학교병원, 지방 의료원, 적십자병원 등 63개(보건복지부, 2019)로 부족한 현실이다[11].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의 료서비스의 균등한 제공과 효율성을 향상하기 위 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공공의료기관의 부족함 을 보완하고, 민간의료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지방자치단체는 계속해서 보조금 지원을 통해 적 자 보전 및 재정 안정화를 실현하고 있으며, 이로 써 고유의 운영 및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발전시 키고 있다.

    의료기관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 수준의 평가를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주관하는 의료기관 인증제가 실시되었다. 의료기관이 환자 안전과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도록 하며, 국민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제도로써 의료서비 스의 수준을 객관적으로 측정, 기록하고 개선을 통 해 안전한 환경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평가 하는 활동이다[12]. 의료기관에서 개인 건강기록 (Personal Health Record, PHR) 등에 대한 진료 정보 교류의 수요가 증가하고, 국내 전자의무기록 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품질 및 안전성이 확 보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도록 인 증기준을 개발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인증받 은 전자의무기록(EMR) 제품을 보급하는 것이 중 요시되고 있다[13]. 의료법 제23조 2“전자의무기록 의 표준화 등”, 의료법 시행령 제10조의 7 “전자의 무기록시스템의 인증”의 법령에 따라 2020년 6월 1일부터 EMR 인증제가 시행되고 있다[14]. EMR 인증제는 규정된 전자의무기록 관리·보존에 따라 필요한 시설과 장비에 관한 기준을 통해 사이버 침해 증가를 대비하고 국민의 주요 민감한 의료정 보 및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련되 었다[15]. 따라서 EMR 시스템 기능에 대한 국가적 인 기준과 적합성 평가를 위해 우리나라에서도 전 자의무기록시스템에 대한 평가인 EMR 인증제를 도입하였다[13][16]. 그러나 EMR 시스템의 인증요 건을 충족하는 데 있어 우리나라에서의 병원 및 의원급 의료기관에서는 EMR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개발하기에는 아직 많은 어려움이 있다. 더욱이, 현재 확장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EMR 인증제 의 가장 큰 장애물은 병·의원급 의료기관들이 이 에 참여할 동기를 부족하게 여기고 있다는 점이다.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있는 병·의원급과 중소병원 들의 경우는 EMR 시스템 인증제 참여를 통해 인 증된 EMR 시스템으로 변환하기에 투자할 여력이 되지 않는 경우가 다수 존재한다[17]. 이에 정부는 EMR 시스템의 인증요건을 충족하는 시스템을 보 급하기 위한 사업이 이루어져 왔다. 대표적으로 의 료정보 업체를 지원하여 표준화된 EMR 개발 및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 2020년부터 2021년까지 ‘병· 의원 전자의무기록 표준화 사업’에 약 56억을 지원 하였고 이를 통해 10개 표준 EMR 제품을 개발, 약 3,000여 개의 의료기관 인증 EMR 확산을 지원 하였다(한국보건의료정보원, 2022). EMR 도입을 위한 사업들을 추진한 결과로 의료기관에서는 EMR 시스템에 대한 관심들을 가지며, 현재는 대 부분의 병원들이 EMR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18]. 국가적 차원의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도입을 위한 노력이 현재는 많은 의료기관에 자리를 잡고 있고 의료인력의 질 향상을 위해 표준화된 시스템 인증기준과 급변하는 환경에서 시스템 실무자들의 의견을 토대로 시스템 구축 및 설계 등을 통해서 새로운 환경을 맞이해야 한다[19].

    EMR 시스템은 환자 정보를 효율적이고 안전한 관리를 통해 진료 과정을 최적화하고 의료서비스 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도구로 부 각 되기에 균등한 의료서비스 제공과 사회의 건강 및 복지 촉진을 위한 핵심 요소를 담당하는 공공 의료기관에서의 EMR 시스템 도입에 대한 의료종 사자들의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공의 료기관 의료종사자들의 EMR 시스템에 대한 인식 을 조사함으로써, 이러한 첨단 기술이 의료 현장에 서 어떻게 수용하고 활용되고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으며, EMR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함으로 써, 안전성과 효과성을 보장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는 의지와 요구사항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EMR 인증제도에 대한 의료종사자들의 인식을 체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국가 보건에 더욱 효과적인 기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따라서, EMR 인증제 도에 대한 공공의료기관 의료종사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연구는 국가 보건정책의 발전 을 위한 필수적인 단계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의 설정은 2022년 1주기 EMR 인증을 받은 전국의 공공의료기관을 대상으로 EMR 인증 제도 시행 전·후 업무 변화에 대한 공공의료기관 의료종사자들의 인식도 조사를 바탕으로 진행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 전자의무기록(EMR)시 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공공의료기관 중 EMR 전자 의무기록시스템 인증원에서 2022년 1주기 사용인 증을 받은 공공의료기관 종사자 중 EMR system을 사용하는 근무자(의사, 간호직, 의료기사, 보건의료 정보관리사, 행정직)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 다. 설문지 분석을 수행하기 이전, 조사 대상자들 에게 연구의 목적과 개인정보 보호가 보장되며 연 구 이외의 용도에는 활용되지 않을 것임을 사전에 고지한 후,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동의를 얻은 대 상자들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데이터수집 은 수도권, 경기도, 부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 도, 제주도에 위치한 공공의료기관 내에서 전자의 무기록을 도입하여 활용하는 의료인들을 대상으로 2022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약 2개월간 진 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총 984건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내용과 연구방법에 관해서는 D 대학교 IRB 심의 위원회 심의번호(1041493-A-2022-016)를 받았다

