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과 급변하는 의료 환경에 서 국민의 건강서비스 요구가 점차 높아지고 있으 며, 병원은 수요자 중심 의료기관으로서 다양한 전 문인력들의 확고한 전문직관 정립이 필요하며, 이 에 따라 간호사의 역할과 업무의 전문성이 더욱 요구되는 실정이다[1].
간호전문직관은 간호를 담당하는 자가 갖는 전 문인으로서 간호에 대한 체계화된 간호 활동 과정 및 직업 의식적인 견해를 말하며 바람직한 간호전 문직관은 간호를 가치 있는 일로 여기고 간호에 긍정적인 신념과 긍지를 가지게 한다[2]. 또한 간 호전문직관이 확고히 자리잡을 때 질 높고 효율적 인 간호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간호대상자와 간호사 모두에게 만족감을 더해 주는 동시에 전문 직 간호인으로서의 위상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어 간호전문직관의 확립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1]. 이러한 간호전문직관은 개인이 간호사에 대한 직 업적 관심을 갖는 것에서 시작하여, 전문인력으로 교육을 받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고 보았으므로 [3] 미래의 간호사인 간호대학생이 긍정적인 간호 전문직관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적합한 간호이론과 실습교육을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고 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전문직 관은 임상실습 교육을 받는 동안 지속적으로 발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임상실습은 간호사로 서 갖추어야 할 여러 실제적인 지식과 기술의 경 험을 학습하는 과정으로, 간호대학생들은 임상실습 을 통해 간호사의 역할을 습득하고, 간호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를 형성한다[5][6]. 또한 간호대학생 의 임상실습 과정은 간호사, 의사, 보건 의료팀, 대 상자 및 보호자와의 접촉을 통해서 간호사의 입장 과 의료인으로서의 위치를 확인하고 사회가 간호 사에게 갖는 기대에 부응하는 전문인으로 성장하 는 기반을 마련하는 기회가 된다[4]. 실제로 임상 실습에서 간호대학생들의 긍정적 간호 경험은 간 호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증가시켜 향후 간호사 업무수행에도 영향을 주고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 도를 향상시키는 등 임상실습 교육의 효과성을 증 진시킨다[7]. 임상실습 만족도는 임상실습의 내용, 지도, 환경 등 다양한 측면에 대해 나타나는 긍정 적인 정서 반응의 정도로[8], 임상실습이 만족스럽 지 못한 경우, 간호대학생의 자존심이 손상되고 간 호사가 된 후에도 업무에 충실하게 전념하지 못하 게 될 가능성도 있다[9].
한편, 간호사들이 소명의식을 가지고 자신의 일 을 성실히 수행하는 모습은 임상실습을 나간 간호 대학생들에게 좋은 역할 모델이 되며 간호대학생 의 소명의식을 향상시키고 이는 간호전문직관을 발달시켜 졸업 후에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있어 윤리적 가치와 원칙을 중요시하 며 자신의 업무에 대한 책임감을 고취시키는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10]. 간호대학생의 소 명의식은 자신이 선택한 전공에 대한 의미 부여와 목적의식을 갖추게 하여 간호직을 통해 사회에 기 여하고 전문직으로 성장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게 돕는다[11].
