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8 No.2 pp.27-39
https://doi.org/10.12811/kshsm.2024.18.2.027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환자의 간호서비스 요구도, 만족도 및 재이용의사 비교

권정옥1, 강정미2
1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과
2BHS한서병원

Comparison of Nursing Service Need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Patients in Integrated Nursing Care and General Care Wards

Jeong-Ok Kwon1, Jung Mi Kang2
1Department of Nursing,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
2BHS Hanseo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the nursing service need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patients in integrated nursing care and general care wards.


Methods: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ly 20 and September 30, 2023. The participants were 199 patients in integrated nursing care and general care wards of two general hospital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atients in integrated nursing care wards had higher nursing service needs and satisfaction scores than those in general care wards. For patients in integrated nursing care ward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ursing service needs and satisfaction (r=.28, p<.001), and between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r=.44, p<.001), whereas for those in general care ward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r=.65, p<.001).


Conclusions:

To increase revisit intention, it is necessary to enhance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and improve the quality management of service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2013년 13개 기관으로 시작하여 2023년 12월 말 기준 696개의 의료기관 으로 확대되었다[1]. 이러한 과정에서 간호·간병통 합서비스 사업의 목적이었던 가족의 간병부담감 감소, 낙상 및 욕창 발생률과 병원 감염률 감소 등 의 환자안전지표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결과가 보 고되고 있다[2].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환자 가족 이나 간병사가 제공하였던 비전문적인 간호행위와 돌봄의 일정 부분이 간호업무로 포함되면서 간호 사들의 직접간호 시간이 증가하여 환자들에게 질 적인 간호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3][4].

    환자측면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이용 시 장점은 외부인의 출입이 통제되어 감염에 대한 위 험성 감소[2], 간호사와 간호 보조인력 등의 전문 인력이 24시간 간호서비스 제공[2][4], 개인 간병보 다 훨씬 저렴한 비용[2], 보호자가 없는 병실 환경 이 깨끗하고 조용하게 개선되어 간호·간병통합서 비스 병동을 이용한 환자의 만족도가 높고[4][5][6], 전문적인 입원간호서비스 운영시스템 구축과 의료 서비스 질 향상의 결과로 재이용의사가 90.8%로 높게 나타났다[6].

    반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이용 시 단점으 로는 집중 관찰과 치료가 필요한 고위험 환자의 입원 제한[5], 간호사와 보조인력이 24시간 간호서 비스를 전담하고 있으나 보호자 상주 불가로 인해 환자는 불안을 호소하거나, 소소한 수발을 받기 어 렵고, 직원을 매번 부르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 고, 간호인력과 업무환경이 충분하게 갖춰지지 못 한 상황에서 욕창, 낙상, 미끄러짐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우려하는 부정적 측면도 보고되고 있다[4]. 또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이 용의향에 대한 조사결과, 간호서비스가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 88%가 일반병동으로 이동하겠다 는 응답을 하여 본인부담금에 상응하는 질적 간호 서비스 제공이 중요 관건임을 알 수 있다[7].

