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093-5986(Print)
ISSN : 2288-0666(Onlin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9 No.1 pp.1-12
https://doi.org/10.12811/kshsm.2025.19.1.001

생애전환기 연령별의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 충청북도지역을 중심으로 -

김윤환1, 한효상2
1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2중부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 Care Devices by Age during Life Transition

Yun Hwan Kim1, Hyosang Han2
1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2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Joongbu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devices by age group during life transitions in the Chungcheongbuk-do region.


Methods:

Using 2022 Chungcheongbuk-do social surve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age groups into 13-39, 40-64, and over 65 years old.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devices.


Results:

Common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devices in all life transition age groups were Exercise frequency, Disaster emergency situation response level_Awareness of action guidelines(+), and job status(-). In addition, the factors differed according to the age group in the life transition period.


Conclusions:

When promoting and expanding mobile healthcare projects in a reg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ifferentiated strategy that considers age group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Ⅰ. 서론

    4차 산업혁명의 맥락에서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개발과 활용은 의료 서비스 및 개인의 건강관리 분야에 많은 변화를 주고 있다. 그 중 하나는 공간 적 제약이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기존에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 받거나 개인의 건강관리를 위해서 는 직접 의료시설 등을 방문해야 하는 물리적 공 간에 국한되어 있었지만,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Mobile Application)과 모바 일 헬스케어(Mobile Healthcare)를 통해 공간적 제 약에서 벗어나 시간이나 장소에 제한 없이 개인의 건강관리가 가능 해 지고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는 정보통신기술과 빅데 이터를 활용해 예방적 측면에서 운동 처방, 신체 건강정보 모니터링 등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 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1]. 모바일 헬스케어 는 스마트폰, 모바일 워치 등 모바일 기기를 의료 서비스와 결합하여, 개인의 체중, 운동법, 신체정보 모니터링 등 개인의 건강관리 뿐 아니라 의사와 환자 간에 소통의 경로를 구축하여 개인의 질병관 리에도 활용될 수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는 의료인 이 아닌 개인이 개인의 장소에서 실시간으로 건강 을 관리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의료비 절감, 치료의 효율성, 기초 의료 접근성 향상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2].

    현재 보건소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모바 일 헬스케어 사업을 추진하며, 맞춤형 건강관리 서 비스 제공을 통해 헬스케어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 고 있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 따르면, 보건소 모 바일 헬스케어 사업은 모바일 앱(APP)을 통해 시 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보건소 전문가가 건강상담 을 통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이며, 2016년 9월부터 2017년 3월까지 보건소 10개 소 1,000명 대상으로 1차 시범사업을 시행 한 후 2022년 180개소 24,547명, 2023년에는 202개소에서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3].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과 확산에 대한 연구는 특정 지역과 인구집단을 고려하여 다양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 션 및 기기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는 BIO 2018 in Bosten 전시회 참가 및 참관자를 대상으로 한 연 구[4], 2016년 5월 대구경북지역의 20대를 대상으 로 한 연구[5], 전국 20~69세 모바일 폰 이용자 500명[6], 한 지역의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스마트 폰 이용수준과 자가간호역량에 관련된 연구[7], 2016년 9월 27일부터 2022년 9월 16일까지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에 작성된 리뷰를 분석한 연구[8], 좌업형태의 30대 사무직 근무 여 성을 대상으로 자가점검군, 모바일 헬스케어군, 비 교군을 설정하여 비만, 심폐체력, 대사증후군위험 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연구[9] 등이 진행되었 다. 선행연구를 살펴보았을 때,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은 개인의 건강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 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은 기술수용성 모델과 연관 지어 생각 해 볼 수 있다. Davis(1989)[10]가 제안한 기술수용성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 TAM)은 기술의 수용에 있어 소비자의 행동에 관련된 이론이다. 기술수용성모델 은 행위간의 관계를 ICT 연구로 확장하여, 첨단기 술의 수용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11]. 기술수용성모델은 ‘지각된 용이성’과 ‘지 각된 유용성’을 변수로 제시하고 있다. 스마트폰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수용을 위한 연구[12]에서 지각된 용이성은 ‘이용이 개인의 건강증진에 도움 을 줄 것으로 지각하는 정도’, 지각된 용이성은 ‘특 별한 지식이나 많은 노력 없이도 쉽게 사용할 것 으로 지각하는 정도’로 정의하여 분석하였다. 기술 수용성모델은 디지털 헬스케어 지속적 사용의도 [13],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지속적 수용 연구[14] 에서도 활용되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기술수용성모델과 선행연구에 따라 모바일 헬스 케어 기기의 이용은 개인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개인의 행동 및 인식 변화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관련된 연구는 제한적이 었다. 또한, 모바일 헬스케어 이용 의향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발생 할 수 있지만[6,15] 다양한 연 령대를 고려한 연구도 제한적이었다.