    2. 연구도구

    1)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직 종, 학력, 결혼 여부 그리고 근무 년 수로 분류하 였다. 연령은 만 20~29세, 만 30~39세, 만 40~49세, 50세 이상 또한 직종은 의사와 간호직, 의료기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행정직 학력은 전문대 이하, 대졸, 대학원 이상 근무 년 수는 3년 미만, 3년~5 년 미만, 5년~10년 미만, 10년~20년 미만으로 분류 하였다.

    2) EMR 인증제도 인식

    연구 대상자들의 EMR 인증제도 인식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첫 째, EMR 인증제도에 대한 이해도 여부, 둘째, 해 당 기관이 EMR 인증을 획득했는지에 대한 인식 여부, 셋째, EMR 시행 이후의 업무 질과 효율성 변화 여부, 마지막으로 EMR 인증제도의 필요성을 인식한 정도인 5가지 문항 척도를 통해 평가되었 다. 척도는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 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로 구성되었다.

    3) EMR 인증 후 내부인식

    연구대상자들의 EMR 인증 이후 내부인식 여부 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첫째, EMR 시스템에 대한 신뢰감이 향상되었는지 에 대한 여부, 둘째, 인증으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 여부, 셋째, 부서 간 의사소통이 원활해졌는지에 대한 여부 마지막으로 시스템 보완 여부로 구성되 어 5가지 문항 척도를 통해 평가되었으며, 척도는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 렇다", "매우 그렇다"로 구성되었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 분석 방법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EMR 인증제도 인 식 및 EMR 시스템 기능성에 대한 직종별 인식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평균분석,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사후검정은 Duncan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분석은 SPSS 26.0 통계프로그램 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5를 기준으로 실 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Table 1>은 대상자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이며 성별은 남성이 20.1%(198명), 여 성이 79.9%(786명)로 나타났다. 전체 연구대상자 중 간호사의 직종 비율이 62.6% 이상으로 차지하 여 성별의 빈도는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은 비율 로 나타난 것으로 확인된다. 연령에서는 만 20~29 세가 25.2%(248명), 만 30~39세가 28.5%(280명), 만 40~49세가 25.4%(250명), 50세 이상이 20.8%(205명) 순으로 나타났다. 20~40대에 해당하는 연령, 그중 에서도 30~39세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50 세 이상의 연령대가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직 종에서는 의사가 0.7%(7명), 간호직은 62.6%(616 명), 의료기사 19.8%(195명), 보건의료정보관리사 5.1%(50명), 병원행정사 11.8%(116명)이다. 간호 직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의료기사, 병원행정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의사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 은 대학교 졸업 68.4%(673명)며, 전문대 이하 22.0%(216명) 그리고 대학원 이상 9.7%(95명)이다. 결혼여부는 미혼 39.0%(384명), 기혼 60.6%(596명) 이며 근무 년 수는 3년 이하가 13.5%(133명), 3~5 년 미만이 14.4%(142명) 5~10년이 22.7%(223명), 10~20년 21.2%(209명), 20년 이상이 28.2%(277명)로 20년 이상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3년 이하 에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s Category N %
    Gender Male 198 20.1
    Female 786 79.9
    Age 20~29 248 25.2
    30~39 280 28.5
    40~49 250 25.4
    50 over 205 20.8
    Occupation Doctor 7 0.7
    Nursing 616 62.6
    Medical technician 195 19.8
    Health Information Manager 50 5.1
    Administrative position 116 11.8
    Educational background Below the Technical College 216 22.0
    Graduation from University 673 68.4
    Graduate or Higher 95 9.7
    Marriage Status Single 384 39.0
    Married 596 60.6
    Etc 4 0.4
    Number of working years 3 year below 133 13.5
    3~5 142 14.4
    5~10 223 22.7
    10~20 209 21.2
    20 or more 277 28.2
    Total 984 100.0

    2. EMR 인증제도 인식에 대한 직종별 인식

    EMR 인증제도 인식에 대한 직종별 인식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Recognition of EMR certification system by occupation