    간호서비스 요구도는 건강상의 문제와 관련하여 도움이 필요한 정도로 환자와 간호사가 실제로 제 공받거나 제공할 서비스와 무관하게 환자 스스로 가 인식하는 간호서비스에 대한 요구 정도를 말한 다[8]. 간호사가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 해 노력을 기울여도 결국 환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면 간호사의 노력은 헛된 것이 되기 때문에 [9], 환자의 필요와 요구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환자가 요구하는 간호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 다[10]. 간호서비스 요구도에 관한 선행연구는 다 양한 영역에서 꾸준히 이루어졌다. 간호·간병통합 서비스와 관련된 선행연구 중 정형외과 환자를 대 상으로 한 연구와[11], 혈액종양내과 환자를 대상 으로 한 연구에서[12] 하위영역 중 치료적 영역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환자의 질병 특성이나 질병의 중증도, 생활 환경, 진료과, 입원 기관 등에 따라 간호서비스 요 구도가 차이가 있으므로 종합병원의 간호·간병통 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간 호서비스 요구도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간호서비스 만족도는 제공된 간호서비스에 대해 환자 스스로가 평가하는 기준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으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의 성과지표로 활용되어 간호서비스 만족도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5]13]. 환자들의 입장에서 간호서비스 요구도를 파 악하고, 그들의 시각에서 원하는 양질의 간호서비 스를 제공함으로써 간호서비스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간호서비스 만족도 증진은 간호서비스 제공 의 궁극적 목적의 하나이며 환자 및 보호자의 간 병부담을 덜어주고 질 높은 간호 제공을 위해 도 입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취지이기도 하다[6]. ‘포괄간호서비스’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개선책과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명 칭을 변경하고, 2024년 7월부터 중증환자 집중관 리, 재활 환자 관리 강화, 간병기능 강화 및 간호 사 배치 확대와 처우개선 강화 등의 개선책을 마 련하고 있다[14]. 선행연구에서는 간호·간병통합서 비스 병동과 일반병동 환자의 간호서비스 요구도 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15], 간호서비스 만족도 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환자에서 높게 나타 난 것으로 보고 되었다[16][17]. 간호서비스 만족도 관련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나[3][5][8][9]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제도가 도입된 후 10년이 넘은 시점에 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기관과 이용하는 환자 역시 큰 폭으로 증가하여 간호사와 간호인력만으로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과 보호자나 간병 인력이 서비스 를 제공하는 일반병동과의 간호서비스 요구도와 만족도를 비교하여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재이용의사는 환자들이 이용한 병원의 서비스에 대해 다시 이용하거나 재이용 가능성이 높은 정도 를 말하며, 환자 중심의 간호필요도 충족은 간호서 비스 만족도와 병원몰입을 향상시켜 병원 재이용 의사에 영향을 미친다[5]. 재이용의사는 병원의 생 존과 관련된 것으로 병원의 이미지 개선은 물론 경제적 수익의 창출로 이어져 병원경영에서 중요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3]. 이에 의료기관에서는 환자들의 재이용의사를 높이기 위해 간호서비스 요구도 파악과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이 선행되어 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인구의 증가와 지방소멸의 위기를 겪고 있는 시기에 지방의 종합병원에서 간 호·간병통합서비스와 일반병동 간호서비스를 이용 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전체 의료기관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는 현재 간 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에 입원한 환자 들의 간호서비스 요구도, 만족도, 재이용의사 정도 와 그 차이를 파악하여 비교 조사하고자 한다. 이 를 통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 을 이용하는 환자들의 간호서비스 요구도, 만족도, 재이용의사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고, 환자들의 특성에 맞는 간호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간호서비 스 만족도와 재이용의사를 높여 병원의 경쟁력 강 화와 전반적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 시행 정 착화 및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서비스에 대한 요 구도와 만족도, 재이용의사 정도를 상호 비교하여 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 음과 같다.

    • 1)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환자의 일반적 특성 및 서비스 이용 관련 특성을 파악한다.

    • 2)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환자의 간호서비스 요구도와 간호서비스 만족도, 재이용의 사를 파악한다.

    • 3)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요구도와 간호서 비스 만족도, 재이용의사 차이를 파악한다.

    • 4)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환자의 간호서비스 요구도와 간호서비스 만족도, 재이용의 사의 관계를 파악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입원환자가 인식한 간호서비스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 재이용의사의 정도를 파악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2개의 종합 병원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 기준에 맞추어 운영하 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개 종합병원 모두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고 간호·간병통합 서비스 병동의 간호사 대 환자 비율은 1:10⁓12명 이었고, 일반병동의 간호등급은 모두 1등급으로 데 이 근무에는 1인당 평균 12.6명, 나이트 근무에는 1인당 평균 13.6명으로 운영되는 곳이었다. 구체적 인 대상자 선정기준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에 입원한 20세 이상의 성인으로, 입원기 간이 3일 이상으로 설문지의 내용을 이해하고 응 답할 수 있는 환자이다.

    연구대상자의 표본 수 산출은 G-power 3.1.9.7 program의 t-test를 이용하였으며, Kang 등[15] 선 행연구의 검정력과 효과의 크기를 고려하여 유의 수준(α) .05, 중간효과크기 .50, 검정력(1-β) .95로 설정했을 때 최소 표본 크기는 각각 88명으로 총 176명이었다. 탈락률을 고려하여 간호·간병통합서 비스병동 환자 105명, 일반병동 환자 105명, 총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간호·간병통 합서비스병동 102부, 일반병동 103부가 수집되었 다. 이 중 설문응답이 불충분한 간호·간병통합서비 스병동 4부와 일반병동 2부를 제외하여 199부를 최종 분석하여 표본 수는 충족하였다.

    3. 연구도구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서비스 이용 관련 특성 5문항, 간호서비스 요구도 34문항, 간호서비스 만족도 35문항, 재이용의사 4 문항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서비스 이용 관련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결혼상태 등 3문항이었고, 서비스 이용 관련 특성은 간호사 배치수준과 병원만족도 등 2문항이었다. 환자가 인 식한 간호사 배치수준은 4점 척도로 ‘매우 충분’ 4 점, ‘충분’ 3점, ‘불충분’ 2점, ‘매우 불충분’ 1점으 로 점수가 높을수록 환자가 인식한 간호사대 환자 비율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환자가 인식한 병원만 족도 1문항은 3점 척도로 ‘불만족’ 1점, ‘보통’ 2점, ‘만족’ 3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병원만족도가 높 은 것을 의미하며 서비스 이용 관련 특성은 서비 스 제공의 질과 관련된 요소이다.