    생애전환기 나이는 급격한 생리적 변화가 일어 나는 시기로 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만 44세와 만 66세를 구분으로 맞춤형 건강검진을 실시하고 있다. 신체활동 현황 연구[16]에서 신체활동 실천 특성을 살펴 본 결과, 청장년(19~39세)은 주당 신 체활동 실천이 가장 활발하였고, 중년(40~65세)은 중강도 신체활동을 자주 실천하고, 노년(66세 이 상)은 저강도 신체활동을 오랜 시간 빈번하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40세와 66세를 대상으로 혈청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지질농도를 비교한 연구[17]는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40세군보다 66세군에서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생애전환기 별로 신체활동, 생리적 변화의 차이가 나타났다. 인생 전환의 중요한 단계에서 적극적인 의료 조치 와 개인의 건강에 중요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생애 전환기 연령대는 고려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2년 충청북도지역을 중심 으로 응답자의 생애전환기 연령대를 고려하여 모 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에 미치는 영향 요 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Ⅱ. 연구방법

    1. 분석 자료

    본 연구는 2022년 충청북도 사회조사를 활용하 였다. 사회조사는 광역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 의 현황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지역 맞춤형 정책 을 수립하고 추진하는데 활용되고 있으며, 매년 진 행되고, 매년 일부 문항의 변동이 있을 수 있다. 특히, 2022년 충청북도 사회조사는 타 지역과 다르 게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을 묻는 설문 지 포함되어 있어 분석 자료로 설정하였다.

    2. 변수의 구성

    본 연구의 목적인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종속변 수는 “귀하께서는 모바일 헬스기기(신체작용 도구) 를 이용하고 계시거나 또는 이용하실 의향이 있으 십니까?”로 설정하였다. 위의 종속변수의 항목명은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를 통해 확인한 결과 “모바일헬스기기이용의향코드”로 표현되고 있다. 종속변수로 설정한 문항의 척도는 “1. 현재 이용 중, 2. 이용할 의향 있음, 3. 이용할 의향 없음, 4. 잘 모르겠음, 5. 무응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무 응답 값은 제외하였고, 점수가 올라갈수록 긍정적 인 의미를 가지는 다른 독립변수와의 관계성을 맞 추기 위해 역코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독립변수는 개인의 삶의 만족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전반적만족도”, "지역생활만족도“, ”의료기 관이용만족도“, 사회적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 기관신뢰정도_시군청“, ”공동체의식(잘알고지내는 편)정도“, ”공동체의식(자주이야기함)정도“, ”공동 체의식(서로잘도움)정도“, 개인의 행동변화를 측정 할 수 있는 ”운동빈도“, ”재난긴급상황시대처수준_ 행동요령인식“, ”재난긴급상황시대처수준_인공호흡 심폐소생술방법인식“을 포함하여 10문항으로 구성 하였다. 개인의 삶의 만족 정도 중 ”전반적만족도 “, ”지역생활만족도“는 0~10점까지 총 11점, ”의료 기관이용만족도“ 5점, 사회적 관계 변수 중 ”기관 신뢰정도_시군청“ 4점, ”공동체의식“에 관련된 문 항은 5점, 개인의 행동 변화 변수 중 ”운동빈도“ 6 점, ”재난긴급상황시대처수준“에 관련된 문항은 4 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통제변수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거주 지역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읍면동거주지역“, 경제적 활동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직업유무“ 3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성별“은 남자, 여자, ”읍변 동거주지역“은 읍부, 면부, 동부, ”지역유무“는 있 음, 없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적 관계 변수는 사회적 자본의 개념을 활용 하여 구성하였다. 사회적 자본으로 볼 수 있는 신 뢰 및 네트워크 활동은 복합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심리적 위안을 받을 수 있고, 건강에 유리한 습관 을 형성하며 기여하는데 결정적이기도 한다[18]. 장노년층의 라이프스타일 케어 앱 사용 요구에 관 한 연구[15]에서 “활동참여에 대한 평가”, 안전인 식과 개인 웰빙에 관한 연구[19]에서 이웃 간의 소 통, 이웃에 대한 신뢰, 지방자치단체 등 공적기관 의 신뢰를 변수로 활용하였다. 대구경북지역 거주 20대의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5]에서 사회성을 “주변인과의 관계를 맺고 상 호 영향을 주고받는데 적합하다고 믿는 정도”로 정의하여 변수로 활용하였다. 따라서 모바일 헬스 케어 사업을 추진하는 보건소가 소속되어 있는 “시군청의 기관 신뢰도”, 이웃간의 소통과 주변인 과의 관계 정도인 "공동체의식“을 변수로 설정하 였다.

