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8 No.4 pp.87-97
https://doi.org/10.12811/kshsm.2024.18.4.087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 소명의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권영채, 조현미‡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Sense of Calling on Nursing Professionalism

Young Chae Kwon, Hyun Mee Cho‡
Department of Nursing, Kaya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their sense of calling on nursing professionalism.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ourth-year students in nursing departments located in G City, and a total of 268 responses to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6.9.


Results: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r=.03, p<.001), sense of calling (r=.24 p<.00,1), and nursing professionalism (r=.17, p<.001)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β=.342, p<.001) and sense of calling (β=.213, p<.001) were influenced nursing professionalism, with and explanatory power of 26.3%.


Conclusions:

To improve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 clinical nursing practice intervention program that recognizes the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sense of calling.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과 급변하는 의료 환경에 서 국민의 건강서비스 요구가 점차 높아지고 있으 며, 병원은 수요자 중심 의료기관으로서 다양한 전 문인력들의 확고한 전문직관 정립이 필요하며, 이 에 따라 간호사의 역할과 업무의 전문성이 더욱 요구되는 실정이다[1].

    간호전문직관은 간호를 담당하는 자가 갖는 전 문인으로서 간호에 대한 체계화된 간호 활동 과정 및 직업 의식적인 견해를 말하며 바람직한 간호전 문직관은 간호를 가치 있는 일로 여기고 간호에 긍정적인 신념과 긍지를 가지게 한다[2]. 또한 간 호전문직관이 확고히 자리잡을 때 질 높고 효율적 인 간호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간호대상자와 간호사 모두에게 만족감을 더해 주는 동시에 전문 직 간호인으로서의 위상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어 간호전문직관의 확립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1]. 이러한 간호전문직관은 개인이 간호사에 대한 직 업적 관심을 갖는 것에서 시작하여, 전문인력으로 교육을 받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고 보았으므로 [3] 미래의 간호사인 간호대학생이 긍정적인 간호 전문직관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적합한 간호이론과 실습교육을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고 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전문직 관은 임상실습 교육을 받는 동안 지속적으로 발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임상실습은 간호사로 서 갖추어야 할 여러 실제적인 지식과 기술의 경 험을 학습하는 과정으로, 간호대학생들은 임상실습 을 통해 간호사의 역할을 습득하고, 간호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를 형성한다[5][6]. 또한 간호대학생 의 임상실습 과정은 간호사, 의사, 보건 의료팀, 대 상자 및 보호자와의 접촉을 통해서 간호사의 입장 과 의료인으로서의 위치를 확인하고 사회가 간호 사에게 갖는 기대에 부응하는 전문인으로 성장하 는 기반을 마련하는 기회가 된다[4]. 실제로 임상 실습에서 간호대학생들의 긍정적 간호 경험은 간 호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증가시켜 향후 간호사 업무수행에도 영향을 주고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 도를 향상시키는 등 임상실습 교육의 효과성을 증 진시킨다[7]. 임상실습 만족도는 임상실습의 내용, 지도, 환경 등 다양한 측면에 대해 나타나는 긍정 적인 정서 반응의 정도로[8], 임상실습이 만족스럽 지 못한 경우, 간호대학생의 자존심이 손상되고 간 호사가 된 후에도 업무에 충실하게 전념하지 못하 게 될 가능성도 있다[9].

    한편, 간호사들이 소명의식을 가지고 자신의 일 을 성실히 수행하는 모습은 임상실습을 나간 간호 대학생들에게 좋은 역할 모델이 되며 간호대학생 의 소명의식을 향상시키고 이는 간호전문직관을 발달시켜 졸업 후에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있어 윤리적 가치와 원칙을 중요시하 며 자신의 업무에 대한 책임감을 고취시키는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10]. 간호대학생의 소 명의식은 자신이 선택한 전공에 대한 의미 부여와 목적의식을 갖추게 하여 간호직을 통해 사회에 기 여하고 전문직으로 성장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게 돕는다[11].