    2) 간호서비스 요구도

    간호서비스 요구도 측정은 La-Monica et al. [18]이 개발하고, Oh & Lee[13]가 수정·보완한 도 구로 신체요구도 9개 문항, 사회정서요구도 11개 문항, 교육요구도 8개 문항, 치료요구도 6개 문항 총 3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전혀 원 하지 않는다’ 1점에서 ‘매우 원한다’ 5점의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서비스 요구도가 높 은 것을 의미한다. Oh & Lee[13]의 연구에서 도구 의 신뢰도 Chronbach’s α=.91이었고, 본 연구에서 Chronbach’s α=.96이었다.

    3) 간호서비스 만족도

    간호서비스 만족도 측정은 La-Monica et al.[18] 이 개발하고, Oh & Lee[13]가 수정·보완한 도구로 신뢰성 영역 16개 문항, 전문기술 영역 9개 문항, 교육 영역 10개 문항 총 3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 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간 호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Oh & Lee[13]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 Chronbach’s α =.98이었고, 본 연구에서 Chronbach’s α=.98이었다.

    4) 재이용의사

    재이용의사 측정은 Kim[19]이 개발한 고객충성 도 도구로 측정 항목은 4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이다. 점수가 높을 수록 병원 재이용의사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Kim[19]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 Chronbach’s α =.88이었고, 본 연구에서 Chronbach’s α=.95이었다.

    4.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 간호부서장,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수간호사에게 연 구의 목적과 방법을 논의하여 자료수집 방법을 결 정 후 2023년 7월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진행하 였다.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이 연구의 목적과 방법 을 설명하고, 입원 기간이 3일 이상인 환자를 직접 방문하여 설명 후 동의한 환자에게 설문지를 배포 하였고, 작성 후 수거하였다. 설문지 작성 시간은 10분 정도 소요되었다.

    5. 자료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 백분율, 평균 과 표준편차로 산출하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과 일반병동 환자의 차이비교는 χ2-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 2)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환자의 간호서비스 요구도, 만족도 및 재이용의사는 평균 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t-test로 분석하였다.

    • 3)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서비스 이용 관련 특성에 따른 간 호서비스 요구도, 간호서비스 만족도, 재이용의사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고,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로 분석하였다.

    • 4) 간호서비스 요구도, 간호서비스 만족도, 재이 용의사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6.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C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 승인 (1044386-A-2023-001) 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 전 연구 대상자에게 연구의 내용과 목적, 익명성과 비 밀보장, 연구 참여로 인한 불이익이 없음에 대해 설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오직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된다는 것과 참여를 원하지 않을 경우 언제든 지 중단할 수 있음을 충분히 설명한 후 동의서에 서명을 받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설문지나 연구에 대해 의문이 있을 때는 언제든지 연구자에 게 문의하도록 하였고, 수집된 설문지는 개별화된 번호를 부여하여 잠금장치가 있는 수납장에 따로 보관함을 설명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서비스 이용 관련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간 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환자와 일반병동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서비스 이용 관련 특성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성별(χ²=0.05, p=.830), 연령(χ²=10.36, p=.322), 결혼상태(χ²=8.89, p=.447), 간호사 배치수 준(χ²=13.09, p=.158), 병원만족도(χ²=31.33, p=.970) 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입원한 환자는 남성이 52명으로 여성보다 많았고 일반병동은 여 성이 60명으로 남성 41명보다 많았다. 간호·간병통 합서비스병동에 입원한 환자의 연령은 40-60세가 39명으로 가장 많았고, 60-70세 34명, 70세 이상 21 명, 20-40세 4명이었고 일반병동에 입원한 환자는 71세 이상이 34명로 가장 많았고, 40-60세 32명, 60-70세 22명, 20-40세 13명이었다. 결혼상태는 간 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입원한 환자가 90명, 일 반병동에 입원한 환자는 81명이었고, 간호·간병통 합서비스병동에 입원한 환자가 인식한 간호사 배 치수준은 ‘충분’ 56명, ‘부족’ 19명, ‘매우 충분’ 18 명 ‘매우 부족’ 5명이었고, 일반병동은 ‘충분’ 51명, ‘부족’ 25명, ‘매우 충분’ 16명, ‘매우 부족’ 9명이었 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입원한 환자가 인 식한 병원만족도는 ‘만족’ 68명, ‘보통’ 22명, ‘불만 족’ 8명이었고, 일반병동은 ‘만족’ 29명, ‘보통’ 28 명, ‘불만족’ 4명로 나타났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service use (N=199)

    Characteristics Categories INC*(n=98) GC*(n=101) x2 p
    n (%) n (%)
    Gender Male 52 53.0 41 40.6 .05 .830
    Female 46 47.0 60 59.4
    Age(years) 20-40 4 4..1 13 12.9 10.36 .322
    41-60 39 39.8 32 31.7
    61-70 34 34.7 22 21.8
    ≥71 21 21.4 34 33.7
    Marital status Unmarried 8 8.2 20 19.8 8.89 .447
    Married 90 91.8 81 80.2
    Nurse-to-patient ratio More than enough 18 18.4 16 15.8 13.09 .158
    Enough 56 57.1 51 50.5
    Inadequate 19 19.4 25 24.8
    Very inadequate 5 5.1 9 8.9
    Hospital satisfaction Dissatisfied 8 8.2 4 4.0 31.33 .970
    Moderately satisfied 22 22.4 28 27.7
    Satisfied 68 69.4 69 68.3

    INC=Integrated nursing care wards; GC=General care wards.