    개인의 행동변화 변수는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의 사용 목적과 연관 지어 구성하였다. 모바일 헬 스케어 기기는 개인의 신체적 및 건강관리에 도움 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개인의 신체적 관리 변화 인식에 관련된 변수로 구성하였 다. 평소 생활하는 비교군에 비해 자가 모니터링과 건강관련 정보 및 운동량을 피드백 받는 모바일 헬스케어군은 일상생활 신체활동량의 유용성이 나 타났고[9], 모바일 헬스케어를 활용한 행위가 기존 의 건강 관련 행위보다 상대적으로 유익하다는 영 향이 나타났고[2], 모바일 헬스케어 앱 사용이 어 렵지 않다는 인지된 용이성과 건강관리를 위해 건 강정보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건강정보지향은 인 지된 유용성을 통해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사용의 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20]. 따라서 모바 일 헬스케어 기기의 사용은 개인의 신체 및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되고,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의 사용 의도는 평소 건강에 관련된 행동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개인의 신체적 관리 변화 인식을 나타낼 수 있는 “운동빈도”, 재난 및 긴급상황 시 대처할 수 있는 “행동요령인식수준”과 “인공호흡심폐소생 술방법인식수준”을 변수로 설정하였다.

    개인의 삶의 만족 정도를 살펴본 연구는 부족하 였다.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의 이용으로 개인이 실 시간으로 건강 지표를 측정 및 관리할 수 있어 생 활하는데 전반적인 만족도가 향상되고, 이상 수치 발견 시 병원에 방문하여 상담을 받을 수 있기 때 문에 의료 접근성 향상으로 의료기관만족에도 영 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전반적 만족도”, “지역생활만족도”, “의료기관이용만족도” 를 변수로 설정하였다.

    3. 분석방법

    본 연구는 생애전환기 연령대를 구분하여 진행 하였다. 전체 19,073명 중 “의료기관이용만족도” 문항에 응답하지 않는 2,135명을 제외한 전체집단 16,938명, 13~39세 2,526명, 40~64세 7,498명, 65세 이상 6,914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분석을 진 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문항의 평균값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전체 연령대를 대상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방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 하고, 생애전환기 연령대에 따른 요인의 차이를 파 악하기 위해 생애전환기 연령대별로 구분하여 다 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1>

    Composition of variable

    Classification Variable Variable category
    Dependent variable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 care devices
    1. I don't know

    2. Not intention to use

    3. Intention to use

    4. Currently in use (Reverse coding)

    Independent variable person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_Overall satisfaction 0 ~ 10
    Life satisfaction_Regional life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use of medical institutions
    1. Very dissatisfied

    2. Slightly dissatisfied

    3. Normal

    4. Slightly satisfied

    5. Very satisfied

    Social relationship Institutional Credible Level_City/County Office
    1. No credible at all

    2. No credible very much

    3. Slight credible

    4. Completely credible

    Community awareness (how well we get along)
    1. Not at all

    2. Not like that

    3. Normal

    4. Like that

    5. Very like that

    Community awareness (often talked about)
    Community awareness (helping each other well)
    Individual behavior change Exercise frequency
    1. Not at all

    2. Less than 3 times a month

    3. About 1 ~ 2 times a week

    4. About 3 ~ 4 times a week

    5. About 5 ~ 6 times a week

    6. Every day

    Disaster emergency situation response level _Awareness of action guidelines
    1. Have no idea

    2. Not sure well

    3. Know a little bit

    4. Know very well

    Disaster emergency situation response level _Awareness of Artificial respirat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ethod
    Control variable Gender
    1. Male