    간호에서 소명은 자신의 일의 의미를 단순한 직 업적 만족이 아닌 직업에 대한 열정적인 동기나 욕구, 자신의 삶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간호 실 무에 종사하고자 하는 열망, 자신의 삶의 목적으로 다른 사람을 돕고자 하는 욕구의 긍정적인 3가지 속성으로 정의되었다[12]. 소명의식이 있는 경우 일에 대한 만족과 헌신 및 직업에 대한 의미를 향 상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주지만 일과 삶 의 균형의 문제와 일을 위해 자신의 안녕을 희생 하고자 하는 부정적인 결과도 갖고 있다. 과거 연 구에서 소명의식이 있는 간호사는 특히 임종기 환 자의 필요를 잘 충족시키고, 팀 내에서 긴밀히 협 력할 뿐 아니라 일의 내용을 풍부히 경험하여 능 숙한 전문직능력을 보유한다고 알려져 있다[13]. 최근 연구에서는 직업적 소명이 직장에서의 번영 과 긍정적인 관계에 있고, 도덕적 고뇌를 낮추는데 완전 매개 열할을 한다는 보고가 있으나[14] 타인 을 위해 일하고자 하는 소명의식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부족하여 소명의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지금까지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간호 전문직관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간호대학생의 간호 전문직관이 전공 만족, 임상실습 스트레스, 비판적 사고 성향, 간호사 이미지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5][7][8], 간호대학생의 간호 전문직관 하위 영역인 전문직 자아개념과 간호실 무 역할이 윤리적 민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고 있음이 확인되었다[15]. 간호교육이 간호전문직 관의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그 중 임상 실습에서 느끼는 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 확립에 영향을 주며[3][7] 소명의식이 간호의 전문성과 목 적의식의 확립을 도와 간호전문직관 발달에 영향 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11] 이 세 가지 개 념을 함께 다룬 연구는 거의 없다.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임상 현장에서 경험하고 간호전문직에 대 한 가치관이 잘 형성되려면 임상실습을 통해 간호 에 대한 이미지를 잘 형성하여 소명의식을 갖추어 갈 때 간호사로서의 전문적 지식과 숙련된 기술을 발휘하는 직업적 정체성을 찾아갈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전문 직관과 소명의식 및 임상실습만족도의 3가지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소명의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바람직 하게 세워나가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 도, 소명의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 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1)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소명의식 및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를 파악한다.

    • 2)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 소명의식,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를 파악한 다.

    • 3)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 소명의식 및 간호전문직관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4)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 소명의식이 간 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 소명 의식이 간호전문직관의 관계를 확인하고 간호전문 직관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 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G시에 위치한 2개 대학교 의 4학년 재학생 286명을 편의 표집하였다. 표본의 크기는 G*Power 3.1.9.7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본 수를 산정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위해 유의수준 .05, 중간크기의 효과 크기(effect size)는 .15, 검정 력 .95, 일반적 특성 8개와 주요 독립변수 2개를 포함해 예측요인 10개로 계산하였으며 연구에 필 요한 변수는 262명이었다. 이를 근거로 탈락률 10%를 고려하여 288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응답 내용이 부적절한 20부를 제외하고 최종 268명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3. 자료수집

    본 연구는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의 기관생명윤 리위원회의 연구 승인을 받은 후 진행하였다(IRB No- ).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24년 4월 29일 부터 2024년 5월 28일까지였다. 자료수집을 하기 전 각 대학을 사전 방문하여 학과장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받았다. 연구 참여자인 임 상실습을 경험한 4학년 학생들에게 연구 목적과 익명성 및 비밀보장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였다. 또 한 참여자가 요구 할 경우 언제든지 연구 참여를 취소할 수 있으며 수집된 연구자료는 연구 목적으 로만 사용할 것이라는 내용을 설명한 후에 서면으 로 동의를 받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 자에게는 감사의 뜻으로 소정의 선물을 제공하였 다.