간호에서 소명은 자신의 일의 의미를 단순한 직 업적 만족이 아닌 직업에 대한 열정적인 동기나 욕구, 자신의 삶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간호 실 무에 종사하고자 하는 열망, 자신의 삶의 목적으로 다른 사람을 돕고자 하는 욕구의 긍정적인 3가지 속성으로 정의되었다[12]. 소명의식이 있는 경우 일에 대한 만족과 헌신 및 직업에 대한 의미를 향 상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주지만 일과 삶 의 균형의 문제와 일을 위해 자신의 안녕을 희생 하고자 하는 부정적인 결과도 갖고 있다. 과거 연 구에서 소명의식이 있는 간호사는 특히 임종기 환 자의 필요를 잘 충족시키고, 팀 내에서 긴밀히 협 력할 뿐 아니라 일의 내용을 풍부히 경험하여 능 숙한 전문직능력을 보유한다고 알려져 있다[13]. 최근 연구에서는 직업적 소명이 직장에서의 번영 과 긍정적인 관계에 있고, 도덕적 고뇌를 낮추는데 완전 매개 열할을 한다는 보고가 있으나[14] 타인 을 위해 일하고자 하는 소명의식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부족하여 소명의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지금까지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간호 전문직관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간호대학생의 간호 전문직관이 전공 만족, 임상실습 스트레스, 비판적 사고 성향, 간호사 이미지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5][7][8], 간호대학생의 간호 전문직관 하위 영역인 전문직 자아개념과 간호실 무 역할이 윤리적 민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고 있음이 확인되었다[15]. 간호교육이 간호전문직 관의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그 중 임상 실습에서 느끼는 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 확립에 영향을 주며[3][7] 소명의식이 간호의 전문성과 목 적의식의 확립을 도와 간호전문직관 발달에 영향 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11] 이 세 가지 개 념을 함께 다룬 연구는 거의 없다.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임상 현장에서 경험하고 간호전문직에 대 한 가치관이 잘 형성되려면 임상실습을 통해 간호 에 대한 이미지를 잘 형성하여 소명의식을 갖추어 갈 때 간호사로서의 전문적 지식과 숙련된 기술을 발휘하는 직업적 정체성을 찾아갈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전문 직관과 소명의식 및 임상실습만족도의 3가지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소명의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바람직 하게 세워나가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 도, 소명의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 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1)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소명의식 및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를 파악한다.
-
2)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 소명의식,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를 파악한 다.
-
3)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 소명의식 및 간호전문직관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4)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 소명의식이 간 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 소명 의식이 간호전문직관의 관계를 확인하고 간호전문 직관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 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G시에 위치한 2개 대학교 의 4학년 재학생 286명을 편의 표집하였다. 표본의 크기는 G*Power 3.1.9.7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본 수를 산정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위해 유의수준 .05, 중간크기의 효과 크기(effect size)는 .15, 검정 력 .95, 일반적 특성 8개와 주요 독립변수 2개를 포함해 예측요인 10개로 계산하였으며 연구에 필 요한 변수는 262명이었다. 이를 근거로 탈락률 10%를 고려하여 288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응답 내용이 부적절한 20부를 제외하고 최종 268명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3. 자료수집
본 연구는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의 기관생명윤 리위원회의 연구 승인을 받은 후 진행하였다(IRB No- ).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24년 4월 29일 부터 2024년 5월 28일까지였다. 자료수집을 하기 전 각 대학을 사전 방문하여 학과장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받았다. 연구 참여자인 임 상실습을 경험한 4학년 학생들에게 연구 목적과 익명성 및 비밀보장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였다. 또 한 참여자가 요구 할 경우 언제든지 연구 참여를 취소할 수 있으며 수집된 연구자료는 연구 목적으 로만 사용할 것이라는 내용을 설명한 후에 서면으 로 동의를 받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 자에게는 감사의 뜻으로 소정의 선물을 제공하였 다.
4. 연구도구
1)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 측정을 위해 Cho & Kang[16] 이 개발한 도구 및 Lee[17]가 개발한 도구를 Lee et al.[18]이 수정하고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도구는 총 31문항, 6개 하위영역(실습내용 만족도 6문항, 실습환경 만족도 7문항, 실습 교과 만족도 3문항, 실습 평가 만족도 3문항, 실습지도 만족도 9 문항, 실습 시간만족도 3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5 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임상실습 만족도 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Lee et al.[18]의 연구에서 는 Cronbach’s α는 .86,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α는 .81이었다.
2) 소명의식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소명의식을 측정하 기 위해 Dik et al.[19] 등이 개발한 소명척도 (Calling & Vocational Questionnaire : CVQ)를 Shim & Yoo[20]가 한국의 상황에 맞게 번역한 소 명척도 한국판(CVQ-K)을 Oh & Jeong[21]이 기존 의 도구가 초월적 존재에 의한 부름과 운명이 강 조되어 한 개인의 주도적이고 적극적 의지가 반영 된 소명의식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점 제시와 관련해 소명의식의 하위요인 중 친사회적 지향, 목적과 의미의 2가지 항목으로 구성한 8문항 을 활용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도 종교적인 개념이 내포된 초월적 부름 항목은 제외하였다. 이 척도는 총 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친사회적 지 향(4개), 목적/의미(4개)와 같이 2개 하위영역이 포 함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전혀 해당되지 않는다(1 점)’에서 ‘전적으로 해당된다(4점)’까지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목적/의미, 친사회적 지향의 소명의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소명의식의 전체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958로 나타났고, 하위변인인 목적/의미는 .960, 친사회적 지향은 .959이었다.