    2. Female

    Eup, Myeon, Dong residential area
    1. Eup residential area

    2. Myeon residential area

    3. Dong residential area

    Job status
    1. Yes

    2. No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전체 16,938명으로, 생 애전환기 연령별에 따라 구분하여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았다<Table 2>. 13~39세의 연구대상자는 총 2,526명으로 나타났다. 성별은 남성 1,220명 (48.30%), 여성 1,306명(51.70%), 연령은 13~19세 508명(20.11%), 20~29세 825명(32.66%), 30~39세 1,193명(47.23%)로 나타났다. 읍면동 거주단위는 읍 부 1,003명(39.71%), 면부 653명(25.85%), 동부 870 명(34.44%), 혼인상태는 미혼 1,607명(63.62%), 배우 자 있음(혼인 미신고 포함) 877명(34.72%), 사별 4 명(0.16%), 이혼(별거포함) 38명(1.50%), 직업유무는 있음 1,442명(57.09%), 없음 1,084명(42.91%)로 나타 났다. 40~64세의 연구대상자는 총 7,498명으로 나 타났다. 성별은 남성 3,686(49.16), 여성 3,812(50.84), 연령은 40~49세 2,117명(28.23%), 50~59세 3,171명 (42.29%), 60~64세 2,210명(29.47%)로 나타났다. 읍 면동 거주단위는 읍부 2,879명(38.40%), 면부 2,670 명(35.61%), 동부 1,949명(25.99%), 혼인상태는 미혼 504명(6.72%), 배우자 있음(혼인 미신고 포함) 6,025명(80.35%), 사별 303명(4.04%), 이혼(별거포 함) 666명(8.88%), 직업유무는 있음 5,929명 (79.07%), 없음 1,569명(20.93%)로 나타났다. 65세이 상의 연구대상자는 총 6,914명으로 나타났다. 성별 은 남성 3,107명(44.94%), 여성 3,807명(55.06%), 연 령은 65세이상 6,914명(100%)로 나타났다. 읍면동 거주단위는 읍부 2,359명(34.12%), 면부 3,336명 (48.25%), 동부 1,219명(17.63%), 혼인상태는 미혼 39명(0.56%), 배우자 있음(혼인 미신고 포함) 4,461 명(64.52%), 사별 2,155명(31.17%), 이혼(별거포함) 259명(3.75%), 직업유무는 있음 3,102명(44.87%), 없 음 3,812명(55.13%)로 나타났다.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Variable Variable category 13~39 years 40 ~ 64 years Over 60 years
    N(%) N(%) N(%)
    Gender 1. Male 1,220(48.30) 3,686(49.16) 3,107(44.94)
    2. Female 1,306(51.70) 3,812(50.84) 3,807(55.06)
    Age (years) 1.13~19 508(20.11) 0(0) 0(0)
    2.20~29 825(32.66) 0(0) 0(0)
    3.30~39 1,193(47.23) 0(0) 0(0)
    4.40~49 0(0) 2,117(28.23) 0(0)
    5.50~59 0(0) 3,171(42.29) 0(0)
    6.60~64 0(0) 2,210(29.47) 0(0)
    7. Over 60 0(0) 0(0) 6,914(100)
    Eup, Myeon, Dong residential area 1. Eup residential area 1,003(39.71) 2,879(38.40) 2,359(34.12)
    2. Myeon residential area 653(25.85) 2,670(35.61) 3,336(48.25)
    3. Dong residential area 870(34.44) 1,949(25.99) 1,219(17.63)
    Marital status 1. Single 1,607(63.62) 504(6.72) 39(0.56)
    2. Spouse presence (including unreported marriage) 877(34.72) 6,025(80.35) 4,461(64.52)
    3. Bereavement 4(0.16) 303(4.04) 2,155(31.17)
    4. Divorce (including separate) 38(1.50) 666(8.88) 259(3.75)
    Job status 1. Yes 1,442(57.09) 5,929(79.07) 3,102(44.87)
    2. No 1,084(42.91) 1,569(20.93) 3,812(55.13)
    Subtotal 2,526(100) 7,498(100) 6,914(100)
    Total 16,938

    2. 연령 집단 간 변수의 차이 분석

    연령별 집단의 변수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빈 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Table 3>과 같 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13~39세는 모 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역코딩), 삶만족_전 반적만족도, 재난긴급상황시대처수준_인공호흡심폐 소생술방법인식, 읍면동거주지역, 40~64세는 삶만 족_지역생활만족도, 운동빈도, 재난긴급상황시대처 수준_행동요령인식, 65세이상은 의료기관이용만족 도, 기관신뢰정도_시군청, 공동체의식(잘알고지내는 편)정도, 공동체의식(자주이야기함)정도, 공동체의 식(서로잘도움)정도, 성별, 직업유무에서 타 연령대 에 비해 가장 높은 평균값이 나타났다.