    2.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환자의 간호서비스 요구도와 만족도, 재이용의사 차 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환자의 간호서비스 요 구도 평균은 3.98±0.54점(5점 만점)으로 일반병동 환자의 3.79±0.58점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2.04, p=.047). 간호서비스 요구도 하위영역에서는 간병 통합서비스병동 환자가 신체적 영역(t=2.31, p=0.25)에서 일반병동 환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 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환자가 ‘치료적’ 4.20±0.58점, ‘교육적’ 4.01±0.57점, ‘사회·정서적’ 3.96±0.59점, ‘육체적’ 3.84±0.62점으로 일반병동 환 자의 ‘치료적’ 4.05±0.63점, ‘교육적’ 3.87±0.66점, ‘사회·정서적’ 3.84±0.67점, ‘신체적’ 3.62±0.61점 보 다 높았다.

    간호서비스 만족도는 간호·간병동합서비스병동 환자가 4.28±0.59점(5점 만점)으로 일반병동 환자 4.30±0.70점 보다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t=0.70, p=.488)는 없었다. 간호서비스 만족도 하 위영역에서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환자가 ‘신 뢰성’ 4.23±0.61점, ‘교육’ 4.22±0.66점, ‘특별한 기 술’ 4.94±0.70점이었고, 일반병동 환자는 ‘신뢰성’ 4.30±0.69점, ‘교육’ 4.21±0.77점, ‘특별한 기술’ 4.33±0.73점이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환자 가 ‘특별한 기술’(t=5.73, p<.001)에서 일반병동 환 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재이용의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환자가 3.99±1.01(5점 만점)점으로 일반병동 환자의 3.91±0.82점 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t=3.22. p=.002) <Table 2>.

    <Table 2>

    Nursing Service Need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Patients in Integrated Nursing Care Wards and General Care Wards (N=199)

    Variables Range INC(n=98) GC(n=101) t (p)
    Mean±SD Mean±SD
    Nursing Service Needs 1-5 3.98±0.54 3.79±0.58 2.04 .047
     Therapeutic 1-5 4.20±0.58 4.05±0.63 1.22 .229
     Educational 1-5 4.01±0.57 3.87±0.66 .73 .471
     Socio-emotional 1-5 3.96±0.59 3.84±0.67 1.24 .220
     Physical 1-5 3.84±0.62 3.62±0.61 2.31 .025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1-5 4.28±0.59 4.30±0.70 .70 .488
     Reliability 1-5 4.23±0.61 4.30±0.69 .26 .793
     Education 1-5 4.22±0.66 4.21±0.77 .87 .391
     Specialized skills 1-5 4.94±0.70 4.33±0.73 5.73 <.001
    Revisit Intention 1-5 3.99±1.01 3.91±0.82 3.22 .002

    3.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서비스 이용 관련 특성에 따 른 간호서비스 요구도와 만족도, 재이용의사 차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서비스 이용 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만족도 는 간호사 배치수준(F=4.31, p=0.16)과, 병원만족도 (F=11.71,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 검정 결과 간호사 배치수준이 ‘매우 충분’군이 ‘부 족’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병원만족도는 ‘불만 족’군과 ‘보통’군 보다 ‘만족’군의 간호서비스 만족 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재이용의사는 연령(F=2.63, p=0.042), 병원만족도(F=9.06, 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연령은 ‘71세 이상’ 군이 ‘20-40세’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재이용의사 는 병원만족도가 ‘불만족’군보다 ‘보통’군과 ‘만족’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간호서비스 요구 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반병동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서비스 이용 관 련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요구도는 결혼상태 (t=2.29, p=.00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 호서비스 만족도는 간호사 배치수준(F=4.45, p=0.008)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 과 간호사 배치수준이 ‘매우 충분’군이 ‘매우 부족’ 군에 비해 간호서비스 만족도가 높았다. 재이용의 사는 병원만족도(F=7.24, p=0.002)에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병원만족도가 ‘불만족’군 보다 ‘만족’군이 유의하게 재이용의사가 높았다 <Table 3>.

