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라오스는 2016년 수립한 국가 장기발전 전략인 Vision 2030(2016-2030)과 10개년 사회경제개발을 위한 국가시행전략(2016-2025)을 바탕으로 2020년 최빈 개발도상국 지위를 졸업하고 2030년까지 중 상위 소득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 또한, 제9차 국가사회경 제개발 5개년 계획(The 9th Five-year National Socio Economic Development Plan 2021-2025)을 통해 보건의료 분야의 목표를 ‘국가 전반에 걸쳐 의료 수준 및 역량 향상과 국민에게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방안으로 우수한 의료인력을 양성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2,3]. 라오스 보건부 는 2012년 제 9차 인민회의가 결의한 4대 개혁 중 ‘보건개혁’ 달성을 위해 라오스 보건개혁전략 (Health Sector Reform Framework to 2025)을 수 립하였으며 2025년까지 보편적 건강보장(Universal Helath Coverage, UHC)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다 [4]. 그러나, 라오스는 전기 및 수도 등 인프라가 부족하여 지역 주민의 위생, 교육, 기본 의료시설 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빈곤층은 의료 시설의 접근이 어려운 산악지역에 주거하고 있어 보편적 건강보장 실현에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5].
World Health Statistics 2023에 따르면 라오스 의 5세 이하 아동사망률은 천명 당 43명으로 주변 국(캄보디아 25명, 베트남 21명, 태국 8명) 및 동남 아시아 지역 평균인 29명보다 높은 수준이다[6]. 이와 같이 라오스는 취약한 보건지표, 여전히 낙후 된 의료체계, 낮은 보건재정, 보건의료 시설 및 의 료인력 부족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한 국정부는 라오스의 개발수요와 전략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라오스 국가협력전략(Country Partnership Strategy)과 보건의료 분야 공적개발원조 사업 전략 을 마련하여 국가차원의 지원을 하고 있다[1,5,7]. 구체적으로 모자보건, 보건의료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보건의료 인프라, 인력 역량강화 및 취약계층 의 의료지원 등 보편적 건강보장 실현에 기여하고 있다[1]. 일례로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라오스의 수도인 비엔티안에 2009년부터 350만 불을 투입하여 70병상 규모의 라오스 국립아동병원(Children’s Hospital) 지원을 통해 아동사망률 감소에 기여하고 있다[7]. 연간 외래진료 환자수는 2012년 30,546명에 서 2020년 52,129명으로 크게 증가하여 라오스 최 초의 국립 아동병원으로 자리매김하였다[8]. 그러나 여전히 숙련된 의료진 확보, IT분야 역량 강화, 간 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등 의료서비스 개선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라오스 국립아동병원 이용자 를 대상으로 의료서비스 영역별 의료서비스 이용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라오스 국립아동병원의 의료서비스 질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이 연구는 라오스 국립아동병원 이용자의 의료 서비스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한 단면조사 연구 이다.
2. 연구대상
G*pow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 수를 산출하였다. 유의수준 0.05, 유효크기 0.3, power 0.95에서 분산분석을 기준으로 할 때 적절한 연구 대상자 수는 177명이었다. 약 10%의 탈락률을 고 려하여 총 20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외래 진료 대기중인 환자 보호자 및 입원환자 보호자를 대상으로 훈련받은 조사원이 연구목적에 대해 설 명한 후 자발적으로 연구참여에 동의한 208명을 연구대상자에 포함하였다.
3.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라오스 국립아동병원의 의료 서비스 질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라오스 국립아동병원 이용자의 일반적 특 성을 파악한다.
둘째, 라오스 국립아동병원의 하위영역별 의료 서비스 만족도를 파악한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하위영역별 의료서비 스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넷째, 하위영역별 의료서비스 만족도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한다.
4. 조사도구
1) 일반적 특성
의료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 대한 설문지에 포 함된 일반적 특성은 성별, 나이, 교육연수, 거주지 역, 병원까지 이동시간, 가족 수, 방문목적, 방문횟 수, 병원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였다.