    Occupation A M±S.D B M±S.D C M±S.D D M±S.D E M±S.D

    Doctora 3.29±1.380 3.29±1.380 3.86±1.069 3.86±1.069 4.00±1.000
    Nursingb 3.59±1.117 3.76±1.113 3.61± .951 3.55±0.951 3.60±0.976
    Medical technicianc 3.55±1.180 3.64±1.177 3.74± .968 3.72± .998 3.79± .968
    Health Information Managerd 3.80± .782 3.96±. 807 3.16± .842 3.22± .864 3.40± .904
    Administrative Positione 3.58±.925 3.88±.952 3.72± .853 3.71±.834 3.73± .888

    Total 3.59±1.096 3.76±1.098 3.63±0.945 3.59±.949 3.65± .964

    F(p) .667(.615) 1.656(.158) 4.189(.002) 3.722(.005) 2.780(.026)

    Duncan d<a,c,e d<a d<a

    A=I know about the EMR certification system, B=I am aware that your hospital has received EMR certification, C=The quality of work has improved after EMR certification, D=Work efficiency has increased after EMR certification, E=I have come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the EMR certification system.

    ‘EMR 인증제도에 대해 알고 있다.’의 평균은 3.59이었다. 직종별로는 보건의료정보관리사 가 3.80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간호사 3.59이었으 며, 의사가 3.29로 가장 낮았다.

    ‘귀하 병원이 EMR 인증받은 것을 알고 있다.’의 평균은 3.76이었다. 직종별로는 보건의료정보관리 사가 3.96으로 가장 높았으며, 행정직이 3.88, 간호 사가 3.76이며 의사가 3.29로 가장 낮았다.

    ‘EMR 인증 이후 업무의 질이 개선되었다’의 평 균은 3.63이었다. 직종별로는 의사가 3.86으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의료기사 3.74, 행정직 3.72 다음으 로 간호사가 3.61, 보건의료정보관리사가 3.16으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P<.01).

    다음으로는 ‘EMR 인증 이후 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졌다’의 평균은 3.59이며, 직종별로는 의사가 3.86으로 가장 높았다. 그다음으로는 의료기사가 3.72이며 보건의료정보관리사가 3.22로 가장 낮았 다(P<.01).

    마지막으로 ‘EMR 인증제도의 필요성을 알게 되 었다’의 평균은 3.65이었다. 직종별로는 의사가 4.00으로 가장 높았고 의료기사가 3.79 다음으로 행정직이 3.73 간호사가 3.60이었으며 보건의료정 보관리사가 3.40으로 가장 낮았다(P<.05). EMR 인 증제도 인식에 대한 직종별 인식은 보건의료정보 관리사 직군에서 EMR 인증 이후 업무의 질 개선, 효율성 향상, 인증제도의 필요성 인식에 대한 인식 도가 낮게 나타났다.

    3. EMR 시스템 기능성에 대한 직종별 인식(환 자정보관리)

    EMR 시스템의 기능성 중 환자정보관리에 대한 직종별 인식은 <Table 3-1>과 같다.

    <Table 3-1>

    Recognition of EMR certification system functionality by occupation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Occupation A M±S.D B M±S.D C M±S.D D M±S.D

    Doctora 4.00±1.000 4.00±1.000 4.08±1.000 4.14±1.069
    Nursingb 3.73± .887 3.78± .851 3.79± .867 3.62± .901
    Medical technicianc 3.88± .862 3.88± .813 3.83± .891 3.77±1.002
    Health Information Managerd 3.70± .647 3.72± .701 3.78± .679 3.33± .753
    Administrative Positione 3.88± .759 3.93± .788 3.78± .835 3.65± .784

    Total 3.78± .860 3.81± .831 3.79± .859 3.65± .906

    F(p) 1.820(.123) 1.479(.206) 0.198(.940) 2.575(.036)

    Duncan d<a

    A=It has become more convenient to create, maintain, and access basic patient information, B=It has become more convenient to modify patient personal details, distinguish people with the same name, manage multiple registration numbers, and search for patients, C=The management of consent forms and advance directives has become more convenient, D=Registering and accessing documents and test results from external medical institutions has become more convenient.

    ‘환자 기본 정보를 생성, 유지, 조회하는 것이 편리해졌다’의 평균은 3.78이었다. 직종별로는 의사 가 4.00으로 가장 높았고, 뒤이어 의료기사 및 행 정직이 3.88 이였으며, 간호사가 3.73 그리고 보건 의료정보관리사가 3.70으로 낮았다.

    ‘환자인적사항을 수정, 동명이인 구분, 다중 등 록번호 통합관리, 환자 검색이 편리해졌다.’의 평균 은 3.81이었다. 직종별로는 의사가 4.00이었으며 행 정직 3.90, 의료기사가 3.88, 그리고 간호사가 3.78 이었고 보건의료정보관리사가 3.72로 가장 낮았다.