    4. 연구도구

    1)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 측정을 위해 Cho & Kang[16] 이 개발한 도구 및 Lee[17]가 개발한 도구를 Lee et al.[18]이 수정하고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도구는 총 31문항, 6개 하위영역(실습내용 만족도 6문항, 실습환경 만족도 7문항, 실습 교과 만족도 3문항, 실습 평가 만족도 3문항, 실습지도 만족도 9 문항, 실습 시간만족도 3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5 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임상실습 만족도 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Lee et al.[18]의 연구에서 는 Cronbach’s α는 .86,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α는 .81이었다.

    2) 소명의식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소명의식을 측정하 기 위해 Dik et al.[19] 등이 개발한 소명척도 (Calling & Vocational Questionnaire : CVQ)를 Shim & Yoo[20]가 한국의 상황에 맞게 번역한 소 명척도 한국판(CVQ-K)을 Oh & Jeong[21]이 기존 의 도구가 초월적 존재에 의한 부름과 운명이 강 조되어 한 개인의 주도적이고 적극적 의지가 반영 된 소명의식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점 제시와 관련해 소명의식의 하위요인 중 친사회적 지향, 목적과 의미의 2가지 항목으로 구성한 8문항 을 활용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도 종교적인 개념이 내포된 초월적 부름 항목은 제외하였다. 이 척도는 총 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친사회적 지 향(4개), 목적/의미(4개)와 같이 2개 하위영역이 포 함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전혀 해당되지 않는다(1 점)’에서 ‘전적으로 해당된다(4점)’까지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목적/의미, 친사회적 지향의 소명의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소명의식의 전체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958로 나타났고, 하위변인인 목적/의미는 .960, 친사회적 지향은 .959이었다.

    3) 간호전문직관

    간호전문직관 측정 도구는 Yeon et al.[22]이 개 발한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를 Han et al.[23]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전문적/사회 적 인식 8개 문항, 자아개념 9개 문항, 간호의 전 문성 4개 문항, 간호의 독자성 2개 문항, 간호계의 역할 3개 문항으로 총 2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 며, 5점 Likert 척도로 높은 점수일수록 간호전문직 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 도 Cronbach’s α는 .91,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α는 .92이었다.

    5. 자료분석

    SPSS WIN/PC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로 분 석하였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 족도, 소명의식,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는 t-test, ANOVA, Scheffe's test로 분석하였다.

    셋째, 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 소명의식, 간호 전문직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넷째,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은 다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변수들을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는 총 268명으로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 적 특성에 대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연령은 22세~23세가 49.3%로 나타났으며 성별은 여자가 84.7%로 나타났다. 종교가 없는 학생이 67.5%이며, 지난 학기 성적이 3.0~3.49인 학생이 40.3%이었으 며 자신의 성격이 긍정적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은 75.4%이었다. 간호에 대한 생각은 90.3%가 긍정적 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만족도와 임 상실습 만족도는 ‘만족’이 각각 51.1%, 45.5%로 가 장 많았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N=268)

    Variable Categories n %

    Age (Years) ≤21 71 26.5
    22~23 132 49.3
    ≥24 65 24.5

    Gender Female 227 84.7
    Male 41 15.3

    Religion Yes 87 32.5
    No 181 67.5

    Last semester’s credit >4.0 26 9.7
    3.5~4.0 102 38
    3.0~3.49 108 40.3
    >3.0 32 12

    Personality Very positive 45 16.8
    Positive 202 75.4
    Negative 18 6.7
    Very Negative 3 1.1

    Opinion on nursing Positive 242 90.3
    Negative 26 9.7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Very satisfied 44 16.5
    Satisfied 130 48.5
    Neutral 73 27.2
    Dissatisfied 14 5.2
    Very dissatisfied 7 2.6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Very satisfied 14 5.2
    Satisfied 122 45.5
    Neutral 106 39.6
    Dissatisfied 23 8.6
    Very dissatisfied 3 1.8

    2. 연구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만족 도 및 소명의식의 정도

    본 연구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만족 도 및 소명의식의 정도는 <Table 2>와 같다. 간호 전문직관정도는 5점 만점에 3.67± 0.85점, 임상실 습 만족 정도는 3.47±0.23점, 소명의식 정도는 3.51±0.52점으로 나타났다.