    <Table 3>

    Nursing Service Need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Patients in Integrated Nursing Care Wards and General Care Wards (N=199)

    Characteristics Categories INC(n=99) GC(n=101)


    Nursing Service Needs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Nursing Service Needs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M±SD t or F (p) M±SD t or F (p) M±SD t or F (p) M±SD t or F (p) M±SD t or F (p) M±SD t or F (p)


    Gender Male 4.01±0.44 .28 4.24±0.64 1.58 4.04±1.13 1.46 3.60±0.53 1.85 4.24±0.62 .48 4.05±0.44 1.12
    Female 3.98±0.60 (.785) 4.51±0.59 (.123) 4.45±0.77 (.156) 3.91±0.58 (.071) 4.33±0.75 (.636) 3.82±0.98 (.268)
    Age(years) 20~40a 3.69±0.44 .53 3.85±0.75 1.15 3.05±0.94 2.63 3.38±0.86 1.92 4.39±0.57 .74 4.08±0.64 .26
    41~60b 3.99±0.53 (.662) 4.35±0.56 (.333) 4.05±0.94 (.042) 4.01±0.44 (.139) 4.33±0.54 (.533) 3.92±0.85 (.853)
    61~70c 4.02±0.48 4.30±0.57 3.89±1.07 a<d 3.79±0.41 4.05±0.71 3.72±0.82
    ≥71d 3.96±0.68 4.23±0.62 4.37±0.75 3.80±0.60 4.43±0.85 3.95±0.90
    Marital status Unmarried 3.89±0.68 .44 4.24±0.78 .17 3.55±1.36 1.02 3.40±0.68 2.29 4.23±0.54 .43 3.87±0.60 .20
    Married 3.99±0.53 (.670) 4.28±0.58 (.873) 4.03±0.96 (.334) 3.90±0.50 (.009) 4.31±0.73 (.671) 3.92±0.86 (.847)
    Nurse to patient ratio More than enougha 4.23±0.61 2.70 4.59±0.54 4.31 4.12±1.12 .34 3.75±0.90 .05 4.77±0.78 4.45 4.0±1.21 .79
    Enoughb 3.94 0.47 (.072) 4.25 0.57 (.016) 3.99 0.85 (.713) 3.80 0.42 (.983) 4.71 0.41 (.008) 3.97 0.68 (.505)
    Inadequatec 3.88±0.59 4.09±0.59 c<a 3.87±1.19 3.75±0.67 4.31±0.50 a>d 3.64±0.89
    Very inadequated 3.98±0.54 4.28±0.59 3.99±1.00 3.87±0.68 3.88±0.97 4.25±0.35
    Hospital satisfaction Dissatisfieda 3.90±0.59 .27 3.86±0.59 11.71 3.19±1.14 9.06 4.0±0.64 .538 3.82±1.46 2.15 3.00±1.22 7.24
    Moderately satisfiedb 3.99±0.51 (.765) 4.18±0.55 (<.001) 4.02±0.86 (<.001) 3.72±0.55 (.587) 4.27±0.59 (.127) 3.84±0.48 (.002)
    Satisfiedc 4.00±0.53 4.57±0.50 a,b<c 4.32±.092 a<b,c 3.83±0.61 4.46±0.44 4.27±0.80 a<c

    4.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환자의 간호서비스 요구도와 만족도, 재이용의사 상 관관계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환자의 간호서비스 요 구도와 만족도(r=.28, p<.001), 간호서비스 만족도와 재이용의사(r=.44, p<.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가 있었고, 간호서비스 요구도와 재이용의사(r=.12, p=.225)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병동 환자의 간호서비스 만족도와 재이용의 사(r=.65, p<.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 고, 간호서비스 요구도와 만족도(r=.05, p=.728), 간 호서비스 요구도와 재이용의사(r=.10, p=.492)는 상 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Table 4>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N=199)

    Variables INC(n=99) GC(n=101)
    Nursing Service Needs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Nursing Service Needs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r(p) r(p) r(p) r(p) r(p) r(p)
    Nursing Service Needs 1 1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28** (<.001) 1 .05 (.728) 1
    Revisit Intention .12 (.225) .44** (<.001) 1 .10 (.492) .65** (<.001) 1