3) 간호전문직관
간호전문직관 측정 도구는 Yeon et al.[22]이 개 발한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를 Han et al.[23]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전문적/사회 적 인식 8개 문항, 자아개념 9개 문항, 간호의 전 문성 4개 문항, 간호의 독자성 2개 문항, 간호계의 역할 3개 문항으로 총 2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 며, 5점 Likert 척도로 높은 점수일수록 간호전문직 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 도 Cronbach’s α는 .91,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α는 .92이었다.
5. 자료분석
SPSS WIN/PC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로 분 석하였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 족도, 소명의식,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는 t-test, ANOVA, Scheffe's test로 분석하였다.
셋째, 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 소명의식, 간호 전문직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넷째,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은 다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변수들을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는 총 268명으로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 적 특성에 대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연령은 22세~23세가 49.3%로 나타났으며 성별은 여자가 84.7%로 나타났다. 종교가 없는 학생이 67.5%이며, 지난 학기 성적이 3.0~3.49인 학생이 40.3%이었으 며 자신의 성격이 긍정적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은 75.4%이었다. 간호에 대한 생각은 90.3%가 긍정적 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만족도와 임 상실습 만족도는 ‘만족’이 각각 51.1%, 45.5%로 가 장 많았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N=268)
Variable | Categories | n | % |
---|---|---|---|
|
|||
Age (Years) | ≤21 | 71 | 26.5 |
22~23 | 132 | 49.3 | |
≥24 | 65 | 24.5 | |
|
|||
Gender | Female | 227 | 84.7 |
Male | 41 | 15.3 | |
|
|||
Religion | Yes | 87 | 32.5 |
No | 181 | 67.5 | |
|
|||
Last semester’s credit | >4.0 | 26 | 9.7 |
3.5~4.0 | 102 | 38 | |
3.0~3.49 | 108 | 40.3 | |
>3.0 | 32 | 12 | |
|
|||
Personality | Very positive | 45 | 16.8 |
Positive | 202 | 75.4 | |
Negative | 18 | 6.7 | |
Very Negative | 3 | 1.1 | |
|
|||
Opinion on nursing | Positive | 242 | 90.3 |
Negative | 26 | 9.7 | |
|
|||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 Very satisfied | 44 | 16.5 |
Satisfied | 130 | 48.5 | |
Neutral | 73 | 27.2 | |
Dissatisfied | 14 | 5.2 | |
Very dissatisfied | 7 | 2.6 | |
|
|||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 Very satisfied | 14 | 5.2 |
Satisfied | 122 | 45.5 | |
Neutral | 106 | 39.6 | |
Dissatisfied | 23 | 8.6 | |
Very dissatisfied | 3 | 1.8 |
2. 연구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만족 도 및 소명의식의 정도
본 연구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만족 도 및 소명의식의 정도는 <Table 2>와 같다. 간호 전문직관정도는 5점 만점에 3.67± 0.85점, 임상실 습 만족 정도는 3.47±0.23점, 소명의식 정도는 3.51±0.52점으로 나타났다.
<Table 2>
Degree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Sense of Calling, and Nursing Professionalism
Variable | M±SD | Max | Min | Range |
---|---|---|---|---|
Nursing professionalism | 3.67±0.85 | 4.80 | 2.24 | 1~4 |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 3.47±0.23 | 4.16 | 2.90 | 1~5 |
Sense of calling | 3.51±0.52 | 3.95 | 2.79 | 1~5 |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 소명 의식, 간호전문직관의 차이
본 연구 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 소명의식,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는 <Table 3>과 같다.