2) 의료서비스 만족도
의료서비스 만족도는 Marshall et al.[9]이 개발 한 The Patient Satisfaction Questionnaire Short Form(PSQ-18) 척도를 사용하였다. 의료서비스 만 족도는 7개의 하위영역으로, 전반적인 의료서비스 만족도 2문항, 의료기술의 질적 만족도 4문항, 의 료진의 대인관계 방식에 대한 만족도 2문항, 의료 진의 의사소통에 대한 만족도 2문항, 병원 이용에 대한 보호자의 재정적 만족도 2문항, 의료진이 환 자와 보호자에게 사용하는 시간의 만족도 2문항, 병원의 접근성과 편리성 측면의 만족도 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료서비스 만족도 문항은 리커트 5점 척도로 의료서비스 만족도의 경우 ‘전혀 그렇 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점수가 높 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하위영역별 Cronbach’s ⍺값은 전반적인 의료서비스 만족도 0.75, 의료기술의 질적 만족도 0.74, 의료진의 대인 관계 방식에 대한 만족도 0.66, 의료진의 의사소통 에 대한 만족도 0.64, 병원 이용에 대한 보호자의 재정적 만족도 0.73, 의료진이 환자와 보호자에게 사용하는 시간의 만족도 0.77, 병원의 접근성과 편 리성 측면의 만족도 0.75로 나타났다.
5.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설문조사를 위해 현지 조사원 4명을 대상으로 사전교육을 실시하였다. 훈련받은 조사원은 이용자 를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 방법, 참여철회 등 전반 적인 설명을 한 후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이용자를 대상으로 1:1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 사기간은 2024년 5월 16일부터 20일까지 총 5일 동안 진행되었다. 조사 참여자에게는 2,000원 상당 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의 방법 및 모든 절차는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보호를 위하여 연구자가 속한 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1041493-A-2024-001)을 받은 후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p<.05로 설정하였 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에 대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하위영역별 의료서비스 만족도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제 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하위영역별 의료서 비스 만족도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 (ANOVA)을 이용하여 평균차이를 분석하였다. 하 위영역별 의료서비스 만족도과 관련된 요인을 파 악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연구 에 참여한 응답자는 총 208명이었고, 성별은 여성 이 131명(63.0%)으로 남성 77명(37.0%)에 비해 많 았다. 연령은 30-39세가 88명(42.3%)으로 가장 많았 고 그 다음으로 30세 미만 52명(25.0%), 40-49세 44 명(21.2%), 50세 이상 24명(11.5%) 순이었다. 조사 대상자의 교육연수는 13년 이상이 78명(37.5%)으로 가장 많았고, 10-12년이 71명(34.1%), 9년 이하가 59명(28.4%)으로 가장 적었다. 병원까지 이동에 걸 린 시간이 1시간 미만이라고 응답한 조사대상자는 117명(56.3%)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2시간 이상 59명(28.4%), 1-2시간 미만 32명(15.4%)이었다. 응답자의 가족 수는 평균 4.8명이었으며, 배우자와 함께 거주하는 응답자는 198명(95.2%)이었다. 자녀 수는 평균 1.75명이었고, 지난 한 달 동안 아동병 원에 방문한 횟수는 평균 1.62회로 나타났다. 병원 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매우 만족과 만족이 각각 63명(30.3%), 88명(42.3%)으로 대부분의 응답자 가 의료서비스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Table 1>.