    ‘동의서 및 의향서 관리가 편리해졌다’의 평균은 3.79이었다. 직종별로는 의사가 4.00으로 가장 높았 고, 간호사가 3.79, 의료기사 3.83, 행정직 및 보건 의료정보관리사가 3.78로 가장 낮았다. ‘외부의료기 관의 문서와 검사결과의 등록 및 조회가 편리해졌 다’의 평균은 3.65이었다. 직종별로는 의사가 4.14 로 가장 높았으며, 의료기사 3.77, 행정직이 3.65, 다음으로는 간호사가 3.62이며, 보건의료정보관리 사가 3.33으로 가장 낮았다(P<.05). EMR 인증 후 시스템의 기능성 중 환자정보관리에 대한 인식에 서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직군의 인식도가 낮게 나 타났다.

    4. EMR 시스템 기능성에 대한 직종별 인식(처 방정보관리)

    EMR 시스템의 기능성 중 처방정보관리에 대한 직종별 인식은 <Table 3-2>와 같다.

    <Table 3-2>

    Recognition of EMR certification system functionality by occupation (Prescription Information Management)

    Occupation A M±S.D B M±S.D C M±S.D D M±S.D E M±S.D E M±S.D

    Doctora 4.43± .535 3.86±. 900 4.14± .378 3.86± .900 3.71± .756 3.71± .756
    Nursingb 3.87± .847 3.71± .877 3.82± .823 3.80± .826 3.71± .836 3.72± .873
    Medical technicianc 3.60± .858 3.62± .873 3.63± .902 3.63± .872 3.64± .883 3.69± .848
    Health Information Managerd 3.38± .635 3.62± .530 3.58± .575 3.50± .505 3.54± .503 3.46± .503
    Administrative Positione 3.86± .745 3.72± .693 3.78± .723 3.66± .722 3.67± .732 3.78± .711

    Total 3.80± .839 3.69± .841 3.77± .819 3.74± .815 3.68± .820 3.71± .836

    F(p) 8.392(.000) .587(.672) 3.094(.015) 3.337(.010) .681(.605) 1.336(.254)

    Duncan d<e,b<a d,c<a

    A=Management of the drug master and searching for drug names and information has become more convenient, B=Recording, modifying, and viewing medication prescriptions has become easier, as well as specifying attributes at the time of prescription, C=It's now easier to know a patient's previous medication prescriptions and to consult test results when prescribing medication, D=Prescription support has become more convenient due to prevention of incorrect drug name entry, blocking of inappropriate administration routes, and allergy checks and warnings, E=Searching for medication prescriptions and patients prescribed specific drugs has become more convenient, F=Recording, modifying, and viewing the execution of medication prescriptions has become more convenient.

    ‘약품마스터 관리 및 약품명, 약품정보 조회가 편리해졌다’의 평균은 3.80이었다. 직종별로는 의사 가 4.43으로 가장 높았고, 간호사 3.87, 행정직 3.86, 의료기사 3.60 순으로 나타났고, 보건의료정 보관리사는 3.3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투약처방 을 기록 수정, 조회할 수 있으며 처방시 속성을 지 정하기가 편리해졌다.’의 평균은 3.69이었다. 의사 가 3.86으로 가장 높았으며, 행정직이 3.72, 간호사 가 3.71 순으로 나타났고, 보건의료정보관리사와 행정직은 624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환자의 이 전 투약처방내용을 알 수 있으며 투약처방시 검사 결과를 조회하기 편리해졌다’의 평균은 3.77이었 다. 의사가 4.14로 가장 높았고, 뒤이어 간호사 3.82, 행정직 3.78, 의료기사 3.63 순이며, 보건의료 정보관리사는 3.58로 가장 낮았다. ‘약물명 오입력 방지 및 부적절한 투여 경로 차단 및 알레르기 점 검 및 경고에 의해 처방지원이 편리해졌다.’의 평 균은 3.74이었다. 직종별로는 의사가 3.86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간호사 3.80이었으며, 행정직 3.71, 의료기사 3.74, 보건의료정보관리사가 3.40 순 으로 나타났다. ‘투여 처방 조회 및 특정 약물 투 약환자 조회가 편리해졌다’의 평균은 3.71점이며, 행정직이 3.7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간호직 3.72, 의사 3.71, 의료기사 3.69, 보건의료정보관리사 3.46 순으로 나타났다. 시스템 기능성 중 처방정보관리 항목의 문항의 직군 중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직군 이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의사, 간호사 직군에서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5. EMR 시스템 기능성에 대한 직종별 인식(임 상정보관리)

    EMR 시스템의 기능성 중 임상정보관리에 대한 직종별 인식은 <Table 3-3>과 같다.