    <Table 2>

    Degree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Sense of Calling, and Nursing Professionalism

    Variable M±SD Max Min Range
    Nursing professionalism 3.67±0.85 4.80 2.24 1~4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3.47±0.23 4.16 2.90 1~5
    Sense of calling 3.51±0.52 3.95 2.79 1~5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 소명 의식, 간호전문직관의 차이

    본 연구 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 소명의식,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는 <Table 3>과 같다.

    <Table 3>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Sense of Calling and Nursing Professionalism

    Variable Categories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sense of calling Nursing professionalism

    M±SD t or F(p) Scheffe's M±SD t or F(p) Scheffe's M±SD t or F(p) Scheffe's

    Age (years) ≤21 3.54±0.38 0.28 (.764) 3.65±0.43 .60 (.537 ) 3.60±0.43 1.50 (.213)
    22~23 3.62±0.50 3.55±0.29 3.50±0.39
    ≥24 3.35±0.48 3.53±0.43 3.69±0.64

    Gender Female 3.63±0.58 0.97 (.354) 3.54±0.71 0.18 (.949 ) 3.58±0.43 2.41 (.352)
    Male 3.44±0.14 3.43±0.56 3.64±0.43

    Religion Yes 3.53±0.37 2.01 (.121) 3.71±0.46 0.81 (.472 ) 3.79±0.43 .20 (241)
    No 3.29±0.66 3.55±0.46 3.62±0.43

    L a s t semester’s credit >4.0a 3.82±0.72 4.52 (.001) a>b 3.50±0.70 2.17 (.092 ) 3.55±0.43 1.26 (.286)
    3.5~4.0b 3.33±0.43 3.61±0.57 3.43±0.43
    3.0~3.49c 3.62±0.44 3.63±0.48 3.84±0.61
    <3.0d 3.71±0.42 3.31±0.46 3.57±0.52

    Personality Very positive 3.87±0.83 1.73 (.174) 3.67±0.29 2.03 (.335 ) 3.80±0.55 5.34 (.237)
    Positive 3.47±0.23 3.51±0.52 3.55±0.43
    Negative 3.28±0.42 3.37±0.54 3.61±0.62
    Very Negative 3.12±0.46 3.03±0.38 3.73±0.44

    Opinion on nursing Positivea 3.43±0.37 1.93 (.419) 3.80±0.61 1.81 (.128 ) 3.92±0.75 4.04 (.152)
    Negativeb 3.29±0.57 3.55±0.49 3.80±0.56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Very satisfieda 3.84±0.51 2.85 (.029) 3.50±0.48 7.62 (.001 ) a,b> d 3.67±0.77 2.24 (.084)
    Satisfiedb 3.50±0.54 3.50±0.43 3.56±0.86
    Neutralc 3.41±0.50 3.63±0.65 3.58±0.81
    Non-satisfiedd 3.38±0.50 3.33±0.57 3.42±0.43
    Very non-satisfiede 3.20±0.28 3.18±0.43 3.21±0.33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Very satisfieda 3.64±0.46 3.38 (.767) 3.96±0.28 2.72 (.746 ) 3.67±0.85 3.78 (.<001 ) a,>cd
    Satisfiedb 3.87±0.39 3.47±0.52 3.62±0.77
    Neutralc 3.34±0.45 3.43±0.48 3.54±0.91
    Non-satisfiedd 3.21±0.50 3.20±0.51 3.43±0.81
    Very non-satisfiede 3.16±0.43 3.18±0.50 3.33±0.37

    연구 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지난 학기 성 적(F=4.52,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 후검정 결과, 4점 이상이 3.0 미만 보다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명의식은 전공만족도 (F=7.62,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공 만족도가 ‘매우 만족’과 ‘만족’이라고 생각하는 학 생이 ‘매우 만족하지 않음’보다 소명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임상실습 만족도(F=3.78,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상실습 만족 도는 ‘매우 만족’이 ‘보통’과 ‘불만족’보다 간호전문 직관이 높게 나타났다.