<Table 1>
Characteristics | n(%) or Mean±SD | |
---|---|---|
Gender | Male | 77(37.0) |
Female | 131(63.0) | |
Age | <30 | 52(25.0) |
30-39 | 88(42.3) | |
40-49 | 44(21.2) | |
50≤ | 24(11.5) | |
Education | ≤9 | 59(28.4) |
10-12 | 71(34.1) | |
13≤ | 78(37.5) | |
Estimated time to hospital | <1 | 117(56.3) |
1-1.99 | 32(15.4) | |
2≤ | 59(28.4) | |
Number of families | 1-17 | 4.80±2.25 |
Spouse | Yes | 198(95.2) |
No | 10(4.8) | |
Number of children | 0-7 | 1.75±1.08 |
Number of visit/month | 0-31 | 1.62±2.54 |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hospital | Very Dissatisfied | 6(2.9) |
Dissatisfied | 11(5.3) | |
Moderate | 40(19.2) | |
Satisfied | 88(42.3) | |
Very Satisfied | 63(30.3) | |
Total | 208(100.0) |
2. 영역별 의료서비스 만족도
라오스 국립아동병원의 의료서비스 만족도 평균 은 3.73±0.53점이었다. 영역별 의료서비스 만족도 를 살펴보면 전반적인 의료서비스 만족도 평균은 3.92±1.00점으로 나타났고, 의료기술의 질적 만족 도는 평균 3.83±0.85점이었다. 의료진의 대인관계 방식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61±1.00점이었고, 의 료진의 의사소통에 대한 만족도의 평균은 4.15±0.89점으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병원 이용 에 대한 보호자의 재정적 만족도는 평균 2.97±0.89 점으로 7개 영역 중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의료진 이 환자와 보호자에게 사용하는 시간의 만족도는 평균 3.89±0.92점으로 나타났고, 병원의 접근성과 편리성 측면의 만족도는 평균 3.66±0.76점으로 나 타났다<Table 2>.
<Table 2>
Subscales | Range(min-max) | Mean±SD |
---|---|---|
General Satisfaction | 1.00-5.00 | 3.92±1.00 |
Technical Quality | 2.00-5.00 | 3.83±0.85 |
Interpersonal Manner | 1.00-5.00 | 3.61±1.00 |
Communication | 1.00-5.00 | 4.15±0.89 |
Financial Aspects | 1.00-5.00 | 2.97±0.89 |
Time Spent with Doctor | 1.50-5.00 | 3.89±0.92 |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 1.25-5.00 | 3.66±0.76 |
Total | 1.94-4.97 | 3.73±0.53 |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하위영역별 의료서비스 만족도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하위영역별 의료서비스 만 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3>. 전 반적인 의료서비스 만족도 결과 남성(4.14점)이 여 성(3.79점)보다 더 높았다(t=2.425, p=0.016). 교육수 준은 9년 이하(4.27점)가 10-12년(3.85점)과 13년 이 상(3.72점)보다 높았다(F=5.624, p=0.004). 병원까지 이동시간은 1시간 미만(3.78점)보다 2시간 이상(4.27 점)에서 높았다(F=5.329, p=0.006). 의료기술의 질적 만족도 결과 남성(4.08점)이 여성(3.69점)보다 더 높 았다(t=3.385, p=0.001). 교육수준은 9년 이하(4.10점) 가 13년 이상(3.60점)보다 높았다(F=6.108, p=0.003). 병원까지 이동시간은 1시간 미만(3.70점)보다 2시간 이상(4.14점)이 높았다(F=5.660, p=0.004). 의료진의 대인관계 방식에 대한 만족도 결과 성별, 연령, 교 육수준, 병원까지 이동시간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 않았다. 의료진의 의사소통에 대한 만 족도 결과 성별은 남성(4.32점)이 여성(4.06점)보다 더 높았다(t=2.066, p=0.040). 병원이용에 대한 보호 자의 재정적 만족도 결과 병원까지 이동시간은 1 시간 미만(3.09점)이 가장 높았고, 1시간 이상 2시 간 미만(3.00점), 2시간 이상(2.71점) 순이었다 (F=1.689, p=0.027). 의료진이 환자와 보호자에게 사용하는 시간 관련 만족도 결과 성별은 남성(4.08 점)이 여성(3.78점)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t=2.271, p=0.024). 병원의 접근성 및 편리성에 대 한 만족도 결과 교육수준은 9년 이하(3.78점)으로 13년 이상(3.46점)보다 높았다(F=4.361, p=0.014). 병원까지 이동시간은 2시간 이상(3.87점)이 가장 높았고, 1시간 미만(3.60점), 1시간 이상 2시간 미 만(3.51점) 순이었다(F=3.426, p=0.034).