    <Table 3-3>

    Recognition of EMR certification system functionality by occupation (Clinical Information Management)

    Occupation A M±S.D B M±S.D C M±S.D D M±S.D E M±S.D

    Doctora 3.71± .756 3.86±. 900 3.86± .900 4.00±1.000 4.43± .535
    Nursingb 3.68± .905 3.65± .905 3.77± .840 3.83± .841 3.80± .835
    Medical 3.84± .887 3.83± .850 3.72± .878 3.61± .869 3.81± .885
    technicianc
    Health Information Managerd 3.86± .808 3.66± .557 3.54± .762 3.60± .670 3.70± .614
    Administrative Positione 3.84± .802 3.84± .780 3.78± .814 3.75± .709 3.81± .790

    Total 3.74± .886 3.71± .868 3.75± .842 3.77± .830 3.80± .829

    F(p) 1.787(.129) 2.387(.049) .969(.423) 3.457(.008) 1.196(.311)

    Duncan d,c,e,b<a

    A=Medical record management (revision history, form management, signing) has become more convenient, B=Creating medical records (recording, editing, accessing) has become more convenient, C=Managing patient clinical information (diagnoses, drug allergies, drug intoxication) has become more convenient, D=Managing clinical measurements (vital signs, physical measurements) has become more convenient, E=Managing test results (trend analysis, imaging images, critical test result alerts) has become more convenient.

    ‘의무기록관리(수정이력, 서식관리, 서명)가 편리 해졌다’의 평균은 3.74이었다. 직종별로는 보건의료 정보관리사가 3.8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 료기사와 행정직이 3.84, 의사 3.71, 간호사 3.68 순 으로 나타났다. ‘의무기록작성(기록, 수정, 조회)이 편리해졌다’의 평균은 3.71이며, 직군은 의사가 3.86으로 가장 높았으며, 행정직이 3.84, 의료기사 가 3.83, 보건의료정보관리사 3.66, 간호사 3.65 순 으로 나타났다. ‘환자임상정보(진단명, 약물알레르 기, 약물목록)관리가 편리해졌다’의 평균은 3.75로, 직군은 의사가 3.86으로 가장 높았고, 뒤이어 행정 직 3.78, 간호사 3.77, 의료기사 3.72 순이며, 보건 의료정보관리사는 3.54로 가장 낮았다. ‘임상측정 (활력징후, 신체계측)관리가 편리해졌다’의 평균 은 3.77이었다. 직종별로는 의사가 4.00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간호사 3.83이었으며, 행정직 3.75, 의료기사 3.61, 보건의료정보관리사가 3.60의 순서로 나타났다. ‘검사결과(추이조회, 영상이미지, 중요검사결과 알림)관리가 편리해졌다’의 평균은 3.80점이며, 직군은 의사가 4.43, 의료기사 및 행정 직이 3.81, 간호사 3.80, 보건의료정보관리사 3.70 순으로 나타났다. 시스템 기능성 중 임상정보관리 항목의 문항의 직군 중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직군 이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의사, 간호사 직군에서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6. EMR 시스템 기능성에 대한 직종별 인식(정 보제공 및 연계)

    EMR 시스템의 기능성 중 정보제공 및 연계에 대한 직종별 인식은 <Table 3-4>와 같다.

    <Table 3-4>

    Recognition of EMR certification system functionality by occupation (Information Provision and Integration)

    Occupation A M±S.D B M±S.D

    Doctora 4.14±1.069 4.14±1.069
    Nursingb 3.67± .878 3.67± .847
    Medical technicianc 3.74± .923 3.74± .901
    Health Information Managerd 3.60± .571 3.72± .671
    Administrative Positione 3.81± .854 3.96± .796

    Total 3.70± .873 3.72± .850

    F(p) 1.323(.259) 3.381(.00)

    Duncan d<a

    A=Linking with public information (registering vaccinations, entering legal infectious disease reports, creating and querying information on suspected infectious diseases) has become more convenient. B=Providing patient information (legal forms, medical records, educational materials,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notifications) has become more convenient.

    ‘공공정보연계(예방접종등록, 법정감염병신고서 입력, 감염병 의심정보 생성조회)가 편리해졌다’의 평균은 3.70이었다. 직종별로는 의사가 4.1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행정직 3.81, 의료기사직 3.74, 간 호사 3.67, 보건의료정보관리사가 3.60 순으로 나타 났다. ‘환자정보제공(법정서식, 의무기록, 교육자료, 건강관리정보알림)이 편리해졌다’의 평균은 3.72이 며, 직군은 의사가 4.14로 가장 높았으며, 행정직이 3.96, 의료기사가 3.74, 보건의료정보관리사 3.72, 간호사 3.67 순으로 나타났다. 시스템 기능성 중 정보제공 및 연계 항목 문항의 직군 중 간호직 직 군이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의사, 행정직, 의료기 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순으로 높은 인식도를 보 였다.