    4. 임상실습 만족도, 소명의식, 간호전문직 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 소명의식, 간호전 문직관의 상관관계는 <Table 4>와 같다. 분석 결 과 임상실습 만족도(r=.03, p<.001), 간호전문직관 (r=.1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Sense of Calling, and Nursing Professionalism (N=268)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sense of calling Nursing professionalism
    r(p) r(p) r(p)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1
    sense of calling .09 (<.001) 1
    Nursing professionalism .17 (<.001) .34 (<.001) 1

    5.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Table 5>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N=268)

    variable B SE β t p Tolerance VIF
    constant 0.953 .247 2.624 <.001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159 .094 .342 1.907 <.001 .834 1.212
    Sense of calling .163 .212 .213 2.314 <.001 .743 1.651
    F=47.550, Adjusted R2=.263, P<.001

    일반적 특성 8개 변수와 예측요인 11개를 단계 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의 기본 가정을 검정하기 위해 모든 변수의 정규성과 선형 성을 확인한 결과, 잔차의 분포는 정규성을 만족하 였고, 독립변수간의 다중 공선성을 검정하였을 때 공차 한계값이 0.743~0.834로 0.1 이상이었고, 분산 팽창인자(Nariation inflation factor, VIF)값은 1.212~1.651로 10 미만이므로, 독립변수들 간 다중 공선성의 문제는 없었으며, Durbin Watson 상관계 수가 2.035로 기준값인 2에 근접하고 0 또는 4에 가깝지 않아 잔차들 간의 상관관계가 없어 회귀모 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 로는 임상실습 만족도(β=.342, p<.001), 소명의식( β=.213, p<.001)순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6.3%이었다.