<Table 3>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Sense of Calling and Nursing Professionalism
Variable | Categories |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 sense of calling | Nursing professionalism | ||||||
---|---|---|---|---|---|---|---|---|---|---|
|
||||||||||
M±SD | t or F(p) | Scheffe's | M±SD | t or F(p) | Scheffe's | M±SD | t or F(p) | Scheffe's | ||
|
||||||||||
Age (years) | ≤21 | 3.54±0.38 | 0.28 (.764) | 3.65±0.43 | .60 (.537 ) | 3.60±0.43 | 1.50 (.213) | |||
22~23 | 3.62±0.50 | 3.55±0.29 | 3.50±0.39 | |||||||
≥24 | 3.35±0.48 | 3.53±0.43 | 3.69±0.64 | |||||||
|
||||||||||
Gender | Female | 3.63±0.58 | 0.97 (.354) | 3.54±0.71 | 0.18 (.949 ) | 3.58±0.43 | 2.41 (.352) | |||
Male | 3.44±0.14 | 3.43±0.56 | 3.64±0.43 | |||||||
|
||||||||||
Religion | Yes | 3.53±0.37 | 2.01 (.121) | 3.71±0.46 | 0.81 (.472 ) | 3.79±0.43 | .20 (241) | |||
No | 3.29±0.66 | 3.55±0.46 | 3.62±0.43 | |||||||
|
||||||||||
L a s t semester’s credit | >4.0a | 3.82±0.72 | 4.52 (.001) | a>b | 3.50±0.70 | 2.17 (.092 ) | 3.55±0.43 | 1.26 (.286) | ||
3.5~4.0b | 3.33±0.43 | 3.61±0.57 | 3.43±0.43 | |||||||
3.0~3.49c | 3.62±0.44 | 3.63±0.48 | 3.84±0.61 | |||||||
<3.0d | 3.71±0.42 | 3.31±0.46 | 3.57±0.52 | |||||||
|
||||||||||
Personality | Very positive | 3.87±0.83 | 1.73 (.174) | 3.67±0.29 | 2.03 (.335 ) | 3.80±0.55 | 5.34 (.237) | |||
Positive | 3.47±0.23 | 3.51±0.52 | 3.55±0.43 | |||||||
Negative | 3.28±0.42 | 3.37±0.54 | 3.61±0.62 | |||||||
Very Negative | 3.12±0.46 | 3.03±0.38 | 3.73±0.44 | |||||||
|
||||||||||
Opinion on nursing | Positivea | 3.43±0.37 | 1.93 (.419) | 3.80±0.61 | 1.81 (.128 ) | 3.92±0.75 | 4.04 (.152) | |||
Negativeb | 3.29±0.57 | 3.55±0.49 | 3.80±0.56 | |||||||
|
||||||||||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 Very satisfieda | 3.84±0.51 | 2.85 (.029) | 3.50±0.48 | 7.62 (.001 ) | a,b> d | 3.67±0.77 | 2.24 (.084) | ||
Satisfiedb | 3.50±0.54 | 3.50±0.43 | 3.56±0.86 | |||||||
Neutralc | 3.41±0.50 | 3.63±0.65 | 3.58±0.81 | |||||||
Non-satisfiedd | 3.38±0.50 | 3.33±0.57 | 3.42±0.43 | |||||||
Very non-satisfiede | 3.20±0.28 | 3.18±0.43 | 3.21±0.33 | |||||||
|
||||||||||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 Very satisfieda | 3.64±0.46 | 3.38 (.767) | 3.96±0.28 | 2.72 (.746 ) | 3.67±0.85 | 3.78 (.<001 ) | a,>cd | ||
Satisfiedb | 3.87±0.39 | 3.47±0.52 | 3.62±0.77 | |||||||
Neutralc | 3.34±0.45 | 3.43±0.48 | 3.54±0.91 | |||||||
Non-satisfiedd | 3.21±0.50 | 3.20±0.51 | 3.43±0.81 | |||||||
Very non-satisfiede | 3.16±0.43 | 3.18±0.50 | 3.33±0.37 |
연구 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지난 학기 성 적(F=4.52,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 후검정 결과, 4점 이상이 3.0 미만 보다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명의식은 전공만족도 (F=7.62,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공 만족도가 ‘매우 만족’과 ‘만족’이라고 생각하는 학 생이 ‘매우 만족하지 않음’보다 소명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임상실습 만족도(F=3.78,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상실습 만족 도는 ‘매우 만족’이 ‘보통’과 ‘불만족’보다 간호전문 직관이 높게 나타났다.