    Ⅳ. 고찰

    본 연구는 공공의료기관에서 전자의무기록 (EMR) 시스템의 인증을 받은 기관을 대상으로, EMR 인증제도 시행 전과 후의 업무 변화에 대한 공공의료기관 종사자들(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보 건의료정보관리사 및 행정직)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이다. 전자의무기록 EMR 시스템의 인증제도 는 EMR 시스템의 품질 향상을 촉진하며, 상호운 용성과 보안성을 강화하여 환자 안전과 진료의 연 속성을 확보하고, 국가 의료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 리하는데 중요한 도구로 인식되기에 본 연구가 필 요하다고 판단된다. 인증제도의 단·장기발전 방안 을 모색하고 전자의무기록시스템 EMR의 국가적 표준 및 적합성 검증을 통해 진료 정보의 상호운 용성을 확보하고 품질을 향상하는 방안을 제시하 는 것을 목표로 EMR 인증을 받은 공공의료기관의 직종별 EMR 인증 및 시스템 기능성에 대한 인식 수준을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 할 수 있다.

    첫째, 공공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성별의 비율은 여성 79.9%, 남성 20.1%로 여성의 비율이 높다. 이는 의 료기관의 종사자 비율에서 간호직이 62.6%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기에 이와 같은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연령에서는 30~39세 비율이 28.5%로 가장 높았으며, 40~49세, 20~29세 그리고 50세 이상 순 으로 나타났다. 직종 부분에서는 간호직이 가장 높 은 비율을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의료기사, 행정직,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순이다. 그러나 의사직의 비율 은 0.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EMR 시스템을 가 장 많이 다루는 직군 중 하나인 직군이 바로 의사 직이기에 향후 의사직의 설문 참여를 유도하여 설 문 빈도를 높일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EMR 인 증제도에 대한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한 교육 및 흥보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EMR 인증제도 인식에 대한 직종별 인식 으로 공공의료기관에서는 보건의료정보관리사와 의사 직군이 다른 직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 수준을 보였다. EMR 인증제도에 대하여 알 고 있는 부분에서 보건의료정보관리사가 가장 높 은 비율을 보였고, EMR 인증제도를 받았음을 인 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부분에서도 보건의료정보관 리사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EMR 인 증제도를 주도적으로 주관하며 핵심적인 역할 수 행의 주요 부서로서, EMR 인증제도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는 EMR 인증 이후 업무의 질 개선 부분에서는 의사 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EMR 인증 이후 업 무의 효율성 부분에서도 의사가 높은 비율을 보였 으며, EMR 인증제도의 필요성을 인지한 부분에서 도 높은 인식을 보였다. 의사직종의 업무의 질 개 선이 높아진 것은 해당 직군에서 편리를 인지하고 있음 확인할 수 있다.

    셋째, EMR 시스템 기능성에 대한 직종별 인식 을 확인했을 때 의사, 의료기사, 행정직군에서 높 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EMR 인증제도 인식에 대한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인식 결과와는 상이하다. EMR 시스템 기능성 부분에서는 보건의 료정보관리사가 타 직종에 비하여 인식이 낮아졌 다. 이는 의사, 의료기사, 간호사와 같이 EMR 시 스템의 기능을 직접 활용하는 직군과는 달리, 보건 의료정보관리사는 업무를 수행할 때 타 직종보다 EMR 시스템의 기능을 직접적으로 활용하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시스템 기능성에서 EMR 인증 이후 환자 기본 정보를 생성, 유지, 조회하는 것이 편리해졌다는 부분과 환자인적사항을 수정, 동명이 인 구분, 다중등록번호 통합관리 및 환자 검색이 편리해졌다는 부분, 동의서 및 의향서 관리가 편리 해졌다는 부분과 외부의료기관의 문서와 검사결과 의 등록 및 조회가 편리해졌다는 항목과 투약 처 방 수행 기록, 수정, 조회가 편리해졌다는 기능성 항목에서 모두 의사가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보건 의료정보관리사가 낮은 비율임을 확인할 수 있다. EMR 시스템 기능성 범위에서 직군에 따라 활용도 가 상이하기에 직종별로 인식 수준이 다르게 나타 났고, 특히 시스템 기능은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직 군에서 활용도가 낮게 인식되었다. 따라서 해당 직 군의 업무 내용과 향후 시스템 이용 정도를 파악 해 인식도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넷째, EMR 시스템 기능성에 대한 직종별 인식 을 [Table 3-3]을 확인하면 EMR 인증 후 의무기록 관리가 편리해졌다는 부분에서 간호직의 비율이 가장 낮았으며, 또한 EMR 인증 후 의무기록작성 이 편리해졌다는 부분에서도 간호직이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간호직은 EMR 시스템을 이용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상관관계에 있는 직군 중 하나이 다. 그렇기에 추후 EMR 시스템 이용 부분에 있어 간호직 종사자들의 불편한 부분들을 조사하여 EMR 시스템의 의무기록 작성 및 관리 부분에서의 개편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EMR 인증 후 환자 임상정보관리가 편리해졌다는 부분에서는 보건의 료정보관리사의 비율이 3.54로 가장 낮게 나타났 다. EMR 인증 후 검사결과관리가 편리해졌다는 항목에서는 직군 전체적으로 비율이 높았으며 이 중 의사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보건의료정보관 리사의 비율은 가장 낮았다. 또한, EMR 인증 후 공공정보연계가 편리해졌다는 부문에서도 의사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 이 또한 보건의료정보관리사 가 EMR 시스템을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부서가 아 니기에 낮은 결과를 보였다고 볼 수 있다.