    <Table 3>

    Analysis of differences variables between age groups

    Variable 13 ~ 39 years (N=2,526) 40 ~ 64 years (N=7,498) Over 60 years (N=6,914) F P
    Mean SD Mean SD Mean SD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 care devices (Reverse coding) 2.48 1.096 2.20 1.019 1.60 0.815 1070.822 <0.001
    person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_Overall satisfaction 6.39 1.930 6.18 1.899 585 1.819 95.746 <0.001
    Life satisfaction_Regional life satisfaction 5.99 1.964 6.04 1.851 6.00 1.759 1.366 0.255
    Satisfaction with use of medical institutions 3.31 0.948 3.34 0.948 3.55 0.972 102.070 <0.001
    Social relationship Institutional Credible Level_City/County Office 2.43 0.695 2.56 0.698 2.73 0.683 210.605 <0.001
    Community awareness (how well we get along) 2.45 1.036 3.09 1.085 3.69 0.963 1484.926 <0.001
    Community awareness (often talked about) 2.17 0.987 2.80 1.138 3.47 1.066 1506.128 <0.001
    Community awareness (helping each other well) 2.28 0.991 2.90 1.130 3.46 1.068 1187.866 <0.001
    Individual behavior change Exercise frequency 2.57 1.482 2.59 1.517 2.51 1.764 4.215 0.015
    Disaster emergency situation response level_Awareness of action guidelines 3.31 0.642 3.26 0.641 2.83 0.815 781.478 <0.001
    Disaster emergency situation response level _Awareness of Artificial respirat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ethod 2.94 0.804 2.68 0.873 2.04 0.879 1467.594 <0.001
    Control variable Gender 1.52 0.500 1.51 0.500 1.55 0.497 13.463 <0.001
    Eup, Myeon, Dong residential area 1.95 0.860 1.88 0.793 1.84 0.700 20.209 <0.001
    Job status 1.43 0.495 1.21 0.407 1.55 0.497 1014.348 <0.001

    3. 전체집단의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 영향 요인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 영향 요인의 방향성을 살펴보기 위해 전체 연령대를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Table 4>와 같다. 정(+)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변수는 개 인의 삶의 만족에서 전반적만족도(β=0.045, p<0.001), 사회적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서로잘도움) 정도(β=0.025, p=0.047), 개인의 행동변화에서 운동 빈도(β=0.067, p<0.001), 재난긴급상황시대처수준_ 행동요령인식(β=0.181, p<0.001), 재난긴급상황시대 처수준_인공호흡심폐소생술방법인식( β=0.194, p<0.001), 통제변수에서 성별(β=0.107, p<0.001)로 나타났다. 개인의 행동변화 부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히나 범위에서 모두 정(+)의 방향성이 나타 났다. 개인의 행동변화 부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히나 범위에서 모두 정(+)의 방향성이 나타났 다. 반면, 부(-)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변수는 개인 의 삶의 만족에서 의료기관이용만족도(β=-0.029, p<0.001), 사회적 관계에서 기관신뢰정도_시군청(β =-0.021, p=0.048), 공동체의식(잘알고지내는편)정도 (β=-0.028, p=0.031), 공동체의식(자주이야기함)정도 (β=-0.106, p<0.001), 통제변수에서 읍면동거주지역 (β=-0.027, p=0.004), 직업유무(β=-0.197, p<0.001)로 나타났다.

    <Table 4>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o use mobile healthcare devices of the entire Group (N=16,938)

    Variable B SE β t p-value
    person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_Overall satisfaction 0.045 0.006 0.083 7.896 <0.001
    Life satisfaction_Regional life satisfaction -0.010 0.006 -0.018 -1.740 0.082
    Satisfaction with use of medical institutions -0.029 0.008 -0.028 -3.841 <0.001
    Social relationship Institutional Credible Level_City/County Office -0.021 0.011 -0.015 -1.977 0.048
    Community awareness (how well we get along) -0.028 0.013 -0.031 -2.160 0.031
    Community awareness (often talked about) -0.106 0.013 -0.124 -8.502 <0.001
    Community awareness (helping each other well) 0.025 0.013 0.029 1.988 0.047
    Individual behavior change Exercise frequency 0.067 0.005 0.107 14.759 <0.001
    Disaster emergency situation response level_Awareness of action guidelines 0.181 0.012 0.134 15.295 <0.001
    Disaster emergency situation response level_Awareness of Artificial respiration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ethod 0.194 0.010 0.180 20.253 <0.001
    Control variable Gender 0.107 0.015 0.053 7.055 <0.001
    Eup, Myeon, Dong residential area -0.027 0.009 -0.021 -2.895 0.004
    Job status -0.197 0.016 -0.095 -12.563 <0.001
    R2 .151
    Adjust R2 .151
    F 232.236*