    Ⅳ. 고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 소명 의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 써 간호대학생의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정립을 위 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 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의 정도 는 3.67점으로 중간 정도의 점수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 1~4학년을 대상으로 연구한 Lee & Seo[3]의 연구에서 나타난 3.56점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차이는 본 연구의 경우 4학년 1학기까지의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 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고 Lee & Seo[3]의 연구의 경우 간호대학생 1∼4학년을 대상으로 시행하여 연구 참여자의 임상실습 경험 정도 혹은 간호학생 으로 지낸 기간에 따라 간호전문직관이 차이 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보여진다. 학년이 올라갈수 록 간호전문직관의 차이가 날 수 있다고 보는 것 은 간호학생의 전문직관이 실습의 정도, 학년, 다 양한 전공과목의 이수 경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고 기술한 Lim & Jo[1]의 연구가 본 연구의 결과 를 뒷받침해 준다. 이는 전공 수업과 실습을 경험 하는 과정이 간호전문직관의 형성과 발달에 영향 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어 임상실습과 전공이론 교육 과정 속에서 적절한 간 호사의 권위와 이미지 구축을 위한 노력들이 지속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3.47점으로 이는 임상실습을 600시간 이상 이수한 간호대학생을 대 상으로 한 Lim & Jo[1]의 연구에서도 임상실습 만 족도가 3.48점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년과 임 상실습의 경험 정도의 차이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 여진다. Lim & Jo[1]의 연구에서는 실습지에서의 실습학생에 대한 배려와 이해 및 이론에서 배운 간호술 적용을 높여 갈 때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 아질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실습영역에서의 만 족도 향상을 위해 실습환경, 실습내용 등 실습여건 등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도를 확인하고 간호학생 의 실습 및 간호직에 대한 기대치와 현실적인 간 호업무와의 격차로 인한 심리적 불편감을 줄여주 기 위한 심층면담과 교육프로그램의 시행이 필요 하다고 여겨진다. 이에 더해 간호대학생들이 기대 하고 있는 간호의 전문적 특성을 적절히 이해하고 기술과 이론에 대한 습득을 도울 수 있도록 다양 한 간호환경에서의 사례 경험을 충분히 채워주고 임상 간호술 적용이 충분히 제공 될 수 있는 방안 의 모색을 위해 현장지도자를 포함하는 실습 기관 측과 학교 간의 의견 조율을 위한 사전 논의와 협 의가 더 많이 실행될 수 있도록 협력하는 것이 필 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소명의식 정도는 3.51로 중간 이상의 수준이었으며 Lee & Seo[3]의 연구에서 나타난 2.87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ee & Seo[3]의 연구에서는 G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전수를 연구 대상자로 삼아 임상실습 을 경험한 4학년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본연 구의 결과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간호학생 들이 임상실습을 나가 전문인으로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사들의 모습을 볼 때 간호사가 되려 는 목적의식이 고양되고 간호에 대한 의미부여의 기회가 되어 소명의식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는 선행연구[10][11]의 결과를 근거로 볼 때 간호학 생 전수가 연구 대상자인 Lee & Seo[3]의 연구에 비해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충분히 경험한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소명의식의 정도가 높 게 나올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 소명의식, 간호 전문직관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 관 계를 보여 Lee & Seo[3]의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Lim & Jo[1]의 연구에서도 임상실습 만족도와 간호전문직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혀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 간호전문직관은 대상자에 대한 안전간호 및 간호수행의 질과 직· 간접적인 연관성이 있으므로[2][4][7] 간호전문직관 의 형성과 발달을 위해 임상실습만족도, 소명의식 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실무경험의 정도가 임상실습 만족 도를 향상시키는데[24]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 음을 기술하고 있는데 최근 의료기관에 입원한 대 상자가 간호학생이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간호 수 행에 대해 꺼려하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어 학생들 의 간호수행 실무경험 제공에 한계점으로 작용하 여 임상실습 만족도를 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1][24]. 이러한 상황은 간호전문직관 형성에 저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어 학생들이 임상실습을 나가기 전 실제 대상자를 응대할 때와 유사도가 높은 시뮬레이션 실습을 더욱 충분히 실시하여 간 호술기에 대한 지신감을 기르고[2][3][4] 학생들이 수행하는 간호 처치에 대한 대상자들의 신뢰도 향 상을 위한 방안 마련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간호학생이 수행가능하 며 대상자 입장에서 만족도와 신뢰를 높여줄 수 있 는 간호 처치 리스트를 개발하여 임상실습을 나간 간호학생들의 직접 간호 수행의 기회를 확대해 나 가는 방안 마련도 필요하다 생각된다. 이러한 노력 들이 임상실습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여 간호전문직 관을 발달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인간 생명의 존중을 다루는 대상자 중심의 간 호 교육을 통해 성숙한 책임감을 형성함으로써 소 명의식을 높여갈 수 있어[1][25] 직업적 가치, 인간 생명에 관한 간호 윤리적 교육이 이론과 실습과정 에서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임상실습 만족도, 소명의식의 순이었으며 이들 변수는 간호전문직관에 총 26.3%의 설명력을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소명의식은 스스로 선택한 간호학 전공에 대한 의미부여를 통해 사회에 기여 하는 전문인으로 성장하는 기대가 있을 때 높아질 수 있다[3][4]. 그러나 간호학생들이 임상실습을 나 가 관찰하게 되는 간호사들의 과다한 업무량, 전문 성을 존중받지 못하는 상황, 열악한 업무환경 등은 간호사가 되고자 했던 목적과 의미부여에 부정적 영향을 주며[25] 소명의식을 기반으로 공익과 전문 성을 실천에 기여하고자 하는 기대감을 갖기 어렵 게 할 수 있다[4][25]. 따라서 간호사 인적관리와 간호환경을 개선하고 간호사의 전문성과 사회적 기여 부분에 대한 적극적 홍보를 포함한 소명의식 제고 전략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본다. 또한 간 호업무에 대한 의미와 목적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 는 교육과정을 적절히 제공하여 소명의식 향상을 통한 전문직업인으로의 성장에 대한 기대치를 높 여[3] 이것이 간호전문직관의 확립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이러한 노력 을 통해 소명의식을 고취시켜 간호학생들의 간호 전문직관을 확고히 다지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Ⅴ. 결론

    본 연구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들의 임상실습만 족도와 소명의식 및 간호전문직관의 관계와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 다.