    Ⅳ. 고찰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에 입원한 환자의 간호서비스 요구도와 만족도를 확인하고 재이용의사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환 자 중심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기능개선 및 간호 서비스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환자가 인지하는 간호서비스 요구도 평균은 간 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이 3.98±0.54점으로 일반병 동 환자의 3.79±0.58점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는 중소병원 간호·간병통 합서비스병동 입원환자의 간호요구도 3.98점과 유 사하였고[13], 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 동 입원환자 간호요구도가 4.10점으로 일반병동 입 원환자의 4.01점보다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 던 연구결과[15]와 유사하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는 간호에 간병이 통합된 형태로 간병서비스에 대 한 지속적인 사회적 문제와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 나[4] 환자가 인식하는 간호서비스에 대한 기대정 도가 다르기 때문이다[8]. 하부영역에서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환자의 간호서비스 요 구도는 치료적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교육적, 사 회·정서적, 신체적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Kang et al.[15]의 연구 결과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입원한 정형외과 환자의 간호서비스 요구도와 일 치한다[11].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환자들은 모두 치료적, 교육적 측면을 중요하게 생 각하며 불편한 곳을 확인하고 즉시 해결해 주는 질환 관련 간호 중재 및 검사의 목적과 방법, 결과 설명, 질병 관련 교육에 대한 요구[19]가 높다는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환자가 인지하는 간호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평 균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4.28±0.59점, 일반병 동은 4.30±0.70점으로 일반병동 환자의 간호서비스 만족도가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는 Kang et al.[15]의 연구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 동 4.37점, 일반병동 4.07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환자가 인식한 간호서비스 만족도 점수가 높 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결과와는 반대되는 결과 이다. 2024년 1월부터 의료기관 전체 병상 단위로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으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은 집중 관찰을 요하는 고위험 환자의 입원이 제한되고 경증 또는 중등도 위주로 운영되며[3], 간호사가 환자 회복에 필요한 간호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일부 환자들은 감사의 마음이 줄어들고 개인위생을 돕는 행위가 환자로 부터 무시당하거나 부당한 대우를 받는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4]. 또한 간호사, 간호보조인력 이 전문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가족 이나 간병인이 환자 곁에 상주하며 일대일로 제공 하던 소소한 수발을 받기 어렵고[4][5], 개별화된 양질의 간호 서비스 요구도에 즉각적인 서비스 제 공이 어려운 실정을 반영한 것으로 간호서비스 만 족도에 장애가 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부영역 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환자의 간호서비스 만족도는 전문기술, 신뢰성, 교육 순으 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이나 일반병동에서 모두 전문기술 영역의 만족도가 가 장 높은 것은 일치하나 교육, 신뢰성 영역 순으로 간호서비스 만족도가 나타난 결과와는 차이가 있 었다[15][16]. 간호서비스 만족도는 선행요인이 다 양하고[19] 개인의 주관적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으므로[13] 이에 대한 좀 더 합리적이고 반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재이용의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3.99±1.01 점, 일반병동 3.91±0.82점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환자의 재이용의사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200병상 이상의 정형외과 외래 진료를 통해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3][17][20]를 지지하며 간병 이 필요한 환자의 경우 고액의 사설 간병인 고용 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과 간병의 문제가 해결되어 병원 재이용의사가 높아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11][17].

    본 연구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서비스 이용 관련 특성에 따른 간 호서비스 요구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 었고, 간호서비스 만족도는 서비스 이용 관련 특성 중 간호사 배치수준과 병원만족도가 유의하게 높 았고, 재이용의사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 서비스 이용 관련 특성 중 병원만족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Oh & Lee[13]의 연구결과 간호․간 병통합서비스병동 입원환자의 간호서비스 요구도 가 일반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간 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서비스 이용 관련 특성 에 따른 간호서비스 만족도는 간호사 배치수준 (F=4.31, p=0.016)과 병원만족도(F=11.71, p=<0.001) 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 스병동의 간호인력배치 기준은 의료기관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는데 본 연구에서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병동의 간호사 대 환자의 배치 수준은 1:10⁓12명, 간호조무사는 간호사 배치수준에 따라 결정되며 1:40명으로 기준을 맞추고[21] 보조업무 를 수행하기 위한 요양보호사 인력은 5명으로 운 영되는 곳이다. 적정간호인력이 배치된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병동은 보호자 상주 없이 전문교육을 받은 간호인력이 간호서비스를 제공하여 간호생산 성과[21], 치료 결과를 높인다[22]. 사후검정 결과 간호사 배치수준은 ‘매우 충분’군이 ‘부족’군 보다 간호서비스 만족도가 높았는데 간호·간병통합서비 스병동은 증가된 간호인력 배치로 환자와의 접촉 시간과 상호작용이 늘고, 직접 간호시간이 증가하 여 환자의 간호서비스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4][21]. 또한 병원만족도가 ‘불만족’군 이나 ‘보통’군 보다 ‘만족’군에서 간호서비스 만족 도가 높았는데 이는 시설 및 환경뿐 아니라 환자 중심의 간호서비스 제공이 반영된 것이라 생각되 며, 환자만족도가 높은 경우 병원재이용의사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17][23]와 유사하 다.