    *p<0.001

    4. 각 연령별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 에 미치는 영향 요인

    생애전환기 연령을 기준으로 13~39세, 40~46세, 65세 이상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 영향 요인의 차이를 살펴보기 보 기 각 연령대별로 구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분석결과는 <Table 5>와 같다. 13~39세에 서는 운동빈도(β=0.100, p<0.001), 재난긴급상황시 대처수준_행동요령인식(β=0.124, p<0.001), 통제변 수 중 성별(β=0.080, p<0.001)에서 정(+), 통제변수 중 직업유무(β=-0.110, p<0.001)에서 부(-)의 영향이 나타났다. 40~64세에서는 전반적만족도(β=0.095, p<0.001), 공동체의식(서로잘도움)정도(β=0.055, p=0.011), 운동빈도(β=0.110, p<0.001), 재난긴급상 황시대처수준_행동요령인식(β=0.107, p<0.001), 재 난긴급상황시대처수준_인공호흡심폐소생술방법인 식(β=0.140, p<0.001), 통제변수 중 성별(β=0.044, p<0.001)에서 정(+), 의료기관이용만족도(β=-0.041, p<0.001), 공동체의식(자주이야기함)정도(β=-0.121, p<0.001), 통제변수 중 직업유무(β=0.066, p<0.001) 에서 부(-)의 영향이 나타났다. 65세 이상에서는 공 동체인식(서로잘도움)정도(β=0.049, p=0.023), 운동 빈도(β=0.141, p<0.001), 재난긴급상황시대처수준_ 행동요령인식(β=0.128, p<0.001), 재난긴급상황시대 처수준_인공호흡심폐소생술방법인식( β=0.138, p<0.001)에서 정(+), 공동체의식(자주이야기함)정도 (β=-0.085, p<0.001), 통제변수 중 읍면동거주지역 (β=-0.036, p=0.002), 직업유무(β=-0.046, p<0.001)에 서 부(-)의 영향이 나타났다.

    <Table 5>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o use mobile healthcare devices by Age Group

    Variable 13 ~ 39 years (N=2,526) 40 ~ 64 years (N=7,498) Over 60 years (N=6,914)
    β p -value β p -value β p -value
    person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_Overall satisfaction 0.024 0.357 0.095 <0.001 0.028 0.117
    Life satisfaction_Regional life satisfaction 0.005 0.853 -0.027 0.109 0.020 0.269
    Satisfaction with use of medical institutions 0.003 0.883 -0.041 <0.001 0.005 0.648
    Social relationship Institutional Credible Level_City/County Office -0.015 0.471 0.006 0.623 -0.001 0.934
    Community awareness (how well we get along) 0.023 0.496 0.011 0.606 -0.019 0.368
    Community awareness (often talked about) 0.016 0.631 -0.121 <0.001 -0.085 <0.001
    Community awareness (helping each other well) -0.019 0.570 0.055 0.011 0.049 0.023
    Individual behavior change Exercise frequency 0.100 <0.001 0.110 <0.001 0.141 <0.001
    Disaster emergency situation response level _Awareness of action guidelines 0.124 <0.001 0.107 <0.001 0.128 <0.001
    Disaster emergency situation response level _Awareness of Artificial respirat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ethod 0.017 0.454 0.140 <0.001 0.138 <0.001
    Control variable Gender 0.080 <0.001 0.044 <0.001 -0.017 0.173
    Eup, Myeon, Dong residential area -0.023 0.236 -0.019 0.097 -0.036 0.002
    Job status -0.110 <0.001 -0.066 <0.001 -0.046 <0.001
    R2 .045 .085 .111
    Adjust R2 .040 .083 .110
    F 9.119* 53.317* 66.589*