4. 임상실습 만족도, 소명의식, 간호전문직 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 소명의식, 간호전 문직관의 상관관계는 <Table 4>와 같다. 분석 결 과 임상실습 만족도(r=.03, p<.001), 간호전문직관 (r=.1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Sense of Calling, and Nursing Professionalism (N=268)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 sense of calling | Nursing professionalism | |
---|---|---|---|
r(p) | r(p) | r(p) | |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 1 | ||
sense of calling | .09 (<.001) | 1 | |
Nursing professionalism | .17 (<.001) | .34 (<.001) | 1 |
5.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Table 5>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N=268)
variable | B | SE | β | t | p | Tolerance | VIF |
---|---|---|---|---|---|---|---|
constant | 0.953 | .247 | 2.624 | <.001 | |||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 .159 | .094 | .342 | 1.907 | <.001 | .834 | 1.212 |
Sense of calling | .163 | .212 | .213 | 2.314 | <.001 | .743 | 1.651 |
F=47.550, Adjusted R2=.263, P<.001 |
일반적 특성 8개 변수와 예측요인 11개를 단계 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의 기본 가정을 검정하기 위해 모든 변수의 정규성과 선형 성을 확인한 결과, 잔차의 분포는 정규성을 만족하 였고, 독립변수간의 다중 공선성을 검정하였을 때 공차 한계값이 0.743~0.834로 0.1 이상이었고, 분산 팽창인자(Nariation inflation factor, VIF)값은 1.212~1.651로 10 미만이므로, 독립변수들 간 다중 공선성의 문제는 없었으며, Durbin Watson 상관계 수가 2.035로 기준값인 2에 근접하고 0 또는 4에 가깝지 않아 잔차들 간의 상관관계가 없어 회귀모 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 로는 임상실습 만족도(β=.342, p<.001), 소명의식( β=.213, p<.001)순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6.3%이었다.
Ⅳ. 고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 소명 의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 써 간호대학생의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정립을 위 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 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의 정도 는 3.67점으로 중간 정도의 점수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 1~4학년을 대상으로 연구한 Lee & Seo[3]의 연구에서 나타난 3.56점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차이는 본 연구의 경우 4학년 1학기까지의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 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고 Lee & Seo[3]의 연구의 경우 간호대학생 1∼4학년을 대상으로 시행하여 연구 참여자의 임상실습 경험 정도 혹은 간호학생 으로 지낸 기간에 따라 간호전문직관이 차이 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보여진다. 학년이 올라갈수 록 간호전문직관의 차이가 날 수 있다고 보는 것 은 간호학생의 전문직관이 실습의 정도, 학년, 다 양한 전공과목의 이수 경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고 기술한 Lim & Jo[1]의 연구가 본 연구의 결과 를 뒷받침해 준다. 이는 전공 수업과 실습을 경험 하는 과정이 간호전문직관의 형성과 발달에 영향 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어 임상실습과 전공이론 교육 과정 속에서 적절한 간 호사의 권위와 이미지 구축을 위한 노력들이 지속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3.47점으로 이는 임상실습을 600시간 이상 이수한 간호대학생을 대 상으로 한 Lim & Jo[1]의 연구에서도 임상실습 만 족도가 3.48점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년과 임 상실습의 경험 정도의 차이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 여진다. Lim & Jo[1]의 연구에서는 실습지에서의 실습학생에 대한 배려와 이해 및 이론에서 배운 간호술 적용을 높여 갈 때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 아질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실습영역에서의 만 족도 향상을 위해 실습환경, 실습내용 등 실습여건 등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도를 확인하고 간호학생 의 실습 및 간호직에 대한 기대치와 현실적인 간 호업무와의 격차로 인한 심리적 불편감을 줄여주 기 위한 심층면담과 교육프로그램의 시행이 필요 하다고 여겨진다. 