<Table 3>
Characteristics | General Satisfaction | Technical Quality | Interpersonal Manner | Communication | Financial Aspects | Time Spent with Doctor |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 ||||||||
---|---|---|---|---|---|---|---|---|---|---|---|---|---|---|---|
Mean±SD | t/F(p) scheffe | Mean±SD | t/F(p) scheffe | Mean±SD | t/F(p) | Mean±SD | t/F(p) | Mean±SD | t/F(p) | Mean±SD | t/F(p) | Mean±SD | t/F(p) scheffe | ||
Gender | Male | 4.14±0.91 | 2.425 (0.016) | 4.08±0.76 | 3.385 (0.001) | 3.77±1.07 | 1.740 (0.084) | 4.32±0.80 | 2.066 (0.040) | 3.10±0.93 | 1.689 (0.093) | 4.08±0.89 | 2.271 (0.024) | 3.57±0.76 | -1.277 (0.203) |
Female | 3.79±1.03 | 3.69±0.87 | 3.52±0.96 | 4.06±0.92 | 2.89±0.86 | 3.78±0.92 | 3.71±0.76 | ||||||||
Age | <30 | 3.93±1.01 | 0.331 (0.803) | 3.87±0.80 | 1.656 (0.178) | 3.52±0.85 | 1.913 (0.129) | 4.23±0.73 | 0.741 (0.529) | 2.87±0.79 | 0.853 (0.467) | 3.85±0.90 | 0.283 (0.837) | 3.84±0.73 | 1.486 (0.219) |
30-39 | 3.85±1.01 | 3.74±0.90 | 3.79±0.98 | 4.06±0.94 | 3.03±1.04 | 3.90±0.96 | 3.59±0.78 | ||||||||
40-49 | 3.97±1.04 | 3.80±0.88 | 3.52±1.16 | 4.17±0.99 | 3.06±0.82 | 3.85±0.87 | 3.57±0.78 | ||||||||
50≤ | 4.06±0.85 | 4.17±0.69 | 3.31±1.03 | 4.31±0.81 | 2.79±0.53 | 4.04±0.90 | 3.73±0.69 | ||||||||
Education(years) | ≤9a | 4.27±0.77 | 5.624 (0.004) a>b,c | 4.10±0.78 | 6.108 (0.003) a>c | 3.70±1.08 | 2.552 (0.080) | 4.30±0.84 | 2.216 (0.112) | 2.86±0.87 | 0.649 (0.524) | 3.92±0.91 | 0.155 (0.856) | 3.78±0.72 | 4.361 (0.014) a>c |
10-12b | 3.85±0.91 | 3.86±0.84 | 3.75±0.91 | 4.21±0.79 | 2.98±0.93 | 3.92±0.88 | 3.78±0.80 | ||||||||
13≤c | 3.72±1.15 | 3.60±0.87 | 3.75±1.01 | 3.99±0.99 | 3.04±0.87 | 3.85±0.95 | 3.46±0.72 | ||||||||
Estimated time to hospital(hours) | <1a | 3.78±1.05 | 5.329 (0.006) a<c | 3.70±0.87 | 5.660 (0.004) a<c | 3.47±1.04 | 2.914 (0.057) | 4.12±0.94 | 0.773 (0.463) | 3.09±0.83 | 3.659 (0.027) | 3.82±0.95 | 1.252 (0.288) | 3.60±0.73 | 3.426 (0.034) |
1-1.99b | 3.80±1.05 | 3.74±0.84 | 3.66±1.03 | 4.06±0.87 | 3.00±0.85 | 3.84±0.89 | 3.51±0.93 | ||||||||
2≤c | 4.27±0.74 | 4.14±0.75 | 3.86±0.88 | 4.27±0.78 | 2.71±0.97 | 4.05±0.86 | 3.87±0.68 |
4. 하위영역별 의료서비스 만족도 관련 요인