    일반병동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 스 요구도는 결혼상태에 따라 기혼(3.90±0.50)이 미 혼(3.40±0.68) 보다 간호서비스 요구도가 유의하게 높았고(t=2.29, p=0.009), 서비스 이용 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만족도는 간호사 배치수준 (F=4.45, p=0.008)이 ‘매우 충분’군이 ‘매우 부족’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재이용의사는 병원만족도 (F=7.24, p=0.002)에서 ‘불만족’군 보다 ‘만족’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일반병동 환자 중 기혼자의 간호 서비스 요구도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환자보 다 높았는데 Kang et al.[15]과 Oh & Lee[13]연구 결과 결혼상태는 간호서비스 요구도에 유의한 차 이가 없어 추후 반복 연구를 통해 확인해 볼 필요 가 있다. 일반병동 환자의 서비스 이용 관련 특성 에 따른 간호서비스 만족도는 간호사 배치수준이 충분할수록 간호사로부터 제공받는 직간접 간호 횟수가 많고, 환자간호에 관심을 갖게 됨으로 인해 [4][16] 나타난 긍정적인 효과라 사료된다. 종합병 원 1등급의 경우 간호사 1인당 환자 수는 약 1:12 로 간호관리료 차등제 도입이후 지속적으로 상승 되어 왔으나 선진국 수준으로 상향 조정이 필요하 며[24], 인력배치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간호서비 스를 제공하기 위한 환경의 구조적 개선이 병행되 어야 한다[21].

    본 연구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이용의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연령(F=2.63, p=0.042)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일반병동은 차이가 없었다. 이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재이용의 사가 일반병동보다 높은 연구 결과[3]와 유사하며, 연령이 높을수록 병원을 자주 이용한다는 것은 각 종 통계에서 입증된 자료이다[25]. 일반병동 환자 의 서비스이용관련 특성에 따른 재이용의사는 병 원만족도(F=7.24, p=0.002)로 ‘만족’이 ‘불만족’ 보 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간호서비스에 대 한 만족도가 높은 경우 재이용의사도 높았던 연구 결과를 지지하며[5], 병원만족도가 높은 환자가 병 원을 다시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므 로 간호서비스 만족도를 높여 병원만족도를 향상 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 동 환자의 간호서비스 요구도, 만족도, 재이용의사 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은 간호서비스 요구도와 만족도(r=.28, p<.001), 간호서비스 만족도와 재이용의사(r=.44, p<.001)는 양의 상관관계를 일반병동은 간호서비스 만족도와 재이용의사(r=.65, p<.001)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있 었다. 이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환자의 간호 요구도와 간호서비스 만족도는 정적상관[13][15]이 있어 본 연구와 일치하였고, 간호서비스 만족도와 병원 재이용의사 간 상관관계 비교연구에서 일반 병동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보다 더 강한 상 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5]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입원 하는 환자들은 일반병동에 비해 추가로 지급되는 병원비 부담이 증가하여 간호서비스 만족도가 높 더라도 재이용의사에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을 보 였다고 사료된다. 노화와 더불어 의료비 지출이 많 은 환자들은 경제적인 영역에 대한 관심이 높기 때문에 경제적 영역과 관련된 간호활동에 대한 인 식과 추가 비용에 합당한 서비스 제공으로[20] 환 자들이 이용한 병원의 서비스를 재이용할 수 있도 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환자의 간호서비스 요구도를 잘 파악 하고 반영한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지 속적인 모니터링과 평가로 간호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간호사 개인은 물론 병원 차원에 서의 다양한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동 안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정부의 제도 확대에 힘 입어 양적 확대에 집중되어 왔다면 이제 통합적이 고 안전한 간호를 제공하여 환자경험을 향상시키 는 노력이 필요하다[23]. 중증환자가 서비스에서 배제되고 미흡했던 간병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정 부 차원에서의 중증 환자의 우선 이용, 간호인력 근무여건 개선, 참여 병원·병동 확대 등의 다양한 방안 마련을[14] 지지하며 서비스의 질과 환자 만 족도 향상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Ⅴ. 결론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가 전체 의 료기관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간 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환자의 간호서 비스 요구도, 만족도 및 재이용의사의 정도를 비교 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간호서비스 요구도와 만족 도, 간호서비스 만족도와 재이용의사는 유의한 상 관관계가 있었고, 일반병동의 간호서비스 만족도와 재이용의사(r=.65, p<.001)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 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 동과 일반병동을 이용하는 환자의 간호서비스 요 구도를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하여 만족도를 높이 는 것은 재이용의사로 이어질 수 있어 재이용의사 를 높이고, 간호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과 관심이 필요하며 본 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두 개 종합병원의 간호·간병통 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에 입원 중인 환자를 편 의 추출하였으므로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어 추후 표본수를 확대하여 반복 연구할 것을 제언한 다. 둘째, 본 연구에서 재이용의사는 고객충성도 도구를 사용하였는데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에서 요구되는 상황을 반영한 도구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또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개선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중증 환자의 우선 적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이용, 간호인력의 근무여 건 개선, 사적 간병비 부담 감소 등 대한 다양한 연구를 제언한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service use (N=199)
    INC=Integrated nursing care wards; GC=General care wards.
    Nursing Service Need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Patients in Integrated Nursing Care Wards and General Care Wards (N=199)
    Nursing Service Need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Patients in Integrated Nursing Care Wards and General Care Wards (N=199)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N=199)