    EMR 인증 후 시스템에 대해 보완해야 할 점으 로 많은 설문 참여자들이 EMR 시스템에 대한 “속 도 개선”이라 답하였다. 시스템의 속도가 느려지는 이유로는 서버 부하, 네트워크 문제, 소프트웨어 문제, 데이터양과 복잡성, 보안 및 암호화 등 많은 변수 요인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지속적인 서버 관 리와 정기적인 네트워크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 드, 데이터베이스 최적화 더 나아가 사용자들의 교 육 및 훈련과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개선 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Park[20]의 선행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EMR 인 증 후 종사자별 내부 인식이 모두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는 EMR 인증제도가 시행 됨에 따라 인식도가 점차 높아지고, 더불어 국가의 EMR 시스템 인증제도의 효과적인 홍보와 의료기 관들의 적극적인 노력과 관심이 결합하여 EMR 인 증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켰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또한 EMR 시스템 기능성 부분에서도 Park[20]의 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종사자들의 인식도가 전반 적으로 향상되었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EMR 시스템이 보완되어야 할 부분에서 속도 개선 에 대한 문제점이 많이 야기되었다. EMR 인증제 도와 관련하여 국가적 차원에서의 인센티브 지원 제도와 같은 재정적인 지원을 증가시켜 네트워크 최적화 및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그리고 사용자 교 육 등을 확대하여 EMR 시스템에 대한 문제점들을 감소시킬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론

    본 연구는 2020년 6월부터 시작된 EMR 인증제 도에 대한 공공의료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인 증 전·후의 업무 변화에 대한 인식도 조사로써 EMR 인증제도 인식, 인증 후 내부 요인, 시스템의 기능성, 상호운용성, 보안성 그리고 일반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여, 중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이 나 타났다.

    첫째, EMR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은 타 직군에 비해 보건의료정보관리사가 높은데 이유로는 보건 의료정보관리사들은 의료정보 및 기록 관리 분야 에서 특별한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EMR 시스템과 보건의료정보관리에 대한 깊은 지식을 보유하고 있어서 EMR 인증제도의 필요성과 이점 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많은 보건의료정 보관리사들은 EMR 시스템을 사용하고 관리하는 업무 경험이 풍부하다. 이로써 EMR 시스템의 기 능과 활용에 대한 실무 경험이 있는 경우 인식이 높아질 수 있다.

    둘째, EMR 시스템 기능성에 대한 부분에서는 의사직종에서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유로는 EMR 시스템은 의사들이 처방전을 쉽게 작성하고 환자 기록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등의 자동화 기능을 제공한다. 이로써 의사는 업무에 더 집중하 고 오류를 줄일 수 있으며, 대규모 의료데이터 수 집 및 분석에 유용하다. 이를 통해 의학 연구, 예 방 의학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의학 지식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여러 의료전문 가가 환자 정보에 접근하여 연속적인 치료 및 진 단을 수행하고 의무기록을 공유함으로써 환자 관 리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한적인 점으로는, 2022년 7월에 시작된 연구 당시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지역 공공의료 기관 간에 균일한 연구대상자 수집을 어렵게 하는 과제가 발생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설문은 최 대한 비대면(온라인)으로 전환함으로써 COVID-19 로 인한 어려움을 부분적으로 해결하였다. 또한, 의료종사자 중 의사 직군의 설문 참여율이 낮았기 에, 후속 연구를 위해서는 의사 직군에서의 활발한 홍보와 관심을 끌어내는 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EMR 인증 후 EMR 시스템 기능성에 대한 인식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고, 그 항목에 해 당하는 환자정보관리, 처방정보관리, 임상정보관리 및 정보제공 및 연계의 인식을 분석하며 시스템 기능성을 확인하여 직종마다 기능성에 대한 차이 를 인식하였다. 이는 직군에 따라 시스템 활용도가 다르며 특히 시스템 기능을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의사 직종에서 높은 인식을, 간접적으로 사용하는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직군에서는 낮은 인식이 나타 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공공의료기관의 EMR 인 증과 시스템 기능성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 적인 EMR 인증의 시스템 기능성 및 제도의 개선 과 발전을 위해 관련 정부 기관의 재정적 지원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추후 EMR 인증제로 인해 환자 및 지역사회 그리고 우리나라의 국민건강 더 나아가 전 세계 인구의 개인건강기록(PHR)을 관리 할 수 있는 질 높은 제도로 거듭날 수 있도록 의 료기관 관계자, 보건의료정보시스템 관리자 모두의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Recognition of EMR certification system by occupation
    A=I know about the EMR certification system, B=I am aware that your hospital has received EMR certification, C=The quality of work has improved after EMR certification, D=Work efficiency has increased after EMR certification, E=I have come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the EMR certification system.
    Recognition of EMR certification system functionality by occupation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A=It has become more convenient to create, maintain, and access basic patient information, B=It has become more convenient to modify patient personal details, distinguish people with the same name, manage multiple registration numbers, and search for patients, C=The management of consent forms and advance directives has become more convenient, D=Registering and accessing documents and test results from external medical institutions has become more convenient.
    Recognition of EMR certification system functionality by occupation (Prescription Information Management)
    A=Management of the drug master and searching for drug names and information has become more convenient, B=Recording, modifying, and viewing medication prescriptions has become easier, as well as specifying attributes at the time of prescription, C=It's now easier to know a patient's previous medication prescriptions and to consult test results when prescribing medication, D=Prescription support has become more convenient due to prevention of incorrect drug name entry, blocking of inappropriate administration routes, and allergy checks and warnings, E=Searching for medication prescriptions and patients prescribed specific drugs has become more convenient, F=Recording, modifying, and viewing the execution of medication prescriptions has become more convenient.
    Recognition of EMR certification system functionality by occupation (Clinical Information Management)
    A=Medical record management (revision history, form management, signing) has become more convenient, B=Creating medical records (recording, editing, accessing) has become more convenient, C=Managing patient clinical information (diagnoses, drug allergies, drug intoxication) has become more convenient, D=Managing clinical measurements (vital signs, physical measurements) has become more convenient, E=Managing test results (trend analysis, imaging images, critical test result alerts) has become more convenient.
    Recognition of EMR certification system functionality by occupation (Information Provision and Integration)
    A=Linking with public information (registering vaccinations, entering legal infectious disease reports, creating and querying information on suspected infectious diseases) has become more convenient. B=Providing patient information (legal forms, medical records, educational materials,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notifications) has become more convenient.