하위영역별 의료서비스 만족도 관련요인을 파악 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4>. 모든 하위영역에서 회귀모형의 적합성을 만족하였 고, 수정된 R2은 0.003~0.109로 분포하였다. 전반적 인 의료서비스 만족도와 의료기술의 질적 만족도 의 관련요인은 회귀계수의 차이는 있었으나 남자 일수록(남자>여자), 교육수준이 낮을수록(9년 이 하>13년 이상), 병원까지 이동시간이 많이 소요될수 록(2시간 이상>1시간 미만) 만족도가 높았다. 의료 진의 대인관계 방식에 대한 만족도는 가족수가 많 을수록 만족도가 낮았다(β=-0.256, p=0.005). 의료진 의 의사소통에 대한 만족도는 남자일수록(남자>여 자), 교육수준이 낮을수록(9년 이하>13년 이상) 만 족도가 높았다. 병원이용에 대한 보호자의 재정적 만족도는 병원까지 이동시간이 많이 소요될수록(2 시간 이상>1시간 미만) 만족도가 낮았다(β=-0.367, p=0.021). 의료진이 환자와 보호자에게 사용하는 시 간 관련 만족도는 단변량 분석에서 성별에서 유의 한 차이가 있었으나 선형회귀모형에서 다른 변수를 통제한 후 그 영향력이 없어졌다. 병원의 접근성 및 편리성에 대한 만족도는 단변량 분석에서 교육 수준과 병원까지 이동시간의 증가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나 선형회귀모형에서 다른 변수를 통제한 후 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없었다.
<Table 4>
Variables | General Satisfaction | Technical Quality | Interpersonal Manner | Communication | Financial Aspects | Time Spent with Doctor |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 ||||||||
---|---|---|---|---|---|---|---|---|---|---|---|---|---|---|---|
β | t (p) | β | t (p) | β | t (p) | β | t (p) | β | t (p) | β | t (p) | β | t (p) | ||
Gender | Female | Ref. | Ref. | Ref. | Ref. | Ref. | Ref. | Ref. | |||||||
Male | 0.235 | 3.259 (0.001) | 0.258 | 3.589 (<0.001) | 0.126 | 1.700 (0.091) | 0.157 | 2.072 (0.040) | 0.109 | 1.443 (0.151) | 0.133 | 1.745 (0.083) | -0.076 | -1.009 (0.314) | |
Age | -0.068 | -0.908 (0.365) | 0.016 | 0.217 (0.828) | -0.049 | -0.649 (0.517) | 0.004 | 0.048 (0.962) | -0.011 | -0.135 (0.893) | 0.073 | 0.932 (0.352) | -0.028 | -0.359 (0.720) | |
Education (years) | 13≤ | Ref. | Ref. | Ref. | Ref. | Ref. | Ref. | Ref. | |||||||
10-12 | 0.000 | -0.001 (0.999) | 0.106 | 1.366 (0.174) | 0.153 | 1.923 (0.056) | 0.119 | 1.455 (0.147) | 0.035 | 0.434 (0.665) | 0.021 | 0.257 (0.798) | 0.159 | 1.953 (0.052) | |
≤9 | 0.277 | 3.273 (0.001) | 0.278 | 3.297 (0.001) | 0.160 | 1.854 (0.065) | 0.192 | 2.172 (0.031) | 0.019 | 0.213 (0.832) | 0.035 | 0.387 (0.699) | 0.131 | 1.486 (0.139) | |
Estimated time to hospital(hours) | <1 | Ref. | Ref. | Ref. | Ref. | Ref. | Ref. | Ref. | |||||||
1-1.99 | 0.014 | 0.211 (0.833) | 0.021 | 0.305 (0.761) | 0.075 | 1.067 (0.287) | -0.020 | -0.275 (0.784) | -0.023 | -0.320 (0.749) | 0.015 | 0.207 (0.836) | -0.060 | -0.841 (0.401) | |
2≤ | 0.177 | 2.317 (0.022) | 0.155 | 2.035 (0.043) | 0.141 | 1.807 (0.072) | 0.019 | 0.243 (0.808) | -0.187 | -2.335 (0.021) | 0.125 | 1.552 (0.122) | 0.085 | 1.070 (0.286) | |