    Reference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24) Operational Status of Integrated Nursing and Care Services as of End of December 2023, pp.1-7.
    2. J.H. Kim, H.J. Kwon, Y.M. Jung, E.H. Lee, N.G. Yeo, H.Y. Choi(2021), Effects of Integrated Nursing Care and Service Scheme on Nurse Employment: An Input-Output Model Approach,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1(3);210-225.
    3. J.S. Lee, J.W. Lee(2020), A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Hospital Revisit Intention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 and General Care Uni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21(4);73-81.
    4. K.O. Park, M. Yu, J.K. Kim(2017), Experience of Nurses Participating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3(1);76-89.
    5. Y.A. Jung, K.M. Sung(2018), A Comparison of Patients’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Hospital Commitment and Revisit Intention between General Care Unit and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4(1);30-39.
    6. J.H. Jang, Y.S. Park, I.S. Jin, G.S. Ahn, S.J. Yoon, J.S. Jo, M.R. Kim(2020), 2019 Integrated Nursing and Care Services Project Status Report. National Health Insurance Ilsan Hospital Research Institute, pp.1-130.
    7. N.M. Hwang(2015), Expanding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s for Ensuring Quality of Inpatient Care in Health Care Institution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Health and Welfare Issue & Focus, Vol.286;1-8.
    8. E.J. Yang(2002), The Comparison of Contentment and its Importance in Nurse Service which both Patients and Nurses can feel. Seoul: Kyung Hee University[Master's Thesis]. pp.1-60.
    9. K.S. Pak(2010), The difference of Awareness between patients and Nurses on the Nursing Service and the Intention of Reusing the Hospita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Master's Thesis], pp.1-54.
    10. P. Kotler(1997). Marketing management, New Jersey: Prentice-Hall inc.
    11. K.S. Jeong(2020), Nursing Care Requirement and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of the orthopedic patients admitted to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Korea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4(1);37-49.
    12. A.Y. Kim, M.Y. Kim, D.B. Oh, S.Y. Jung, M.J. Lee(2020), Factors affecting Nursing Satisfaction of Inpatient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ol.25(1);46-57.
    13. S.H. Oh, S.O. Lee(2020), A Survey on Nursing Care Requirement and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of Inpatients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and Beauty, vol.14(2);183-197.
    14. Ministry for Health Welfare (KR). 2nd Health Insurance Policy Review Committee to be held in 2024(1.25) Press Release, pp.1-10.
    15. Y.J. Kang, J.A. Min, C.S. Park, E.Y. Jun(2021), Comparison of Patient Needs, Patient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Type of Nurses betwee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General Ward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Vol.28(3);317-328.
    16. S.M. Jung, S.H. Yoon(2017), Comparative Analysis Research of In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o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Units & General Units and Nurses' Work Str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3(3);229-238.
    17. S.R. Shin, K.Y. Park(2015), Comparing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and Factors Relevant to Hospital Revisit Intent among Hospitalized Patient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and General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1(5);469-479.
    18. E.L. La Monica, M.T. Oberst, A.R. Madea, R.M. Wolf(1986), Development of a patient satisfaction scal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9(1); 43-50.
    19. Y.A. Kim(2007), Establishment of a Model for the Improvement in the Brand Image of Nursing Homes for the Old [Doctoral dissertation]. Seoul:Ewha Woman‘s University, pp.1-116.
    20. H.S. Choi(2023), Analysis of Nursing Needs and Nursing Performance of Patients and Nurses in Integrated Nursing and Nursing Service Ward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based on the SERVQUAL model, Youngsan University, pp.1-80.
    21. J.H. Kim, S.G. Kim, E.T. Park, S.Y. Jeong, E.H. Lee(2017), Policy Issues and New Direction for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3(3);312-322.
    22. L.H. Aiken, W. Sermeus, K. Van den Heede, D.M. Sloane, R. Busse, M. McKee, L. Bruyneel, A.M. Rafferty, P. Griffiths, M.T. Moreno-Casbas, C. Tishelman, A. Scott, T. Brzostek, J. Kinnunen, R. Schwendimann, M. Heinen, D. Zikos, I.S. Sjetne, H.L. Smith, A. Kutney-Lee(2012), Patien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hospital care cross sectional survey of nurses and patients in 12 countrie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BMJ, 20:344:e1717;1-14.
    23. H.C. Kim, B.S. Lee(2020), An Exploratory Study on the Needs and Satisfaction of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s of Geriatric Hospital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1, vol.11(5);2315-2326.
    24. S.H. Cho, J.Y. Seong, Y.S. Jung, J.S. You, W.H. Sim(2022), Recommendation for the Amendment of Inpatient Nursing Fee Schedules Based on Nurse Staffing Standards in General Wards of Tertiar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28(2);122-136.
    25.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2023), 2023 First Half Health Insurance Medical Expenses Statistics Index(Based on treatment date), pp.1-13.
    May 1, 2024
    June 11, 2024
    June 22, 2024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