    Reference

    1. H.J. Im, J.T. Shim, S.S. Lee (2009), The Study on Impact of Introduction Characteristics Factor of EMR System on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Vol.14(2);32-50.
    2. J.S. Kang, S.J. Kim, W.J. Kim (2015), The Autonomy, Nursing Performance based on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EMR System for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9);6061-6062.
    3. J.Y. Kim, Y.M. Chae (2002), Factors affecting the users'satisfaction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Vol.8(4);39-53.
    4. J.Y. Choi (2020), A Study on the Practice Model for Practical Education for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Journal of The Health Care and Life Science, Vol.8(2);83-94.
    5. Y.Y. Kim, S.S. Shin (2012), A Study on Reliabl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s,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Vol.10(2);193-200.
    6. S.M. Kim (2017), A Study on the Change in Waiting Time for Outpatient Treatment before and after EMR Introduction through Queue Analysis,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pp.1-50.
    7. C.H. Choi (2014), Improvement Plan of the Korean Electronic Medical Record,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ol.18(3);11-21.
    8. I.T. Lee (2014), The Effect of Mobile EMR`s Technological Characters on System Qualities and User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ol.19(3);43-52.
    9. H.J. Kim (2018), Relative Efficiency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f Public Medical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Medical Delivery System, Journal of Public Society, Vol.8(4);33-58.
    10. D.Y. Cho (2012), The Study on the Difference of Management Performance in Public Health Care Institu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2);133-140.
    11. M.J. Lee, S.Y. Park, Y.J. Shin (2021) A Systematic Review on Research Trends and Improvement Plan for Public Hospitals in Korea, Journal of Critical Social Welfare, Vol.(71);.253-290.
    12. G.B. You (2011), Effect of EMR and CDSS on Healthcare Assessment,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pp.1-85.
    13. S.Y. Shin (2018), Introduction of a certification system for upgrad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EMR),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Vol.12(3);17-23.
    14. 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197411
    15. I.H. Lee, J.H. Jin (2022), Proposal of Law Amendment for Secur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EMR, The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ociety, vol.47(11);1908-1917.
    16. C.J. Young (2021) A Study on the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Practice Program Model for EMR Certification System Education -Focus on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Journal of the Health Care and Life Science, vol.9(1);1-9.
    17. J.H. Baek, H.C. Kang, S.J. Oh, S.H. Kang (2022), A Comparative Study of Five Countries on Expanding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Certification System - Focusing on Supports for Small Hospitals,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pp.1-126.
    18. C.H. Choi (2014) Improvement Plan of the Korean Electronic Medical Record,Th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ventive, Vol.18(3);11-21.
    19. J.W. Oh, J.S. Han, Y.S. Moon (2012) Study on the Awareness, Satisfaction and Job Stress of Nurses using EMR System,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10(8);257-264.
    20. C.Y. Park (2022) EMR certification by occupational type of EMR-certified Medical institutions and Awareness of System Functionality, Journal of The Health care and life Science, vol.10(1);39-47.
    November 2, 2023
    December 20, 2023
    December 21, 2023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