    *p<0.001

    Ⅳ. 고찰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 여 개인의 건강관리 측면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 공하지만 이용의향은 연령, 개인의 삶의 만족 및 사회적 관계 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생애전환기별 연령 대에 따른 문항의 평균값은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 삶만족_전반적만족도, 재난긴급상황시 대처수준_인공호흡심폐소생술방법인식는 13~39세 에 가장 높고, 40~64세, 65세 이상 순으로 젊을수 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3~39세는 모바일 기기의 접근 및 이용이 익숙하여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의료기관이용만족도, 사 회적 관계 변수는 65세 이상이 가장 높고, 40~64 세, 13~39세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운동빈도, 재난 긴급상황시대처수준_행동요령인식은 40~64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삶만족_지역생활만족도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40~64세에서 가장 높은 값이 나타났다.

    둘째, 전체집단을 대상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기 기 이용 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전반적만족도, 공동체의식(서로잘도움)정도, 운동빈도, 재난긴급상 황시대처수준_행동요령인식, 재난긴급상황시대처수 준_인공호흡심폐소생술방법인식, 성별은 정(+), 의 료기관이용만족도, 기관신뢰정도_시군청, 공동체의 식(잘알고지내는편)정도, 공동체의식(자주이야기함) 정도, 읍면동거주지역, 직업유무는 부(-)의 영향이 나타났다.

    셋째, 모든 생애전환기별 연령대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영향요인은 개인의 행동변화 변수에서 운동빈도, 재난긴급상황시대처수준_행동요령인식은 정(+), 통제변수에서 직업유무는 부(-)의 영향이 나 타났다.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를 이용함으로써 신 체활동량의 유용성[9], 기존 건강 관련 행위와의 상대적 유익성[2]이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게 볼 수 있다. 이는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은 개 인의 건강을 위한 행동 변화 의지에 중요한 영향 을 주고, 경제적인 활동을 하는 경우에 이용의향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두 연령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영향 요인은 13~39세와 40~64세 연령대에서 성별은 정 (+)의 영향이 나타나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에 남성보다 여성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40~64세와 65세 이상 연령대에서는 사회적 관계에 서 공동체의식(서로잘도움)정도와 개인의 행동변화 에서 재난긴급상황시대처수준_인공호흡심폐소생술 방법인식은 정(+), 사회적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자 주이야기함)정도는 부(-)의 영향이 나타났다. 모바 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은 서로 잘 도울 때, 개인의 행동변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때 높은 것 으로 볼 수 있다. 장노년층 연령에 라이프스타일 모바일 앱 기능의 요구 정도를 비교한 연구[15]에 서 “활동참여에 대한 평가”는 장노년층의 인식에 차이가 있었고, 장년층에서 라이프스타일 구성요인 이고,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인식한 결과와 일부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대구, 경북지역 거주 20대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 연구[5]에서 사회 성은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 이용의도에 영향이 나타나지 않은 점과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는 연령층이 증가할수록 서로 잘 도울 경우 모바 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40~64세 연령대에서는 개인의 만족 에서 전반적만족도는 정(+), 의료기관이용만족도는 부(-), 65세 이상에서는 읍면동거주지역은 부(-)의 영향이 나타났다. 이는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를 이 용함으로써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가 향상 되었다 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이용만족도는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을 통한 상담 보다 의 료기관 내에서의 진료 및 상담의 만족도가 더욱 높아서 나타는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째, 연구대상지역의 한정 성이다.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를 이용하는 사람은 여러 지역에 분포되어 있고,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 도 여러 지역에서 추진되고 있지만, 연구대상지를 충청북도 지역으로 한정하여 타 지역과 비교했을 때, 결과의 차이점이 나타날 수 있다. 둘째,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기간을 고려하지 못한 점이다.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은 모바일 헬스케 어 기기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이용 기간에 따라 차이가 발생 할 수도 있지만, 이용 기간에 따 른 변수가 제한적이었다. 셋째,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에 대한 정의와 범위의 불확실성이다.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스마트폰 의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2022년 충청북도 사회조사에서는 신 체착용 기기로 의미하고 있어서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의 범위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 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지를 확대하여 타 지 역에서도 유사한 영향이 나타났는지 파악하고, 모 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기간과 범위를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Ⅴ. 결론

    본 연구는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생애전환기별 연령대의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에 미치 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 선 행연구를 살펴보면,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 향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다양 한 연령대를 고려하여 비교한 연구는 제한적이었 기 때문에 선행연구와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

    연구결과를 요악하면, 첫째, 생애전환기 연령대 별로 변수에 따른 평균값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 째,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에 미치는 영 향 요인은 모든 연령대에서 동일한 요인도 있었지 만, 생애전환기 연령대별에 따라 차이도 나타났다.