이에 더해 간호대학생들이 기대 하고 있는 간호의 전문적 특성을 적절히 이해하고 기술과 이론에 대한 습득을 도울 수 있도록 다양 한 간호환경에서의 사례 경험을 충분히 채워주고 임상 간호술 적용이 충분히 제공 될 수 있는 방안 의 모색을 위해 현장지도자를 포함하는 실습 기관 측과 학교 간의 의견 조율을 위한 사전 논의와 협 의가 더 많이 실행될 수 있도록 협력하는 것이 필 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소명의식 정도는 3.51로 중간 이상의 수준이었으며 Lee & Seo[3]의 연구에서 나타난 2.87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ee & Seo[3]의 연구에서는 G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전수를 연구 대상자로 삼아 임상실습 을 경험한 4학년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본연 구의 결과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간호학생 들이 임상실습을 나가 전문인으로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사들의 모습을 볼 때 간호사가 되려 는 목적의식이 고양되고 간호에 대한 의미부여의 기회가 되어 소명의식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는 선행연구[10][11]의 결과를 근거로 볼 때 간호학 생 전수가 연구 대상자인 Lee & Seo[3]의 연구에 비해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충분히 경험한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소명의식의 정도가 높 게 나올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 소명의식, 간호 전문직관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 관 계를 보여 Lee & Seo[3]의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Lim & Jo[1]의 연구에서도 임상실습 만족도와 간호전문직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혀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 간호전문직관은 대상자에 대한 안전간호 및 간호수행의 질과 직· 간접적인 연관성이 있으므로[2][4][7] 간호전문직관 의 형성과 발달을 위해 임상실습만족도, 소명의식 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실무경험의 정도가 임상실습 만족 도를 향상시키는데[24]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 음을 기술하고 있는데 최근 의료기관에 입원한 대 상자가 간호학생이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간호 수 행에 대해 꺼려하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어 학생들 의 간호수행 실무경험 제공에 한계점으로 작용하 여 임상실습 만족도를 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1][24]. 이러한 상황은 간호전문직관 형성에 저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어 학생들이 임상실습을 나가기 전 실제 대상자를 응대할 때와 유사도가 높은 시뮬레이션 실습을 더욱 충분히 실시하여 간 호술기에 대한 지신감을 기르고[2][3][4] 학생들이 수행하는 간호 처치에 대한 대상자들의 신뢰도 향 상을 위한 방안 마련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간호학생이 수행가능하 며 대상자 입장에서 만족도와 신뢰를 높여줄 수 있 는 간호 처치 리스트를 개발하여 임상실습을 나간 간호학생들의 직접 간호 수행의 기회를 확대해 나 가는 방안 마련도 필요하다 생각된다. 이러한 노력 들이 임상실습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여 간호전문직 관을 발달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인간 생명의 존중을 다루는 대상자 중심의 간 호 교육을 통해 성숙한 책임감을 형성함으로써 소 명의식을 높여갈 수 있어[1][25] 직업적 가치, 인간 생명에 관한 간호 윤리적 교육이 이론과 실습과정 에서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임상실습 만족도, 소명의식의 순이었으며 이들 변수는 간호전문직관에 총 26.3%의 설명력을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소명의식은 스스로 선택한 간호학 전공에 대한 의미부여를 통해 사회에 기여 하는 전문인으로 성장하는 기대가 있을 때 높아질 수 있다[3][4]. 그러나 간호학생들이 임상실습을 나 가 관찰하게 되는 간호사들의 과다한 업무량, 전문 성을 존중받지 못하는 상황, 열악한 업무환경 등은 간호사가 되고자 했던 목적과 의미부여에 부정적 영향을 주며[25] 소명의식을 기반으로 공익과 전문 성을 실천에 기여하고자 하는 기대감을 갖기 어렵 게 할 수 있다[4][25]. 따라서 간호사 인적관리와 간호환경을 개선하고 간호사의 전문성과 사회적 기여 부분에 대한 적극적 홍보를 포함한 소명의식 제고 전략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본다. 또한 간 호업무에 대한 의미와 목적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 는 교육과정을 적절히 제공하여 소명의식 향상을 통한 전문직업인으로의 성장에 대한 기대치를 높 여[3] 이것이 간호전문직관의 확립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이러한 노력 을 통해 소명의식을 고취시켜 간호학생들의 간호 전문직관을 확고히 다지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Ⅴ. 결론
본 연구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들의 임상실습만 족도와 소명의식 및 간호전문직관의 관계와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 다.
졸업을 앞두고 곧 신규간호사로 취업하게 되는 4학년 간호학과 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에는 임상 실습 만족도와 소명의식 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 둘의 변수는 간호전문 직관을 26.3% 설명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간 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업무에 대 한 의미와 목적의식을 고취 시킬 수 있는 교육과 정을 적절히 제공하여 소명의식 향상시키고 임상 실습 환경 개선을 통한 임상실습만족도 증대를 도 모하여 간호전문직관을 강화할 수 있는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소명의 식과 임상실습만족도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고취시킬 수 있는 간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G시의 2개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체 간호대학생에게 연 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신중해야 한다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소명 의식과 임상실습만족도를 고려한 간호전문직관 향 상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함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