Number of families | -0.026 | -0.300 (0.765) | -0.076 | -0.862 (0.389) | -0.256 | -2.832 (0.005) | -0.051 | -0.549 (0.584) | -0.081 | -0.879 (0.380) | -0.119 | -1.273 (0.204) | 0.061 | 0.660 (0.510) | |
Spouse (yes) | -0.087 | -1.300 (0.195) | 0.001 | 0.014 (0.989) | -0.015 | -0.221 (0.825 | 0.093 | 1.326 (0.186) | 0.116 | 1.656 (0.099) | -0.034 | -0.486 (0.627) | 0.022 | 0.308 (0.758) | |
Number of children | -0.045 | -0.540 (0.590) | 0.043 | 0.519 (0.605) | 0.176 | 2.056 (0.041) | 0.064 | 0.731 (0.466) | 0.042 | 0.477 (0.634) | 0.063 | 0.716 (0.475) | 0.062 | 0.708 (0.480) | |
Number of visit/month | -0.110 | -1.632 (0.104) | -0.028 | -0.410 (0.682) | 0.020 | 0.296 (0.768) | -0.072 | -1.023 (0.308) | -0.048 | -0.686 (0.494) | -0.068 | -0.955 (0.341) | 0.023 | 0.328 (0.743) | |
F | 3.465 | 3.537 | 2.400 | 1.416 | 1.447 | 1.058 | 1.602 | ||||||||
R2 | 0.150 | 0.152 | 0.109 | 0.067 | 0.068 | 0.051 | 0.075 | ||||||||
Adjusted R2 | 0.106 | 0.109 | 0.063 | 0.020 | 0.021 | 0.003 | 0.028 |
Ⅳ. 고찰
본 연구는 라오스 비엔티안 지역에 위치한 국립 아동병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의료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라오스 국립 아동병원의 전반적인 의료서비스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영역에서는 만족도의 차이 가 있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고찰 내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라오스 국립아동병원의 전반적인 의료서 비스 만족도는 높았다. 라오스 국립아동병원은 한 국국제협력단의 지원으로 설립되었고, 한국 의료진 을 파견하는 등 현지에서 최고 수준의 의료서비스 를 제공하고 있는 점에서 도출된 결과라 생각된다. 인근의 태국이나 베트남과 비교하면 여전히 의료 서비스의 질적 개선이 요구되는 상황이므로 향후 에도 의료서비스 개선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둘째, 의료서비스 하위영역별 만족도 조사 결과,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인 영역은 의료진의 의사소 통에 대한 만족도였고, 병원 이용에 대한 보호자의 재정적 만족도는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아동병원 임을 고려하였을 때 의료진이 환자 및 보호자에게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기 때문에 의사소통 만족도 가 높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와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용한 미얀마 외래 진료 서비스에 대 한 환자 만족도 연구에서 79% 이상의 높은 만족도 를 보인점은 본 연구와 유사하였다[10]. 그러나, Win & Panzal[10]의 연구에서는 15세 이상의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조사를 실시하였고, 의료서비스 하위영역별 만족도에 대한 분석 및 회 귀분석을 실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와 조사 대상자, 조사방법, 분석방법에 차이가 있어 연구결 과를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데에는 제한적이다.