    졸업을 앞두고 곧 신규간호사로 취업하게 되는 4학년 간호학과 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에는 임상 실습 만족도와 소명의식 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 둘의 변수는 간호전문 직관을 26.3% 설명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간 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업무에 대 한 의미와 목적의식을 고취 시킬 수 있는 교육과 정을 적절히 제공하여 소명의식 향상시키고 임상 실습 환경 개선을 통한 임상실습만족도 증대를 도 모하여 간호전문직관을 강화할 수 있는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소명의 식과 임상실습만족도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고취시킬 수 있는 간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G시의 2개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체 간호대학생에게 연 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신중해야 한다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소명 의식과 임상실습만족도를 고려한 간호전문직관 향 상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N=268)
    Degree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Sense of Calling, and Nursing Professionalism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Sense of Calling and Nursing Professionalism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Sense of Calling, and Nursing Professionalism (N=268)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N=268)

    Reference

    1. K.M. Lim, E.J. Jo ( 2016),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Image of nurses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4);556-566.
    2. I.H. Park ( 2023), Th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f Adult Learners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stitution,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Vol.15(1):81-88.
    3. K.E. Lee, I.S. Seo ( 2022), The effects of calling, nurse’s image, satisfaction in major and self-efficacy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8(1):37-47.
    4. D.H.S. Kang ( 2024), The Influence of Patient Safety Attitude, Communication Skill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 Vol.17(3):93-103.
    5. Y.M. Kwon, E.J. Yeun ( 2007), A Correlation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epartment Satisfaction, Sociality,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3(3):285-292.
    6. J.A. Yee ( 2004), A Study on the Image of Nurses and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0(3):325-334.
    7. S.A. Ryu, N.Y. Kim ( 2022),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f Graduate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23(11):404-412.
    8. J.E. Choi ( 2022),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Nursing Professionalism o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Education, Vol.10(2):351-359.
    9. K.S. Cho ( 2020),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27(2):142-152
    10. Y.S. Song, J.Y. Lee ( 2020),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moral sensitivity on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6(2):157-166.
    11. J.Y. Lee ( 2023),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Calling and Nursing Professionalism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thical Sensitivity,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ol.21(11):107-115.
    12. C. Emerson ( 2017), Calling to nursing: Concept analysis, ANS:Advances in Nursing Science Vol.40(4):384-394.
    13. R. Raatikainen ( 1997), Nursing care as a call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25(6):1111-1115.
    14. F. Li, Y. Zhou, P. Kuang ( 2023), Thriving at work, career calling, and moral distress among nurses, Nursing Ethics, Vol.23(5):919-929.
    15. Y.T.K. Kim, M.Y. J ( 2019),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ampus Environment on the Perception of Ethical Sensitivity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5(1):115-124.
    16. G.J. Cho, H.S. Kang ( 1984), Study on Self-Concep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14(2):63-74.
    17. S.E. Lee ( 2001), A Study on Satisfaction and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 Direction for Clinical Education: Focused on Maternity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7(2):333-348.
    18. S.H. Lee, S.Y. Kim, J.A. Kim ( 2004), Nursing Students’ Image of Nurse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0(2):219-231.
    19. B.J. Dik, B.M. Eldridge, M.F. Steger, R.D. Duffy (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 (CVQ) and Brief Calling Scale (BC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20(3):242-263.
    20. Y.R. Shim, S.K. Yoo (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K),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24(4):847-872.
    21. K.E. Oh, W.C. Jeong ( 2020), The Effects of the Sense of Calling of Social Worker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The Journal of Welfare and Counselling Education, Vol.9(2):157-179.
    22. E.J. Yeon, Y.M. Kwon, O.H. Ahn ( 2005),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2(5):1091-1100.
    23. S.S. Han, M.H. Kim, E.K. Yun ( 2008),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4(1):73-79.
    24. Y.S. Ham, H.S. Kim, I.S. Cho, J.Y. Lim ( 2011), Affecting Fa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Seni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7(3):536-544.
    25. J.Y. Lee ( 2023),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Calling and Nursing Professionalism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thical Sensitivity,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ol.21(11):107-115.
    October 30, 2024
    December 20, 2024
    December 28, 2024
    downolad lis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