    그러므로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이용 의향 영향 요인은 생애전환기 연령대에 따라 일부 다르게 나 타나 생애전환기 연령대를 고려한 모바일 헬스케 어 기기 사업 추진 시 참고자료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를 기반으로, 지역의 모바일헬 스케어 산업 육성 및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도입 사업 추진 시 생애전환기 연령대를 고려한 차별적 인 추진방안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Table

    Composition of vari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alysis of differences variables between age groups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o use mobile healthcare devices of the entire Group (N=16,938)
    *p<0.001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o use mobile healthcare devices by Age Group
    *p<0.001

    Reference

    1. J.Y. CHA ( 2021), The Effect of UI Usability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on Technostress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Focusing on Elderly Us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9(5);295-305.
    2. E.C. Lee, S.C. Jo, H.Y. Lee ( 2018), A Study on the Impact of Mobile Healthcare’s Diffusion of Innovation Factors on Intention to Use: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Innovation Propens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6(5);153-162.
    3. https://www.khepi.or.kr/board?menuId=MENU01690&siteId=null-(2025.02.07. connect)
    4. J.M. Yang, B.H. Hyun, J.W. Ok ( 2020), A Study on the Function and Intention of the Health Care Application in the Analysis of Smartphone Usage Behavior,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Vol.15(4);303-315.
    5. K.H. Kim ( 201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Intention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Focusing on the Users of 20s in Daegu,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Vol.16(2);1-18.
    6. E.S. Kim ( 2017), Affecting factors of mobile health care service usage and efficient utilization plan, Korean J Health Educ Promot, Vol.34(2);41-52.
    7. M.J. Yang, K.S. Yun, S.H. Cho ( 2022), The Effects of Smartphone Usage Levels, Health Literacy, and Self-Efficacy on Self-Care Agency in an Elderly Community Popul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6(2);75-86.
    8. T.J. Kim ( 2023), A Study on the Experience Analysis and Service Improvement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Service in Public Health Center,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32(4);375-385.
    9. J.H. AN, Y.M. Lee, S.W. Choi ( 2020),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in Mobile Healthcare on Obesity, Cardiorespiratory fitness,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29(3);795-806.
    10. F.D. Davis (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3);319-340.
    11. E.S. Jin, S.Y. Lee ( 2023), A Study on the Effect of User Value on Smartwatch Digital Healthcare Acceptance Intention to Promote Digital Healthcare Venture Start Up,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vol.18(2);35-52.
    12. B.R. Wang, J.Y. Park, I.Y. Choi ( 2011), Influencing Factors for the Adoption of Smartphone Healthcare Appli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1(10);396-404.
    13. Y.S. Cho ( 2024), A Study on Continued Use Intention of Digital Healthcare, Journal of Industrial Studies, vol.48(3);131-147.
    14. J.S. Jeong, J.M. Park, G.Y Noh ( 2019),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continuous use of mobile healthcare apps: The breakdown of perceived ease of use, Journal of Cyber 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vol.36(2);81-118.
    15. K.H. Park, K.A. Won, J.H. Park ( 2020), Analysis the of User’s Needs for Developing a Mobile Health Based Lifestyle Care Application for Health Promotion among the Elderly,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Vol.9(3);23-34.
    16. H.J. Lim, E.J. Kim ( 2018), Trends of Physical Activity among Korean adults using Complex Samples Analysis : Based on the 2014 KNHANES,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Science, Vol.20(4);1-14.
    17. H.G. Shin, Y.A. Na ( 2010), Concentration of Serum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Health Checkup Groups at Life Transition Periods (40 Years Old and 66 Years Old) in Partial Area of Korea,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Vol.42(2);92-96.
    18. H.Y. Kim ( 2010), Community Inequalities in Health - The Contextual Effect of Social Capital,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44(2);59-92.
    19. H.C. Lim ( 2019), A Empirical Study on Social Capital, Perception of Safety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28(4);165-198.
    20. L.S. Lee, S.H. Lee, J.S. Jeong, G.Y. Noh ( 2017),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Continuous Use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7);445-456.
    February 25, 2025
    March 27, 2025
    March 30, 2025
    downolad list view