Win & Panzal[10]의 연구에서는 가구 소득을 추가로 조사하여 의료서비스 만족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을 보고 고소득층은 더 나은 서비스를 받기 위 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 하였다. 또한 외래방문 횟수가 많을수록 높은 만족 도를 보였는데 이는 방문횟수가 증가할수록 의사 와 의료서비스에 대해 더 잘 알고 있고, 자주 방문 하는 환자는 의사와 서비스의 질이 좋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다고 해석하였다. 에티오피아 산부인과병 원에서 분만 및 출산 서비스에 대한 고객 만족 도를 분석한 결과 의사와의 의사소통을 강조하며 의료서비스 제공자와 고객 사이의 의사소통이 만 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나 이지리아 임산부의 산전관리에 대한 연구에서도 불친절한 의료진의 태도(의사소통)는 산전 관리 이 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12]. 다만 보호자의 재정적 만족도가 낮은 것은 라오스 국립아동병원 특성상 소아암 환자가 많기 때문에 의료비 지출이 많아 재정적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 라오스는 국가건강보험을 준비하 고 있는 시점으로 향후 재정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주요 변수로 생각된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하위영역별 의료서비 스 만족도 결과 성별, 교육수준, 병원까지의 이동 거리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인 의료 만족도 는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았고, 교육수준이 낮을수 록, 병원까지 이동시간이 2시간 이상인 경우 높은 만족도 수준을 보였다. 남성의 의료서비스 만족도 결과가 여성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의료진의 설명 이나 의사소통을 더 수용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 이 있다는 연구[13][14], 남성과 여성의 의료서비스 기대치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연구[15][16], 남성이 의료진의 친절함과 전문성을 높이 평가하여 만족 도로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연구[17]등이 있었다. Win & Panzal[10], Isholaa & Kazeem[12]의 연구 결과에서는 교육수준이 유의하지 않았으나 본 연 구에서 교육수준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교육수준이 높은 보호자의 경우 의료진의 질 병 설명에 대한 이해, 실질적인 의료의 질 등을 종 합적으로 판단한 것으로 사료된다. 병원까지 이동 시간에 따른 만족도 결과 2시간 이상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1시간에서 2시간 사이, 1시간 미만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선행연구에서와 같이 원거리 거주자가 전반적인 의료 만족도가 더 높았던 것과 일치하는 결과였다 [11][12]. 이는 라오스 국립아동병원이 비엔티안 지 역 내 유일한 아동병원이며, 2시간 이상 소요되는 타 지역 조차 이와 같은 아동병원이 존재하지 않 아 중증 질환을 치료 할 수 있는 병원이 전무하여 보호자가 본 병원에 방문하여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자 보 호자의 동질성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라오스 국립 아동병원의 환자 보호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 하였으나 환자 질환의 경중, 병원 방문 횟수, 입원 및 외래환자의 구분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지 못하였기에 향후 이와 같은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라오스 국립아동병원 내의 환자 보호자를 대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기에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비교할 만한 대조군이 부재하며, 향후 연구에서 다 른 병원의 의료서비스 만족도와 비교 분석함으로 보다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는 일개 병원에 국한되므로 라오스 전체 병원에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한국 정부의 지원으 로 설립된 병원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해 향후 병원 개선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 에서 의미가 있다.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라오스의 다양한 지역과 여러 유 형의 의료기관을 포함하여 연구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 이고, 다양한 환경에서의 의료서비스 만족도 차이 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종단 연구 설계 를 적용한 연구를 통해 만족도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 관찰하고, 특정 개입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의료서비스 개선 이 환자 만족도에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을 평가하 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셋째, 환자의 질병 유형 이나 치료의 중증도를 고려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변수들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더 명확하게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마 지막으로, 연구대상자를 확대하고 대조군과 환자 및 보호자의 심층인터뷰를 포함한 혼합 연구설계 를 통해 양적 결과의 해석을 보완하고, 의료서비스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Ⅴ. 결론
이 연구는 라오스 국립아동병원의 환자 보호자 를 대상으로 다양한 문화적 배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PSQ-18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의료서비스 만 족도를 평가하였다. 의료서비스의 하위영역별 분석 을 통해 의료서비스의 질적 측면을 포괄적으로 이 해하고 라오스 국립아동병원의 발전적 방향을 제 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고찰에서 제시한 향후 연 구 방향을 토대로 한 후속 연구를 통해 의료서비 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의료 서비스 개선을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 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